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702Y1 -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 Google Patents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702Y1
KR200336702Y1 KR20-2003-0024986U KR20030024986U KR200336702Y1 KR 200336702 Y1 KR200336702 Y1 KR 200336702Y1 KR 20030024986 U KR20030024986 U KR 20030024986U KR 200336702 Y1 KR200336702 Y1 KR 200336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ed
present
inner space
stepped structure
wate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20-2003-0024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7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1Arranged-type packing, e.g. stacks, arr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6Temporary dykes
    • E02B3/108Temporary dykes with a filling, e.g. filled by water or sa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안가나 강가, 즉 물과 육지의 경계를 이루게 되는 둔치경계면에 설치하여 계단형태로 구성되는 인공어초겸용 계단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즉 하천 둔치의 침식방지, 물고기 및 수생생물의 생태보존, 수질정화 등을 이룰 수 있는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측방이 개방되어 내부공간부(13)가 형성된 계단형 틀체(10), 상기 내부공간부(13)와 연통되도록 계단 각층의 전면수직판(12)에 형성되는 이동통로(12a), 이동통로(12a)를 따라 전면수직판(12)에 체결되며 띠형으로 된 지지매체(15)를 고정하고 있는 다수의 브라켓(14), 상기 계단형 틀체(10)의 내부공간부(13)에 공극을 형성하며 채워지는 채움부재(16)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 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omitted}
본 고안은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저수로의 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육지의 경계를 이루게 되는 둔치경계면과 접하고 있는 물속에 설치하여 계단형의 완만한 수심과 둔치의 침식방지, 물고기 및 수생생물의 생태보존, 오염된 수질의 정화 등을 이룰 수 있으면서 인공어초 기능도 발휘하는 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에 관한 것이다.
호안이나 흐르는 강의 가장자리, 즉 물이 육지와 경계를 이루는 곳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일종의 방호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호벽은 제방이나 뚝과 같은 형태로 축조되며 이때 물과 경계를 이루는 곳의 육지를 보통 둔치 또는 고수부지라 일컫는다.
상기 물과 육지의 경계를 이루는 방호벽(이하, "둔치경계면 '이라 함)은 보통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콘크리트 구조물로 축조되거나 또는 자연친화적인 자재 즉, 돌 등을 쌓아 축조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둔치경계면은 설치 후 인위적이라 미관상 좋지 못한 단점과 물고기 및 수생생물이 서식할 수 없게 되어 그로인한 수질정화기능을 할 수 없어 근래 들어 수질에 따른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여겨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돌쌓기 형태의 둔치경계면은 자연소재로 되어 외관이 친환경적이며 수생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여 수질정화기능을 할 수 있으나 구조적으로 취약해 홍수에 따른 범람으로 쉽게 붕괴되는 단점이 있고, 보통의 우천시에도 물이 불어급물살이 일게 되면 둔치의 지반을 파고 들어 조금씩 침식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둔치경계면들은 거의 수직의 직립형으로 설치되어 물 가장자리의 수심이 급격이 깊어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내부에 공극을 갖는 채움부재가 채워진 계단형의 틀체를 둔치경계면에 설치하고 그 내부로 물고기 및 수생생물이 드나들며 서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붕괴의 위험이 없고 또 물이 둔치의 지반으로 침투하여 침식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물고기 및 수생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여 자연생태의 보존과 이로 인한 오염된 수질의 정화기능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수심이 계단형으로 완만하게 깊어지도록 구성하여 수영객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형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형 구조체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형 구조체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따른 계단형 구조체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계단형 틀체11. 수평판 ---- 11a. 개폐판
12. 전면수직판 ---- 12a. 이동통로
13. 내부공간부 14. 브라켓
15. 지지매체 16. 채움부재
17. 부력부재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양측방이 개방되어 내부공간부가 형성된 계단형 틀체, 상기 내부공간부와 연통되도록 계단 각층의 전면 수직판에 형성되는 이동통로, 이동통로를 따라 전면 수직판에 체결되며 띠형으로 된 지지매체를 고정하고 있는 다수의 브라켓, 상기 계단형 틀체의 내부공간부에 공극을 형성하며 채워지는 채움부재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지지매체의 끝단에는 이동통로를 가릴 수 있도록 지지매체를 띄우는 부력부재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움부재를 용이하게 채워 넣을 수 있도록 계단 각층의 수평판에는 개폐판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기존의 둔치경계면에 설치하여 인공어초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초기 둔치경계면 시공시 다수개를 연결 설치하여 둔치경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계단형 틀체로 인해 둔치로의 물 침투가 불가하여 지반침식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수심이 계단식으로 차츰 깊어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 틀체의 내부로는 물고기 및 수생생물이 드나들며 서식할 수 있어 자연생태의 보존과 이로 인한 수질의 정화기능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물 빠짐시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틀체 내부의 채움부재에 의해 친환경적인 미관을 드러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형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형 구조체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형 구조체의 정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부호 10은 내부공간부(13)가 형성되도록 양측부가 관통하며 개방되어 함체형상을 이루는 있는 계단형 틀체이다. 이때 계단의 층은 설치규모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미설명 부호 13a는 상기 내부공간부(13)의 측방향 양쪽에 설치되어 안정된 계단형 틀체(10)를 형성케 하기 위한 보강재이다.
상기 계단형 틀체(10)의 계단 각층 전면수직판(12)에는 내부공간부(13)와 연통되도록 이동통로(1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이동통로(12a)는 전면수직판(12)의 전체면에 걸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로(12a)를 따라 전면수직판(12)에는 띠형으로 된 지지매체(15)를 고정하고 있는 다수의 브라켓(14)이 소정간격으로 체결된다.
브라켓(14)은 "┌" 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로 길게 형성하여 소정간격으로 띠형의 지지매체(15)의 일측을 체결고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띠형의 지지매체(15)는 로프나 천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것으로 물살에 의해 나풀거릴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지지매체(15)가 물살에 의해 떠오르면서 동일방향으로 되고 상기 이동통로(12a)를 커버하게 된다. 또 지지매체(15)의 중간 또는 끝단에는 물에 더욱 용이하게 뜨게 하는 부력부재(17)가 고정된다.
상기 계단형 틀체(10)의 내부공간부(13)에는 공극을 형성하며 채움부재(16)가 채워진다. 이때 채움부재(16)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가 있으나, 구하기 쉬운 짚단이나 헌 목재 또는 깬돌이나 자연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켜주는 기능을 발휘하는 끈상 메디아(15)(지지매체와 동일 한 기능임)와 같은 끈 부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소재를 이용하여 채울 수도 있으며, 콘크리트덩어리를 돌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 채울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시 미관이 친환경적인 형태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채움부재(16)는 계단형 틀체의 측방향으로 채워질 수 있지만 계단 각층의 수평판(11)에 개폐판(11a)을 형성한 후 이를 통해 더욱 용이하게 채워 넣을 수 있다. 다 채워진 채움부재(16)는 이동통로(12a)로 인해 외측과 연결되며 물고기 및 수생생물이 이동통로(12a)를 따라 채움부재(16)의 공극으로 드나들며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연생태가 보존될 수 있고 또 이들로 인해 수질정화기능도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따른 계단형 구조체의 설치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계단형 틀체는 다수개가 결합하여 물과 육지의 경계, 즉 둔치경계면을 형성하게 된다.
설치과정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지만 일 예를 설명하면, 먼저 물과 육지의 경계선에 기초를 다진 후 지지매체(15)와 일체로 형성된 계단형 틀체(10)를 나란히 결합 배치한다. 배치가 끝나면 각층 계단의 수평판(11)에 형성된 개폐판(11a)을 열고 채움부재(16)를 채운 후 개폐판(11a)을 밀폐시킨다. 이에 따라 이동통로(12a)를 통해 돌을 쌓은 형태로 노출되어 자연친화적인 미감을 드러내게 된다.
이어서, 물이 채움되어 흐르게 되면 상기 지지매체(15)는 물의 흐름 방향으로 길게 늘어지며 이동통로(12a)의 입구를 커버하는 형태가 되며 물고기 및 기생생물들은 채움부재(16)의 공극사이를 드나들며 서식하여 수질정화에 기여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범위를 한 정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형성된 둔치경계면에 단독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또계단형 틀체(10)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수평판(11) 자체를 개폐판으로 이용하며 그 측방에도 지지매체(15)를 결합한 브라켓(14)을 고정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변형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변형 시킨다해도 본 고안의 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브라켓(14)에 결합되는 지지매체(15)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구성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계단형 틀체(10)의 내부에 다수의 브라켓(14)을 장설하고 그 브라켓(14)에 다수의 지지매체(15)를 구성하여 주면 그 공간사이에 대량의 물고기들이 서식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다. 지지매체(15)의 끝단은 또 다른 브라켓(14)과 상호 연결시켜 주어 구성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미도시 함)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계단형 틀체(10)의 내부에 다중의 지지매체(15)를 이용한 물고기의 쉼터를 구성시켜 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형 구성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계단형 틀체(10)의 내부에 브러쉬 형태로 구성되는 끈상메디아(15a)에 부력부재(17)를 층층으로 결합하여 계단형 틀체(15)의 내부를 구성시켜주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을 이용하여 계단형 틀체(10)의 내부를 구성하여 주게되면 하천에 서식하는 다양한 물고기들의 산란 장소와 서식장소가 자연적으로 구성되게 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형태를 이용하여 생태 호안을 구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 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다양한 형태의 설계 변경은 당해 업자라면 당연하다 할 것임으로 설계 변경을 통한 형태의 변형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응용하여 계단형 틀체의 내부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하는 것은 당해 업자라면 당연 한 것으로서 이러한 설계변경을 통하여 구성된 계단형 틀체의 구성방법은 그 형상과 모양을 틀리게 구성하였다고 해도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호안가나 강가에 구조적으로 안정된 계단형의 틀체을 설치하여 둔치경계면을 이루게 함으로써 계단식의 완만한 수심을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또 둔치 지반으로의 물 침투를 방지하여 지반의 침식으로 인한 붕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계단형 틀체 내로는 물고기 및 수생생물이 드나들며 서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생태의 보존과 이로 인한 수질정화기능을 할 수 있어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 빠짐시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돌쌓기 형태의 채움부재에 의해 친환경적인 미관을 드러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양측방이 개방되어 내부공간부(13)가 형성된 계단형 틀체(10), 상기 내부공간부(13)와 연통되도록 계단 각층의 전면수직판(12)에 형성되는 이동통로(12a), 이동통로(12a)를 따라 전면수직판(12)에 체결되며 띠형으로 된 지지매체(15)를 고정하고 있는 다수의 브라켓(14), 상기 계단형 틀체(10)의 내부공간부(13)에 공극을 형성하며 채워지는 채움부재(16)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 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4)에 고정되는 지지매체(15)의 끝단에는 부력부재(17)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 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부재(16)를 용이하게 채워 넣을 수 있도록 계단 각층의 수평판(11)에는 개폐판(11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 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부재(16)의 구성을 브러쉬 형태로 구성되는 다수의 끈상메디아(15a) 부재와 부력부재(17)를 층층으로 결합하여 계단형 틀체(10)의 내부를 구성시켜 주어 계단형 틀체(10)의 내부가 물고기들의 서식과 산란장소가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 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KR20-2003-0024986U 2003-08-01 2003-08-01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KR200336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986U KR200336702Y1 (ko) 2003-08-01 2003-08-01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986U KR200336702Y1 (ko) 2003-08-01 2003-08-01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572A Division KR20030063313A (ko) 2003-07-09 2003-07-09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계단형 구조체의 저수로와 그 구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702Y1 true KR200336702Y1 (ko) 2003-12-24

Family

ID=4934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986U KR200336702Y1 (ko) 2003-08-01 2003-08-01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7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4236A (zh) * 2019-01-17 2019-04-05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适合于山区河流减脱水河段修复的生态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4236A (zh) * 2019-01-17 2019-04-05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适合于山区河流减脱水河段修复的生态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555Y1 (ko) 수질정화용 게비온
KR100913772B1 (ko) 자연형 하천의 생태 어도보
JP4787868B2 (ja) テラス構造付き護岸構造体
KR200336702Y1 (ko)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
KR100451982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JP2001164539A (ja) 河床および護岸部材とその施行方法
KR20030096198A (ko)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 인공어초 기능을 발휘하는 계단형 구조체의 생태 호안과 그 구성방법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1005137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의 월류방지용 옹벽 시설물
KR20100015300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물고기 서식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생태하천 수로를 이용하여 자연형 하천을 조성하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KR200298530Y1 (ko) 어초블록
KR100451983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JP3363400B2 (ja) 人工接水壁体の生物定着方法及び生物定着型パネル材
JPH06257126A (ja) 複合魚道ブロックとその複合魚道ブロックによる魚道構造 体とその魚道構造体の施工方法と魚道構造体とその魚道構 造体を含む他の水路構造体との結合構造体
JP4082633B2 (ja) 親水性護岸施設
KR101336773B1 (ko) 식생공간 조성 및 우수 여과 기능을 갖는 하안 구조물
KR100458719B1 (ko) 하천의 생태수로
KR100433498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호안
JP2802149B2 (ja) 海水浄化ケーソン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JP3007939B2 (ja) 人工海浜
KR20090037418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물고기 서식이 용이하도록구비되는 수로를 이용하여 생태하천을 조성하는 공법
KR200262769Y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호안
JP2003268754A (ja) 河川活性化再生方法及び河川活性化再生装置
JP2837811B2 (ja) 生態系に配慮された護岸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護岸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