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232A - 응원용구 - Google Patents

응원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232A
KR20100092232A KR1020090011515A KR20090011515A KR20100092232A KR 20100092232 A KR20100092232 A KR 20100092232A KR 1020090011515 A KR1020090011515 A KR 1020090011515A KR 20090011515 A KR20090011515 A KR 20090011515A KR 20100092232 A KR20100092232 A KR 20100092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winding
cheering
rolling bel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0211B1 (ko
Inventor
도효림
Original Assignee
도효림
도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효림, 도재혁 filed Critical 도효림
Priority to KR1020090011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2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09F21/026Advertising carried by a person, e.g. carried on the should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8Non-electric sound-amplifying devices, e.g. non-electric mega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3/00Rattles or like noise-producing devices, e.g. door-knock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원용구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면에 인쇄물(10)이 형성된 롤링밸트(100)와; 상기 롤링밸트(100)의 양측이 각각 권취되어 수납되며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출입장공(222,222')이 각각 형성되는 제 1 케이싱(210) 및 제 2 케이싱(210')으로 구성된 응원용구 본체(200)와;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내설되며, 상기 롤링밸트(100)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권취수단(300)과; 상기 제 1케이싱(210) 및 제 2 케이싱(210')의 마주보는 대면에 형성되어 상호충돌에 의해 소리를 발생하는 타격음 발생부(220,220')를 포함하는 응원용구에 관한 것이다.
응원용구, 권취수단, 권취스프링

Description

응원용구{Tool for cheering}
본 발명의 스포츠경기를 관람할 경우 또는 선거, 이벤트, 팬클럽, 단체집회 등 이해관계에 있는 특정한 팀이나 사람을 응원 또는 지지하거나, 홍보 등을 행할 때 사용되는 응원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글자, 이미지 등의 다양한 문양이 인쇄된 롤링밸트가 타격음이 발생되는 응원용구 본체에 내설된 권취수단에 의해 권취되고, 응원용구 본체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좌.우로 반복적으로 이격조정함으로써, 시선을 집중할 수 있는 타격음의 발생과 함께 응원용구 본체 내부에 권취수단에 의해 롤링된 롤링밸트가 외부로 수동적으로 노출되고, 다시 권취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은폐되는 응원용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축구, 야구 등 스포츠의 대중화와 근자의 월드컵개최를 통해 응원용구를 이용한 응원문화가 많은 발전을 하고 있고, 개인간 또는 단체간에 겨루는 스포츠경기시, 다수의 관람객이 스포츠 관람과 함께 관람분위기나 특정개인, 단체의 선수를 독려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관람객들이나 응원단체가 응원을 펼치고 있다.
따라서, 응원은 북, 꽹과리 등의 다양한 타악기 또는 다양한 형태의 막대풍선, 다양한 색상의 풍선 등의 여러 종류의 응원용구를 사용하여 응원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응원용구를 이용한 응원문화는 스포츠 경기에서 다양한 형태의 응원으로 발전하였으며,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계기로 붉은 악마(Red Devil)라는 조직적인 응원단체가 형성되어 더욱더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응원단체의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응원용구는 많은 발전을 못한 것이 사실이며 아직까지도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북, 꽹과리 등의 타악기 또는 쉽게 찾을 수 있는 풍선 등을 막대형태로 개량하여 공기를 주입함과 함께 타격함으로써 주입된 공기의 공명작용에 의한 타격음을 발생토록 하여 응원을 펼치는 응원용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종래의 응원용구의 북이나 꽹과리 등의 타악기 등은 다수의 관람객이 응원을 위해 휴대하기에는 부피가 크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보관이 용이하지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흔히 많이 사용되는 막대풍선이나 일반적인 풍선은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한다. 이때, 특정 단체나 개인을 응원할 경우 단체의 소속감이나 주위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해 막대풍선이나 일반적인 풍선의 표면에 특정 단체의 로고, 슬로건, 구호, 글자, 이미지 등의 다양한 문양을 인쇄하여 특정 단체나 개인의 소속감을 한층 고조시켜 응원하게 된다. 이러한 막대풍선이나 풍선은 이해 관계가 있는 특정단체를 응원 시 색깔이나 인쇄물에 의해 단체를 구분하여 소속감 및 주위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응원을 할 수는 있으나, 한 번 사용하고 나면 대부분이 버려지는 일회성 소모품에 그치고 있어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한 번 사용하여 버려짐으로써 쓰레기의 발생 등의 환경오염의 문제점도 발생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다양한 응원용구는 스포츠 경기뿐만 아니라 각종 선거, 이벤트, 팬클럽, 단체의 집회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선거, 이벤트, 팬클럽, 단체의 집회 등에서의 응원용구의 사용은 단체나 개인의 특정목적을 홍보하거나 광고하기 위해 주위의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종 선거, 이벤트, 팬클럽, 단체의 집회 등에서 앞서 말한 주위 시선집중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응원용구는 단체나 개인의 행사목적을 최대한 알릴 수 있는 수단의 역할만 할 뿐이며, 어떠한 단체, 개인인지를 알리기 위한 홍보 및 광고의 효과를 위해서는 따로 단체, 개인의 광고물을 제작, 유포하여야 함으로써 비용의 지출이 증가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 번 보고는 버리게 되어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응원문화의 활성화와 함께 더욱더 다양한 기능의 복합적인 기능의 응원용구가 요구되고 있다. 덧붙여 말하면 주 위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응원용구로서의 기능과 함께 특정단체, 개인을 알릴 수 있는 홍보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응원용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타격음을 발생할 수 있는 좌.우 대칭형 응원용구 내부에 글자 또는 이미지 등의 다양한 문구가 인쇄된 롤링밸트를 권취수단에 의해 자동 권취되도록 하여 수납되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좌.우 대칭형의 응원용구를 양손에 파지하여 반복적으로 손벽을 치듯이 이격조정하여 타격음을 발생함과 함께 내부에 롤링되어 수납된 인쇄물이 노출, 은폐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응원과 함께 소속된 단체의 홍보기능을 가진 응원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원용구 본체의 상.하로 걸림고리를 형성하여 상측의 걸림고리에 목걸이 밴드 등의 줄이나 끈 등을 걸어 목걸이형, 포켓형 등의 형태로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용가능하고, 하측의 걸림고리에 다양한 문구, 이미지 등을 걸어 더욱더 효과적인 응원 및 홍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응원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원용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면에 인쇄물(10)이 형성된 롤링밸트(100)와; 상기 롤링밸트(100)의 양측이 각각 권취되어 수납되며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출입장 공(222,222')이 각각 형성되는 제 1 케이싱(210) 및 제 2 케이싱(210')으로 구성된 응원용구 본체(200)와;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내설되며, 상기 롤링밸트(100)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권취수단(300)과; 상기 제 1케이싱(210) 및 제 2 케이싱(210')의 마주보는 대면에 형성되어 상호충돌에 의해 소리를 발생하는 타격음 발생부(220,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는 제1케이싱(210)과 제2케이싱(210')이 서로 마주보며 대칭형성되되, 상기 제1,2 케이싱(210,210') 각각의 일측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파지부(212,212')와; 상기 롤링밸트(100)와 권취수단(300)이 내설되고, 상기 파지부(212,212') 내측에 형성되는 수납부(214,214')와; 상기 수납부(214,214')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수단(300)의 상하단이 축선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권취수단 결합부(216,216') 및 축지지리브(218,218')와; 상기 제1,2 케이싱(210,210') 각각의 마주보는 타측으로 서로 근접대응되며 타격 시, 타격음이 발생되는 수직면이 형성된 타격음 발생부(220,220')와; 상기 타격음 발생부(220,220')의 일면에 상기 롤링밸트(10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출입장공(222,222')과; 상기 파지부(212,212')에 연장되어 곡선진 전면으로 상기 제1,2 케이싱(210,210')이 서로 대응되어 맞닿았을 때 하나로 형성되는 인쇄물 부착부(224,22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권취수단(300)은 코일스프링 형상의 권취스프링(310)과; 상기 권취스프링(310)이 삽이되는 스프링삽입구(322)가 중심축을 따라 관통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으로 스프링홀더 삽입홈(324)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회전권취봉(320)과; 상기 회전권취봉(320)의 하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권취스프링(310)을 고정하는 권취스프링고정편(330)과; 상기 회전권취봉(320)의 상측으로 위치하여 회전권취봉(320)이 원활한 회전을 하도록 회전지지돌기(342)를 형성한 회전권취봉 지지편(340)과; 타측 끝단이 상기 권취스프링고정편(330)에 고정되고, 일측 끝단이 상기 회전권치봉(320)에 고정되는 상기 권취스프링(310)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홀더(350)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스프링고정편(330) 및 상기 회전권취봉 지지편(340)은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 수납부(214,214') 상하에 각각 형성된 권취수단 결합부(216,216')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권취봉(320)은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에 형성된 축지지리브(218.218')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권취수단(300)은 상기 제1,2 케이싱(210,210')에 형성된 수납부(214,214')에 권취되는 롤링밸트(100)를 외부로 인출 시, 상기 롤링밸트(100)가 내부로 자동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노브(400)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파지부(212,212') 각각의 상.하측으로 목걸이용 밴드, 줄, 국기, 기타 광고, 홍보물 등을 걸 수 있도록 상.하로 걸림고리(500,600,500',60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파지부(212,212') 각각의 외측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21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212,212') 각각의 외측에 LED 램프(212b)가 형성되거나, 상기 파지부(212,212') 각각의 외측에 슬라이딩 레일(212e)이 마련된 다양한 형상의 케릭터(700)가 탈부착되어 교체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레일홈(212d)이 형성되어 장식성이 우수하도록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의 제1,2케이싱(210,210') 중 어느 하나에 나팔(212c)이 형성되어 주변 이목을 끌수 있도록 하여도 바람직하고,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의 상기 제1,2케이싱(210,210')이 망원경(212f)으로 형성하여 경기관람 등 주변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여도 바람직하ㄷ.
본 발명은 타격음을 발생할 수 있는 응원용구 본체 내부에 글자 또는 이미지 등의 다양한 문구가 인쇄된 인쇄물을 권취수단에 의해 자동 권취하여 수납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사용자가 응원용구 본체를 양손에 파지하여 반복적으로 손벽을 치듯이 이격조정하여 타격음을 발생함과 함께 내부에 롤링되어 수납된 인쇄물이 노출, 은폐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응원과 함께 광고 및 홍보기능을 가진 응원용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응원용구 본체에 상.하로 걸림고리를 형성하여 상측의 걸림고리에 목걸이형 밴드 등의 줄이나 끈 등을 걸어 목걸이형, 포켓형 등의 형태로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용가능하고, 하측의 걸림고리에 다양한 문구, 이미지 등을 걸어 더욱더 효과적인 응원 및 광고, 홍보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응원용구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롤링밸트 전개 전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롤링밸트의 전개 후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롤링밸트의 전개 전 상태의 평면상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롤링밸트의 전개 후 상태의 평면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실시예 1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실시예 2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타 실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응원용구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밸트(100),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으로 구성된 응원용구 본체(200), 권취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롤링밸트(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단체의 로고 또는 이미지, 슬로건 등의 다양한 구호, 문양 등이 인쇄된 인쇄물(10)이 전면부에 형성되어 두루마리와 같이 말릴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응원용구 본체(200)는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케이싱(210,210')의 일측으로 원통형상의 파지부(212,212')가 형성되며, 원통형상의 파지부(212,212')에 연장되어 곡선진 전면으로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이 서로 대응되어 맞닿았을 때 하나로 형성되는 인쇄물 부착부(224,224'))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각각의 타측으로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이 서로 대응되며 타격 시, 타격음이 발생하는 수직면을 형성한 타격음 발생부(220,220')가 각각 형성되며, 타격음 발생부(220,220')의 일측으로 롤링밸트(10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길게 출입장공(222,222')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제 1 케이싱(210)의 파지부(212)측 내측에는 출입장공(222)으로부터 출입하는 롤링밸트(100)가 말려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214)가 형성되고, 제 2 케이싱(210') 내측에도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제 2 케이싱(210')에는 롤링밸트(100)의 타측이 말려 수납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결합된다. 여기서, 제 1 케이싱(210)의 출입장공측 중앙 일측으로 멈춤노브(400)가 끼움결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파지부(212,212')는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원통형상의 응원용구 본체의 일측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단순히 원통형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며 ,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격렬한 응원 등을 할 때 더욱더 견고한 파지를 위한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파지부(212,212')에 손모양의 홈부를(도시없음) 형성 또는 사각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응원용구 본체(200)의 외측에 슬라이딩 레일홈(212d)을 형성하여 각종 단체, 개인 등의 캐릭터, 로고 등을 따로 형성하여 레일결합하는 캐릭터, 로고 교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홍보 및 광고의 효과뿐만 아니라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여 소장가치를 높여줄 수 있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용구 본체(200) 외측에 LED램프를 부착하거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용구 본체(200) 외측 하단부에 나팔이 형성되거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용구 본체(200)에 망원경으로 형성하거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용구 본체(200) 형성시 축광제를 이용하여 야광효과를 가지게 하여도 바람직하다.
한편, 파지부(212,212')의 상.하측으로 걸림고리(500,600,500',600')를 형성한다. 여기서, 파지부(212,212')의 상측 걸림고리(500,500')에는 목걸이용 밴드, 줄, 끈 등을 걸 수 있도록 형성하여 휴대 시 목에 걸어 휴대하거나 보관이 용이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하측의 걸림고리(600,600')에는 국기, 사진, 구호 등의 문구 등을 걸어 응원 및 광고, 홍보의 효과를 배가 시켜주도록 형성한다.
인쇄물 부착부(224,224')는 파지부(212,212')를 따라 연장되게 곡선진 일면을 전면부에 형성하여 각종 홍보물 및 단체나 개인의 로고, 응원단체 등의 구호 등이 인쇄된 인쇄물(10)을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이 서로 대응하여 맞닿아 있도록 형성한다.
타격음 발생부(220,220')는 인쇄물 부착부(224,224')가 형성된 전면부의 타측 끝단 수직면에 형성되고,좌.우 대칭형으로 한 쌍으로 형성된 응원용구 본체(200)의 타측 끝단에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사용자에 의해 응원용구 본체(200)의 타격음 발생부(220,220')의 수직면이 서로 맞닿도록 타격하게되면 타격음이 발생한다.
출입장공(222,222')은 수직면을 가진 타격음 발생부(220,220')의 일측으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출입장공(222,222')은 단체의 슬로건 또는 이미지 등의 다양한 구호, 문양 등이 인쇄된 인쇄물(10)이 전면부에 형성된 롤링밸트(100)가 출입하는 것이다.
수납부(214,214')는 원통형상의 파지부(212,212') 내측에 형성되고, 수납부(214,214') 상.하로 후술되는 권취수단(300)이 고정.회전토록 권취수단 결합부(216,216')와 축지지리브(218,218')가 형성된다.
걸림고리(500,600,500',600')는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파지부(212,212')의 상.하로 형성된다. 걸림고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휴대시 목걸이 밴드 등의 줄, 끈 등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수단(300)은 권취스프링(310), 회전권취봉(320), 권취스프링 고정편(330), 회전권취봉 지지편(340), 스프링 홀더(350), 멈춤노브(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권취스프링(310)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롤링밸트(100)를 자동권취할 수 있는 회전력을 얻을 수 있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다.
회전권취봉(32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축을 따라 관통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스프링 삽입구(322)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후술하는 스프링홀더(350)를 삽입하여 권취스프링(310)을 고정결합하도록 스프링홀더 삽입홈(324)이 형성된다.
권취스프링 고정편(330)은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하측 권취수단 결합부(216,216')에 고정설치되고, 중앙이 관통된 스프링홀더 삽입홈(334)이 형성된다.
회전권취봉 지지편(340)은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상측 권취수단 결합부(216,216')에 고정설치되고, 회전권치봉(320)에 삽입된 스프링홀더(350)에 끼움결합되는 회전지지돌기(342)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권취봉 지지편(340)은 회전권취봉(320)이 권취스프링(310)에 의해 회전시 원활한 회전을 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홀더(350)는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각각의 권취수단 결합부(216,216')에 결합된 권취스프링 고정편(330)의 스프링홀더 삽입홈(334)과 회전권치봉(320)의 스프링홀더 삽입홈(324)에 삽입되어 권취스프링(310)을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멈춤노브(400)은 제 1 케이싱(210)의 출입장공측 중앙 일측으로 형성된 멈춤노브홀에 끼움결합하여 출입장공(222)을 통해 인출된 롤링밸트(100)가 자동권취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고기능을 구비한 응원용구의 작용은 아래의 설명과 같으며, 사용상태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각각의 수납부(214,214')에 권취수단(300)이 내설된다. 수납부(214,214')에 내설된 권취수단(300)에 단체의 슬로건 또는 이미지 등의 다양한 구호, 문양 등이 인쇄된 인쇄물(10)이 전면부에 형성된 롤링밸트(100)가 권취되어 수납되되, 일측이 제 1 케이싱(210)의 수납부(214)의 권취수단(300)에는 롤링밸트(100)가 말려 수납되고, 제 2 케이싱(210')의 수납부(214')에는 롤링밸트(100)의 타측의 단부가 고정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파지부(212,212')측 상.하로 걸림고리(500,600,500',60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걸림고리(500,600,500',600')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 밴드 등의 줄이나 끈을 제 1 케이싱(210)의 파지부(212) 상측의 걸림고리(500)와 제 2 케이싱(210') 파지부(212') 상측 걸림고리(500')에 걸쳐 결합하여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응원용구 본체(200)의 수납부(214,214')에 내설되는 권취수단(300)은 먼저 권취스프링(310)을 회전권취봉(320)의 스프링 삽입구(322)에 삽입관통하여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된 권취스프링(310)의 일측 끝단을 스프링홀더(350)에 고정하여 회전권취봉(320)의 일측 스프링홀더 삽입홈(324)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권취스프링(310)의 타측 끝단은 스프링 홀더(350)에 고정하여 스프링홀더 삽입홈(334)을 형성한 권취스프링 고정편(330)에 결합한다. 권취스프링(310)이 스프링 홀더(350)에 의해 회전권취봉(320)과 권취스프링 고정편(330)에 결합한 후, 회전권취봉(320)의 상측으로 회전권취봉 지지편(340)의 회전지지돌기(342)를 끼움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된 권취수단(300)은 응원용구 본체(200)의 상.하측에 형성된 권취수단 결합부(216,216')와 축지지리브(218,218')에 결합한다.
즉, 권취스프링 고정편(330)은 하측의 권취수단 결합부(216,216')에 결합되고, 회전권취봉 지지편(340)은 상측의 권취수단 결합부(216,216')에 결합되며, 권취스프링(310)은 상.하 축지지리브(218,218')에 안치되어 결합됨으로써, 권취수단(300)의 권취스프링(310)에 의한 회전시 안정적으로 회전토록 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권취수단(300)이 설치된 응원용구 본체(200)를 단체 및 개인의 응원이나 홍보 등에 사용시 사용자가 응원용구 본체(200)의 각각의 파지부(212,212')를 파지하여 좌.우로 반복적으로 이격하면 응원용구 본체(200)에 설치된 권취수단(300)에 의해 자동 권취되는 롤링밸트(100)를 외부로 노출, 은폐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롤링밸트(100)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개됨과 함께 권취수단(300)이 회전하게 된다. 즉, 회전과 함께 회전권 취봉(310) 내부에 삽입고정되어 있는 권취스프링(310)이 뒤틀리게 되고, 뒤틀림 현상에 의해 다시 원상복귀하려는 권취스프링(310)의 복원력에 의해 권취스프링(310)이 회전하여 롤링밸트(100)를 자동으로 권취하게 된다.
덧붙여 말하면, 사용자에 의해 일정간격 롤링밸트(100)가 외부로 노출 전개된 후, 권취수단(300)의 권취스프링(310)에 의해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줄 자의 자동권취와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권취스프링(310)에 의해 자동으로 권취되려는 힘은 권취스프링(310)의 권선의 감김수에 따라 뒤틀림현상이 회전력의 크기가 결정된다.
[실시예 1]
이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응원용구는 스포츠 경기, 선거, 이벤트, 펜클럽, 단체집회 등의 특성에 맞추어 단체의 로고 또는 이미지, 슬로건 등의 다양한 구호, 모양 등을 인쇄한 인쇄물(10)을 롤링밸트(100) 전면부에 부착한다. 여기서, 스포츠 경기, 선거, 이벤트, 펜클럽, 단체집회 등의 단체 또는 개인의 특성에 맞추어 인쇄한 인쇄물(10)을 부착한 응원용구를 응원용구본체(200)의 파지부(212,212')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고리(500,500')에 목걸이용 밴드 등의 끈이나 줄을 걸어 항상 휴대하여 소지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응원용구를 소지한 사용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 또는 단체, 개인의 목적에 맞도록 주위 시선의 집중과 소속감을 고조시키기 위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응원용구는 사용자가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고리(500,500')에 목걸이용 밴드 등의 끈이나 줄을 부착하여 항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시에는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파지부(212,212')를 손으로 쥐어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을 반복적으로 좌.우로 잡아당겨 이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에 의해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이 좌. 우로 잡아당겨져 이격됨은 제 2 케이싱(210')의 수납부(214')에 내설된 권취수단(300)에 롤링밸트(100)의 타측 끝단부가 고정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 1 케이싱(210)에 롤링되어 수납된 롤링밸트(100)가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롤링밸트(100)의 타측 끝단이 당겨짐과 함께 제 1 케이싱(210)의 수납부(214)에 내설된 권취수단(300)에 의해 말려 권취되어있는 단체의 로고 또는 이미지, 슬로건 등의 다양한 구호, 모양 등을 인쇄한 인쇄물(10)이 부착된 롤링밸트(100)가 외부로 전개되어 특정 팀, 개인, 구호 등을 외부로 노출하여 주위 시선을 집중할 수 있으며, 소속감 등을 고조시킬수 있는 것이다.
즉, 제 1 케이싱(210)에 롤링밸트(100)가 권취되어 있고, 제 2 케이싱(210')에 롤링밸트(100) 타측 끝단부가 고정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각각의 파지부(212,212')를 손으로 쥐고 외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사용자의 팔이 넓게 펼쳐짐과 함께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 사이에 연결된 롤링밸트(100)가 펼쳐지면서 전개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줄자와 같이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권취된 줄자를 잡아당기면 내부의 줄자가 인출되면서 줄자의 길이 눈금이 나타나는 것과 같은 것이다.
한편, 이렇게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 사이에 인쇄물이 부착된 롤링밸트(100)가 전개된 후, 사용자가 제 2 케이싱(210')에 가해진 힘을 줄이게 되면 제 1 케이싱(210)의 권취수단(300)의 권취스프링(310)의 뒤틀림으로 인한 권취스프링(310)의 복원력에 의해 권취스프링(310)이 회전하게 되고, 롤링밸트(100)는 제 1 케이싱(210)의 내측 수납부(214)에 내설된 권취스프링(310)에 롤링되어 수납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됨으로써, 응원이나 단체, 개인의 특정목적을 부각시켜 시선을 집중시키거나 응원 등을 행함으로써 소속감 등을 고조시킬 수 있는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술한 작용과 동시에 사용자가 제 1 케이싱(210)의 타격음 발생부(220,220')와 제 2 케이싱(210')의 타격음 발생부(220,220')를 반복적으로 서로 타격한다. 이렇게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타격음 발생부(220,220')에 의해 타격음을 발생시켜 응원 및 주위 시선을 더욱 더 집중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응원용구 본체(200)의 파지부(212,212')를 사용자가 파지한다. 사용자는 양손에 파지된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을 좌.우로 넓게 펼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인해 권취수단(300)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롤링밸트(100)가 외부로 전개되고, 롤링밸트(100)에 부착된 인쇄물(10)이 외부로 나타나게 된다. 다시 사용자가 양손을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타격음 발생부(220,220')가 서로 대응되어 맞닿도록 하여 타격음이 발생되도록 위치하게 되면 권취수단(300)에 의해 롤링밸트(100)가 수납부(214,214')로 롤링되어 자동 권취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롤링밸트(100)의 인쇄물과 타격음 발생부(220,220')에 의한 타격음에 의해 주위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앞서 말한 실시예 1에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동작과 함께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고리(600,600')에 국기, 이미지, 단체의 케릭터, 다양한 구호, 문양 등이 인쇄된 인쇄물을 걸림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 하측에 형성된 걸림고리 에 결합된 국기, 이미지, 단체의 케릭터, 다양한 구호, 문양 등이 인쇄된 인쇄물은 사용자가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파지부(212,212')를 손으로 파지하여 양손을 펼치게 되면 롤링밸트(100)의 전면부에 형성된 인쇄물(10)이 표시됨과 함께 하측 걸림고리에 걸림결합된 국기, 이미지, 단체의 케릭터, 다양한 구호, 문양 등이 인쇄된 인쇄물(10)도 동시에 전개된다.
다시 사용자가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의 타격음 발생부(220,220')가 서로 대응되어 맞닿도록 하여 타격음이 발생되도록 위치하게 되면 권취수단(300)에 의해 롤링밸트(100)가 수납부(214,214')로 롤링되어 자동 권취됨과 함께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 하측에 형성된 걸림고리(600,600')에 결합된 국기, 이미지, 단체의 케릭터, 다양한 구호, 문양 등이 인쇄된 인쇄물(10)이 접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실시예 1에 나타난 롤링밸트(100)의 전면부에 인쇄물(10)과 함께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210') 하측의 걸림고리(600,600')에 형성된 인쇄물(10)도 함게 전개되고, 접힘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더욱더 효과적인 응원 및 홍보 등의 효과뿐만 아니라 단체 및 개인을 알리고 소속감을 고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1 과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원용구 는 응원 및 홍보 등의 효과가 탁월한 것이며,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한 것이며,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롤링밸트 전개 전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롤링밸트의 전개후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롤링밸트의 전개 전 상태의 평면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롤링밸트의 전개 후 상태의 평면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실시예 1의 사용상태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실시예 2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응원용구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타 실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롤링밸트 200 : 응원용구 본체
210 : 제 1 케이싱 210' : 제 2 케이싱
212, 212' : 파지부 214, 214' : 수납부
216, 216' : 권취수단 결합부 218, 218' : 축지지리브
220, 220' : 타격음 발생부 222, 222' : 출입장공
224,224' : 인쇄물 부착부
300 : 권취수단 310 : 권취스프링
320 : 회전권취봉 322 : 스프링 삽입구
324 : 스프링홀더 삽입홈 330 : 권취스프링 고정편
334 : 스프링홀더 삽입홈 340 : 회전권취봉 지지편
342 : 회전지지돌기 350 : 스프링 홀더
400 : 멈춤노브 500,500' : 상측 걸림고리
600, 600' : 하측 걸림고리 10 : 인쇄물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면에 인쇄물(10)이 형성된 롤링밸트(100)와;
    상기 롤링밸트(100)의 양측이 각각 권취되어 수납되며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출입장공(222,222')이 각각 형성되는 제 1 케이싱(210) 및 제 2 케이싱(210')으로 구성된 응원용구 본체(200)와;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내설되며, 상기 롤링밸트(100)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권취수단(300)과;
    상기 제 1케이싱(210) 및 제 2 케이싱(210')의 마주보는 대면에 형성되어 상호충돌에 의해 소리를 발생하는 타격음 발생부(220,220')를 포함하는 응원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는 제1케이싱(210)과 제2케이싱(210')이 서로 마주보며 대칭형성되되,
    상기 제1,2 케이싱(210,210') 각각의 일측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파지부(212,212')와;
    상기 롤링밸트(100)와 권취수단(300)이 내설되고, 상기 파지부(212,212') 내측에 형성되는 수납부(214,214')와;
    상기 수납부(214,214')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수단(300)의 상하단이 축선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권취수단 결합부(216,216') 및 축지지리브(218,218')와;
    상기 제1,2 케이싱(210,210') 각각의 마주보는 타측으로 서로 근접대응되며 타격 시, 타격음이 발생되는 수직면이 형성된 타격음 발생부(220,220')와;
    상기 타격음 발생부(220,220')의 일면에 상기 롤링밸트(10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출입장공(222,222')과;
    상기 파지부(212,212')에 연장되어 곡선진 전면으로 상기 제1,2 케이싱(210,210')이 서로 대응되어 맞닿았을 때 하나로 형성되는 인쇄물 부착부(224,22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300)은 코일스프링 형상의 권취스프링(310)과;
    상기 권취스프링(310)이 삽이되는 스프링삽입구(322)가 중심축을 따라 관통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으로 스프링홀더 삽입홈(324)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회전권취봉(320)과;
    상기 회전권취봉(320)의 하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권취스프링(310)을 고정하는 권취스프링고정편(330)과;
    상기 회전권취봉(320)의 상측으로 위치하여 회전권취봉(320)이 원활한 회전을 하도록 회전지지돌기(342)를 형성한 회전권취봉 지지편(340)과;
    타측 끝단이 상기 권취스프링고정편(330)에 고정되고, 일측 끝단이 상기 회전권치봉(320)에 고정되는 상기 권취스프링(310)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홀더(350)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스프링고정편(330) 및 상기 회전권취봉 지지편(340)은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 수납부(214,214') 상하에 각각 형성된 권취수단 결합부(216,216')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권취봉(320)은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에 형성된 축지지리브(218.218')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300)은 상기 제1,2 케이싱(210,210')에 형성된 수납부(214,214')에 권취되는 롤링밸트(100)를 외부로 인출 시, 상기 롤링밸트(100)가 내부로 자동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노브(40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12,212') 각각의 상.하측으로 목걸이용 밴드, 줄, 국기, 기타 광고, 홍보물 등을 걸 수 있도록 상.하로 걸림고리(500,600,500',6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12,212') 각각의 외측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2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12,212') 각각의 외측에 LED 램프(21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12,212') 각각의 외측에 슬라이딩 레일(212e)이 마련된 다양한 형상의 케릭터(700)가 탈부착되어 교체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레일홈(212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의 제1,2케이싱(210,210') 중 어느 하나에 나 팔(21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용구 본체(200)의 상기 제1,2케이싱(210,210')이 망원경(212f)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구.
KR1020090011515A 2009-02-12 2009-02-12 응원용구 KR10106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15A KR101060211B1 (ko) 2009-02-12 2009-02-12 응원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15A KR101060211B1 (ko) 2009-02-12 2009-02-12 응원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32A true KR20100092232A (ko) 2010-08-20
KR101060211B1 KR101060211B1 (ko) 2011-09-01

Family

ID=4275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515A KR101060211B1 (ko) 2009-02-12 2009-02-12 응원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2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092U (ko) *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리프스토아 다용도 응원도구
CN109667975A (zh) * 2018-12-05 2019-04-23 三峡大学 流水式广告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932B1 (ko) 2020-04-06 2021-10-27 갓웍스미래 주식회사 응원 용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330Y1 (ko) 2004-05-19 2004-08-16 윤이오 조립식 저금통 세트
KR100714080B1 (ko) 2005-12-20 2007-05-02 진광복 기(旗) 게양장치
JP2008264475A (ja) 2007-04-24 2008-11-06 Sankyo Riken Kk 応援用のフラッグメガホ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092U (ko) *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리프스토아 다용도 응원도구
CN109667975A (zh) * 2018-12-05 2019-04-23 三峡大学 流水式广告装置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0211B1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39242A1 (en) Multi-purpose scarf
KR101060211B1 (ko) 응원용구
US20080141438A1 (en) Decorative face mask for use at sporting events
US8141281B2 (en) Display apparatuses
US10638805B2 (en) Unitary drawstring accessory
US7367148B2 (en) Novelty baton for spectators
US8291852B1 (en) Device for deploying and storing a flag
WO2016149067A1 (en) Multipurpose fabric memento
CN207268923U (zh) 一种伸缩宣传横幅
KR20060117127A (ko) 두루마리 장치
KR100422339B1 (ko) 가면이 내재된 모자
US6840414B2 (en) Golf scoring aids
US6599205B1 (en) Combination ball marker and turf repair golf tool promotional device
KR200310404Y1 (ko) 호신용 목걸이
US20080168690A1 (en) Foldingly compactable V-shaped public event hand held sign display
US20090114474A1 (en) Megaphone sign for use at events
KR101164929B1 (ko) 막대풍선
KR20110087687A (ko) 안에 가면에 있는 모자
US20080276514A1 (en) Souvenir badge
KR101333231B1 (ko) 상표의 교환용이와 다기능이 가능한 의류용 메달텍
KR200358677Y1 (ko) 응원용 장갑
KR200288229Y1 (ko) 응원기구
KR200282300Y1 (ko) 다기능 부채
KR20060117126A (ko) 두루마리 장치
KR200422259Y1 (ko) 응원용 피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