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428Y1 - 회전식 방음판 - Google Patents

회전식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428Y1
KR200338428Y1 KR20-2003-0031110U KR20030031110U KR200338428Y1 KR 200338428 Y1 KR200338428 Y1 KR 200338428Y1 KR 20030031110 U KR20030031110 U KR 20030031110U KR 200338428 Y1 KR200338428 Y1 KR 200338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soundproof plate
soundproof
insertion groove
sound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환
문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이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이병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to KR20-2003-0031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4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4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로변이나 도로변에 설치되어 풍압 발생시 방음판이 회전하면서 풍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프레임과 방음판의 결합구조를 경제적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함으로써, 설치 시공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공사기간과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주와 지주사이에 끼워지는 사각형상의 외측프레임과, 이 외측프레임 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방음판을 갖는 회전식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의 양측에 대향되고, 상기 프레임 내외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 내부에 힌지구멍을 갖는 외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양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 내부에 힌지구멍을 갖는 방음판;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삽입홈과 방음판의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이의 중간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힌지구멍을 관통하며, 내부가 중공된 제1,2회전소켓; 상기 외측프레임의 외측삽입홈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이의 중간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1,2회전소켓을 관통하여 방음판을 지지 및 회전시키는 힌지축;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삽입홈 전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방음판의 전후방 양측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일정압력 이상의 풍압이 방음판에 작용하면 방음판이 차음부재의 단부를 밀치면서 선회할 수 있도록 한 차음부재; 및 상기 차음부재의 전후방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음판이 일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외측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방음판{Rotation type soundproofing panel}
본 고안은 철로변이나 도로변에 설치되어 풍압 발생시 방음판이 회전하면서 풍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프레임과 방음판의 결합구조를 경제적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함으로써, 설치 시공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공사기간과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방음판)은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또는 철도 등의 주변에서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도로와 인접된 주택 학교 등의 건물에 전달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한 방음벽은 도로의 양쪽에서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는 지주(H빔)와, 이 지주들 사이에 양단이 슬라이드 끼움 결합되며 내측에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음재를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설치 작업시에는 먼저 도로의 양쪽에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지주들을 소정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세워서 고정시키고, 이 지주들 사이에 프레임의 양단을 일치시킨 후 지주의 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하나씩 밀어 넣어 적층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방음벽은 종래와 같이 프레임과 방음판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식 방음벽이 있고, 또 지주에 끼움된 프레임의 내측에 방음판이 별도로 삽입되어 지주와의 간섭 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방음벽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회전식 방음벽은 바람에 의한 풍압을 해소시켜 방음벽 전체의 작용하는 풍하중을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나, 방음판이 설치되는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작업 및 보수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방음벽은 종래에 선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028181호 풍압 흡수형 회전식 방음벽, 제20-0316324호 회전식 방음판의 고정장치, 제20-0316364호 탄성복귀력을 갖는 회전식 방음판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풍압 흡수형 회전식 방음벽은 외측 프레임(100)과 방음판(200)의 내부에 결합홈(110)(210), 안내홈(120)(220), 고정홈(130)(230), 걸림턱(140)(240)을 형성하여 커버(150) (250)와 회전축(300)과 비틀림 스프링(400)을 각각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결합구조가 복잡하고 외측 프레임(100)과 방음판(200)을 제작하는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400)을 장시간 사용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방음판(200)이 최초상태로 복귀하지 못하고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방음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태풍이나 일정압력 이상의 풍압이 지속적으로 작용할 경우 회전축(300)이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고 비틀림이나 마모 등으로 인하여 방음판(200)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 회전식 방음판 고정장치(제20-0316324호)의 경우, 외측프레임(100) 내부에 방음판(200)의 양단부가 힌지핀(210)으로 고정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힌지핀(210)은 단순히 방음판(200)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외측프레임(100) 저면에 패킹(300)이 형성되어 풍압이 작용하면 방음판(200)이 패킹(300)을 밀치고 회전한 후 풍압이 약해지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방음판(200)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패킹 (300)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정확한 위치로의 복귀가 어렵고 항상 방음판 (200)이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흡음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음판(200)과 패킹(300)에 자성체(400)와 금속편(500)을 설치하여 자성체(400)의 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가 간편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도 일정압력 이상의 풍압이 발생할 경우에 패킹(300)을 밀치고 회전하는 방음판(20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서도 어느 정도의 풍압이 작용해야 되는데, 자연현상으로 불어오는 풍압이 항상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지 못하고 소정각도 기울어져 있기에 기밀을 유지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탄성 복귀력을 갖는 회전식 방음판(제20-0316364호)의 경우, 전체 구성이 복잡하고 복수의 부품을 결합시 조립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기간과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인하여 시공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품의 원가가 고가임으로 인하여 생산 제품의 경쟁력이 약하고 취급 및 보수에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이 회전식 방음벽(방음판)은 시공이 간편하고 원가를 절감하면서 흡음효율과 풍하중을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해야 되는데, 근래에 사용되는 방음벽(방음판)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방음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가 외부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미관상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외측프레임과 방음판의 결합구조를 경제적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방음판의 양측 내면에 제1,2회전 소켓이 결합되고, 이와 대응하는 외측프레임 양측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이 삽입홈에 힌지축이 끼워져서 제1,2회전 소켓을 관통하여 방음판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방음판을 장시간 사용하여도 힌지축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한 회전식 방음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음판의 양측면을 탄력적으로 감싸도록 외측프레임 내측 전후방에 차음부재를 설치하여 풍압에 의해 방음판이 회전시 방음판 양단부가 차음부재와 분리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회전식 방음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서 시공기간 및 시공시간을 단축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보장설계를 통해서 제품의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생산성의 개선과 제조업체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회전식 방음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주와 지주사이에 끼워지는 사각형상의 외측프레임과, 이 외측프레임 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방음판을 갖는 회전식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의 양측에 대향되고, 상기 프레임 내외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 내부에 힌지구멍을 갖는 외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양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 내부에 힌지구멍을 갖는 방음판;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삽입홈과 방음판의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이의 중간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힌지구멍을 관통하며, 내부가 중공된 제1,2회전소켓; 상기 외측프레임의 외측삽입홈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이의 중간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1,2회전소켓을 관통하여 방음판을 지지 및 회전시키는 힌지축;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삽입홈 전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방음판의 전후방 양측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일정압력 이상의 풍압이 방음판에 작용하면 방음판이 차음부재의 단부를 밀치면서 선회할 수 있도록 한 차음부재; 및 상기 차음부재의 전후방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음판이 일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외측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 구성도
도 3 은 A - A선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제1회전 소켓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 제2회전 소켓의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 힌지축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측프레임 11 : 외측삽입홈
12 : 내측삽입홈 13 : 수납실
14 : 걸림턱 20 : 방음판
21 : 단턱부 22 : 흡음재
23 : 고정 브라켓트 24 : 삽입홈
30 : 제1회전 소켓 31,35,44 : 베이스
32,36,42 : 구멍 33,37,43 : 돌출부
34 : 제2회전 소켓 40 : 힌지축
50 : 차음부재 51 : 걸림부
60 : 브라켓트 61 : 절곡부
62 : 완충부재 H : 힌지구멍
B : 볼트 1 : 회전식 방음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로서, 본 고안 회전식 방음판은 지주(H빔)와 지주(H빔) 사이에 적층되는 사각형상의 외측프레임(10)과, 상기 외측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방음판(20)과, 외측프레임(10)과 방음판(20)의 양측에 결합되어 방음판(20)을 안정되게 회전시키는 제1,2회전 소켓(30)(34)과 힌지축 (40), 상기 방음판(20)이 일정압력 이상의 풍압이 작용하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음부재(50)와, 방음판(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외측프레임(10)에 설치되는 브라켓트(60)로 크게 구성된다.
외측프레임(10)은 지주(2) 사이에 끼워지도록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외측프레임(10)의 상부 내외측면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사각형상의 삽입홈(11)(12)이 형성되고, 이의 내부 중앙에 힌지구멍(H)이 형성되어 후술할 힌지축(40)이 결합된다.
한편, 힌지구멍(H)은 외측삽입홈(11)에 형성된 힌지구멍(H)이 조금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내측삽입홈(12)에 결합되는 제1회전 소켓(30)의 내부에 힌지축(40)이 결합되기 위해서다.
그리고, 방음판(20)의 내측삽입홈(12)의 전후방에 후술할 차음부재(5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되어 양단부에 걸림턱(14)을 갖도록 형성하고, 이의 내부에 차음부재(5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수납실(13)이 형성된다.
방음판(20)은 외측프레임(10) 내부에 설치되어 선회가 가능한 것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프레임(10)의 내측삽입홈(12)과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구조를 갖는 삽입홈(24)을 대향되게 형성하고, 이의 내부에 힌지구멍(H)을 형성하여 후술할 제2회전 소켓(34)이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방음판(20)의 내부에는 외부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음재(22)가 설치되는데, 이때 방음판(20)은 내측 전방부분이 계단식으로 돌출된 단턱부(21)를 형성하여 이의 전면에 흡음재(22)의 전면이 밀착되도록 하고, 이의 후방에 일측이 절곡된 고정 브라켓트(23)가 리벳 또는 볼트(B) 등으로 고정되어 흡음재(22)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2회전 소켓(30)(34)은 외측프레임(10)의 내측삽입홈(12)과 방음판(20)의 삽입홈(24)에 각각 결합되어 내부에 힌지축(40)의 일단이 끼워져서 방음판(2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2회전 소켓(30)(34)은 사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베이스 (31)(35)를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31)(35)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삽입홈(12)(24)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2회전 소켓(30)(34)은 리벳 또는 볼트(B)를 체결할 수 있도록 베이스(31)(35) 상하부에 복수의 구멍(32)(36)을 형성하여 삽입홈(12)(24)에 고정시키는데, 이때 베이스(31)(35)의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돌출부(33)(37)를 형성하여 돌출부(33)(37)가 힌지구멍(H)에 끼워지도록하고, 이의 내부는 후술할 힌지축(4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이 중공되어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도 4 및 도 5참조)
한편, 제1,2회전 소켓(30)(34)은 외측프레임(10)의 외측삽입홈(11)과 방음판 (20)의 삽입홈(24) 내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와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보았을 경우 미관을 미려하게 한 것이다.
힌지축(40)은 외측프레임(10)의 외측삽입홈(11)에 일단이 밀착되도록 사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베이스(41)를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41)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외측삽입홈(11)에 밀착 고정된다. 이때 베이스(41)의 상하부에는 복수의 구멍(42)이 형성되어 리벳 또는 볼트(B)로 삽입홈(1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외측삽입홈(11)에 고정되는 힌지축(40)은 베이스(41)의 전방으로 돌출부(43)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43)가 제1,2회전 소켓(30)(34)을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하여 힌지축(40)을 중심으로 방음판(2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힌지축(40)은 외부프레임(10)과 방음판(20)의 중심부보다 조금 위쪽에 형성하여 방음판(20)에 풍압이 발생시 풍압이 원활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차음부재(50)는 외측프레임(10)의 내측삽입홈(12) 전후방에 형성된 수납실 (13)에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턱(14)에 고정되도록 걸림부(51)가 형성되고, 걸림부 (51)의 전방으로 중간부분이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20)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하되, 상부 내측면에서 하측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하여 일정압력 이상의 풍압이 작용하면 방음판(20)의 전방 외주면이 차음부재(50)의 단부를 탄력적으로 밀치고 나가면서 방음판(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차음부재(50)는 전후방에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방음판 (20)의 양측면과 전후방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동시에 방음판(20)이 원래의 위치로 쉽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브라켓트(60)는 외측프레임(10)의 내측 후방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방음판(20)의 후방과 밀착되도록 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61)를 갖으며, 이 절곡부 (61)의 전방에는 방음판(20)과 접촉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완충부재(62)가 형성된다.
한편, 브라켓트(60)는 방음판(20)이 힌지축(40)을 중심으로 선회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외측프레임(10)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측부분과 양측부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완충부재(62)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 회전식 방음판을 도면을 첨부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회전식 방음판(1)은 조립보장설계를 통해서 조립 및 보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먼저 외측프레임(10)의 내측삽입홈(12)과 방음판(20)의 삽입홈(24)에 제1,2회전 소켓(30)(34)을 볼트(B)로 체결하면 외부에서 제1,2회전 소켓(30)(34)이 보이지 않기에 외부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미관이 미려한 느낌을 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방음판(20)의 내부에는 흡음재(22)를 설치한 다음 고정 브라켓트(23)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B)로 고정시키면 흡음재(22)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흡음재(22)는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방음판(20)을 외측프레임(10)에 결합하기 이전에 외측프레임(10)의 수납실(13)에 차음부재(50)의 걸림부(51)가 끼워져서 걸림턱(14)에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대향되는 차음부재(50)의 후방에는 브라켓트(60)를 위치시킨 다음 완충부재(62)가 방음판(20)의 후방과 밀착되도록 위치를 세팅하고 볼트(B)를 외측프레임(10)에 체결하면 일차적인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외측프레임(10)의 내부에 방음판(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측삽입홈(11)에 힌지축(40)의 돌출부(43)를 삽입하면 돌출부 (43)는 방음판(20)의 제1,2회전 소켓(30)(34)을 관통하여 방음판(20)이 외측프레임 (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선회가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방음판(20)이 결합되면 힌지축(40)의 베이스(41)를 외측삽입홈(11)에 볼트(B)를 체결하면 모든 조립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회전식 방음판(1)을 지주(2)와 지주(2)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사용하는데, 상기 회전식 방음판(1)은 철로변이나 도로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일정압력 이상의 풍압이나 태풍이발생할 경우 풍압이 방음판(20)의 하측부분에 부딪히면 방음판(20)은 힌지축(40)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풍압을 외부로 흘려보내게 된다.
이와 같이 방음판(20)이 선회하는 과정에서 방음판(20)의 양측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차음부재(50)의 단부를 풍압에 의해 방음판(20)이 밀치면서 방음판(20)이 선회가 가능한 것이다.
풍압이나 태풍이 어느 정도 잠잠해지면 방음판(2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소음을 차단하게 되는데, 근래의 방음판(20)은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가 어려웠으나, 본 고안에서는 차음부재(50)의 단부를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라운드면의 단부에 방음판(20)의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차음부재(50)를 내측으로 밀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 차음부재(50)는 방음판(20)의 외주연을 감싸고 있기에 외부의 소음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풍압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서 수시로 달라지기에 일측으로 개방된 방음판(2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반대편에서도 풍압이 작용할 경우 방음판의 회전하는 힘과 속도가 커지더라도 일차적으로 차음부재(50)의 단부에서 완충효과가 발생하고 그 다음 브라켓트(60)의 완충부재(62)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최소로 완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회전식 방음판(20)은 일방향으로 방음판(20)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방음판(20)을 설치할 때 한 블록 단위로 방음판(20)이 개방되는 방향을 서로 반대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식 방음판(1)에 작용하는 풍하중을최대한 흡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식 방음판(20)은 철로변이나 도로변의 지주(2)에 외측프레임(10)을 신속하고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방음판(20)과 외측프레임(10)의 조립구성이 간편하고 쉽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과, 힌지축(40)이 제1,2회전 소켓(30)(34)을 관통하여 견고하게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태풍이 방음판(20)과 충돌할 경우 기존에 힌지축(40)이 비틀리거나 변형되어 방음판(20)이 원활하게 선회하지 못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외측프레임과 방음판의 조립을 경제적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보정설계를 통해 설계하고, 외측프레임의 내부에서 선회하는 방음판이 풍압에 의해 선회한 후 원래의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가 가능하도록 방음판의 양측면에 차음부재를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음부재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라운드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방음판의 양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방음판에 풍압이 작용하면 방음판의 외주면이 라운드면의 상부를 탄력적으로 밀치고 선회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한 장점이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 회전식 방음판은 외측프레임과 방음판의 조립작업이 간편하여 취급 및 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시공기간과 시간을 단축하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외측프레임과 방음판의 내측으로 삽입홈을 형성하고 삽입홈의 내측에 이들을 결합시키는 제1,2회전 소켓과 힌지축이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간섭이 없고 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는 고안이다.

Claims (7)

  1. 지주와 지주사이에 끼워지는 사각형상의 외측프레임과, 이 외측프레임 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방음판을 갖는 회전식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의 양측에 대향되고, 상기 프레임 내외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 내부에 힌지구멍을 갖는 외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양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 내부에 힌지구멍을 갖는 방음판;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삽입홈과 방음판의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이의 중간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힌지구멍을 관통하며, 내부가 중공된 제1,2회전소켓;
    상기 외측프레임의 외측삽입홈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이의 중간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1,2회전소켓을 관통하여 방음판을 지지 및 회전시키는 힌지축;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삽입홈 전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방음판의 전후방 양측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일정압력 이상의 풍압이 방음판에 작용하면 방음판이 차음부재의 단부를 밀치면서 선회할 수 있도록 한 차음부재; 및
    상기 차음부재의 전후방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음판이 일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외측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음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은 상기 내측삽입홈의 전후방에 차음부재의 일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되어 이의 양단부에 결림턱이 형성되고, 내부에 차음부재가 수납되도록 수납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음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은 내측 전방부분이 계단식으로 돌출된 단턱부를 형성하여 흡읍재의 전면이 밀착되도록 하고, 이의 후방에 고정 브라켓트가 리벳 또는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상기 흡음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음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회전소켓과 힌지축은 일단이 사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하부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베이스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돌출부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음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재는 외측프레임에 형성된 수납실에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턱에 고정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고, 걸림부의 중간부분이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하되, 상부 내측면에서 하측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하여 일정압력 이상의 풍압이 작용하면 방음판의 전방 양측면이차음부재의 단부를 탄력적으로 밀치고 나가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음판.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재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음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외측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방음판의 후방과 밀착되도록 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갖으며, 상기 절곡부의 전방에 방음판과 접촉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완충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방음판.
KR20-2003-0031110U 2003-10-02 2003-10-02 회전식 방음판 KR200338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110U KR200338428Y1 (ko) 2003-10-02 2003-10-02 회전식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110U KR200338428Y1 (ko) 2003-10-02 2003-10-02 회전식 방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428Y1 true KR200338428Y1 (ko) 2004-01-16

Family

ID=4934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110U KR200338428Y1 (ko) 2003-10-02 2003-10-02 회전식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42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539B1 (ko) 2005-12-06 2006-07-20 신성산건 주식회사 회전식 투명 차음판
KR100988311B1 (ko) 2008-05-13 2010-10-18 주식회사 태건 투명판 회전형 방음모듈
KR101438092B1 (ko) 2014-06-03 2014-09-12 에이텍 산업 주식회사 클립 분리형 투명 방음판
KR101969295B1 (ko) * 2018-07-11 2019-04-16 장석기 복합형 흡음 방음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539B1 (ko) 2005-12-06 2006-07-20 신성산건 주식회사 회전식 투명 차음판
KR100988311B1 (ko) 2008-05-13 2010-10-18 주식회사 태건 투명판 회전형 방음모듈
KR101438092B1 (ko) 2014-06-03 2014-09-12 에이텍 산업 주식회사 클립 분리형 투명 방음판
KR101969295B1 (ko) * 2018-07-11 2019-04-16 장석기 복합형 흡음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11602A1 (en) Hinge
KR200432780Y1 (ko) 댐퍼부착형 도어힌지
EA013549B1 (ru) Дверь дл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или сушильного барабана
KR200338428Y1 (ko) 회전식 방음판
KR101578638B1 (ko) 지붕 브라켓
KR200233054Y1 (ko) 도어용 완충기
KR102229331B1 (ko) 원터치 개폐형 투명방음패널
KR20040079088A (ko) 탄성 복귀력을 갖는 회전식 방음판
KR101035517B1 (ko) 냉장고의 홈바도어 작동구조
KR20120045589A (ko) 회전댐퍼
KR200395474Y1 (ko) 방음판
CN204299347U (zh) 微型汽车中门铰链
KR20140008833A (ko) 절첩식 컨테이너용 스프링 경첩
KR100937387B1 (ko) 고정구가 형성된 도어경첩의 구조
KR100600539B1 (ko) 회전식 투명 차음판
CN210129367U (zh) 一种折叠式顶装显示装置
KR200177103Y1 (ko) 피봇힌지
KR102618571B1 (ko) 방음시설용 무경첩 회전 개폐창
KR200376907Y1 (ko) 경첩
CN218862493U (zh) 一种门框碰角结构及门框
KR200357509Y1 (ko)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KR200363692Y1 (ko) 방음판넬
CN2913531Y (zh) 双向执手弹力结构
CN2916033Y (zh) 单向执手弹力结构
KR200401113Y1 (ko) 글라스도어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