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811Y1 - 응원용구 - Google Patents

응원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811Y1
KR200340811Y1 KR20-2003-0035144U KR20030035144U KR200340811Y1 KR 200340811 Y1 KR200340811 Y1 KR 200340811Y1 KR 20030035144 U KR20030035144 U KR 20030035144U KR 200340811 Y1 KR200340811 Y1 KR 200340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andle bar
cheering
handle
freely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균
Original Assignee
신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균 filed Critical 신성균
Priority to KR20-2003-0035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 봉 상부에 회전고리가 있어 깃발이나 리본 및 야광봉이 손잡이 봉으로부터 자유로이 회전되게 하는 응원용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수납공간을 가지며 이 수납공간에 다수로 볼이 채워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 상면에 구비되는 원형고리로 구성된 손잡이 봉과; 상기 원형고리에 분리가 가능하며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고리와; 상기 회전고리에 연결되어 자유로이 회전되는 응원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응원용구{A tool of the cheer}
본 고안은 응원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가지 운동경기에서 응원에 사용되는 응원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원이라함은 운동경기 따위에서 박수, 노래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선수들을 격려하는 일로서 선수들의 사기를 높여주기 위해 여러가지 다양한 응원용구가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응원용구로는 각종 운동경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막대튜브와 깃발이나 리본 및 야광봉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응원용구의 막대튜브는 서로 부딪치여 소리가 나며 깃발이나 리본 및 야광봉은 막대봉에 고정되어 좌, 우로 흔들면서 응원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응원용구의 막대튜브는 한번 사용하고 나면 회수가 어려워 바로 폐기 처리가 됨으로서 자원의 낭비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깃발이나 리본은 막대봉에 고정되어 좌, 우로 흔들 경우 회전이 되질 않아 막대봉에 엉키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손잡이봉 상부에 회전고리가 있어 깃발이나 리본 및 야광봉이 손잡이 봉으로부터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응원용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손잡이 봉 내부에 다수로 볼이 채워져 있어 손잡이 봉을 흔들 경우 볼의 충돌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손잡이 봉 몸체 외면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손잡이 봉을 손으로 잡을 경우 손에 지압이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또 상기 손잡 봉 몸체 외면에 광고면이 있어 사용자에게 광고전달의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응원용구를 나타낸 전체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구의 손잡이 봉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봉의 조립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B선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응원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응원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봉
11 : 몸체
111 : 볼, 112 : 지압돌기
113 : 광고면, 114 : 수나사부
12 : 커버
121 : 암나사부
13 : 원형고리
2 : 회전고리
3 : 응원수단
31 : 깃발, 32 : 리본, 33 : 야광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수납공간을 가지며 이 수납공간에 다수로 볼이 채워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 상면에 구비되는 원형고리로 구성된 손잡이 봉과; 상기 원형고리에 분리가 가능하며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고리와; 상기 회전고리에 연결되어 자유로이 회전되는 응원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응원용구를 나타낸 전체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구의 손잡이 봉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봉의 조립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B선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수납공간을 가지며 이 수납공간에 다수로 볼(111)이 채워지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12)와 상기 커버(12) 상면에 구비는 원형고리(13)로 구성된 손잡이 봉(1)과, 상기 원형고리(13)에 분리가 가능하며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고리(2)와, 상기 회전고리(2)에 연결되어 자유로이 회전되는 깃발(31)이나 리본(32) 및 야광봉(33)등의 응원수단(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12)는 구형의 형상으로 되는게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응원수단(3)이 상기 회전고리(2)에 연결되어 회전될 경우 상기 커버(12)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1) 상부에 수나사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12) 내부에 암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체(11)와 커버(12)가 상호 체결되어 상기 몸체(11) 내부가 밀폐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봉(1)을 좌, 우로 흔들 경우 상기 손잡이 봉(1) 내부에 있는 볼(111)이 상기 몸체(11) 내측벽에 부딪쳐 충돌음이 발생됨으로서 응원에 대한 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 봉(1)의 외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112)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 봉(1)을 손으로 잡을 경우 지압이 됨으로서 손의 혈을 자극하여 몸의 혈액 순환을 도울수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손잡이 봉(1)의 몸체(11) 외면에 광고면(113)이 형성되어 손잡이 봉(1)을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상기 광고면(113)의 광고를 통해 사용자에게 광고전달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상품성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고리(2)는 스프링 형상의 고리로 되어 있어 상기 원형고리(13)로부터 결합과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응원수단(3)이 상기 회전고리(2)을 통해 자유로이 회전됨으로서 응원의 효과을 높일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원수단(3)은 내측 단부 상단에 상기 회전고리(2)에 연결되는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봉(1)으로부터 자유로이 회전되는 깃발(31)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깃발(31) 외측 단부 상단에 구비된 고리를 상기 회전고리(2)의 일단으로 부터 상기 고리를 삽입시켜 상기 회전고리(2)의 타단으로 관통시킴으로서, 상기 깃발(31) 고리가 회전고리(2)에 결합이 되며 반대로 분리가 용이한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응원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로서, 내측 단부에 상기 회전고리(2)에 연결되는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봉(1)으로부터 자유로이 회전되는 리본(32)도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깃발(31) 및 리본(32)을 사용한 뒤에 상기 회전고리(2)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깃발(31) 및 리본(32)을 포개어서 부피를 줄인 다음 상기 손잡이 봉(1) 내부에 넣어 보관된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응원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로서, 상면에 상기 회전고리(2)에 연결되는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봉(1)으로부터자유로이 회전되는 야광봉(33)이 사용된다.
따라서 야간 운동경기에 있어서 응원을 할 경우 상기 야광봉(33)이 빛을 내여 응원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잡이 봉 상부에 회전고리가 있어 깃발이나 리본 및 야광봉이 회전고리에 결합되어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어 각각의 응원수단을 통해 응원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봉 내부에 다수로 볼이 채워져 있어 손잡이 봉을 흔들 경우 볼이 몸체 내측벽에 부딪치게 되어 소리가 나는 효과도 있다.
또 손잡이 봉 몸체 외면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손잡이 봉을 손으로잡을 경우 손에 지압이 됨으로서 손의 혈을 자극하여 몸의 혈액 순환을 돕는 효과도 있다.
또 손잡이 봉 몸체 외면에 광고면이 있어 본 고안을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광고면의 광고를 통해 사용자에게 광고전달의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을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내부에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수납공간을 가지며 이 수납공간에 다수로 볼(111)이 채워지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12)와, 상기 커버(12) 상면에 구비되는 원형고리(13)로 구성된 손잡이 봉(1)과;
    상기 원형고리(13)에 분리가 가능하며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고리(2)와;
    상기 회전고리(2)에 연결되어 자유로이 회전되는 응원수단(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수단(3)은,
    내측 단부 상단에 상기 회전고리(2)에 연결되는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봉(1)으로부터 자유로이 회전되는 깃발(3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수단(3)은,
    내측 단부에 상기 회전고리(2)에 연결되는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봉(1)으로부터 자유로이 회전되는 리본(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수단(3)은,
    상면에 상기 회전고리(2)에 연결되는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봉(1)으로부터 자유로이 회전되는 야광봉(3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봉(1)은,
    상기 몸체(11)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지압돌기(112)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는,
    상기 몸체(11) 외면에 광고면(113)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KR20-2003-0035144U 2003-11-10 2003-11-10 응원용구 KR200340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144U KR200340811Y1 (ko) 2003-11-10 2003-11-10 응원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144U KR200340811Y1 (ko) 2003-11-10 2003-11-10 응원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811Y1 true KR200340811Y1 (ko) 2004-02-05

Family

ID=4942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144U KR200340811Y1 (ko) 2003-11-10 2003-11-10 응원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8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2265B2 (ja) シャボン玉形成玩具
USD556841S1 (en) Plyometric exercise apparatus
US7687700B1 (en) Illuminated drumstick
KR200340811Y1 (ko) 응원용구
JP3097197U (ja) 慣性式回動部を具える健康器
US7390541B2 (en) Rotating inflatable ornament
US7070416B1 (en) Arm positioning training tool
US3015907A (en) Hoop toys
JP3224702U (ja) 応援用具
CN214436419U (zh) 一种特技踏板车
US10709999B1 (en) Magnetic bubble wand
JP2006239360A (ja) 首振り具を備えたマッサージ器
KR20100092232A (ko) 응원용구
CN214158483U (zh) 一种健身扇
CN207314974U (zh) 一种帐篷四耳摇手
KR200216370Y1 (ko) 착탈식 깃대 고정 장치
US5471891A (en) Music box ornament transmission mechanism
CN214854866U (zh) 一种多功能存钱罐
CN2409778Y (zh) 灭蝇器
KR101251945B1 (ko) 보조기구를 결합한 훌라후프 운동기구
CN218420998U (zh) 一种击打发声的玩具机芯
KR200345593Y1 (ko) 구슬을 꿴 훌라후프
JP3097552U (ja) 起き上がり小法師型バイブレーター
KR100437529B1 (ko) 릴타입낚시대구조
KR860002974Y1 (ko) 다람쥐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