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009Y1 - 건축물용 거푸집 캡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거푸집 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009Y1
KR200337009Y1 KR20-2003-0026169U KR20030026169U KR200337009Y1 KR 200337009 Y1 KR200337009 Y1 KR 200337009Y1 KR 20030026169 U KR20030026169 U KR 20030026169U KR 200337009 Y1 KR200337009 Y1 KR 200337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blocking plate
concave portion
pres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순
홍철훈
Original Assignee
문형순
홍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형순, 홍철훈 filed Critical 문형순
Priority to KR20-2003-0026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0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0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Abstract

본 고안은 오목부 및 볼록부와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가 교번하여 형성되고, 단부에는 지지판이 접합된 거푸집의 개구부 및 요입부를 폐쇄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캡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요입부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한편, 그 일단에는 상기 지지판의 측단부와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장방형의 제1차단판; 상기 제1차단판의 일단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의 경사 테두리단에 각각 걸려서 지지되는 한 쌍의 걸림편; 및 상기 제1차단판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오목부로 기울어지며 연장되는 한편, 상기 오목부와 경사부에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제2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거푸집 캡 구조{Cap structure used in mold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물 외벽의 돌출무늬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거푸집의 개구부와 요입부를 폐쇄하는 캡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시 충분한 탄성력이 구비되어 시공이 편리하고, 돌출무늬의 길이를 결정함과 더불어 이웃하는 돌출무늬 간의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건축물용 거푸집 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건물 외벽은 미관을 향상시키거나 각 층의 구분을 위해 대략 장방형의 돌출무늬가 주기적으로 형성되도록 시공되는데, 이러한 돌출무늬는 그에 상응하는 요입부를 가지도록 절곡된 철판으로 본체를 형성하고 그 상하에 지지판을 용접하여 만들어진 철제 거푸집을 사용하여 시공된다.
이러한 거푸집은 그 구조상 콘크리트의 타설시 철판과 지지판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개구부를 폐쇄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개구부 폐쇄 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98994호에서는 상기 개구부에 끼울 수 있는 건축용 철제 거푸집 마개(Cap)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마개는 합성수지로 마개 몸체를 형성하고 상측에는 거푸집의 요입부 내주면과 밀착 가능한 차단판을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하고, 마개 몸체의 한쪽면에는 거푸집 본체의 테두리단에 걸려 마개 몸체의 삽입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턱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개구부에 삽입되는 마개 몸체와 콘크리트를 차단하는 차단판을 별도로 형성하고 마개 몸체의 한쪽에 다시 다수개의 걸림턱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금형의 제작 역시 용이하지 않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개 몸체의 한쪽 측면에 걸림턱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개를 개구부에 삽입하기 위해서 강한 힘으로 강제로 밀어 넣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후 마개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 분리가 잘 되지 않는 취약점이 있다.
한편, 상기 거푸집에 사용되는 길이마감용 캡은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914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성형되는 돌출무늬의 길이를 결정함과 더불어 인접하는 돌출무늬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나아가서는 건축물의 외벽에 다양한 이미지의 돌출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길이마감용 캡은 상기 개구부 결합용 거푸집 마개와 별도로 구비되므로 거푸집, 거푸집 마개 및 길이마감용 캡 간의 상호 결합관계가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취약점이 있었다.
비록, 상기 실용신안에는 개구부 마개와 길이마감용 캡을 래치 및 래치홈을 이용하여 착탈결합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것은 착탈작업이 번거롭고 상기 길이마감용 캡과 거푸집 마개 사이의 간극을 통해 콘크리트가 누설될 수 있으며, 두 가지 부재를 위한 금형제작 및 제조공정이 별도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취약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거푸집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몸체에 대한 구성없이 단부에 걸림편을 넓게 형성하여 충분한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탈부착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실질적으로 길이마감용 캡과 개구부 마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안정적이고도 용이한 시공 및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축용 거푸집 캡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캡과 이를 채용한 철제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 캡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1...오목부 12...볼록부
13...경사부 14...요입부
15...개구부 16...지지판
100...제1차단판 101...결합공
102...체결부재 105a,105b...걸림편
109...리브 110...제2차단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오목부 및 볼록부와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가 교번하여 형성되고, 단부에는 지지판이 접합된 거푸집의 개구부 및 요입부를 폐쇄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캡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한편, 그 일단에는 상기 지지판의 측단부와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장방형의 제1차단판; 상기 제1차단판의 일단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의 경사 테두리단에 각각 걸려서 지지되는 한 쌍의 걸림편; 및 상기 제1차단판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오목부로 기울어지며 연장되는 한편, 상기 오목부와 경사부에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제2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차단판에는,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상기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차단판의 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판의 측단부와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판의 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오목부 양측의 경사부와 각각 접하는 제1경사면; 및 상기 거푸집의 오목부와 접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걸림편은, 제1차단판 일단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L'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캡과 이를 채용한 철제 거푸집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철제 거푸집은 장방형의 오목부(11)와 볼록부(12)가 교번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와 볼록부(12) 사이는 경사부(13)로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복수의 요입부(14)가 주기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거푸집의 상하 단부에는 편평한 지지판(16)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는데, 이에 따라 철제 거푸집의 오목부(11) 및 경사부(13)와 지지판(16) 사이에는 개구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철제 거푸집의 테두리단은 직선 테두리단(11a)과 한 쌍의 경사 테두리단(13a,13b)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직선 테두리단(11a)은 오목부(11)의 단부에해당하고 상기 한 쌍의 경사 테두리단(13a,13b)은 경사부(13)의 단부에 해당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캡은 제1차단판(100) 및 제2차단판(110)을 통해 상기 개구부(15)와 요입부(14)의 해당부분을 동시에 폐쇄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거푸집 캡은 철제 거푸집의 요입부(14)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장방형의 제1차단판(100)과, 상기 제1차단판(100)의 일단 양측에 대칭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걸림편(105a,105b)과, 상기 제1차단판(100)의 타단으로부터 오목부(11)로 기울어지며 연장된 제2차단판(110)을 포함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캡의 구성이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차단판(100)의 일단에는 결합홈(108) 및 한 쌍의 걸림편(105a,105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차단판(1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차단판(110)의 테두리에는 철제 거푸집의 경사부(13)와 접하는 제1경사면(106a,106b)과, 철제 거푸집의 오목부(11)와 접하는 제2경사면(10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면(106a,106b) 및 제2경사면(107)은 거푸집의 경사부(13)와 오목부(11)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접촉면 사이로 콘크리트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차단판(100)의 일단에는 지지판(16)의 측단부(16a)와 접하는 결합면(108a)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결합면(108a)에는, 상기 결합면(108a)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걸림턱(108b)이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면(108a)과 걸림턱(108b) 사이에 결합홈(108)이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푸집 캡을 개구부(15)에 결합할 때 지지판(16)의 측단부(16a)가 상기 결합홈(108)에 끼워짐으로써 견고하게 지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 쌍의 걸림편(105a,105b)은 상기 제1차단판(100)의 일단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돌출형성된다. 상기 걸림편(105a,105b)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캡을 철제 거푸집의 개구부(15)에 끼워 넣을 때 철제 거푸집의 경사 테두리단(13a,13b)에 각각 걸려서 결합된다.
상기 걸림편(105a,105b)은 바람직하게 합성수지 소재로 상기 제1차단판(100)과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편(105a,105b)의 두께, 길이 혹은 형태는 용이하게 철제 거푸집의 경사 테두리단(13a,13b)에 착탈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니는 동시에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상기 걸림편(105a,105b)은 제1차단판(100)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돌출형성되되, 'L'자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수직하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텐션(Tension)기능과 걸림기능을 함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105a,105b)의 구조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걸림편(105a,105b)은 비교적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캡 몸체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고,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푸집 캡을 개구부(15)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도 손가락으로 상기 걸림편(105a,105b)을 살짝 눌러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차단판(100)은 그 평면부가 상기 철제 거푸집의 볼록부(12)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철제 거푸집의 경사부(13)에 상응하여 기울어진 구조로 그 양측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차단판(100)은 그 폭이 거푸집의 요입부(14)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데, 그 장방형의 길이는 예컨대, 100mm, 200mm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1차단판(100)을 통해 상호 인접된 볼록부(1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와 더불어 차단영역 즉,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영역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제1차단판(100)의 타단, 즉 상기 걸림편(105a,105b)이 형성된 측의 반대단에는, 상기 제1차단판(100)와 함께 콘크리트에 대한 차단작용을 하도록, 철제 거푸집의 오목부(11)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제2차단판(110)이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차단판(100)의 평면부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01)이 상호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다. 따라서, 예컨대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102)를 상기 결합공(101)에 관통시켜 상기 철제 거푸집에 체결하면 견고하게 캡 몸체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차단판(100)의 콘크리트 타설면의 타면에는 가로, 세로 및/또는 사선방향으로 복수의 보강용 리브(109)가 부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101)은 리브(109) 간의 교차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용 리브(109)는 상기 한 쌍의 걸림편(105a,105b) 사이의 지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본 고안의 캡 몸체를 보다 견고하게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 캡의 사용예를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거푸집 캡이 장방형의 오목부(11) 및 볼록부(12)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부(13)로 이루어진 철제 거푸집의 개구부(15) 및 요입부(14)에 끼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을 위해,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캡 구조의 걸림편(105a,105b) 부분을 철제 거푸집의 개구부(15)에 삽입한 후 제1차단판(100)의 결합공(101)을 관통하도록 피스를 체결하여 철제 거푸집에 캡 몸체를 고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 제1차단판(100)에 형성된 결합홈(108)에는 철제 거푸집의 지지판(16)의 측단부(16a)가 끼워지고, 상기 제1차단판(100)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걸림편(105a,105b)은 각각 거푸집의 경사 테두리단(13a,13b)에 걸려서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제2차단판(110)의 제1경사면(106a,106b)은 각각 양측의 경사부(13)와 접하고, 제2경사면(107)은 오목부(11)와 접하여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거푸집 캡은 오목부(11)와 경사부(13) 그리고 지지판(16)의 측단부(16a)에 의해 지지되면서 철제 거푸집에 결합되고, 아울러 피스 등의 체결부재(102)에 의해 제1차단판(100) 및 제2차단판(110)이 견고하고도 안정적으로 철제 거푸집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철제 거푸집의 개구부(15)와 요입부(14)의 해당부분을 폐쇄하도록 거푸집 캡이 결합되면 콘크리트(200)의 타설 및 양생과정이 수행된다.
콘크리트(200)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철제 거푸집을 콘크리트(200)로부터 제거하고 거푸집 캡을 다시 분리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차단판(100)에 결합된 체결부재(102)를 분리한 후 양측의 걸림편(105a,105b)이 상호 가까워지도록 양쪽에서 중심을 향해 손가락으로 누르기만 하면 충분한 탄성력을 가진 걸림편(105a,105b)이 안쪽으로 휘어지고, 따라서 거푸집 캡은 철제 거푸집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 캡은 돌출무늬의 길이를 마감하는 구조와 철제 거푸집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구조가 일체로 구비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본 고안은 캡 몸체로부터 연장된 걸림편이 종래에 비해 탄성특성이 향상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거푸집 개구부에 대한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리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오목부(11) 및 볼록부(12)와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13)가 교번하여 형성되고, 단부에는 지지판(16)이 접합된 거푸집의 개구부(15) 및 요입부(14)를 폐쇄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캡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14)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한편, 그 일단에는 상기 지지판(16)의 측단부(16a)와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장방형의 제1차단판(100);
    상기 제1차단판(100)의 일단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13)의 경사 테두리단(13a,13b)에 각각 걸려서 지지되는 한 쌍의 걸림편(105a,105b); 및
    상기 제1차단판(10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오목부(11)로 기울어지며 연장되는 한편, 상기 오목부(11)와 경사부(13)에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제2차단판(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 캡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판(100)에는, 체결부재(102)를 관통시켜 상기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공(1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 캡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판(100)의 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판(16)의 측단부(16a)와 결합하는 결합홈(108);이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판(110)의 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오목부(11) 양측의 경사부(13)와 각각 접하는 제1경사면(106a,106b); 및 상기 거푸집의 오목부(11)와 접하는 제2경사면(10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 캡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편(105a,105b)이, 제1차단판(100) 일단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L'자 형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 캡 구조.
KR20-2003-0026169U 2003-08-13 2003-08-13 건축물용 거푸집 캡 구조 KR200337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169U KR200337009Y1 (ko) 2003-08-13 2003-08-13 건축물용 거푸집 캡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169U KR200337009Y1 (ko) 2003-08-13 2003-08-13 건축물용 거푸집 캡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009Y1 true KR200337009Y1 (ko) 2003-12-31

Family

ID=4942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169U KR200337009Y1 (ko) 2003-08-13 2003-08-13 건축물용 거푸집 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0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7009Y1 (ko) 건축물용 거푸집 캡 구조
KR200337022Y1 (ko) 걸림수단을 구비한 거푸집 캡 구조
KR20100023228A (ko) 분리형 플렛타이
KR100447281B1 (ko) 유로폼 거푸집용 스페이서
KR200337021Y1 (ko) 걸림수단을 구비한 거푸집 마개
KR200394591Y1 (ko) 건축용 철제 거푸집의 마개
JPH08312131A (ja)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392829Y1 (ko) 조립식 용기
CN211466823U (zh) 一种预制板模具的防漏卡块
JPH0329447Y2 (ko)
JPH0244965Y2 (ko)
JP3050198U (ja) 極薄肉厚鋳鉄鋳物による組立建材
JP2558048Y2 (ja) 軟質合成樹脂製の肉薄容器
JP3017235U (ja) グレーチング
KR200200439Y1 (ko) 우물천장 조립 보드
JPH084464Y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ワンタッチキャップ
KR200253573Y1 (ko) 상,하판의 조립이 간편한 패리트
JP3681036B2 (ja) 型枠の幅止め金具
KR0140633Y1 (ko) 보도 경계판
KR200190605Y1 (ko) 파형 지붕판 부착구
JP2589463Y2 (ja) 金属板製屋根材
JP4574810B2 (ja) 樋継手
CZ12105U1 (cs) Profilový prvek pro výrobu bednění
JPH11254414A (ja) 側溝蓋の製造方法
JPH11336318A (ja) 合成樹脂製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