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920Y1 -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920Y1
KR200437920Y1 KR2020060032485U KR20060032485U KR200437920Y1 KR 200437920 Y1 KR200437920 Y1 KR 200437920Y1 KR 2020060032485 U KR2020060032485 U KR 2020060032485U KR 20060032485 U KR20060032485 U KR 20060032485U KR 200437920 Y1 KR200437920 Y1 KR 200437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reel
loss
prevent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주
Original Assignee
조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주 filed Critical 조영주
Priority to KR2020060032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9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9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04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with an automatic spring re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 본체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하부에 결속용 고리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휴대폰 본체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하부에 형성한 결속용 고리에 결속시킨 고리줄에 연결되고 인형류나 액세서리류의 장식부재에 내재되며 휴대폰의 사용시 그 이동성에 따라 신축기능을 자유자재로 발휘토록 한 신축수단과, 상기 신축수단에 연결되고 의복바지의 허리고리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분실방지용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게 하고; 상기 휴대폰 본체나 휴대폰 보호케이스 또는 상기 장식부재에 내재되는 신축수단의 어느 하나에는 교통카드가 구비되게 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을 의복 등에 결착시켜 사용하므로 취급 부주의에 따른 휴대폰의 분실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신축작용을 통해 연결된 휴대폰의 자재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휴대폰 사용 및 보관시 불편함 및 지장을 초래하는 일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의 장착은 사용용도의 확대와 생활의 편의를 도모 및 사용의 편리성을 높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DEVICE FOR USE CONVENIENCE AND LOSS PREVENTION OF PORTABLE PHON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 신축수단의 구성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휴대폰 본체 2: 휴대폰 보호케이스
10: 결속용 고리 20: 고리줄
30: 장식부재 40: 신축수단
41: 원형케이스 41a: 돌부
42: 릴 42a: 릴홈
42b: 수용홈 43: 신축스프링
44: 신축줄 50: 분실방지용 고리부재
60: 교통카드
본 고안은 휴대폰의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의복 등에 결착시켜 사용함으로써 휴대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신축기능을 부여함에 의해 사용상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며 편의성을 고려한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이동성을 갖는 장치로서 휴대하면서 가지고 다니는 이동통신기기이다.
이러한 휴대폰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휴대물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최근의 산업사회 및 정보사회에 있어 실제로 이 휴대폰을 소유하지 않을 경우에 불편함을 겪는 이들이 아주 많이 존재하는 실정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반도체기술의 발달로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의 휴대폰은 개인소유자의 실수로 분실하기가 쉬우며, 실제로 많은 휴대폰들이 분실되고 있어 개인의 경제적인 손해와 정보력이 상실되는 문제점은 물론 분실한 휴대폰의 보관 및 처리 등 국가적으로도 경제적인 낭비가 행해지는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폰에는 휴대폰 본체에 장식줄이나 목걸이줄 등을 연결시 사용되는 연결고리가 본체의 상부로만 구성됨에 의해 연결고리를 활용하는데 제약이 따르거나 사용상 불편함이 제기되는 경우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휴대폰을 의복 등에 결착시켜 사용함으로써 휴대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신축기능을 부여함에 의해 사용상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며 편의성을 고려한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폰 본체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하부에 결속용 고리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휴대폰 본체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하부에 형성한 결속용 고리에 결속시킨 고리줄에 연결되고 인형류나 액세서리류의 장식부재에 내재되며 휴대폰의 사용시 그 이동성에 따라 신축기능을 자유자재로 발휘토록 한 신축수단과, 상기 신축수단에 연결되고 의복바지의 허리고리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분실방지용 고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수단은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내벽의 일측면 중심에 고정홈을 갖는 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원형케이스와, 상기 원형케이스 내에 수용되어지되 중심부가 상기 돌부에 삽입 위치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릴홈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원형 릴과, 상기 원형 릴의 수용홈에 내재되며 상기 돌부의 외측으로 태엽식으로 감겨져있되 내측에 위치한 선단부가 상기 돌부의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고 최외측에 위치한 끝단부가 상기 릴측에 고정되는 신축스프링과, 상기 릴측에 일측단이 고정된 채로 릴홈에 감겨지며 타측단이 상기 분실방지용 고리부재측에 결속되는 신축줄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휴대폰 본체나 휴대폰 보호케이스 또는 상기 장식부재에 내재되는 신축수단의 어느 하나에는 교통카드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 신축수단의 구성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는 휴대폰 본체(1)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2)의 하부에 결속용 고리(10)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고리(10)에 결속되는 고리줄(20)에 연결되고 인형류나 액세서리류의 장식부재(30)에 내재되며 휴대폰의 사용시 그 이동성에 따라 자재로운 신축기능을 하게 되는 신축수단(40)과, 상기 신축수단(40)에 연결되고 의복바지의 허리고리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분실방지용 고리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용 고리(10)는 이해력을 높이기 위하여 하측방향 돌출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휴대폰 본체(1)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2) 상에 밀착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신축수단(40)은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내벽의 일측면 중심에 고정홈(41a-1)을 갖는 돌부(41a)가 돌출 형성되는 원형케이스(41)와, 상기 원형케이스(41) 내에 수용되어지되 중심부가 상기 돌부(41a)에 삽입 위치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릴홈(42a)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수용홈(42b)이 형성되는 원형 릴(reel)(42)과, 상기 원형 릴(42)의 수용홈(42b)에 내재되며 상기 돌부(41a)의 외측으로 태엽식으로 감겨져있되 내측에 위치한 선단부가 상기 돌부(41a)의 고정홈(41a-1)에 삽입 고정되고 최외측에 위치한 끝단부가 상기 릴(42)측에 고정되는 신축스프링(43)과, 상기 릴측에 일측단이 고정된 채로 릴홈(42a)에 감겨지며 타측단이 상기 분실방지용 고리부재(50)측에 결속되는 신축줄(44)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신축수단(40)은 신축줄(44)이 당겨지면 그 당기는 힘의 작용력만큼 릴(42)이 회전하고 릴(42)의 회전에 따라 신축스프링(43)이 감겨지게 되며, 그 당기는 힘이 미약해지는 등 변화가 수행되면 그 변화되는 작용력만큼 신축스프링(43)의 감김이 해제되면서 신축스프링(43)의 복귀되는 힘에 의해 릴(42)이 역회전하여 당겨졌던 신축줄(44)이 릴(42)측에 다시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신축수단(40)은 편의상 신축줄(44)을 상기 분실방지용 고리부재(50)에 결속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휴대폰 본체(1)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시킨 결속용 고리(10)에 신축줄(44)을 결속하고 장식부재(30)와 분실방지용 고리부재(50)를 연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신축수단(40)을 상기 장식부재(30)의 구성없이 연결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30) 내에 교통카드(60)를 내장시켜 지갑 등을 사용시마 다 꺼내어야하는 불편함 및 교통카드의 인식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교통카드(6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식부재(30)에 내재되는 신축수단(40)의 원형케이스(41)에 부착하면 용이하면서도 간단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교통카드(6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휴대폰 본체(1)에 부착하여 구비되게 하거나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2)에 내장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는 휴대폰의 사용중 또는 비사용중에 관계없이 휴대폰을 항상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휴대 및 보관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취급 부주의에 따른 휴대폰 분실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며, 릴 타입의 신축수단(40)을 구비하여 연결 구성함에 의해 사용중이거나 보관중에 휴대폰에 이동성이 발생되면 그 이동성에 따라 신축줄(44)이 릴(42)의 회전 및 신축스프링(43)의 작용력으로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른 자재(自在)로운 신축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에 따라 휴대폰의 사용이나 보관시 걸림 등의 현상 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되며 사용상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없게 된다.
또한, 교통카드(60)를 휴대폰 본체(1)나 휴대폰 보호케이스(2) 또는 신축수단(40)의 어느 하나에 구비토록 함에 의해 교통카드의 사용시마다 주머니나 보관가방에서 꺼내고 다시 집어넣어야하는 불편함 등을 제거할 수 있어 휴대폰의 분실방지기능과 겸하여 생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나아가, 휴대폰 본체(1)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2)의 하부에 결속용 고리(10)를 형성시킴에 의해 일반 목걸이형태의 줄이나 손목걸이형태의 줄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존 상단 고리구조에 비해 휴대폰을 손으로 거머쥐기가 더욱 쉬워지며 휴대폰을 한층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된다 할 수 없으며, 본 고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유사범주 내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들은 본 고안에 귀속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에 의하면, 휴대폰을 의복 등에 결착시켜 사용하므로 취급 부주의에 따른 휴대폰의 분실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신축수단을 통해 신축작용을 부여함에 따라 연결된 휴대폰의 자재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휴대폰 사용 및 보관시 불편함 및 지장을 초래하는 일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교통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사용용도의 확대는 물론 생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높여줄 수 있다.

Claims (4)

  1. 휴대폰 본체(1)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2)의 하부에 결속용 고리(10)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휴대폰 본체(1)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2)의 하부에 형성한 결속용 고리(10)에 결속시킨 고리줄(20)에 연결되고 인형류나 액세서리류의 장식부재(30)에 내재되며 휴대폰의 사용시 그 이동성에 따라 신축기능을 자유자재로 발휘토록 한 신축수단(40)과, 상기 신축수단(40)에 연결되고 의복바지의 허리고리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분실방지용 고리부재(50)를 구비한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40)은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내벽의 일측면 중심에 고정홈(41a-1)을 갖는 돌부(41a)가 돌출 형성되는 원형케이스(41)와, 상기 원형케이스(41) 내에 수용되어지되 중심부가 상기 돌부(41a)에 삽입 위치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릴홈(42a)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수용홈(42b)이 형성되는 원형 릴(reel)(42)과, 상기 원형 릴(42)의 수용홈(42b)에 내재되며 상기 돌부(41a)의 외측으로 태엽식으로 감겨져있되 내측에 위치한 선단부가 상기 돌부(41a)의 고정홈(41a-1)에 삽입 고정되고 최외측에 위치한 끝단부가 상기 릴(42)측에 고정되는 신축스프링(43)과, 상기 릴측에 일측단이 고정된 채로 릴홈(42a)에 감겨지며 타측단이 상기 분실방지용 고리부재(50)측에 결속되는 신축줄(44)로 구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본체(1)나 휴대폰 보호케이스(2) 또는 상기 장식부재(30)에 내재되는 신축수단(40)의 어느 하나에는 교통카드(6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3. 삭제
  4. 삭제
KR2020060032485U 2006-12-21 2006-12-21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KR200437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485U KR200437920Y1 (ko) 2006-12-21 2006-12-21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485U KR200437920Y1 (ko) 2006-12-21 2006-12-21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920Y1 true KR200437920Y1 (ko) 2008-01-07

Family

ID=4134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485U KR200437920Y1 (ko) 2006-12-21 2006-12-21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9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850B1 (ko) * 2008-01-11 2010-10-29 노영만 휴대폰 분실방지 액세서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850B1 (ko) * 2008-01-11 2010-10-29 노영만 휴대폰 분실방지 액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567B2 (en) Stick-on security ring for a hand held device
US6662986B2 (en) Mobile phone strap holder apparatus and method
US20080042000A1 (en) Universal Retractable Zip Clip
US20060121962A1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telephone with cord organization means
KR200437920Y1 (ko)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JP2007243893A (ja) 携帯電話のキャリーバッグ
WO2002049468A1 (fr) Bande permettant l'installation d'un telephone cellulaire
KR200492029Y1 (ko) 핸드폰 고리
KR200378096Y1 (ko) 손등 부착용 휴대폰 홀더
KR200277961Y1 (ko) 말림장치의 고리겸용 스트랩
KR200194463Y1 (ko) 핸드폰 휴대를 위한 어깨걸이겸 이어마이크폰
KR102342744B1 (ko) 사용이 편리한 휴대폰 보관케이스
US20060147033A1 (en) Tying device for fastening personal item to a user
JP3176083U (ja) 携帯端末収納ケース
US20090119888A1 (en) Leash device for wireless cellular phone ear pieces
JP7374507B2 (ja) ストラップ取付具及びストラップ取付具の取り付け方法
KR200234785Y1 (ko) 휴대폰 부착 목걸이 겸용 브로치
KR200313526Y1 (ko) 분실방지용핸드폰줄
KR200282344Y1 (ko) 휴대전화용 손목착용밴드
KR20010000597U (ko) 배낭
JP3074050U (ja) 携帯電話等携帯品のストラップ
JP3070789U (ja) 巻き取り自在ネックストラップ
KR200441310Y1 (ko) 휴대기기에 장착되는 핸드 스트랩
JP3029385U (ja) 携帯物の伸縮ホルダー
KR200331305Y1 (ko) 레저용 아암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