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465Y1 -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 Google Patents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465Y1
KR200339465Y1 KR20-2003-0034105U KR20030034105U KR200339465Y1 KR 200339465 Y1 KR200339465 Y1 KR 200339465Y1 KR 20030034105 U KR20030034105 U KR 20030034105U KR 200339465 Y1 KR200339465 Y1 KR 200339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independent
body portion
independ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신우콘크리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콘크리트산업 filed Critical (주)신우콘크리트산업
Priority to KR20-2003-0034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4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4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블록에 형성된 통공에 의해 토사와 블록간이 단절 되지 않아 수분이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블록의 전면부에 확보된 식물생육 공간에 식물이 생육됨으로써 친환경적인 구조이며, 그 외면에 지역특성과 관련기관의 로그 등 여러 가지 형태의 문양을 새겨 넣을 수 있는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몸체부(11)의 내부에 지면과 관통되는 통공(1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의 전면에는 내부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식생홈(14)이 형성되어 있는 아크형 돌출부(16)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식생홈(14)으로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식생홈(14)과 몸체부(11)의 통공(12)을 연결하는 요부(17)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의 후면에는 복토된 토사에서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용 독립블록(10)과,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의 몸체부(11)와 일치하는 크기의 몸체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1)의 내부에 지면과 관통되는 통공(22)이 형성되어 있는 독립블록(20)으로 이루어져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을 한단씩 쌓아 나가되, 서로 교차하여 쌓아 구축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A system construction block for vegetation}
본 고안은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공에 의해 수분공급작용을 하여 복토된 토사에 수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현장여건과 시공성을 고려하여 사면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부속을 이용하여 여러 방법으로 안정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식생부가 형성되어 있어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하천변이나 강변은 물론 도로변 등의 각종 경사면에는 그 경사면의 토사가 유실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망이나 호안블록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호안블록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경사면에 조립함으로서 많은 비가 내리면 경사면의 흙과 함께 호안블록이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되었고 블록과 성토된 토사의 단절로 인해 식물의 자생환경이 주어지지 않았다. 단 일부 블록에서 식물 생육을 볼 수 있으나 이는 토사에 수분공급이 어려워 식물이 쉽게 생육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블록의 소형화로 인해 시공시에 블록이 일체화되지 않고 단위블록체로서 개별적으로 토사와의 접합이 되어지므로 안정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사람이 직접 블록을 깔아 시공하는 인력시공으로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된 블록의 무게가 가벼워 탈락하거나 연쇄 탈루되는 우려가 있어 유지관리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는 것으로, 블록의 내부와 후면에 형성된 통공에 의해 수분공급이 양호하여 복토된 토사에 식물 뿌리의 활착과 식물의 자생이 쉬워 자연친화적이고 대형블록으로 기계화 시공이 뛰어나며 다수종의 연결부속으로 토사와 블록간의 접합에 있어 안정적이 시공을 할 수 있고 전면부에 지역특성과 관련기관의 로그 등 여러 가지 형태의 문양을 새겨 넣을 수 있는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식생용 독립블록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식생용 독립블록의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독립블록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독립블록의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식생용 독립블록과 독립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6 은 도 5 의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식생용 독립블록과 독립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을 경사면에 시공한 실시예도,
도 9 는 본 고안의 와이어로 연결된 2개의 연결부속을 이용하여 식생용 독립블록을 사면에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10 은 도 9 의 연결부속을 나타낸 상세도,
도 11 은 본 고안의 콘크리트 바로 연결된 2개의 연결부속을 이용하여 식생용 독립블록을 사면에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12 는 도 10 의 연결부속을 나타는 상세도,
도 13 은 본 고안의 독립블록과 직접 연결된 연결부속을 이용하여 사면에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14 는 도 13 의 연결부속과 독립블록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식생용 독립블록 (11) : 몸체부
(12) : 통공 (13) : 개구부
(14) : 식생홈 (15) : 문양
(16) : 아크형 돌출부 (17) : 요부
(20) : 독립블록 (21) : 몸체부
(22) : 통공 (23) : 자연석문양
(30) : 연결부속 (31) : 앵커
(32) : 와이어 (33) : 콘크리트바
(34) : 철근 (35) : 볼트
(40) : 측면고정돌기 (40a) : 측면고정돌기삽입부
(41) : 상하고정돌기 (41a) : 상하고정돌기삽입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부의 내부에 지면과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는 내부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식생홈이 형성되어 있는 아크형 돌출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식생홈으로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식생홈과 몸체부의 통공을 연결하는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는 복토된 토사에서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용 독립블록과,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의 몸체부와 일치하는 크기의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지면과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독립블록으로 이루어져 식생용 독립블록과 독립블록을 한단씩 쌓아 나가되, 서로 교차하여 쌓아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식생용 독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식생용 독립블록의 평면도로서, 식생용 독립블록(10)은 하천에 시공 적용시 유속에 의한 파손을 고려하여 전면에 아크형 돌출부(16)가 돌출되어 있는 사다리꼴 형상의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사다리꼴 형태의 통공(12)이 형성되고, 아크형 돌출부(16)에는 토사가 채워져 식물생육이 가능하도록 식생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식생홈(14)과 통공(12) 사이에는 통공(12)으로 이동되는 수분이 원활히 식생홈(14)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요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사면의 수분이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후면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조시 측면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아크형 돌출부(16)의 일측면에는 타원형의 측면고정돌기(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고정돌기(40)와 대칭되는 타측면에는 측면고정돌기삽입부(40a)가 형성된다.
상기의 개구부(13)와 요부(17) 및 통공(12)을 통해 식생홈(14)에 복토된 토사에 수분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식물의 뿌리의 활착과 식물의 자생에 도움을 주며, 또한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은 그 형상에 맞게 내부에 철근이 매입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되어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식물이 식생홈(14)에서 자생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뿐만 아니라 아크형 돌출부(16)의아크형으로 형성된 전면에는 지역 특성과 관련기관 등을 나타내는 로그 등의 문양(15)을 나타낼 수 있어 광고 효과도 뛰어나다.
도 3 은 본 고안의 독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독립블록의 평면도로서, 독립블록(20)은 식생용 독립블록(10)의 아크형 돌출부(16)를 제외한 몸체부(11)의 크기와 일치하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내부에 지면과 관통되는 통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21)의 전면에는 자연석 문양(23)을 새겨 넣어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축조시 측면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독립블록(20)의 일측면에는 원형의 측면고정돌기(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고정돌기(40)와 대칭되는 타측면에는 측면고정돌기(40)가 삽입되는 측면고정돌기삽입부(40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은 축조시 상하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부면에는 상하고정돌기(4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고정돌기(41)와 대칭되도록 상부면에는 상하고정돌기삽입부(41a)가 형성되며,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의 측면고정돌기(40)및 측면고정돌기삽입부(41a)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시공시에 측면에 부착되는 블록과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식생용 독립블록과 독립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이고, 도 6 은 도 5 의 평면도이며, 도 7 은 본 고안의 식생용 독립블록과 독립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 은 본 고안을 경사면에 시공한 실시예도로서, 본 고안의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을 사면에 축조할 경우 먼저 측면고정돌기(40)와, 측면고정돌기삽입부(40a)가 끼워지도록 측면으로 배열하고, 다단으로 쌓을 때는 구조적 안전성을 고려하여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을 교차하여 쌓아 나가되 식생용 독립블록(10)의 상하고정돌기(41)가 독립블록의 상하고정돌기삽입부(41a)에 끼워지고 식생용 독립블록(10)의 상하고정돌기삽입부(41a)에 독립블록(20)의 상하고정돌기(41)를 끼워 쌓아나가며 식생용 독립블록(10)의 아크형 돌출부(16)가 독립블록(20)보다 튀어나오도록 쌓아 나간다.
즉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은 상하 교차하여 1단씩 쌓아나가되 상하고정돌기(41)와 상하고정돌기삽입부(41)를 끼워 안전하게 고정시킨 상태로 쌓아나가며 측면으로는 같은 종류의 블록끼리 측면고정돌기(40)를 측면고정돌기삽입부(40a)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상하는 물론 좌우 모두 고정되어 하중의 작용시에 저항성이 뛰어나 쉽게 붕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시공시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은 서로 교차되어 1단씩 축조되기 때문에 상하고정돌기(41) 및 상하고정돌기삽입부(41a)는 식생용 독립블록(10)의 상부면과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고, 독립블록(20)에는 상하부면의 타측에 상하고정돌기(41)와 상하고정돌기삽입부(41a)가 형성되어 교차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은 대형블록으로서 기계화 시공으로 시공성이 뛰어나며,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 및 독립블록(20)의 측면고정돌기(40) 및 측면고정돌기삽입부(40a)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측면 결합시 식생용 독립블록(10) 및 독립블록(20)의 결합각도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어 사면이 곡선구간일 경우에도 축조할 수 있다.
도 9 는 본 고안의 와이어로 연결된 2개의 연결부속을 이용하여 식생용 독립블록을 사면에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도이고, 도 10 은 도 9 의 연결부속을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11 은 본 고안의 콘크리트 바로 연결된 2개의 연결부속을 이용하여 식생용 독립블록을 사면에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도이고, 도 12 는 도 11 의 연결부속을 나타는 상세도이며, 도 13 은 본 고안의 독립블록과 직접 연결된 연결부속을 이용하여 사면에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도이고, 도 14 는 도 13 의 연결부속과 독립블록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로써,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을 이용하여 호안시공을 할 경우 토사와의 접합에 있어 안정되게 시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도 8 에서와 같이 식생용 독립블록(10)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12)에 콘크리트로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의 연결부속(30)을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속(30)에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연결부속(30)에 각각 앵커(31)를 삽입하여 상기 앵커(31)를 통해 양 끝단에 볼트(35)가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32)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한 후 토사를 이용하여 연결부속 및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의 빈 공간을 채워 고정한다.
또한 도 9 에서와 같이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12)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사다리꼴 형상의 연결부속(30)을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속(30)에 콘크리트바(33)로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연결부속(33)사면에 삽입 하고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의 빈 공간을 채워 넣어 고정한다.
상기 콘크리트바(33)는 내부에 철근 매설되어 있어 강도가 강해 사면의 붕괴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을 견고히 고정한다.
또한 도 10 에서와 같이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의 후면부의 개구부(13) 하측에 앵커(31)를 삽입하고, 양끝단에 볼트(35)가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32)를 이용하여 앵커(31)가 부착된 연결부속(30)을 채결 연결한 후 토사를 이용하여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의 빈 공간을 채우고 연결부속을 메워 사면에 고정한다.
상기의 연결부속(30)은 내부에 철근(34)이 매설되어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강도가 강해 사면의 붕괴시에 쉽게 파괴되지 않아 식생용 독립블록(10)을 사면에 견고히 고정시켜준다.
이하 본 고안의 시공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생용 독립블록(10)을 측면고정돌기(40)가 측면고정돌기삽입부(40a)에 삽입되도록 하여 지면에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배열된 식생용 독립블록(10)의 내부에 사다리꼴 형상의 연결부속(30)을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속(30)에 대응되고 사면에 삽입되어 고정시켜주는 다른 하나의 연결부속(30)을 와이어를 이용한 앵커연결을 통해 연결 고정한 후 토사를 이용하여 빈 공간을 채우는 단계와, 상기 배열되고 토사가 채워진 식생용 독립블록(10)의 상부에 독립블록을 쌓아나가되,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에 형성된 상하고정돌기삽입부(41a)에 독립블록(20)의 상하고정돌기(41)를 교차되고 측면에 형성된 측면고정돌기(40)가 측면고정돌기삽입부(40a)에 끼워 쌓아나가는 단계와, 상기 쌓여진 독립블록(20)의 빈 공간에 토사를 채우는 단계와,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을 설계된 위치에 맞는 높이까지 쌓아나가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속(30)은 사면의 위치나 종류 등에 따라 콘크리트바(33)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도 있고 또한 식생용 독립블록(10)의 내부에 연결부속(30)을 삽입하지 않고 식생용 독립블록(10)의 후면부에 앵커를 이용한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속(30)을 사면에 삽입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블록이 대형이라 기계화 시공으로 시공성이 뛰어나고, 블록 내부의 통공에 의해 아크형 돌출부의 식생홈으로 수분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식물이 자생할 수 있으며 지반의 구조나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다수종의 연결부속을 통해 안정적으로 호안에 고정할 수 있으며 아크형 돌출부의 전면에 지역 특성과 관련기관등을 나타내는 로그 등의 문양을 나타낼 수 있으며 고정돌기와 삽입부의 결합으로 블록이 상하 좌우로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하중의 작용시에 쉽게 붕괴되지 않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7)

  1. 몸체부(11)의 내부에 지면과 관통되는 통공(1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의 전면에는 내부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식생홈(14)을 구비한 아크형 돌출부(16)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식생홈(14)으로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식생홈(14)과 몸체부(11)의 통공(12)을 연결하는 요부(17)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의 후면에는 복토된 토사에서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용 독립블록(10)과,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의 몸체부(11)와 일치하는 크기의 몸체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1)의 내부에 지면과 관통되는 통공(22)이 형성되어 있는 독립블록(20)으로 이루어져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을 한단씩 쌓아 나가되, 서로 교차하여 쌓아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은 일측면에는 타원형의 측면고정돌기(40)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고정돌기(40)가 삽입되도록 대칭되는 타측면에 측면고정돌기삽입부(40a)가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상하고정돌기삽입부(41a)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하고정돌기(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을 복토된 토사에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부(11)의 통공(12)에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통공(12)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앵커가 부착된 연결부속(30)을 삽입하고 다른 하나의 연결부속(30)을 토사에 삽입한 후 각각의 연결부속(30)의 앵커(31)를 통해 와이어(32)를 연결하여 토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을 토사에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부(11)의 통공(12)에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연결부속(30)을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속(30)과 콘크리트바(33)로 연결된 다른 하나의 연결부속(30)을 토사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을 토사에 고정할 수 있도록 식생용 독립블록(10)의 후면부에 앵커(31)를 삽입하고 토사에 삽입되는 연결부속(30)에 앵커(31)를 삽입하여 상기 앵커(31)를 통해 와이어(32)로 서로 연결하여 토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시스템 축조블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의 아크형 돌출부(16) 외부 전면에 지역 특성과 관련기관등을 나타내는 로그 등의 문양(15)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7. 제 1 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독립블록(10)과 독립블록(20)의 측면고정돌기(40)와 상기 측면고정돌기(40)가 삽입되는 측면고정돌기삽입부(40a)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결합시 각도를 조절하여 사면이 곡선구간에도 축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KR20-2003-0034105U 2003-10-31 2003-10-31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KR200339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05U KR200339465Y1 (ko) 2003-10-31 2003-10-31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05U KR200339465Y1 (ko) 2003-10-31 2003-10-31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638A Division KR20050041459A (ko) 2003-10-31 2003-10-31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465Y1 true KR200339465Y1 (ko) 2004-01-24

Family

ID=4942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105U KR200339465Y1 (ko) 2003-10-31 2003-10-31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4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330B1 (ko) * 2009-07-13 2012-10-19 이정수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276291B1 (ko) * 2010-11-12 2013-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330B1 (ko) * 2009-07-13 2012-10-19 이정수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276291B1 (ko) * 2010-11-12 2013-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100704408B1 (ko) 식생용 블럭
US6666619B2 (en) Protective wall assembly
KR100674635B1 (ko) 보강토 옹벽용 친환경 식생블록
KR200339465Y1 (ko)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KR20050041459A (ko)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KR100935176B1 (ko) 도로사면 보호용 친환경 식생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42410A (ko)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
KR200371882Y1 (ko) 조립식 축조블록 장치
KR200245391Y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KR100490794B1 (ko) 조립식 축조블록 및 그 축조공법
KR100490796B1 (ko) 조립식 축조블록 및 그 축조공법
KR200361076Y1 (ko) 축대용 조립식 식생블럭
KR200393182Y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200390373Y1 (ko) 친환경 블록
KR100614817B1 (ko)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47137A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475104B1 (ko) 사면 및 호안옹벽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41409Y1 (ko) 옹벽블록 및 옹벽블록 조립체
KR10069348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1979005B1 (ko) 식생 축조 기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