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551Y1 - 주차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주차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551Y1
KR200337551Y1 KR20-2003-0018362U KR20030018362U KR200337551Y1 KR 200337551 Y1 KR200337551 Y1 KR 200337551Y1 KR 20030018362 U KR20030018362 U KR 20030018362U KR 200337551 Y1 KR200337551 Y1 KR 200337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
assistance device
parking assistanc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영
Original Assignee
이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영 filed Critical 이찬영
Priority to KR20-2003-0018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5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3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horizontal direction only
    • E04H6/36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horizontal direction only characterised by use of freely-movable dol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후레임 하면에 다수의 이동바퀴를 장착한 것을 자동차 바퀴 하면에 위치케 하여 자동차의 후방을 옆으로 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보조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주차보조장치{omitted}
본 고안은 주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면 도로라든가 좁은 공터에 차들을 종대로 주차시킬 경우 차와 차 사이 공간이 운전이 능숙한 사람은 들어 갈 수 있으나 운전이 서투른 사람은 들어갈 수 없는 경우 무리하게 진입하다가 다른 차를 건드려서 피해가 발생 하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차의 뒷바퀴를 살짝 들어 올려서 옮기는 방식의 주차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차들이 일렬종대로 주차된 사이로 본 고안품을 이용 하여 차를 주차시키는 원리도.
도 2 는 본 고안품 설치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품 위로 차의 뒷부분이 올라간 상태 측면도 .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배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우측면 원리도.
도 7 은 본 고안의 베벨기어 및 수직축의 주변 확대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다각봉과 핸들드릴, 다각기둥과 핸들을 장착했을 때의 모습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 추진축 3 , 4 추진바퀴
7,8 : 베벨기어 9 : 수직축 10, : 감속기어박스
11 : 입력축 12 : 캡 13 : 다각봉
14 : 핸들 15 : 자동차바퀴
16 : 가이드편 17 : 감지쎈서 18 : 핸드드릴
24 : 주차된차 25 : 푸러그 90 , 110 : 다각형기둥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후레임 하면에 다수의 이동바퀴를 장착한 것을 자동차 바퀴 하면에 위치케 하여 자동차의 후방을 옆으로 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 평면도이고,
도 5 은 본 고안의 배면도 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우측면 원리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도 4, 5,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1 )는 외각에 직사각형의 외측 후레임과 그 안쪽으로 우물 정형의 내측 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고, 본체( 1 )의 추진축( 2 )을 사용자 쪽으로 향해 지상에 놓았을 때 , 네 귀퉁이의 공간 하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작은 바퀴들 (3, 4, 5, 6 )를 1개씩 장착을 하되( 자동차 바퀴의 진행 방향과는 직각 방향이 됨 ), 전방의 2개 바퀴들(5, 6 )은 공회전이 가능 하도록 장착을 하고, 후방의 2개의 바퀴들( 3, 4 )는 추진바퀴들로서 추진축( 2 )과 바퀴들( 3, 4 )은 고정시키고, 추진축( 2 )과 본체 ( 1 )와는 공회전이 되도록 장착을 한다.
추진축( 2 )의 중심부에는 감속기어박스( 10 )가 장착되며, 감속기어박스 내에는 동력의 방향전환용 베벨기어( 7, 8 ) 및 다수의 감속기어들이 존재한다. 베벨기어 중 수직축( 9 )과 감속기어중 입력축( 11 )은 그의 일단을 모두 외부로 돌출시키되, 사용자를 향하여 45 도 정도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본 고안품의 작동 시 자동차 타이어로부터 핸들( 후술 )의 조작 반경을 충분히 확보한다.
상기 수직축( 9 )과 입력축( 11 )의 돌출된 부분 상단에는 다각형기둥들( 90, 110 )을 일체로 형성시킨다.
상기 다각형기둥에 꼭 맞는 요홈이 형성된 캡( 12 )을 두개 준비하여, 하나는 캡의 뒷부분에 다각봉( 13 )을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는 캡을 포함하여 크랭크 형태의 핸들( 14 )을 제작한다.
본체( 1 )의 자동차바퀴( 15 )가 올라가는 쪽의 외측 후레임의 중심부쪽으로 자동차 바퀴의 가이드편( 16 )을 외측 후레임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유설한다.
가이드편( 16 )이 장착된 반대편의 내측 후레임의 중심부에 바퀴 감지쎈서( 17 )를 부착한다.
감지쎈서( 17 )는 자동차바퀴( 15 )가 올라갔을 때 이를 감지하여 소리 또는 빛으로 신호를 발산 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기술을 활용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외 필요 장치로서 자동차 밧데리 또는 시가잭에 꽂아서 유선 또는 충전하여 무선으로 작동 가능한 핸드드릴( 18 )을 별도로 준비한다. 상기의 본체( 1 )가 차 1대당 2개가 필요하며, 그 중 1개는 추진 장치는 필요 없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가 일렬종대로 주차 돼 있고, 앞차( 19 )와 뒤차( 20 ) 사이가 겨우 차 한대 정도 들어갈 수밖에 없는 공간이 있을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차( 21 )를 그 사이로 대각선으로 전진 진입한 다음 , 본체( 1 )를 두개 꺼내어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 중뒷바퀴에 최대로 근접해서 지상에 설치를 하되, 사용자가 위치하는 반대편( 주로 인도 쪽 ) 뒷바퀴 에는 추진축이 없는 본 고안품도 무방하나, 사용자가 위치하는 쪽 ( 주로 차도 쪽 ) 에는 반드시 추진축이 있는 본체를 설치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운전자는 차를 약간 전진을 시키면 차의 뒷바퀴들이 화살표( 23 )처럼 가이드편( 16 )을 타고 본체( 1 ) 위로 올라가게 되며, 뒷바퀴들이 내측 후레임에 완전히 올라서게 되면 가이드편( 16 )의 지상에 닿았던 부분은 바퀴에 의해 외측 후레임을 축으로 회동하여 지상으로부터 약간 상승한다. 그리고 바퀴 감지쎈서( 17 )도 바퀴가 본체( 1 ) 위로 올라 왔다는 것을 감지하여 소리 또는 빛으로 신호를 발산하며, 운전자는 이를 확인 후 그 상태에서 하차한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되는 핸드드릴( 18 )의 척에 캡이 부착된 다각봉( 13 )을 장착하고 , 상기 캡( 12 )의 하방에 입력축( 11 )의 다각형기둥( 110 )을 삽입하고, 핸드드릴( 18 )을 작동 시키면 , 감속기어박스( 10 )내 기어들이 움직이면서 추진축( 2 ), 추진바퀴( 3, 4 )가 회전을 하여 차의 뒷부분을 화살표 ( 22 )처럼 옆으로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좁은 공간에도 차를 안전하게 주차 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주차된차( 24 )를 밖으로 뺄 때는 모든 과정을 역순으로 하면 되는 것이다.
만일 핸드드릴( 18 )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는 핸들( 14 )의 캡( 12 )을 수직축( 9 )의 상단 다각형기둥( 90 )에 꽂고 수동으로 핸들을 돌려서 본체를 작동 시키면 그 결과는 동일하다.
효과 1 :
본 고안의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
본 고안은 차들이 일렬종대로 주차 되어 있고, 앞차와 뒤차사이 공간이 겨우 차 한 대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나, 보통의 주차 방법으로는 주차시키기가 어려울 때, 차의 뒷부분을 간단히 들어올려 핸드드릴을 사용하여 차의 뒷부분을 간단히 옆으로 이동 시켜서 주차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효과 2 :
본 고안의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
핸드드릴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핸들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차의 뒷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효과 3 :
본 고안의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
가이드편을 자동차 바퀴가 타고 올라감으로서 부드럽게 올라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효과 4 :
본 고안의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
감지쎈서가 신호를 알려 주므로 본 고안품 위로 차가 완전히 올라 왔다는 것을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효과 5 :
본 고안의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
효과 2와 효과 3을 결합한 효과가 있다.
효과 6 :
본 고안의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
효과 2와 효과 4를 결합한 효과가 있다.
효과 7 :
본 고안의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
효과 3과 효과 4를 결합한 효과가 있다.
효과 8 :
본 고안의 청구항 8의 구성에 의하면 ,
효과 4와 효과 5를 결합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 이를 바탕으로 본 고안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 예 및 균등한 실시 예는 모두 본 고안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 1 )와, 이의 하면에 장착된 다수의 작은 바퀴들( 3, 4, 5, 6 )과, 바퀴들 중 일부는 추진축( 2 )에 고정 되 있으며, 추진축( 2 )은 동력 방향 전환용 베벨기어와 ( 7, 8 )와 감속기어에 연동되는 수레에 있어서,
    감속기어중 입력축( 11 )의 상단에 다각형기둥( 110 )을 형성하고, 사용자 쪽을 향하여 45 도 정도 상향 경사지도록 하고,
    상기 다각형기둥에 잘 맞는 요홈이 형성된 캡( 12 )의 뒷면에 일체로 형성한 다각봉( 13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축( 9 )의 상단에 다각형기둥( 90 )을 일체로 형성시켜 감속기어박스( 10 ) 외부로 돌출시키고, 사용자 쪽을 향하여 45 도 정도 상향 경사지도록 하고,
    상기 다각형기둥( 90 )에 잘 맞는 요홈이 형성된 캡( 12 )의 뒷면에 일체로 형성된 크랭크형 핸들( 1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차바퀴( 15 )가 올라가는 쪽의 외측 후레임에 외측 후레임을 축으로 회동 자재하는 가이드편( 16 )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차바퀴( 15 )가 올라가는 쪽의 반대편 내측 후레임에 바퀴 감지쎈서( 17 )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보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자동차바퀴( 15 )가 올라가는 쪽의 외측 후레임에 외측 후레임을 축으로 회동 자재하는 가이드편( 16 )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보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자동차바퀴( 15 )가 올라가는 쪽의 반대편 내측 후레임에 바퀴 감지쎈서( 17 )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보조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자동차바퀴( 15 )가 올라가는 쪽의 반대편 내측 후레임에 바퀴 감지쎈서( 17 )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보조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자동차바퀴( 15 )가 올라가는 쪽의 반대편 내측 후레임에 바퀴 감지쎈서( 17 )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보조장치.
KR20-2003-0018362U 2003-06-11 2003-06-11 주차보조장치 KR200337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362U KR200337551Y1 (ko) 2003-06-11 2003-06-11 주차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362U KR200337551Y1 (ko) 2003-06-11 2003-06-11 주차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551Y1 true KR200337551Y1 (ko) 2004-01-03

Family

ID=4942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362U KR200337551Y1 (ko) 2003-06-11 2003-06-11 주차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5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716A (ko) 2018-11-29 2020-06-08 이승주 셀프 주차용 주차 보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716A (ko) 2018-11-29 2020-06-08 이승주 셀프 주차용 주차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7551Y1 (ko) 주차보조장치
CN113459836B (zh) 一种用于电动汽车充电的agv智能无线充电装置
CN211714709U (zh) 停车场用的导向车
CN207902524U (zh) 机动车多功能控制手柄
CN112977359A (zh) 一种便携移车器
KR101461447B1 (ko) 평행주차 장치
CN217955195U (zh) 一种机械车位泊车辅助蘑菇地贴
CN210428669U (zh) 一种物联网共享单车停车卡位
JPH02148100U (ko)
JP3076898U (ja) 自動車の停車及び回転構造
CN114516379B (zh) 一种非机动车遇路沿自助抬升装置
CN211007852U (zh) 一种安全辅助停车装置
KR200189165Y1 (ko) 자동차 전륜바퀴 승,하강용 보조바퀴
KR19980038765U (ko) 자동차의 주차 보조장치
JP3107685U (ja) 前輪駆動の自動車の走行時の内輪差を除去する装置
CN205930410U (zh) 四轮电动车内扶手锁扣结构
JPH0319422Y2 (ko)
JPS62196854U (ko)
CN2617621Y (zh) 一种新型电动车
RU2489282C2 (ru) Автомобильное парк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528696Y (zh) 教学用倒三轮电瓶助力车
GB2279926A (en) Vehicle turntable
EP0286566A3 (en) System for lateral displacement of motor vehicles
JP2006112029A (ja) 駐車装置
CN114809756A (zh) 一种带充电桩的智能停车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