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984Y1 - 휴대폰 줄 - Google Patents

휴대폰 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984Y1
KR200338984Y1 KR20-2003-0034525U KR20030034525U KR200338984Y1 KR 200338984 Y1 KR200338984 Y1 KR 200338984Y1 KR 20030034525 U KR20030034525 U KR 20030034525U KR 200338984 Y1 KR200338984 Y1 KR 200338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obile phone
outer ring
connecting strip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흠
Original Assignee
박용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흠 filed Critical 박용흠
Priority to KR20-2003-0034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9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링(12)과 외측링(14)으로 구분되고 내측링(12)에 대해 외측링(14)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외측링(14)의 일부분에는 연결공(14a)이 관통 형성된 링(10)과, 외측링(14)의 연결공(14a)에 끼워져 분리되지 않게 연결된 연결띠(20)와, 연결띠(20)의 단부에 연결부재(40)를 통해 고정적으로 연결된 묶음줄(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줄은 링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 걸리기 때문에 휴대폰을 보다 안전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고, 링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묶음줄에 연결된 휴대폰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며, 링의 디자인이 미려하기 때문에 훌륭한 악세사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줄{Portable phone string}
본 고안은 휴대폰 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링 부분이 내측링과 외측링으로 구분되어 내측링에 대해 외측링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휴대폰 줄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어느 장소에서든지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한 편리한 통신수단으로써, 현대 사회 생활에서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고가이기 때문에 상당한 주의를 요하고 있으며, 따라서 실수로 놓치거나 손에서 미끄러졌을 때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줄이 고정되어 있다. 물론, 통상적인 줄의 형태로는 목걸이용 줄, 손목에 감는 줄, 장식용 액세서리를 매달기 위한 줄 등이 있다.
도 1에는 손목에 감는 휴대폰 줄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폰 줄은 손목에 감는 본체줄(1)과 휴대폰(P)의 걸고리에 용이하게 묶을 수 있는 묶음줄(2)이 연결부재(3)에 의해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체줄을 손목에 건상태로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면 휴대폰을 부주의에 의해 놓치더라도 휴대폰 줄에 의해 휴대폰이 손목에 걸려 있기 때문에 휴대폰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되며, 휴대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폰 줄은 디자인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즉, 최근의 휴대폰 사용자들은 휴대폰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휴대폰에 장착되는 악세사리의 디자인도 매우 중요시하는데 종래의 휴대폰 줄은 그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 줄을 벌려서 손목 또는 손에 거는 과정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 줄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손안에서 휴대폰을 자유롭게 움직이는데 제한이 있었다.
즉, 최근에는 휴대폰의 기능이 매우 발전되어 전화 통화 기능에 더해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과 캠코더의 기능이 추가된 휴대폰이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데, 휴대폰 줄의 길이 한정 때문에 휴대폰 줄을 손목에 건 상태에서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을 찍는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단부에는 휴대폰과 연결되는 묶음줄을 구비하고, 타탄부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링을 구비하여 휴대폰을 사용할 때 부주의로 인해 휴대폰을 놓치더라도 손가락에 걸려 휴대폰이 바닥에 떨어지는 방지할 수 있게 한 휴대폰 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링을 반지와 같은 악세사리로 사용할 수 있게 미려하게 디자인 된 휴대폰 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링을 내측링과 외측링으로 구성하고, 내측링에 대해 외측링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묶음줄에 의해 외측링과 연결된 휴대폰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줄은 내측링과 외측링으로 구분되고, 내측링에 대해 외측링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외측링의 일부분에는 연결공이 관통 형성된 링; 외측링의 연결공에 끼워져 분리되지 않게 연결된 연결띠; 및 연결띠의 단부에 연결부재를 통해 고정적으로 연결된 묶음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띠는 상기 외측링의 연결공에 끼운 상태로 접어서 두 겹으로 구성되고, 그 외측둘레에는 접혀진 연결띠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벌어짐방지부재가 연결띠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벌어짐방지부재의 일면에는 고정나사가 내부로 관통되게 체결되어 이 고정나사가 연결띠를 누르면서 벌어짐방지부재가 조정된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링은 상부링과 하부링으로 구분되어 상부링의 외경이 하부링의 내경에 압입 방식으로 끼워져 서로 결합되고, 상부링의 외측둘레 상단부와 하부링의 외측둘레 하단부에는 각각 외측방향으로 이탈방지편이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구성되며, 상기 외측링은 상기 이탈방지편의 사이에서 미세한 갭을 갖도록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줄이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줄을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줄이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링 12: 내측링
12-1: 상부링 12-2: 하부링
12a: 이탈방지편 14: 외측링
14a: 연결공 20: 연결띠
22: 벌어짐방지부재 24: 고정나사
30: 묶음줄 32: 걸림편
40: 연결부재 42: 결합홈
44: 통공 P: 휴대폰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저면도이며, 도 4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줄이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줄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링(10)과, 휴대폰(P)의 걸고리에 용이하게 묶어서 연결하는 묶음줄(30)과, 링(10)과 묶음줄(30)을 연결하는 연결띠(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링(10)은 내측링(12)과 외측링(14)으로 구분되고, 내측링(12)에 대해 외측링(14)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외측링(14)의 일부분에는 연결공(14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링(10)은 반지와 같은 악세사리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측링(12)은 상부링(12-1)과 하부링(12-2)으로 구분되어 상부링(12-1)의 외경이 하부링(12-2)의 내경에 압입 방식으로 끼워져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부링(12-1)의 외측둘레 상단부와 하부링(12-2)의 외측둘레 하단부에는 각각 외측방향으로 이탈방지편(12a)이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되며, 외측링(14)은 이탈방지편(12a)의 사이에서 미세한 갭을 갖도록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외측링(14)의 연결공(14a)에는 연결띠(20)가 끼워져 분리되지 않게 연결된다.
연결띠(20)는 외측링(14)의 연결공(14a)에 끼운 상태로 접어서 두 겹으로 구성되고, 그 외측둘레에는 접혀진 연결띠(2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벌어짐방지부재(22)가 연결띠(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벌어짐방지부재(22)의 일면에는 고정나사(24)가 내부로 관통되게 체결되는데, 이 고정나사(24)가 연결띠(20)를 누르면서 벌어짐방지부재(22)가 조정된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연결띠(20)와 묶음줄(30)은 연결부재(40)를 통해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즉, 연결부재(40)에는 연결띠(2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일측으로 개구되는 결합홈(42)이 형성되고, 개구부와 대응되는 반대편에는 묶음줄(30)이 끼워지는 통공(44)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두 겹으로 이루어진 연결띠(20)는 그 단부가 개구부를 통해 결합홈(42)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묶음줄(30)은 결합홈(42)을 통해 통공(44)을 관통하도록 끼워져 연결되는데, 이때 묶음줄(30)의 단부에는 걸림편(32)이 마련되어 통공(44)의 가장자리에 걸려 분리되지 않게 고정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음줄(30)을 통해 휴대폰(P)의 걸고리에 묶어서 연결시키고 링(10)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휴대폰(P)을 사용하거나 휴대하여 다니게 되면 부주의로 인해 휴대폰(P)을 놓치는 경우에서 휴대폰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P)을 보다 안전하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진 내측링(12)에 대해 휴대폰(P)과 연결되는 외측링(14)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안에서 휴대폰(P)을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휴대폰(P)이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때 휴대폰을 안전하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은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편리함과 만족감을 주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단순한 휴대폰 줄의 기능에 더해 링(10)이 반지와 같은 악세사리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미려하게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폰의 훌륭한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줄은 링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 걸리기 때문에 휴대폰을 보다 안전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고, 링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묶음줄에 연결된 휴대폰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며, 링의 디자인이 미려하기 때문에훌륭한 악세사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측링(12)과 외측링(14)으로 구분되고, 내측링(12)에 대해 외측링(14)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외측링(14)의 일부분에는 연결공(14a)이 관통 형성된 링(10);
    상기 외측링(14)의 연결공(14a)에 끼워져 분리되지 않게 연결된 연결띠(20); 및
    상기 연결띠(20)의 단부에 연결부재(40)를 통해 고정적으로 연결된 묶음줄(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띠(20)는 상기 외측링(14)의 연결공(14a)에 끼운 상태로 접어서 두 겹으로 구성되고, 그 외측둘레에는 접혀진 연결띠(2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벌어짐방지부재(22)가 연결띠(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벌어짐방지부재(22)의 일면에는 고정나사(24)가 내부로 관통되게 체결되어 이 고정나사(24)가 연결띠(20)를 누르면서 벌어짐방지부재(22)가 조정된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링(12)은 상부링(12-1)과 하부링(12-2)으로 구분되어 상부링(12-1)의 외경이 하부링(12-2)의 내경에 압입 방식으로 끼워져 서로 결합되고, 상부링(12-1)의 외측둘레 상단부와 하부링(12-2)의 외측둘레 하단부에는 각각 외측방향으로 이탈방지편(12a)이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링(14)은 상기 이탈방지편(12a)의 사이에서 미세한 갭을 갖도록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줄.
KR20-2003-0034525U 2003-11-04 2003-11-04 휴대폰 줄 KR200338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525U KR200338984Y1 (ko) 2003-11-04 2003-11-04 휴대폰 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525U KR200338984Y1 (ko) 2003-11-04 2003-11-04 휴대폰 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984Y1 true KR200338984Y1 (ko) 2004-01-24

Family

ID=4942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525U KR200338984Y1 (ko) 2003-11-04 2003-11-04 휴대폰 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9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034B1 (ko) * 2004-08-12 2005-07-05 주식회사 아트랑 핑거스트랩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034B1 (ko) * 2004-08-12 2005-07-05 주식회사 아트랑 핑거스트랩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6751A1 (en) Extending socket for portable media player
US20060121962A1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telephone with cord organization means
KR200338984Y1 (ko) 휴대폰 줄
IT201900005286A1 (it) Accessorio per telefono cellulare o simili provvisto di elementi mobili
KR101215073B1 (ko) 스마트폰용 케이스
KR101136281B1 (ko)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락킹 장치
KR200357994Y1 (ko) 휴대폰 줄
KR200379805Y1 (ko) 핑거스트랩
KR200488083Y1 (ko) 손가락 파지부재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0426046Y1 (ko) 이어폰 고정이 가능한 엠피쓰리 플레이어 케이스
KR20070105606A (ko) 휴대폰의 핸즈프리용 이어마이크폰의 수납 케이스
KR200368170Y1 (ko) 다기능 휴대폰 목걸이 줄
CN213173127U (zh) 二合一绳头
KR200369786Y1 (ko) 목걸이줄 연결구
KR200217557Y1 (ko) 탈착이 가능한 휴대폰 목걸이
KR200437920Y1 (ko)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KR100990850B1 (ko) 휴대폰 분실방지 액세서리
JP3069620U (ja) ストラップ
KR200301570Y1 (ko) 핸드폰 장착용 팔찌
KR200342921Y1 (ko) 악세사리형 핸즈프리
KR200360222Y1 (ko) 핸드폰 줄
KR200350707Y1 (ko) 휴대폰의 흠집방지용 스트랩
JP3043457U (ja) ハンドストラップ
KR200388424Y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기기의 목걸이
JP3070789U (ja) 巻き取り自在ネックス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