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022Y1 - 걸림수단을 구비한 거푸집 캡 구조 - Google Patents

걸림수단을 구비한 거푸집 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022Y1
KR200337022Y1 KR20-2003-0026788U KR20030026788U KR200337022Y1 KR 200337022 Y1 KR200337022 Y1 KR 200337022Y1 KR 20030026788 U KR20030026788 U KR 20030026788U KR 200337022 Y1 KR200337022 Y1 KR 200337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hole
blocking plate
fixing member
cap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순
Original Assignee
문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형순 filed Critical 문형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목부 및 볼록부와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가 교번하여 형성되고, 단부에는 지지판이 접합된 거푸집의 개구부 및 요입부를 폐쇄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캡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한편, 그 일단에는 상기 지지판의 측단부와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장방형의 제1차단판;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차단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한편, 그 평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 상기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삽입부의 삽입동작시 선택적으로 그 일단이 상기 지지판에 의해 밀려서 그 타단이 상기 오목부의 테두리단에 걸리는 걸림편; 및 상기 제1차단판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오목부로 경사지며 연장되는 한편, 상기 오목부와 경사부에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제2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걸림수단을 구비한 거푸집 캡 구조{Mold Cap structure having latch means}
본 고안은 건물 외벽의 돌출무늬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거푸집의 개구부와 요입부를 폐쇄하는 캡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부에 대한 결합시 자동으로 거푸집에 대한 마개의 고정동작이 수행되는 한편, 돌출무늬의 길이를 결정함과 더불어 이웃하는 돌출무늬 간의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건축물용 거푸집 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건물 외벽은 미관을 향상시키거나 각 층의 구분을 위해 대략 장방형의 돌출무늬가 주기적으로 형성되도록 시공되는데, 이러한 돌출무늬는 그에 상응하는 요입부를 가지도록 절곡된 철판으로 본체를 형성하고 그 상하에 지지판을 용접하여 만들어진 철제 거푸집을 사용하여 시공된다.
이러한 거푸집은 그 구조상 콘크리트의 타설시 철판과 지지판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개구부를 폐쇄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개구부 폐쇄 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98994호에서는 상기 개구부에 끼울 수 있는 건축용 철제 거푸집 마개(Cap)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마개는 합성수지로 마개 몸체를 형성하고 상측에는 거푸집의 요입부 내주면과 밀착 가능한 차단판을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하고, 마개 몸체의 한쪽면에는 거푸집 본체의 테두리단에 걸려 마개 몸체의 삽입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턱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개구부에 삽입되는 마개 몸체와 콘크리트를 차단하는 차단판을 별도로 형성하고 마개 몸체의 한쪽에 다시 다수개의 걸림턱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금형의 제작 역시 용이하지 않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개 몸체의 한쪽 측면에 걸림턱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개를 개구부에 삽입하기 위해 강한 힘으로 강제로 밀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거푸집 철거작업시 거푸집에 묻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충격을 가할 때(일반적으로 망치 등으로 거푸집을 두드림) 상기 실용신안 제198994호와 같은 기존 제품은 마개가 거푸집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한편, 상기 거푸집에 사용되는 길이마감용 캡은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914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성형되는 돌출무늬의 길이를 결정함과 더불어 인접하는 돌출무늬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나아가서는 건축물의 외벽에 다양한 이미지의 돌출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길이마감용 캡은 상기 개구부 결합용 거푸집 마개와 별도로 구비되므로 거푸집, 거푸집 마개 및 길이마감용 캡 간의 상호 결합관계가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취약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돌출무늬 성형을 위한 길이마감 기능을 구비함과 더불어, 거푸집의 개구부에 대한 폐쇄동작시 자동으로 거푸집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이 편리한 걸림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캡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캡과 이를 채용한 철제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캡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걸림편의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 캡을 이용하여 거푸집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거푸집 캡을 이용하여 개구부를 폐쇄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1...오목부 12...볼록부
13...경사부 14...요입부
15...개구부 16...지지판
100...제1차단판 101...결합공
102...체결부재 105...걸림편
105a...가이드공 105b...유입공
106...관통공 107...고정부재
110...제2차단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오목부 및 볼록부와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가 교번하여 형성되고, 단부에는 지지판이 접합된 거푸집의 개구부 및 요입부를 폐쇄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캡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한편, 그 일단에는 상기 지지판의 측단부와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장방형의 제1차단판;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차단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한편, 그 평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 상기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삽입부의 삽입동작시 선택적으로 그 일단이 상기 지지판에 의해 밀려서 그 타단이 상기 오목부의 테두리단에 걸리는 걸림편; 및 상기 제1차단판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오목부로 경사지며 연장되는 한편, 상기 오목부와 경사부에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제2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차단판에는,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상기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 삽입부의 관통공 일측을 가로지르며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걸림편이 슬라이딩하도록, 걸림편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편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가이드공에 억지끼움되도록 상기 가이드공에 비해 작은 폭으로 연통된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억지끼움 동작시 연성과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가이드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캡과 이를 채용한 철제 거푸집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철제 거푸집은 장방형의 오목부(11)와 볼록부(12)가 교번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와 볼록부(12) 사이는 경사부(13)로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복수의 요입부(14)가 주기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거푸집의 상하 단부에는 편평한 지지판(16)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는데, 이에 따라 철제 거푸집의 오목부(11) 및 경사부(13)와 지지판(16) 사이에는 개구부(15)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캡은 상기 철제 거푸집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1차단판(100) 및 제2차단판(110)을 통해 상기 개구부(15)와 요입부(14)의 해당부분을 동시에 폐쇄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거푸집 캡은 철제 거푸집의 요입부(14)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장방형의 제1차단판(100)과, 상기 제1차단판(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제1차단판(100)의 타측으로부터 오목부(11)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제2차단판(110)을 포함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캡의 구성이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차단판(100)의 일측에는 직접적으로 개구부(15) 내에 삽입됨과 더불어 거푸집에 대한 고정동작을 수행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차단판(100)의 타측에는 제2차단판(110)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차단판(100)은 그 평면부가 상기 철제 거푸집의 볼록부(12)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철제 거푸집의 경사부(13)에 상응하여 기울어진 구조로 그 양측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차단판(100)은 그 폭이 거푸집의 요입부(14)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데, 그 장방형의 길이는 예컨대, 100mm, 200mm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1차단판(100)을 통해 상호 인접된 볼록부(1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와 더불어 차단영역, 즉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영역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차단판(100)의 평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101)이 형성된다. 따라서, 예컨대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102)를 상기 결합공(101)에 관통시켜 상기 철제 거푸집에 체결하면 견고하게 캡 몸체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차단판(100)의 콘크리트 타설면의 타면에는 가로, 세로 및/또는 사선방향으로 복수의 보강용 리브(109)가 부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101)은 리브(109) 간의 교차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판(100)의 일측에는 삽입부(104)와, 상기 삽입부(10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105)을 포함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다.
삽입부(104)는 상기 제1차단판(100)에 형성된 테두리 중, 상기 지지판(16)의 측단부(16a)와 접촉하는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이 삽입부(104)는 본 고안의 거푸집 캡을 상기 개구부(15)에 결합할 때 지지판(16)의 내면과 직접적으로 면접촉되면서 개구부(15)에 끼워지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삽입부(104)의 평면부에는 걸림편(105)의 결합을 위한, 바람직하게 소정 폭의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 관통공(106)이 구비된다.
걸림편(105)은 상기 관통공(10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개구부(15)에 대한 상기 삽입부(104)의 삽입동작시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편(105)의 일단이 지지판(16)에 의해 밀려서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걸림편(105)의 타단이 오목부(11)의 테두리단(11a)에 걸리게 된다. 이때, 걸림편(105)에는 소정의 굴곡부(105d)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104)의 내부 일측 표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관통공(106) 내에 걸림편(105)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한 삽입부(104)와 걸림편(105)의 결합관계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그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상기 삽입부(104)의 관통공(106) 중간지점을 가로지르며 고정되는 고정부재(107)와, 상기 고정부재(107)에 대한 걸림편(105)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105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7)는 바람직하게 소정의 봉이나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07)는 착탈 가능한 별도의 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캡 몸체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설명의 편의상 고정부재(107) 부분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공(105a)은 걸림편(105)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편(105)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공(105a) 내에 고정부재(104)가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편(105)을 관통공(103)에 끼워 넣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4)에 대하여 걸림편(105)을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107)는 가이드공(105a)에 억지끼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편(105)에는 가이드공(105a)에 비해 작은 폭으로 연통된 유입공(105b)이 부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공(105a)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통공(105c)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107)의 억지끼움 동작시 연성 및 탄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단판(100)의 타측, 즉 상기 삽입부(104)가 구비된 측의 반대단에는, 콘크리트의 타설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콘크리트의 차단작용을하도록, 철제 거푸집의 오목부(11)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제2차단판(110)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차단판(110)의 테두리에는 철제 거푸집의 경사부(13)와 접하는 제1경사면(106a,106b)과, 철제 거푸집의 오목부(11)와 접하는 제2경사면(10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면(106a,106b) 및 제2경사면(107)은 거푸집의 경사부(13)와 오목부(11)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접촉면 사이로 콘크리트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사용예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 캡을 이용하여 철제 거푸집의 해당 요입부(14) 및 개구부(15)를 폐쇄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걸림편(105)의 일단은 삽입부(10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걸림편(105)의 타단은 캡 몸체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삽입부(104)를 개구부(15) 내로 끼워 넣으면, 상기 요입부(14) 및 개구부(15)에 상응하여 본 고안의 거푸집 캡이 결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걸림편(10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6)에 의해 밀리면서 슬라이딩되어 그 타단이 거푸집 오목부(11)의 테두리단(11a)에 걸리게 된다. 이때, 제1차단판(100)은 요입부(14)를 폐쇄하고, 제2차단판(110)은 각각의 제1경사면(106a,106b)이 양측 경사부(13)와 접하고, 제2경사면(107)이 오목부(11)와 접하여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이어서, 제1차단판(100)의 결합공(101)을 관통하여 철제 거푸집에 고정되도록 피스를 체결하면 철제 거푸집에 캡 몸체를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철제 거푸집의 개구부(15)와 요입부(14)의 해당부분을 폐쇄하도록 거푸집 캡이 결합되면 콘크리트(200)의 타설 및 양생 공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 캡 구조는 설치와 동시에 자동으로 거푸집에 대한 걸림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견고한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돌출무늬의 길이를 마감하는 구조와 철제 거푸집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구조가 일체로 구비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Claims (4)

  1. 오목부(11) 및 볼록부(12)와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13)가 교번하여 형성되고, 단부에는 지지판(16)이 접합된 거푸집의 개구부(15) 및 요입부(14)를 폐쇄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캡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14)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한편, 그 일단에는 상기 지지판(16)의 측단부(16a)와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장방형의 제1차단판(100);
    상기 개구부(15)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차단판(1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한편, 그 평면부에는 관통공(106)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104);
    상기 관통공(10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삽입부(104)의 삽입동작시 선택적으로 그 일단이 상기 지지판(16)에 의해 밀려서 그 타단이 상기 오목부(11)의 테두리단(11a)에 걸리는 걸림편(105); 및
    상기 제1차단판(10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오목부(11)로 경사지며 연장되는 한편, 상기 오목부(11)와 경사부(13)에 접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테두리가 형성된 제2차단판(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캡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판(100)에는, 체결부재(102)를 관통시켜 상기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1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캡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4)의 관통공(106) 일측을 가로지르며 구비되는 고정부재(107);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107)에 대하여 걸림편(105)이 슬라이딩하도록, 걸림편(105)에는 상기 고정부재(107)가 끼워지는 가이드공(10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캡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105)에는,
    상기 고정부재(107)가 가이드공(105a)에 억지끼움되도록 상기 가이드공(105a)에 비해 작은 폭으로 연통된 유입공(105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07)의 억지끼움 동작시 연성과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가이드공(105a)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통공(105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캡 구조.
KR20-2003-0026788U 2003-08-13 2003-08-20 걸림수단을 구비한 거푸집 캡 구조 KR2003370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6171 2003-08-13
KR2020030026171 2003-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022Y1 true KR200337022Y1 (ko) 2004-01-07

Family

ID=4934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788U KR200337022Y1 (ko) 2003-08-13 2003-08-20 걸림수단을 구비한 거푸집 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0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19445T3 (es) Formador de rebaje para paneles de hormigón
KR101731382B1 (ko) 철근 삽입이 용이한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성형장치
KR200337022Y1 (ko) 걸림수단을 구비한 거푸집 캡 구조
KR100888209B1 (ko) 알루미늄폼 거푸집 지지용 지지바 고정장치
KR101163134B1 (ko) 다양한 형태를 갖는 체결패널 및 원터치 방식의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조
KR100459842B1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0337021Y1 (ko) 걸림수단을 구비한 거푸집 마개
KR200337009Y1 (ko) 건축물용 거푸집 캡 구조
KR20100023228A (ko) 분리형 플렛타이
KR100447281B1 (ko) 유로폼 거푸집용 스페이서
KR102296152B1 (ko) 거푸집의 세퍼레이터 고정장치
KR200433422Y1 (ko) 벽체 배수판
KR200345059Y1 (ko) 슬래브 거푸집용 멍에 지지구
KR200394591Y1 (ko) 건축용 철제 거푸집의 마개
KR200303756Y1 (ko) 거푸집용 각목고정구
KR200342757Y1 (ko) 콘크리트 옹벽 구축용 거푸집 연결구
JP4199091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型枠における配筋装置及び配筋方法
KR101978359B1 (ko) 마루 시공용 마루굽틀
KR200345038Y1 (ko) 건축용 거푸집
KR20030037548A (ko) 문틀
KR200314970Y1 (ko) 거푸집 고정용 핀
KR200364889Y1 (ko) 벽체결속구를 구비한 콘센트 복스
KR200397584Y1 (ko) 건물 외벽의 돌출무늬 성형용 거푸집의 마감부재
KR0129827Y1 (ko) 건축배관용 슬리브관
KR200365564Y1 (ko) 개량 전선 배관용 전기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