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734Y1 - 마늘쪽분리기 - Google Patents

마늘쪽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734Y1
KR200337734Y1 KR20-2003-0031005U KR20030031005U KR200337734Y1 KR 200337734 Y1 KR200337734 Y1 KR 200337734Y1 KR 20030031005 U KR20030031005 U KR 20030031005U KR 200337734 Y1 KR200337734 Y1 KR 200337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garlic
sprocket
shaft
formed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상
Original Assignee
정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상 filed Critical 정운상
Priority to KR20-2003-0031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쪽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마늘쪽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다량의 통마늘을 마늘쪽으로 보다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마늘쪽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마늘쪽분리기에 있어서, 소정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환봉으로써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스프라켓을 갖고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주축과; 정부에 소정직경의 통마늘유입공과, 내측면에 고정부착되는 합성수지판을 구비한 소정직경의 원뿔대 형상으로써 상기 통마늘유입공의 중앙부에 상기 주축의 상단부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회전되는 제 1마찰회전반과; 내측 중간부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판부와, 외측면에 고정부착되는 합성수지판을 구비한 소정직경의 원뿔대형상으로써, 정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중앙부에 상기 주축과 회전가능하게 베어링조립되는 복수개의 축조립공과, 상기 축조립공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구동기어부를 갖고, 상기 제 1마찰회전판의 하측에 소정간격져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주축상에 설치되는 제 2마찰회전반과; 소정직경을 갖는 역원뿔대형상으로써, 저면부에 마늘쪽배출구를 갖고 상기 주축의 하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주축, 제 1 및 제2마찰회전반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의 사이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는 마늘쪽을 수집하는 수집호퍼와; 소정길이를 갖는 환봉으로써,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2마찰회전반의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부와, 중간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주축의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스프라켓과,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2스프라켓을 갖고 상기 수집호퍼상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회전축에 상기 구동축의 제 2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파라켓을 갖고, 상기 수집호퍼상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늘쪽분리기{A machine for separating the bulb of garlic to a plural clove }
본 고안은 마늘쪽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늘쪽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다량의 통마늘을 마늘쪽으로 보다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마늘쪽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마늘을 출하할 때에는 마늘줄기가 제거된 마늘몸체만을 소정용량의 포장망으로 포장하여 출하하거나 또는 마늘줄기를 제거한 통마늘을 마늘쪽을 분리시킨 후 분리된 마늘쪽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소정용량의 포장망으로 포장하여 출하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마늘쪽형태로 출하할 때 사용되는 마늘쪽분리기에 관한 것임으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마늘쪽분리기에 대해서 만을 기술된다는 것을 양지하기 바란다.
종래에는 마늘줄기가 제거된 통마늘을 마늘쪽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통마늘을 마늘쪽으로 일일이 분리하거나 또는 롤러형태의 마늘쪽분리기를 통과시켜 마늘쪽을 분리시킨 후 재차 분리된 마늘쪽으로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포장망으로 포장하여 출하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마늘쪽분리 및 선별방법은 일일이 수 작업으로 실시됨으로 작업생산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마늘쪽분리기를 사용하여 마늘쪽을 분리한다고 하더라도 마늘쪽의 껍질이 심하게 벗겨지거나 손상을 입게되어 상품가치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마늘쪽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포장할 때에도 작업성이크게 저하됨은 물론 선별성도 부정확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에 2002년 12월 20일자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37871 호로 등록출원하고, 2003년 2월 21일자로 실용신안등록 제 306374 호로 실용신안등록된 '마늘쪽분리기'(이하, '선등록'이라 칭함)를 개발하였습니다.
상기 선등록은 등록청구범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마찰회전반은 주축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되지만 제 2마찰회전반 및 아이들회전반은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 사이에서 마늘쪽으로 분리되어지는 통마늘의 마찰력에 의해 아이들 상태에서 제 1마찰회전반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고 저속으로 회전됨으로 통마늘을 손상 없이 마늘쪽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은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이 회전속도의 차이는 있으나 회전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통마늘이 효과적으로 분리되지 못하여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 상기와 같은 선등록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마늘쪽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다량의 통마늘을 마늘쪽으로 보다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마늘쪽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마늘쪽분리기에 있어서, 소정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환봉으로써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스프라켓을 갖고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주축과; 정부에 소정직경의 통마늘유입공과, 내측면에 고정부착되는 합성수지판을 구비한 소정직경의 원뿔대 형상으로써 상기 통마늘유입공의 중앙부에 상기 주축의 상단부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회전되는 제 1마찰회전반과; 내측 중간부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판부와, 외측면에 고정부착되는 합성수지판을 구비한 소정직경의 원뿔대형상으로써, 정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중앙부에 상기 주축과 회전가능하게 베어링조립되는 복수개의 축조립공과, 상기 축조립공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구동기어부를 갖고, 상기 제 1마찰회전판의 하측에 소정간격져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주축상에 설치되는 제 2마찰회전반과; 소정직경을 갖는 역원뿔대형상으로써, 저면부에 마늘쪽배출구를 갖고 상기 주축의 하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주축, 제 1 및 제2마찰회전반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의 사이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는 마늘쪽을 수집하는 수집호퍼와; 소정길이를 갖는 환봉으로써,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2마찰회전반의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부와, 중간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주축의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스프라켓과,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2스프라켓을 갖고 상기 수집호퍼상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회전축에 상기 구동축의 제 2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파라켓을 갖고, 상기 수집호퍼상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쪽분리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쪽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쪽분리기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동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주축과 제 1마찰회전반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마늘쪽분리기 11: 주축
12: 제 1마찰회전반 13: 제 2마찰회전반
14: 수집호퍼 15: 구동축
16: 구동모터 20, 21: 체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늘쪽분리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쪽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쪽분리기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동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주축과 제 1마찰회전반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마늘쪽분리기(10)는 주축(11)과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12)(13)과, 수집호퍼(14)와, 구동축(15)과 구동모터(16)와 복수개의 체인(20)(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축(11)은 소정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환봉으로써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스프라켓(11a)을 갖고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마찰회전반(12)은 정부에 소정직경의 통마늘유입공(12a)과, 내측면에 고정부착되는 합성수지판(12b)을 구비한 소정직경의 원뿔대형상으로써 상기 통마늘유입공(11a)의 중앙부에 상기 주축(11)의 상단부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주축(11)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2마찰회전반(13)은 내측 중간부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판부(13a)와, 외측면에 고정부착되는 합성수지판(11b)을 구비한 소정직경의 원뿔대형상으로써, 복수개의 축조립공(13c)(13d)과 구동기어부(13e)를 갖고 상기 제1마찰회전판(12)의 하측에 소정간격져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주축(11)상에 설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축조립공(13c)(13d)은 상기 제 2마찰회전반(13)의 정부와 상기 고정판부(13a)의 중앙부에 일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축(11)과 회전가능하게 베어링조립된다.
상기 구동기어부(13e)는 상기 축조립공(13d)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하기 구동축(15)의 기어부(15a)와 맞물린다.
상기 수집호퍼(14)는 소정직경을 갖는 역원뿔대형상으로써, 저면부에 마늘쪽배출구(14a)를 갖고 상기 주축(11)의 하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주축(11), 제 1 및 제2마찰회전반(12)(1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12)(13)의 사이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는 마늘쪽을 수집한다.
상기 구동축(15)은 소정길이를 갖는 환봉으로써, 기어부(15a)와 제 1 및 제 2스프라켓(15b)(15c)을 구비하고, 상기 수집호퍼(14)상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기어부(15a)는 상기 구동축(15)의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2마찰회전반(13)의 구동기어(13e)와 맞물리고, 상기 제 1스프라켓(15b)은 구동축(15)의 중간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주축(11)의 스프라켓(11a)과 체인(20)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스프라켓(15c)은 상기 구동축(15)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6)는 회전축에 상기 구동축(15)의 제 2스프라켓(15c)과체인(21)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파라켓(16a)을 갖고, 상기 수집호퍼(14)상에 고정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쪽분리기(10)는 상기 구동모터(16)가 가동되어 회전축이 반시계방향(도 2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라켓(16a)도 회전축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스프라켓(16a)과 체인(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구동축(15)의 제 2스프라켓(15c)도 상기 스프라켓(16a)과 동일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상기 구동축(1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동축(1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스프라켓(15b)과 체인(2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주축(11)의 스프라켓(11a)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상기 주축(1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 1마찰회전반(1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15)의 기어부(15a)는 상기 제 2마찰회전반(13)의 구동기어부(13e)와 맞물려 있음으로 구동축(1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구동기어부(13e)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상기 제 2마찰회전반(13)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제 1마찰회전반(12)과 제 2마찰회전반(13)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평행하게 회전됨으로 상기 제 1마찰회전반(12)의 통마늘유입공(12a)을 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12)(13) 사이로 투입된 통마늘은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12)(13)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마늘쪽으로 분리되면서도 제 1마찰회전반(12)의 내측면과 제 2마찰회전반(13)의 외측면에 고정부착된 탄성력이 우수한 합성수지판(12b)(13b) 사이에서 마늘쪽으로 분리됨으로 외피에 전혀 손상을 입지 않는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늘쪽분리기(10)는 상기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12)(13)의 가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주축(11)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조립공(11b)과, 상기 제 1마찰회전반(12)의 통마늘유입공(12a)의 측면부에 일축상에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공(12c)과, 상기 볼트공(12c) 및 상기 주축(11)의 조립공(11b)에 일축으로 조립되는 고정볼트(12d)와, 상기 고정볼트(12d)와 결합되는 너트(12e)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고안의 마늘쪽분리기(10)는 상기 고정볼트(12d)를 제거한 후 상기 제 1마찰회전반(12)을 주축(11)을 따라 상하이동시키면서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12)(13)을 적당한 간격을 갖도록 조절한 후 상기 고정볼트(12d)를 볼트공(12c)과 해당되는 주축(11)의 조립공(11b)에 일축으로 조립시킨 후 상기 너트(12e)로 고정볼트(12d)를 고정시킴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12)(1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마늘쪽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다량의 통마늘을 마늘쪽으로 보다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마늘쪽분리기에 있어서, 소정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환봉으로써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스프라켓(11a)을 갖고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주축(11)과; 정부에 소정직경의 통마늘유입공(12a)과, 내측면에 고정부착되는 합성수지판(12b)을 구비한 소정직경의 원뿔대형상으로써 상기 통마늘유입공(12a)의 중앙부에 상기 주축(11)의 상단부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주축(11)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회전되는 제 1마찰회전반(12)과; 내측 중간부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판부(13a)와, 외측면에 고정부착되는 합성수지판(12b)을 구비한 소정직경의 원뿔대형상으로써, 정부와 상기 고정판부(13a)의 중앙부에 상기 주축(11)과 회전가능하게 베어링조립되는 복수개의 축조립공(13c)(13d)과, 상기 축조립공(13d)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구동기어부(13e)를 갖고, 상기 제 1마찰회전판(12)의 하측에 소정간격져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주축(11)상에 설치되는 제 2마찰회전반(13)과; 소정직경을 갖는 역원뿔대형상으로써, 저면부에 마늘쪽배출구(14a)를 갖고 상기 주축(11)의 하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주축(11), 제 1 및 제2마찰회전반(12)(1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마찰회전반(12)(13)의 사이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는 마늘쪽을 수집하는 수집호퍼(14)와; 소정길이를 갖는 환봉으로써,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2마찰회전반(13)의 구동기어(13e)와 치합되는 기어부(15a)와, 중간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주축(11)의 스프라켓(11a)과 체인(20)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스프라켓(15b)과,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2스프라켓(15c)을 갖고 상기 수집호퍼(14)상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15)과; 회전축에 상기 구동축(15)의 제 2스프라켓(15c)과 체인(21)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파라켓(16a)을 갖고, 상기 수집호퍼(14)상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쪽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11)은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조립공(11b)을 갖고, 상기 제 1마찰회전반(12)은 통마늘유입공(12a)의 측면부에 일축상에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공(12c)과, 상기 볼트공(12c) 및 상기 주축(11)의 조립공(11b)에 일축으로 조립되는 고정볼트(12d)와, 상기 고정볼트(12d)와 결합되는 너트(12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쪽분리기.
KR20-2003-0031005U 2003-10-01 2003-10-01 마늘쪽분리기 KR200337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005U KR200337734Y1 (ko) 2003-10-01 2003-10-01 마늘쪽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005U KR200337734Y1 (ko) 2003-10-01 2003-10-01 마늘쪽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734Y1 true KR200337734Y1 (ko) 2004-01-07

Family

ID=4942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005U KR200337734Y1 (ko) 2003-10-01 2003-10-01 마늘쪽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7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192B1 (ko) * 2011-12-27 2013-12-20 신승호 마늘쪽 분리기 및 마늘쪽 분리기용 압착기구
KR102485085B1 (ko) 2022-03-02 2023-01-04 권기원 마늘쪽 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192B1 (ko) * 2011-12-27 2013-12-20 신승호 마늘쪽 분리기 및 마늘쪽 분리기용 압착기구
KR102485085B1 (ko) 2022-03-02 2023-01-04 권기원 마늘쪽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1330B1 (en) Disc for disc screen
CN100415592C (zh) 自行车链轮结构
JP3155617U (ja) 横置き型トロンメル
US9358582B2 (en) Sorting screen for sorting material and rotor body for such a sorting screen
KR200337734Y1 (ko) 마늘쪽분리기
US8939071B2 (en) Pitting apparatus
CN110237891A (zh) 一种固体破碎多级筛分装置
CN1275718C (zh) 链条截断工具及其中使用的轴取出销
CA2167959C (en) Trommel cleaner
EP0846844B1 (de) Rotorzusammenbau mit kraftschlüssig und gleichzeitig form- bzw. materialschlüssig verbundenen Rotorscheiben
KR200306374Y1 (ko) 마늘쪽분리기
KR200293453Y1 (ko) 채밀기
JP2007313377A (ja) ペーストこし機
CN207787073U (zh) 水果分类筛选机
US10858900B2 (en) Downhole debris-collecting tool having an improved valve
CN103041987A (zh) 花生滚筒分级机拍打清筛机构
CN211659431U (zh) 滚床式脱水机结构
JP5144691B2 (ja) 貝表面清浄機
CN107278485B (zh) 一种花生联合收获机风洞抛撒清选装置
CN207086126U (zh) 一种离心机转头的自锁装置
CN108968631A (zh) 一种带切果自动翻转的榨汁装置
JP2020000079A (ja) 作物収穫機
CN219128276U (zh) 一种风筝轮换挡装置及风筝轮
CN209980344U (zh) 一种硬币分离转盘机构
JPS63196254A (ja) 里芋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