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683Y1 - 다단봉용 고무마개 - Google Patents

다단봉용 고무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683Y1
KR200339683Y1 KR20-2003-0034033U KR20030034033U KR200339683Y1 KR 200339683 Y1 KR200339683 Y1 KR 200339683Y1 KR 20030034033 U KR20030034033 U KR 20030034033U KR 200339683 Y1 KR200339683 Y1 KR 200339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rod
rubber stopper
side contac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신효
심규석
정극헌
정만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3-0034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6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봉용 고무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봉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다단봉용 고무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하부에 지지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곡면부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봉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결합되는 광역폭 측면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의 내부에 돌출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와 돌출기둥부 사이에 봉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봉용 고무마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단봉용 고무마개{rubber cover for elongation bar}
본 고안은 다단봉용 고무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봉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다단봉용 고무마개에 관한 것이다.
다단봉이라 함은 단계적으로 지름을 갖는 다수의 봉이 겹겹이 중첩되어 결합된 봉을 말하며, 그 사용시에는 봉의 길이를 늘려 사용하다가 비사용시에는 다시 수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러한 다단봉은 차량용 안테나, 라디오 수신기의 안테나, 등산용 지팡이, 낚싯대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본 고안과 관련된 다단봉은 COS 조작봉으로서 전주상에 설치되는 COS(Cut-Off Switch)를 설치,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용 다단봉이다.
상기 COS 조작봉에 사용되는 종래의 다단봉용 고무마개(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가 이용되어 왔다. 한편, 이러한 다단봉용 고무마개(10)의 설치상태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다단봉용 고무마개(10)는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측면접촉부(13)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부(1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단봉(1)을 지지하고 있는 상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이 곡면부로 형성되어 있다.
측면접촉부(13)는 다단봉(1) 중 최외각 봉의 하단 외주면에 밀착결합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다단봉용 고무마개(10)가 빠져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단봉용 고무마개(10)는 다단봉(1)을 늘리고 수축시키는 작동을 반복할 경우 상기 지지부(11)가 상기 다단봉(1)에 의한 반복적인 충격으로 측면접촉부(13)와 분리되어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다단봉용 고무마개(10)의 재질이 합성수지인 점에서 측면접촉부(13)와 다단봉(1) 중 최외각 봉 사이의 마찰력이 적게 발생하여 상기 측면접촉부(13)가 쉽게 다단봉(1)으로부터 분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단봉(1)이 지면에 접촉하는 경우가 잦은 때에는 다단봉용 고무마개(10)의 지지부(11)가 쉽게 마모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단봉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다단봉에의 결합시 마찰력을 증대시켜 다단봉용 고무마개가 다단봉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마멸에 강한 다단봉용 고무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다단봉용 고무마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단봉 100 : 다단봉용 고무마개
101 : 지지곡면부 103 : 광역폭 측면접촉부
105 : 돌출기둥부 107 : 삽입홈
109 : 플라스틱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다단봉용 고무마개에 있어서, 하부에 지지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곡면부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봉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결합되는 광역폭 측면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의 내부에 돌출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와 돌출기둥부 사이에 봉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봉용 고무마개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기둥부의 상면에 접촉결합하는 플라스틱판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단봉용 고무마개의 재질이 천연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다단봉용 고무마개의 일 실시예는 COS 조작봉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설치상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단봉용 고무마개의 일 실시예는, 하부에 형성된 지지곡면부(101), 상기 지지곡면부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광역폭 측면접촉부(103),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103)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기둥부(105),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103)와 돌출기둥부(105)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107) 및 상기 돌출기둥부(105)의 상면에 접촉결합하는 플라스틱판(109)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곡면부(101)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곡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COS 조작봉의 최대길이가 6~10m인 경우 상기 삽입홈(107)의 바닥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곡면부(101)의 최하단부까지의 두께는 20~25mm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상기 지지곡면부(101)의 형상에 의해 다단봉의 반복적인 늘림 및 수축 과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면 등에의 접촉에 의한 마멸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역폭 측면접촉부(103)는 상기 지지곡면부(101)의 둘레부에 수직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다단봉(1)의 최외각 봉의 외주면에 밀착결합된다. 여기서, COS 조작봉의 최대길이가 6~10m인 경우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103)가 최외각 봉의 외주면에 밀착결합하는 부분의 길이는 60~6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외각 봉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마찰력이 증대됨으로써 봉으로부터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돌출기둥부(105)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103)의 내부 및 지지곡면부(10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기둥부(105)는 후술할 삽입홈(107)에 의해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103)와 분리형성된다. 그리고, COS 조작봉의 최대길이가 6~10m인 경우 상기 삽입홈(107)의 바닥부분으로부터 상기 돌출기둥부(105)의 상단면까지의 길이는 25~3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기둥부(105)는 최외각 봉을 제외한 다단봉(1)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홈(107)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103)와 상기 돌출기둥부(105)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깊이는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103)의 길이와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판(109)은 원형의 판으로서 상기 돌출기둥부(105)의 상면에 위치한다. 상기 플라스틱판(109)은 다단봉(1)의 최외각 봉을 제외한 나머지 봉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다단봉용 고무마개(100)의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플라스틱판(109)을 돌출기둥부(105)의 상면에 위치시킨 다음, 삽입홈(107)에 다단봉(1)의 최외각 봉을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최외각 봉 내부의 봉들은 상기 플라스틱판(109)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다단봉용 고무마개의 마찰, 충격흡수 및 마멸감소 등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그 재질을 천연고무로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단봉용 고무마개에 의하면, 다단봉의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마멸에 강하며, 다단봉에의 결합시 마찰력을 증대시켜 다단봉용 고무마개가 다단봉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아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다단봉용 고무마개에 있어서,
    하부에 지지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곡면부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봉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결합되는 광역폭 측면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의 내부에 돌출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역폭 측면접촉부와 돌출기둥부 사이에 봉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봉용 고무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기둥부의 상면에 접촉결합하는 플라스틱판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봉용 고무마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봉용 고무마개의 재질이 천연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봉용 고무마개.
KR20-2003-0034033U 2003-10-30 2003-10-30 다단봉용 고무마개 KR200339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033U KR200339683Y1 (ko) 2003-10-30 2003-10-30 다단봉용 고무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033U KR200339683Y1 (ko) 2003-10-30 2003-10-30 다단봉용 고무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683Y1 true KR200339683Y1 (ko) 2004-01-24

Family

ID=4934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033U KR200339683Y1 (ko) 2003-10-30 2003-10-30 다단봉용 고무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6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544B2 (en) Vehicle roof mount antenna
US9004809B2 (en) Manhole cover
KR200339683Y1 (ko) 다단봉용 고무마개
US20050263526A1 (en) Fuel filler cap
KR102007425B1 (ko) 지중 케이블 인입전용 보호함체
CN106457601A (zh) 劈砍辅助装置
KR20070064413A (ko) 차선 규제봉
KR20100100207A (ko) 맨홀 뚜껑의 진동 흡수부재
EP0306952B1 (en) Wire saw
JP2010035443A (ja) 浮子用緩衝部材
AU616553B2 (en) Clamping ring
KR102640838B1 (ko) 논슬립 수목보호판
KR200209457Y1 (ko) 천막용 아일렛
CN218414353U (zh) 一种脚踏开关
KR102653172B1 (ko) 지선 안전 보호 커버
KR200470182Y1 (ko) 수동 경보기의 케이블 그랜드용 접지 태그
KR200320584Y1 (ko) 도로 표지병
KR100769554B1 (ko) 교통안전 표시판
KR20040069086A (ko) 차량용 콘솔과 레버부츠의 고정구조
KR20120084469A (ko) 교체용 붕괴부를 갖는 볼라드
KR200441582Y1 (ko) 가로수 보호대
CN210107016U (zh) 一种高强度黄油筒底座
KR101094829B1 (ko) 덮개부재를 갖는 가로등 기초 구조물 및 이에 이용되는 덮개모듈
CN219773222U (zh) 一种基于疏水板应用的防水结构
KR200343918Y1 (ko) 자동차 바퀴용 휠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