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020Y1 - 통신인입선 정리대 - Google Patents
통신인입선 정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9020Y1 KR200339020Y1 KR20-2003-0031501U KR20030031501U KR200339020Y1 KR 200339020 Y1 KR200339020 Y1 KR 200339020Y1 KR 20030031501 U KR20030031501 U KR 20030031501U KR 200339020 Y1 KR200339020 Y1 KR 20033902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lead wire
- communication lead
- tap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가선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탭 오프를 지지하는 탭 오프 브래킷과,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탭 오프에 접속되어 수용가로 향하는 통신인입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홀딩부가 형성되는 통신인입선 홀더와, 상기 통신인입선을 클램핑한 드롭 클램프의 연결고리를 걸어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걸고리로 구성되므로 각 수용가로 분기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인입선을 단정하게 정리할 수 있는 통신인입선 정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각 수용가로 분기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인입선을 단정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인입선 정리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신선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통신선로는, 먼저 전주와 전주 사이에 조가선(아연도강연선)(1)을 연결한 다음 이 조가선(1)에 통신선(2)을 바인더로 그 중간 중간을 결박한다.
그리고 통신선(2)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장치, 즉 탭 오프(tap-off)(3)를 조가선(1)의 전주 근방에 설치한 후 이 탭 오프(3)의 접속구멍(3a)을 통해 탭 오프(3)에 통신선(2)을 접속시킨다.
다음 탭 오프(3)에서 분기되는 신호를 각 수용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인입선(4)에 드롭 클램프(drop clamp)(5)를 클램핑시키고, 탭 오프(3)의 분기단자(3b)에 통신인입선(4)을 접속시킨다.
그 다음 접속된 통신인입선(4)의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조가선(1)에 스팬 클램프(span clamp)(6)를 설치한 다음 이 스팬 클램프(6)의 걸고리(6a)에 드롭 클램프(5)의 연결고리(5a)를 걸면 가설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신선로는 그 통신인입선(4)의 탭 오프(3)에 접속된 부분과 드롭 클램프(5)로 클램핑된 부분 사이가 특별한 지지 없이 방치되어 있기 때문에 너덜너덜해 보일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한 잦은 흔들림으로 탭 오프(3)와의 접속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도 1에는 1개의 통신인입선(4)만이 탭 오프(3)에 접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대개의 경우 탭 오프(3)에는 8개의 분기단자(3b)가 있어 8개의 통신인입선(4)을 동시에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분기단자(3b) 모두에 통신인입선(4)을 접속시킬 경우 통신인입선(4)의 처리가 매우 산만하게 되어 환경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탭 오프(3)에 접속된 통신인입선(4)을 조가선(1)에 결박하여 수용가가 아닌 타 전주로 보내야 할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도 위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됨은 물론이다.
한편 원거리의 수용가로는 통신인입선(4)의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먼저 메신저 와이어(messenger wire)를 가설한 후 여기에 통신인입선(4)을 결박하며 통신인입선(4)을 가설해야 하나, 이 경우 도 1에서와 같은 드롭 클램프(5)가 아닌 메신저 와이어 전용 드롭 클램프를 사용해야 메신저 와이어를 가설할 수 있으므로 작업 자체가 번거롭고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인입선에 있어서, 그 탭 오프와의 접속부와 드롭 클램프로의 클램핑부 사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홀더가 구비되어 통신인입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단정하도록 정리할 수 있는 통신인입선 정리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신인입선을 조가선에 결박하여 타 전주로 보낼 시이를 덮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단정히 정리할 수 있는 통신인입선 정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구멍을 메신저 와이어를 간단하게 묶어 가설할 수 있는 통신인입선 정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신선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인입선 정리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인입선 정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좌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인입선 정리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조가선 3 : 탭 오프
4 : 통신인입선 5 : 드롭 클램프
5a : 연결고리 7 : 메신저 와이어
10 : 플레이트 11 : 연결구멍
20 : 탭 오프 브래킷 30 : 통신인입선 홀더
31 : 홀딩부 31' : 홈
32 : 턱부 35 : 커버부
35a : 절개부 40 : 걸고리
상기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가선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탭 오프를 지지하는 탭 오프 브래킷과,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탭 오프에 접속되어 수용가로 향하는 통신인입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홀딩부가 형성되는 통신인입선 홀더와, 상기 통신인입선을 클램핑한 드롭 클램프의 연결고리를 걸어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걸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원거리의 수용가로 상기 통신인입선을 가설 시에 사용되는 메신저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 통신인입선 홀더에는 상기 조가선을 둘러싸고 한쪽에 절개부가 형성된 커버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탭 오프에서 타 전주로 향하는 통신인입선을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커버부 내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되, 도 1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통신인입선 정리대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통신인입선 정리대는 좌우로 기다란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전주 근방에서 조가선(1)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하측에서 탭 오프(3)를 지지하는 탭 오프 브래킷(20)과, 통신인입선(4)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플레이트(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통신인입선 홀더(30)와, 드롭 클램프(5)의 연결고리(5a)를 걸 수 있도록 형성되고 플레이트(10)의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걸고리(4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10)는 이 플레이트(10)의 상면에 조가선(1)을 사이에 두고 체결되어 조가선(1)을 압박하는 다수의 체결판(15)에 의해 조가선(1)에 설치되는 바, 상면 중앙에는 조가선(1)의 일부를 끼울 수 있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반원형의 안착홈부(12)가 형성되어 보다 안정감 있는 설치를 도모한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판(15)은 한쪽 끝에 결합판체부가 형성되어 플레이트(10)의 결합홈부에 끼워지고, 중앙부에 안착홈부(12)와 함께 조가선(1)을 감쌀 수 있도록 만곡부가 형성되며, 다른 쪽 끝 부분은 볼트 및 너트로 플레이트(10)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10)는 원거리 수용가로의 통신인입선(4)을 가설 시 필요로 하는 메신저 와이어(7)를 플레이트(10)에 묶어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구멍(11)이 좌우 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된다.
상기 탭 오프 브래킷(20)은 탭 오프(3)를 조가선(1)의 플레이트(10) 근방에 설치할 경우 조가선(1)의 일부를 차지하는 것(원칙적으로는 조가선에 탭 오프를 설치해야 하나 조가선에는 대개 다수의 통신선이 결박되어 있으므로 그러하지 못하고, 통신선 접속 시 통신선과의 결합력으로 단순히 매달아놓는 것이 현 실정이다.)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탭 오프(3)는 이를 조가선(1)에 설치하기 위한 체결부에 의해 볼트(또는 볼트 및 너트)로 탭 오프 브래킷(2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탭 오프 브래킷(20)은 플레이트(1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으나 조립 단순화를 위해 일체화함이 좋다.
상기 각 통신인입선 홀더(30)에는 통신인입선(4)의 탭 오프(3)와 접속된 부분과 드롭 클램프(5)로 클램핑된 부분 사이를 외력에 따른 흔들림이 없도록 붙잡아줌과 아울러 단정하도록 정리하기 위한 홀딩부(3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홀딩부(31)는 통신인입선 홀더(30)의 끝에 통신인입선(4)을 끼울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패인 다수의 홈(31')으로서, 상·하측에 각각 5개씩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홈(31')의 입구에는 이 홈(31')에 끼워진 통신인입선(4)이 뜻하지 않게 홈(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턱부(32)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통신인입선 홀더(30)는 각각의 전면 중앙에 조가선(1)을 둘러싸고 한쪽에 절개부(35a)가 형성된 커버부(35)가 형성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탭 오프(3)에 접속된 통신인입선(4)을 타 전주로 보내고자 할 경우 절개부(35a)를 통해 통신인입선(4)을 커버부(35) 내로 끼우면 통신인입선(4)을 외력에 따른 흔들림이 없도록, 아울러 단정하도록 정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통신인인선 홀더(30)에는 플레이트(10)의 양단에 형성되는 끼움부(13)를 끼울 수 있도록 끼움홈부(33)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후 볼트로 체결된다.
상기 걸고리(40)는 탄성을 갖는 얇은 금속 막대를 그 양쪽 끝 부분이 포개지도록 구부린 고리이다.
그러므로 포개진 부분에 힘을 가해 포개진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터지도록 하면, 이 터진 부분을 통해 드롭 클램프(5)의 연결고리(5a)를 걸거나 다시 빼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레이트(10)와 체결판(15) 사이에 조가선(1)이 위치되게 플레이트(10)와 체결판(15)을 세팅시킨 후 플레이트(10)와 체결판(15)을 체결하여 조가선(1)에 플레이트(10)를 매달리도록 설치하고, 아울러 탭 오프(3)를 탭 오프 브래킷(20)에 체결한다.
그리고 조가선(1)에 결박되는 통신선(2)을 탭 오프(3)의 접속구멍(3a)을 통해 탭 오프(3)에 접속시킨다.
다음 드롭 클램프(5)를 통신인입선(4)에 클램핑시키고, 이 통신인입선(4)을 탭 오프(3)의 분기단자(3b)에 접속시킨 후 통신인입선(4)의 탭 오프(3)에 접속된 부분과 드롭 클램프(5)로 클램핑된 부분 사이를 홀딩부(31), 즉 인접한 어느 하나의 홈(31')에 끼운 다음 이 통신인입선(4)을 수용가로 탭 오프(3)에서 분기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가설한다.
이때 통신인입선(4)은 홈(31')에 견고히 지지되어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단정하도록 정리되고, 아울러 홈(31')의 입구에 형성되는 턱부(32)로 인해 이탈이 방지된다.
그 다음 드롭 클램프(5)의 연결고리(5a)를 걸고리(40)에 걸면 본 고안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걸고리(40)에 의해 도 1에서와 같은 별도의 스팬 클램프(6)는 불필요하게 된다.
여기에서 통신인입선(4)을 원거리의 수용가로 가설해야 할 경우에는 플레이트(10)의 연결구멍(11)에 메신저 와이어(7)를 묶어 이 메신저 와이어(7)를 수용가로 가설하고, 이 메신저 와이어(7)에 통신인입선(4)을 결박하며 가설하면 된다.
이때 메신저 와이어(7)의 가설은 연결구멍(11)에 의해 간편하게 된다.
한편 필요에 의해 탭 오프(3)에 접속된 통신인입선(4)을 타 전주로 보내고자 할 경우, 이 통신인입선(4)을, 먼저 홈(31')에 끼우고 절개부(35a)를 통해 커버부(35) 내로 끼운 다음 조가선(1)에 결박하며 가설하면 된다.
이때 이 통신인입선(4)은 커버부(35)의 지지작용으로 외력에 따른 흔들림이 없음은 물론 단정하도록 정리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조가선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탭 오프를 지지하는 탭 오프 브래킷과, 플레이트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통신인입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홀딩부가 형성되는 통신인입선 홀더를 포함하기 때문에탭 오프에 접속된 통신인입선을 홀딩부에 지지시킨 상태로 수용가로 가설하면 홀딩부의 지지력으로 통신인입선의 외력에 의한 흔들림 없고, 아울러 통신인입선을 단정하도록 정리할 수 있는 한편 탭 오프 브래킷에 의해 탭 오프를 안정감 있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홀딩부를 구성하는 홈의 입구에 턱부가 형성되어 홈에 끼워진 통신인입선의 뜻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인입선 홀더에 절개부가 형성된 커버부가 형성되어 탭 오프에 접속된 통신인입선을 조가선에 결박하며 타 전주로 보내고자 할 경우 이를 절개부를 통해 커버부 내로 끼우면 커버부의 지지작용으로 흔들림 없이, 그리고 단정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이 연결구멍을 통해 메신저 와이어를 묶어 간편하게 가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걸고리가 설치되어 드롭 클램프를 별도의 스팬 클램프 없이도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 조가선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탭 오프를 지지하는 탭 오프 브래킷과,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탭 오프에 접속되어 수용가로 향하는 통신인입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홀딩부가 형성되는 통신인입선 홀더와, 상기 통신인입선을 클램핑한 드롭 클램프의 연결고리를 걸어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걸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인입선 정리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에는 원거리의 수용가로 상기 통신인입선을 가설 시에 사용되는 메신저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인입선 정리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각 통신인입선 홀더에는 상기 조가선을 둘러싸고 한쪽에 절개부가 형성된 커버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탭 오프에서 타 전주로 향하는 통신인입선을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커버부 내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인입선 정리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홀딩부는 상기 통신인입선 홀더의 끝 부분에 상기 통신인입선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인입선 정리대.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각 홈의 입구에는 상기 통신인입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턱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인입선 정리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1501U KR200339020Y1 (ko) | 2003-10-07 | 2003-10-07 | 통신인입선 정리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1501U KR200339020Y1 (ko) | 2003-10-07 | 2003-10-07 | 통신인입선 정리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9020Y1 true KR200339020Y1 (ko) | 2004-01-16 |
Family
ID=4934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1501U KR200339020Y1 (ko) | 2003-10-07 | 2003-10-07 | 통신인입선 정리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9020Y1 (ko) |
-
2003
- 2003-10-07 KR KR20-2003-0031501U patent/KR20033902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005116979A (ru) |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й терминал | |
KR20030019163A (ko) | 케이블정리용 결속구 | |
JP2018535889A (ja) |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接続ケーブルのためのケーブル導管装置、ならびに、前記タイプのケーブル導管装置を備える、配線システム、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およ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または車両 | |
KR200339020Y1 (ko) | 통신인입선 정리대 | |
US9620892B2 (en) | Multi-directional wiring rou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JP2008178280A (ja) | ケーブル留め具 | |
JP2004061713A (ja) |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 |
JP2012119241A (ja) | 電気コネクタ | |
JP2017103994A (ja) | ワイヤハーネス固定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構造 | |
KR20090075962A (ko) |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지지용 행거 | |
KR101070510B1 (ko) | 통신 및 전기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 |
CN103969755B (zh) | 用于端接传输线缆的引导支撑和套件 | |
RU2493641C2 (ru) | Контактная колодка дл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модулей и способ ее монтажа | |
KR102192229B1 (ko) | 와이어링의 고정장치 | |
KR101482006B1 (ko) | 통신용 자가지지형케이블 행거 | |
CN208461417U (zh) | 一种线缆尾端紧线器 | |
KR101595514B1 (ko) |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 |
KR20010093978A (ko) | 케이블가설용 행거 | |
US4792309A (en) | Electrical plug with molded on prongs and detachable wire loops | |
JP2008206257A (ja) | ケーブル巻留め金具 | |
KR101268252B1 (ko) | 가공케이블 트레이 | |
JP4251436B2 (ja) | チャンネルベースの電線支持具 | |
JP2012055056A (ja) |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その配線方法 | |
KR100622703B1 (ko) | 와이어 하니스 옵션 테이핑용 클립 | |
JP7079054B2 (ja) | パッチパネ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106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