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649A - 벌통 받침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벌통 받침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649A
KR20180060649A KR1020160160382A KR20160160382A KR20180060649A KR 20180060649 A KR20180060649 A KR 20180060649A KR 1020160160382 A KR1020160160382 A KR 1020160160382A KR 20160160382 A KR20160160382 A KR 20160160382A KR 20180060649 A KR20180060649 A KR 20180060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support frame
support
lever
beeh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241B1 (ko
Inventor
박순재
서정국
Original Assignee
박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재 filed Critical 박순재
Priority to KR102016016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2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벌통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벌통을 거치하는 받침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틀의 하단에 벌통을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하는 복수의 기둥이 돌출된 본체부; 상기 받침틀의 상단에 벌통과 맞물려 정 위치에 고정하는 받침대가 장착되고,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받침틀의 높이와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다리가 체결된 지지부; 및 상기 받침틀의 일측에 벌통을 승·하강 회전시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태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벌통을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거치시켜 각종 유해곤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물론,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거치된 벌통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하거나 관리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벌통 받침용 구조물{Structure of prop for beehive}
본 발명은 벌통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시켜 토양에 서식하는 유해곤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적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저렴하면서도 설치가 간편한 것은 물론, 다단으로 적층된 벌통을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개선한 벌통 받침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 양봉이란 사람에게 유익한 식품인 벌꿀을 양산하는 산업으로써 벌꿀은 꿀벌들이 꽃의 꿀을 채집하여 벌집에 저장한 후 꿀벌의 몸 안에 있는 전화효소의 작용으로 자당이 과당과 포도당으로 변하여 숙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양봉은 꿀벌의 습성을 최대한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꿀벌의 서식지인 벌통을 제공하며, 소비에 저장되는 꿀을 채밀기를 사용하여 채취하게 된다. 벌통은 주로 송판이나 나왕판을 이용하여 직사각형의 나무상자를 만들고, 그 안에 벌집이 형성되는 소비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벌들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벌통은 지면에 설치하게 되면, 토양에 서식하는 유해곤충이 내부로 침입하여 전반적인 채집을 방해한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벌통을 이격시키는 받침대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여기서 벌통은 소비의 설치 양에 따라 폭 방향의 길이가 각기 다를 뿐만 아니라 벌통의 높이 또한 각기 다르게 제작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1561호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벌통지지 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벌통"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벌통의 규격에 따라 길이 가변부재 및 높이 가변부재를 교체, 조립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벌통지지 장치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의 벌통을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벌통이 하나 있는 것을 단상이라고 하고 두 개를 겹쳐서 만드는 것을 계상이라고 하며, 벌통의 밑판은 벌통의 원 몸체 보다 3 내지 5cm 정도 앞으로 나오게 하여 벌들이 드나드는 작은 출입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벌통 가운데 근래에는 더욱 많은 양의 꿀을 채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후자의 계상벌통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계상벌통 내 산란상태의 확인이나 여왕봉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벌통 내부를 확인하는 내검(內檢)작업을 실시할 경우, 중량이 상당한 상부벌통을 반복적으로 들어 올려야만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모되는 인력의 낭비가 상당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5900호 "벌통 리프트 장치"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0432호 "벌통용 리프트"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모터나 드럼의 힘으로 벌통을 들어 올려줌으로서 전반적인 공수를 절감할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비교적 중량이 크고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을 위해 벌통의 위치까지 이동하기가 불편할뿐더러 단순히 벌통을 들어 올리는 작동에 그침에 따라 벌통의 내부를 점검하는데 필요한 작업공간이 적어 작업성의 저하와 위험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1561호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벌통지지 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벌통"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5900호 "벌통 리프트 장치"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0432호 "벌통용 리프트"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벌통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시켜 토양에 서식하는 유해곤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벌통을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하거나 관리할 수 기능을 하나로 융합시킨 벌통 받침용 구조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벌통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벌통을 거치하는 받침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틀의 하단에 벌통을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하는 복수의 기둥이 돌출된 본체부; 상기 받침틀의 상단에 벌통과 맞물려 정 위치에 고정하는 받침대가 장착되고,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받침틀의 높이와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다리가 체결된 지지부; 및 상기 받침틀의 일측에 벌통을 승·하강 회전시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태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받침틀은 벌통을 거치하는 받침구역과, 벌통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장착을 유도하는 확장구역을 가지는 너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기둥은 상단에 받침틀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일측선상과 타측선상이 서로 상이한 길이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스태커는 받침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에 길이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유동대와, 상기 유동대 상에 벌통의 측면으로 진입되어 승·하강에 따라 선택적으로 거치하는 포크와, 상기 유동대 상에 승강대와 연동하여 승하강력을 부여하는 조작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작유닛은 지지대 상에 힌지를 기점으로 승·하강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유동대에 연결되어 승하강력을 전달하는 와이어와, 상기 지지대 상에 레버와 유동대의 승·하강 자세를 상호 전환하고, 유동대로부터 전달되는 레버의 작용방향을 전환시키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작유닛은 유동대가 승강상태를 유지하도록 레버 상에 유동대와 흡착을 유도하는 자석 또는 유동대와 선택적으로 결착되는 고리 중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경박 단소한 구조로 설치의 편의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받침대와, 다단으로 적층된 벌통을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하거나 관리할 수 스태커를 하나로 융합시켜 전반적인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과 구조물을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을 다양한 각도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6은 도 5의 분리된 구조물 중 스태커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벌통(BH)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관련되며, 도 1 및 도 2처럼 본체부(10)와 지지부(20) 및 스태커(3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벌통 받침용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구조물은 벌통(BH)을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거치시켜 각종 유해곤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물론,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거치된 벌통(BH)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하거나 관리가 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는 복수의 금속편들이 볼트로 체결되거나 용접되어진 박스형의 프레임이다. 이러한 본체부(10)는 도 3처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벌통(BH)을 거치하는 사각형의 받침틀(11)이 형성되고, 받침틀(11)의 모서리 측 하단마다 벌통(BH)을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하는 복수의 기둥(15)이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받침틀(11)은 도 4처럼 벌통(BH)을 거치하는 받침구역(S1)과, 벌통(BH)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D)의 장착을 유도하는 확장구역(S2)을 가지는 너비로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틀(11)의 상단에는 도 5처럼 지지부(20)의 받침대(21)가 장착되는데, 복수의 벌통(BH)을 거치하는 너비로 형성될 경우엔 거치될 벌통(BH)의 사이마다 이격시키는 격판(11a)이 장착된다. 그리고 받침틀(11)의 측면에는 스태커(30)의 탈·장착을 유도하는 연결대(11b)가 기립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때, 기둥(15)은 상단에 받침틀(11)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일측선상과 타측선상이 서로 상이한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 좋다. 즉, 받침틀(11)에 거치된 벌통(BH)이 경사에 따라 일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서,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여 벌통(BH)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20)는 다양한 규격을 가진 벌통(BH)과, 설치될 장소의 바닥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 가능하게 유도하는 것으로 도 3처럼 받침대(21)와 다리(25)로 이루어진다. 받침대(21)는 복수의 금속편들이 벌통(BH)에 대응하는 크기로 용접된 프레임으로, 도 5처럼 받침틀(11)의 상단에 장착되어 벌통(BH)을 정 위치에 고정해준다. 다리(25)는 기둥(15)의 하단에 체결되어 받침틀(11)의 높이와 각도를 임의로 조절해준다.
예컨대 거치될 벌통(BH)의 크기가 작은 경우, 해당하는 규격에 적합한 받침대(21)를 받침틀(11)의 상단에 장착 또는 교체하면 된다. 여기서 벌통(BH)이 설치될 장소의 바닥이 고르지 못할 경우, 기둥(15)으로부터 다리(25)를 죄거나 풀어 바닥과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바닥이 경사져 받침틀(11)이 수평하거나 경사가 급격한 경우에도 다리(25)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벌통(BH)을 적절한 각도로 기울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스태커(30)는 적은 힘으로도 벌통(BH)을 교체하거나 내부를 개방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스태커(30)는 도 3 및 도 5처럼 받침틀(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벌통(BH)을 승·하강하고 회전시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스태커(30)는 도 6처럼 지지대(31)와 유동대(32) 및 포크(33) 그리고 조작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지지대(31)는 유동대(32)와 조작유닛을 구성하면서 벌통(BH)을 지탱하는 소정 길이를 가진 바형의 몸통으로, 하단에는 연결대(11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31a)이 돌출된다. 그리고 유동대(32)는 지지대(31)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관으로, 중앙에 벌통(BH)의 너비에 대응하는 아암(32a)이 수평하게 돌출된다.
또한, 포크(33)는 아암(32a)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ㄱ형의 핑거로, 벌통(BH)의 측면으로 진입되어 유동대(32)의 승·하강에 따라 선택적으로 거치한다. 마지막으로 조작유닛은 유동대(31)상에 승강대(32)와 연동하게 장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벌통(BH)의 승하강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조작유닛은 지지대(31)상에 힌지(H)를 기점으로 승·하강하는 레버(35)와, 레버(35)와 유동대(32)에 연결되어 승하강력을 전달하는 와이어(36)와, 지지대(31)상에 레버(35)와 유동대(32)의 승·하강 자세를 상호 전환하고, 유동대(32)로부터 전달되는 레버(35)의 작용방향을 전환시키는 롤러(37)로 구성된다.
즉, 작업자가 레버(35)를 하강(회전)시키면, 와이어(36)가 당겨지면서 유동대(32)를 승강시킨다. 여기서 완전히 하강된 레버(35)는 롤러(37)에 의한 작용방향이 전환되어 매미고리와 같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작업도중 발생하는 충격이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도 8처럼 레버(35)상에 유동대(32)와 흡착을 유도하는 자석(38) 또는 유동대(32)와 선택적으로 결착되는 고리(39) 중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 밖에도 지지대(31)상에 롤러(37)를 경유하는 와이어(36)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핀(31b)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설치과정과 함께 양봉작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구조물을 양봉 장소에 이동한 후 도 5처럼 다리(25)를 죄거나 풀어 받침틀(11)이 바닥에 적합한 높이와 각도로 조절한다. 그리고 준비된 벌통(BH)에 적합한 규격을 가진 받침대(21)를 받침틀(11)의 상단에 장착한 다음, 도 1 및 도 2처럼 받침대(21)에 벌통(BH)을 거치하면 설치가 완성된다.
이어서 벌들이 벌통(BH)에 꿀을 채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벌통(BH)의 내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이를 위해 작업자가 레버(35)를 하강시키면, 도 9처럼 포크(33)가 2단의 벌통(BH)을 승강시켜 준다. 그리고 승강된 벌통(BH)을 도 10처럼 여타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1단의 벌통(BH)의 내부가 완전히 개방된다.
한편, 벌통(BH)을 교체하거나 앞서 받침대(21)에 벌통(BH)을 거치하는 과정에서도 이와 같은 스태커(30)를 이용하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BH: 벌통 D: 도어
H: 힌지 S1: 받침구역
S2: 확장구역 10: 본체부
11: 받침틀 11a: 격판
11b: 연결대 15: 기둥
20: 지지부 21: 받침대
25: 다리 30: 스태커
31: 지지대 31a: 회전축
31b: 가이드핀 32: 유동대
32a: 아암 33: 포크
35: 레버 36: 와이어
37: 롤러 38: 자석
39: 고리

Claims (6)

  1. 바닥으로부터 벌통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벌통을 거치하는 받침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틀의 하단에 벌통을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하는 복수의 기둥이 돌출된 본체부;
    상기 받침틀의 상단에 벌통과 맞물려 정 위치에 고정하는 받침대가 장착되고,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받침틀의 높이와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다리가 체결된 지지부; 및
    상기 받침틀의 일측에 벌통을 승·하강 회전시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태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받침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틀은 벌통을 거치하는 받침구역과, 벌통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장착을 유도하는 확장구역을 가지는 너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받침용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단에 받침틀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일측선상과 타측선상이 서로 상이한 길이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받침용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는 받침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에 길이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유동대와, 상기 유동대 상에 벌통의 측면으로 진입되어 승·하강에 따라 선택적으로 거치하는 포크와, 상기 유동대 상에 승강대와 연동하여 승하강력을 부여하는 조작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받침용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지지대 상에 힌지를 기점으로 승·하강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유동대에 연결되어 승하강력을 전달하는 와이어와, 상기 지지대 상에 레버와 유동대의 승·하강 자세를 상호 전환하고, 유동대로부터 전달되는 레버의 작용방향을 전환시키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받침용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유동대가 승강상태를 유지하도록 레버 상에 유동대와 흡착을 유도하는 자석 또는 유동대와 선택적으로 결착되는 고리 중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받침용 구조물.
KR1020160160382A 2016-11-29 2016-11-29 벌통 받침용 구조물 KR101947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382A KR101947241B1 (ko) 2016-11-29 2016-11-29 벌통 받침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382A KR101947241B1 (ko) 2016-11-29 2016-11-29 벌통 받침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649A true KR20180060649A (ko) 2018-06-07
KR101947241B1 KR101947241B1 (ko) 2019-02-12

Family

ID=6262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382A KR101947241B1 (ko) 2016-11-29 2016-11-29 벌통 받침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2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9916A (zh) * 2019-07-17 2019-09-06 成都大农科技有限公司 一种以模块化方式堆叠的养蜂装置
CN111011263A (zh) * 2019-11-28 2020-04-17 云南本季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集约化的数字化养蜂塔
CN111700004A (zh) * 2020-07-23 2020-09-25 陕西谷中村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盗功能的蜜蜂箱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432Y1 (ko) 2003-11-01 2004-02-05 박중인 벌통용 리프트
KR100615900B1 (ko) 2004-11-17 2006-08-28 정영옥 벌통 리프트 장치
KR100801561B1 (ko) 2007-06-28 2008-02-05 주식회사 디엠디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벌통지지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벌통
CN105519456A (zh) * 2016-01-21 2016-04-27 昆明理工大学 一种自动移脾蜂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432Y1 (ko) 2003-11-01 2004-02-05 박중인 벌통용 리프트
KR100615900B1 (ko) 2004-11-17 2006-08-28 정영옥 벌통 리프트 장치
KR100801561B1 (ko) 2007-06-28 2008-02-05 주식회사 디엠디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벌통지지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벌통
CN105519456A (zh) * 2016-01-21 2016-04-27 昆明理工大学 一种自动移脾蜂巢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9916A (zh) * 2019-07-17 2019-09-06 成都大农科技有限公司 一种以模块化方式堆叠的养蜂装置
CN110199916B (zh) * 2019-07-17 2024-03-15 成都大农科技有限公司 一种以模块化方式堆叠的养蜂装置
CN111011263A (zh) * 2019-11-28 2020-04-17 云南本季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集约化的数字化养蜂塔
CN111700004A (zh) * 2020-07-23 2020-09-25 陕西谷中村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盗功能的蜜蜂箱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241B1 (ko)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241B1 (ko) 벌통 받침용 구조물
US7185606B1 (en) Bird feeding assembly
CN108049704B (zh) 一种能够调节高度的市政工程围栏
CN102859099B (zh) 雨伞式自动帐篷支架结构
CN210869526U (zh) 一种杀虫装置
KR101616611B1 (ko) 이동가능한 조립식 봉사
CN210726489U (zh) 一种果树病虫防治用杀虫灯
CN211322592U (zh) 一种踏板式禽类诱捕装笼装置
CN209135198U (zh) 一种竹林防控诱导杀虫装置
US3278164A (en) Fence raising means
KR101513706B1 (ko) 온실 기둥 상승 장치
KR200340432Y1 (ko) 벌통용 리프트
CN112664795A (zh) 一种花生增效剂效果评估装置
CN220384062U (zh) 一种森林病虫害防治用诱虫灯固定装置
CN209965028U (zh) 一种具有灭虫功能的景观灯
CN214853114U (zh) 一种防虫的柑桔基地用育苗大棚
CN209572927U (zh) 一种农业用害虫诱捕装置
CN214282908U (zh) 一种便于安置的植物保护灭虫装置
CN218977792U (zh) 一种田间使用的蛴螬诱捕装置
KR101530675B1 (ko) 온실 안전 인상시스템
CN220875673U (zh) 一种畜牧养殖用驱蚊灯
CN219939341U (zh) 多功能蜂箱架
CN218941201U (zh) 一种病虫害预测预警监控装置
JP2004121059A (ja) 捕獣用檻
CN219536982U (zh) 一种蔬菜大棚框架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