KR200340978Y1 -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 - Google Patents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978Y1
KR200340978Y1 KR20-2003-0034094U KR20030034094U KR200340978Y1 KR 200340978 Y1 KR200340978 Y1 KR 200340978Y1 KR 20030034094 U KR20030034094 U KR 20030034094U KR 200340978 Y1 KR200340978 Y1 KR 200340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rucible
refractory brick
bottom member
crucible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김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호 filed Critical 김창호
Priority to KR20-2003-0034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4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2014/0843Lining or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화벽돌 내부에 설치된 도가니를 버너로 가열하기 위한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2)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복수의 내화벽돌이 바닥면에 밀착되고, 이 중앙에 수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1)의 저면에 배출구(12)를 갖는 바닥부재(10); 상기 바닥부재(10)의 상부에 내화벽돌(21)이 적층되고, 이 내화벽돌(21) 내측에 도가니로(1) 내부의 열기가 순환되도록 이송통로(22)가 상기 바닥부재(10)의 수용부(21)까지 연결된 내벽 (20); 상기 내벽(2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복수의 내화벽돌(31)이 내벽(20)의 높이 보다 높게 적층되고, 내화벽돌(31)의 저면 일측에 상기 바닥부재(10)의 배출구(12)와 연결되도록 연결홈(32)이 형성된 외벽(30); 상기 외벽(30)의 연결홈(32)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부일단 절곡된 연통(40); 및 상기 외벽(3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받침판(50), 상기 받침판(50)의 상부에 설치되고, 받침판(50)의 구멍보다 작은 구멍(52)을 갖는 덮개(5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Nonferrous metal solution crucible furnace}
본 고안은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가니를 가열하면서 발생되는 열기가 덮개를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열기가 외벽의 내측에 형성된 내벽의 이송통로로 유입되어 도가니를 지속적으로 가열하여 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도가니로 내부에서 불완전 연소로 발생되는 그을음 등도 내벽의 이송통로를 유입되면서 완전연소가 가능하도록 한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가니(2)는 원통형으로 축조된 도가니로(1) 내부에 장착되는데, 도가니(2)내부에 융해할 금속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버너(4)의 가열에 의하여 금속을 용융하여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주물을 얻도록 하는 용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도가니는 대략 50%가 흑연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외에 점토와 소량의 내열재로 이루어진 관계로 상당히 취약하기 때문에 취급 및 사용에 주의 해야된다.
상기와 같은 도가니(2)를 가열하는 버너(4)는 고온의 화염이 도가니(2)에 직접 접촉하여 가열하게 되는데, 이때 고온의 불꽃이 도가니(2)를 직접가열하면서 발생하는 열기가 상부로 상승하면서 덮개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열 손실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버너(4)의 화력을 지속적으로 장시간 가열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가니로(1)의 내부에서 불완전연소 현상이 발생하여 종종 그을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가니로(1)는 복수의 내화벽돌을 축조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많은 양의 내화벽돌을 축조시키는 작업인력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도가니로를 외벽과 내벽의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내벽의 내부에 도가니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를 형성하여 외부로 열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도가니를 가열하는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가니를 가열하면서 발생되는 불안전연소로 인한 그을음 등이 내벽의 이동통로로 유입되어 연통을 통해서 유출되는 과정에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벽의 내부에 이동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내화벽돌의 크기를 규격화시키는 동시에 크기를 크게 제작하여 도가니로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쉽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이송통로를 갖는 내화벽돌을 반사로에 적용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화벽돌 내부에 설치된 도가니를 버너로 가열하기 위한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2)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복수의 내화벽돌이 바닥면에 밀착되고, 이 중앙에 수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1)의 저면에 배출구(12)를 갖는 바닥부재(10); 상기 바닥부재(10)의 상부에 내화벽돌(21)이 적층되고, 이 내화벽돌(21) 내측에 도가니로(1) 내부의 열기가 순환되도록 이송통로(22)가 상기 바닥부재(10)의 수용부(21)까지 연결된 내벽(20); 상기 내벽(2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복수의 내화벽돌(31)이 내벽(20)의 높이 보다 높게 적층되고, 내화벽돌(31)의 저면 일측에 상기 바닥부재(10)의 배출구(12)와 연결되도록 연결홈(32)이 형성된 외벽(30); 상기 외벽(30)의 연결홈(32)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부일단 절곡된 연통(40); 및 상기 외벽(3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받침판(50), 상기 받침판(50)의 상부에 설치되고, 받침판(50)의 구멍보다 작은 구멍(52)을 갖는 덮개(5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가니로 3 : 도가니
5 : 버너 10 : 바닥부재
11 : 수용부 12 : 배출구
20 : 내벽 21,31 : 내화벽돌
22 : 이송통로 30 : 외벽
32 : 연결홈 40 : 연통
50 : 받침판 51 : 덮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도가니(2)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바닥부재(10)을 설치하고, 바닥부재(10) 상부에 내벽(20)을 형성하며, 내벽(2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외벽(30)이 형성하되, 상기 내벽(20)의 이동통로(22)를 통해서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벽(30)의 저면에 형성된 연통(40)과, 외벽(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판(50)과 덮개(51)로 크게 구성된다.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가니로(1)는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먼저 받침대(3)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가니(2)를 중심으로 외주연에 복수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바닥부재(10)를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때 바닥부재(10)는 내부에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수용부(11)를 형성하고, 이 수용부(11)의 저면에는 수용부(11)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배출구(12)를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12)는 바닥부재(10)의 일측에 하나만을 형성하여 외부 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12)는 후술할 연통(40)과 연결되어 수용부(11)로 유입되는 열기와 연기 등이 수용부(11)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배출구(12)를 통해서 연통(40)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바닥부재(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 상부에 내화벽돌(21)로 이루어진 내벽(20)을 적층 시키는데, 여기서 내벽(2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이송통로(22)를 형성하여 도가니로(1)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상부로 상승하면서 이송통로 (2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내벽(20)을 적층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먼저 바닥부재(10)와 밀착시키면서 내벽(20)에 형성된 이송통로(22)를 수작업으로 일치시키면서 축조하거나 막대 등을 이용하여 이송통로(22)에 끼워 넣은 다음 내화벽돌(21)을 순차적으로 끼워 넣으면 간편하고 빠르게 내벽(20)을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벽(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내벽(20)의 외주연에 외벽(30)을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벽(20)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하여 열기가 이송통로 (22)쪽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벽(30)은 내화벽돌(31) 또는 단열벽돌을 이용하여 축조가 가능하고, 외벽(30)의 일측에는 연결홈(32)을 형성하여 바닥부재(10)의 배출구(12)와 연결되도록 하여 외부로 열기나 연기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외벽(30)의 일측에는 연통(40)이 설치되는데, 연통은 일단은 외벽(30)의 연결홈(32)과 연결되도록 하고, 이의 타단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부에서 일단을 절곡하여 외부로 열기나 연기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업 공정이 완료되면 외벽(30)의 상부에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진 받침판(50)을 설치하고, 이의 상부에 덮개(51)를 설치 하기 전에 먼저 도가니(2)의 상부에 세라믹울(53)을 덮어 도가니(2)에 가열된 열기가 밖으로 뺘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덮개(51)를 덮고 버너(4)를 설치하면 작업이 완료되는데, 여기서 버너(4)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내벽(20)과 외벽(30)에 삽입구멍(23)(33)을 형성한 다음 버너화구(5)가 삽입하고 기밀이 유지되도록 처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도가니(2)에 금속을 집어넣은 다음 버너(4)를 가열하면 버너화구(5)에서 고온의 불꽃이 도가니(2)를 장시간 가열하여 금속을 용해하면서 고온의 열기가 받침판(50)과 덮개(51)에 의해서 상부로 상승하다가 내벽(20)의 이송통로(22)로 유입되어 내화벽돌(21)의 보온과 단열 그리고 다시 한번 열기를 순환시키기 때문에 도가니로(1) 내부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연료의 소비를 줄이고 생산 및 인건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이송통로(22)로 유입된 열기와 연기는 바닥부재(10)의 수용부(11)로 집결하여 배출구(12)와 연결홈(32)을 따라서 이동하여 연통(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내벽(20)과 외벽(30)으로 이루어지는 도가니로(1)는 그 크기를 크게 제작하여 내벽(20)에 많은 양의 열기와 연기 등이 이송될 수 있도록 복수의 이송통로(22)를 형성하여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특징도 있다.
본 고안의 내화벽돌(21)은 하나 이상의 이송통로(22)를 형성하여 크기를 규격화시키는 동시에 내화벽돌(21)을 반사로에 적용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도 있다.
본 고안은 도가니를 가열할 때 발생되는 열기를 도가니로의 내부에서 순환이 가능하도록 내벽의 내부에 이동통로를 형성하여 도가니를 가열시키는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내벽의 복수의 이송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내화벽돌을 규격화하여 설치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건비와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도가니로와 반사로 등에 이송통로를 갖는 내화벽돌을 적용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내화벽돌 내부에 설치된 도가니를 버너로 가열하기 위한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2)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복수의 내화벽돌이 바닥면에 밀착되고, 이 중앙에 수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1)의 저면에 배출구(12)를 갖는 바닥부재(10);
    상기 바닥부재(10)의 상부에 내화벽돌(21)이 적층되고, 이 내화벽돌(21) 내측에 도가니로(1) 내부의 열기가 순환되도록 이송통로(22)가 상기 바닥부재(10)의 수용부(21)까지 연결 형성된 내벽(20);
    상기 내벽(2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복수의 내화벽돌(31)이 내벽(20)의 높이 보다 높게 적층되고, 내화벽돌(31)의 저면 일측에 상기 바닥부재(10)의 배출구(12)와 연결되도록 연결홈(32)이 형성된 외벽(30);
    상기 외벽(30)의 연결홈(32)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부일단 절곡된 연통(40); 및
    상기 외벽(3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받침판(50), 상기 받침판(5 0)의 상부에 설치되고, 받침판(50)의 구멍보다 작은 구멍(52)을 갖는 덮개(5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벽돌(21)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이송통로(22)를형성하여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
  3. 제 1항에 있어서, 바닥부재와 내부에 이송통로(22)를 갖는 내화벽돌(21)를 반사로에 적용하여 설치한 특징으로 하는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
KR20-2003-0034094U 2003-10-31 2003-10-31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 KR200340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094U KR200340978Y1 (ko) 2003-10-31 2003-10-31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094U KR200340978Y1 (ko) 2003-10-31 2003-10-31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978Y1 true KR200340978Y1 (ko) 2004-02-05

Family

ID=4942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094U KR200340978Y1 (ko) 2003-10-31 2003-10-31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9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4770A (zh) 合金熔化保温的坩埚炉
US4824364A (en) Non-ferrous metal smelting furnace
CN109539785B (zh) 一种侧吹式富氧浸没燃烧熔炼炉
KR200340978Y1 (ko) 비철금속용해용 도가니로
CN108826971A (zh) 新型节能低烧损熔化炉
CN201417083Y (zh) 新型直燃式熔化炉
CN204345635U (zh) 大型熔铝炉对冲式蓄热燃烧系统
CN214426421U (zh) 一种坩埚熔炼炉和压铸机
JPS5938858B2 (ja) 鍛造用加熱炉
KR100446698B1 (ko) 도가니형 전기저항로
CN205874196U (zh) 一种利自然风冷的石英玻璃熔连续气炼熔制炉
CN216898341U (zh) 锌合金熔炼炉
CN2308063Y (zh) 燃油(气)式有色金属熔化保温炉
JPS6144289A (ja) 溶解炉
CN214290805U (zh) 一种钢包盖烘烤装置
CN217465336U (zh) 一种高效安全熔炉
KR100305596B1 (ko) 유리 용해용 전기로
JPH0633948B2 (ja) 軽合金を溶融し、溶融した状態で維持する装置
CN207455899U (zh) 改进的永固紫生产用导热油炉
CN221036743U (zh) 低烧损节能熔铝炉
CN217818113U (zh) 一种氮化硅结合碳化硅用烧结炉
CN201417084Y (zh) 引导式熔化炉
CN215638801U (zh) 一种螺旋式气熔炉
CN211527091U (zh) 一种节能侧吹炉冶炼设备
CN215570740U (zh) 一种蒸汽节能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