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432Y1 - 벌통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벌통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432Y1
KR200340432Y1 KR20-2003-0034246U KR20030034246U KR200340432Y1 KR 200340432 Y1 KR200340432 Y1 KR 200340432Y1 KR 20030034246 U KR20030034246 U KR 20030034246U KR 200340432 Y1 KR200340432 Y1 KR 200340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pedestal
wire
lift
gui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인
Original Assignee
박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인 filed Critical 박중인
Priority to KR20-2003-0034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벌통용 리프트는 벌통을 들어올려서 평면 방향으로 회전하는 벌통용 리프트에 있어서, 다수의 바퀴(11a)를 구비하여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골체(11)의 상부 일측에 받침대(12)가 설치되고,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체(13)가 상기 받침대(12)의 중앙부에 연직하게 설치되고, 벌통(1)의 아래쪽에 삽입되는 두 개의 지게(15)를 구비한 이동체(14)가 상기 가이드체(13)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12)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웜(16)이 웜기어(17)와 치합되고, 상기 웜기어(17)가 상기 받침대(12)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18) 상에 설치됨과 더불어 권취드럼(19)이 상기 축(18)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와이어(20)의 한쪽 단부가 상기 권취드럼(19)의 둘레면에 연결됨과 더불어 다른쪽 단부가 상기 이동체(14)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체(13)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21)에 의해 상기 와이어(20)의 중앙부가 지지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웜, 웜기어 및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체, 이동체 및 와이어 등으로 형성되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며, 가이드체가 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와이어에 의해 이동체가 연결되기 때문에 이동체가 상하로 이동함과 더불어 간편하게 회전할 수 있어 벌통을 들어올려서 간편하게 옆으로 이동할 수 있고 벌통의 내부를 간편하게 관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벌통용 리프트{LIFT OF A WOODEN BEEHIVE}
본 고안은 양봉을 위한 벌통을 승강하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적층된 벌통을 적층된 상태에서 들어올려서 평면 방향으로 용이하게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벌통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양봉은 벌꿀과 밀랍을 생산하기 위하여 꿀벌을 사육하는 것이며, 벌통을 이용하여 꿀벌을 사육하게 된다.
상기 벌통은 소문을 구비한 본체의 하부에 받침판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덮개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벌통을 상하로 적층하게 된다.
그리고 벌통 내에서 죽은 벌이나 벌집을 분리하기 위해서, 적층된 벌통을 들어올려서 벌통의 내부를 관찰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인력으로 상부에 있는 벌통을 하나씩 들어내고 선택된 벌통의 본체를 받침판으로부터 분리하여 벌통의 내부를 관찰하게 되나, 인력으로 벌통을 이동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적층된 벌통을 적층된 상태에서 들어올려서 평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는 벌통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벌통을 들어올려서 평면 방향으로 회전하는 벌통용 리프트에 있어서, 다수의 바퀴를 구비하여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골체의 상부 일측에 받침대가 설치되고,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체가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에 연직하게 설치되고, 벌통의 아래쪽에 삽입되는 두 개의 지게를 구비한 이동체가 상기 가이드체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웜이 웜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웜기어가 상기 받침대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 상에 설치됨과 더불어 권취드럼이 상기 축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와이어의 한쪽 단부가 상기 권취드럼의 둘레면에 연결됨과 더불어 다른쪽 단부가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중앙부가 지지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벌통용 리프트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벌통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벌통용 리프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벌통용 리프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벌통 11 : 골체
11a : 바퀴 12 : 받침대
13 : 가이드체 14 : 이동체
15 : 지게 16 : 웜
17 : 웜기어 18 : 축
19 : 권취드럼 20 : 와이어
21 : 지지롤러 22 : 가이드바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벌통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리프트는 다수개로 적층된 벌통(1) 중에 선택된 벌통(1)의 내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적층된 상태의 일부를 들어올려서 평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은 벌통(1) 쪽으로 리프트를 쉽게 이동하기 위하여,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골체(11)에 다수의 바퀴(11a)를 설치하게 되고, 상기 골체(11)의 상부 일측에는 받침대(12)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12)의 중앙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체(13)가 연직하게 세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체(13) 상에는 이동체(14)가 상하로 이동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체(14)에는 벌통(1)의 아래쪽에 삽입되어 이를 지지하는 두 개의 지게(15)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12)의 뒤쪽에는 웜(16)이 핸들(16a)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웜(16)은 웜기어(17)와 치합되는 바, 상기 웜기어(17)가 상기 받침대(12)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18) 상에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축(18)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드럼(19)이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드럼(19)의 둘레면에는 와이어(20)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20)의 다른쪽 단부에는 상기 이동체(14)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체(13)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21)가 상기 와이어(20)의 중앙부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웜(16)과 웜기어(17)의 위치를 받침대(12)의 상부면에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16a)에 의해 웜(16)이 직접 회전하는 구조이나, 기어열 또는 체인 등을 핸들(16a)과 웜(16) 사이에 설치하여 핸들(16a)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골체(11)의 후단부 또는 받침대(12) 상에 리프트 전체를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체(13)의 둘레면과 이동체(14)의 내부면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이동체(14)가 원활하게 회전되거나 상하로 이동하게 함은 자명하다.
한편 도 2와 같이 권취드럼(19)에 감기는 부분의 상기 와이어(20)가 외부에 방치되면 작업자가 불편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20)를 감출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체(13)가 중공 형상의 원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롤러(21)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어(20)의 한쪽 단부가 상기 가이드체(13)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권취드럼(19)에 연결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지게(15)가 사각형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설치부(15a)의 앞쪽 면에 일체로 돌출되는 벌통삽입부(15b)가 벌통의 하부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사각 단면을 구비한 다수의 가이드바(22)가 상기 이동체(14)에 일체로 돌출 고정되고, 상기 지게(15)의 설치부(15a)가 다수의 가이드바(22)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볼트(23)에 의해 상기 지게(15)의 설치부(15a)와 상기 가이드바(22)가 고정되는 구조이다.
그러면 상기 지게(15)가 상기 가이드바(22) 상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두 개의 지게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벌통(1)에 쉽게 맞출 수 있으며, 벌통(1)에 맞추어서 지게(15)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 뒤에는 볼트(23)를 이용하여 지게(15)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벌통용 리프트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본 고안의 리프트를 밀어서 다수의 벌통(1)으로 이동한 뒤, 내부를 관찰하고자 하는 벌통(1)을 선택하고, 선택된 벌통(1)의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소문이나 삽입구멍에 지게(15)의 벌통삽입부(15b)를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16a)을 회전하게 되면 웜(16)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웜(16)과 치합된 웜기어(17)가 회전함과 더불어 축(18)과 권취드럼(19)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권취드럼(19)이 회전함에 따라 권취드럼(19)의 둘레면에 와이어(20)가 감기게 되고, 와이어(20)가 권취되면서 이동체(14)가 상승하게 되어 지게(15)와 벌통(1)이 상승하게 된다.
선택된 벌통(1)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 즉 하나의 벌통(1)의 높이보다 조금 높은 높이로 벌통(1)을 상승한 뒤, 지게(15)를 잡고 평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체(13)가 원기둥 형상이므로 간편하게 벌통(1), 지게(15), 이동체(14)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렇게 벌통(1)을 옆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선택된 벌통(1)의 내부를 관찰하여 벌집을 꺼내거나 죽은 꿀벌을 분리할 수 있으며, 벌통(1) 내부의 관찰이 끝나면 상술한 역순으로 지게(15)로 올린 벌통(1)을 제자리로 리턴하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벌통용 리프트는 간단한 구조로서 벌통을 들어올려서 평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벌통의 내부를 쉽게 관찰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벌통용 리프트는 웜, 웜기어 및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체, 이동체 및 와이어 등으로 형성되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며, 가이드체가 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와이어에 의해 이동체가 연결되기 때문에 이동체가 상하로 이동함과 더불어 간편하게 회전할 수 있어 벌통을 들어올려서간편하게 옆으로 이동할 수 있고 벌통의 내부를 간편하게 관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벌통을 들어올려서 평면 방향으로 회전하는 벌통용 리프트에 있어서,
    다수의 바퀴(11a)를 구비하여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골체(11)의 상부 일측에 받침대(12)가 설치되고,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체(13)가 상기 받침대(12)의 중앙부에 연직하게 설치되고,
    벌통(1)의 아래쪽에 삽입되는 두 개의 지게(15)를 구비한 이동체(14)가 상기 가이드체(13)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12)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웜(16)이 웜기어(17)와 치합되고,
    상기 웜기어(17)가 상기 받침대(12)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18) 상에 설치됨과 더불어 권취드럼(19)이 상기 축(18)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와이어(20)의 한쪽 단부가 상기 권취드럼(19)의 둘레면에 연결됨과 더불어 다른쪽 단부가 상기 이동체(14)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체(13)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21)에 의해 상기 와이어(20)의 중앙부가 지지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벌통용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13)가 중공 형상의 원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롤러(21)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어(13)의 한쪽 단부가 상기 가이드체(13)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권취드럼(1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용 리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4)에 구비된 지게(15)는 사각형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설치부(15a)의 앞쪽 면에 일체로 돌출되는 벌통삽입부(15b)가 벌통(1)의 하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사각 단면을 구비한 다수의 가이드바(22)가 상기 이동체(14)에 일체로 돌출 고정되고, 상기 지게(15)의 설치부(15a)가 다수의 가이드바(22)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볼트(23)에 의해 상기 지게(15)의 설치부(15a)와 상기 가이드바(22)가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벌통용 리프트.
KR20-2003-0034246U 2003-11-01 2003-11-01 벌통용 리프트 KR200340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246U KR200340432Y1 (ko) 2003-11-01 2003-11-01 벌통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246U KR200340432Y1 (ko) 2003-11-01 2003-11-01 벌통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432Y1 true KR200340432Y1 (ko) 2004-02-05

Family

ID=4934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246U KR200340432Y1 (ko) 2003-11-01 2003-11-01 벌통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43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900B1 (ko) 2004-11-17 2006-08-28 정영옥 벌통 리프트 장치
KR101353654B1 (ko) 2012-11-23 2014-01-20 상주시 벌통 내검기
KR20180060649A (ko) 2016-11-29 2018-06-07 박순재 벌통 받침용 구조물
CN109077025A (zh) * 2017-06-13 2018-12-25 师宗起点胡蜂养殖有限公司 一种智能胡蜂养殖装置
KR20240000824A (ko) 2022-06-24 2024-01-03 이청우 다양한 방위를 갖는 벌통 받침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900B1 (ko) 2004-11-17 2006-08-28 정영옥 벌통 리프트 장치
KR101353654B1 (ko) 2012-11-23 2014-01-20 상주시 벌통 내검기
KR20180060649A (ko) 2016-11-29 2018-06-07 박순재 벌통 받침용 구조물
KR101947241B1 (ko) * 2016-11-29 2019-02-12 박순재 벌통 받침용 구조물
CN109077025A (zh) * 2017-06-13 2018-12-25 师宗起点胡蜂养殖有限公司 一种智能胡蜂养殖装置
CN109077025B (zh) * 2017-06-13 2021-11-26 师宗起点胡蜂养殖有限公司 一种智能胡蜂养殖装置
KR20240000824A (ko) 2022-06-24 2024-01-03 이청우 다양한 방위를 갖는 벌통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5606B1 (en) Bird feeding assembly
KR200340432Y1 (ko) 벌통용 리프트
CN110642196B (zh) 一种工业机器人快速检修维护装置
KR101405496B1 (ko) 무대용 리프트
JP2008056459A (ja) 昇降台装置
CN105073549A (zh) 轮胎保持装置
CN210610755U (zh) 蚕床高度可调的桑蚕养殖系统
CA2281260A1 (en) Inground lift
CN210236393U (zh) 一种便于调节角度的吸盘结构
KR101947241B1 (ko) 벌통 받침용 구조물
CN214629096U (zh) 一种鸡场养殖用可调节料槽
JP2979481B1 (ja) 昇降台
KR100724732B1 (ko) 지주용 강관의 음각무늬 성형장치
KR200459629Y1 (ko) 수산물용 로프 인양장치
CN215380661U (zh) 一种给建筑封闭区域内的动物进行投食的装置
CN220536630U (zh) 一种配电机柜自动搬运装置
CN214728997U (zh) 一种养蜂箱的搬运设备
KR200310797Y1 (ko) 어망 인양기
CN216164433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养蜂用智能蜂箱
CN110447570B (zh) 一种养蜂装置
CN211257976U (zh) 一种转盘式立体车库
CN219584219U (zh) 一种花盆搬运装置
CN217429030U (zh) 一种控制蚕箔位置的装置
CN218289619U (zh) 一种笼盒垫料添加系统
CN218789416U (zh) 一种室内园林栽培温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