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252Y1 -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 - Google Patents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252Y1
KR200336252Y1 KR20-2003-0028850U KR20030028850U KR200336252Y1 KR 200336252 Y1 KR200336252 Y1 KR 200336252Y1 KR 20030028850 U KR20030028850 U KR 20030028850U KR 200336252 Y1 KR200336252 Y1 KR 200336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il
drive shaft
shape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담테크
Priority to KR20-2003-0028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심력에 의해 어류, 야채, 고기류 등의 튀김 음식물의 기름을 빼는 탈유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함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기름배출구(110)가 형성된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고, 구동축(211)이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를 상기 하부케이스(100) 저면과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 저면과 결합되는 탄성부재(230)로 구성된 구동부(200)와; 상부가 개구되어 함형태로 형성되고, 하측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구(310)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100) 상부에 결합되고, 저면에 상기 기름배출구(110)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1배출공(320)과, 중앙부에 상향으로 다소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프레임(331)과 상기 고정프레임(331)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332)와 상기 탄성부재(332) 중앙에 상기 구동축(21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통공(333)으로 구성된 구동축수용부(330)로 구성된 상부케이스(300)와; 상부가 개구되어 함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300) 내부에 수용되고, 저면에 상기 제1배출공(320)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2배출공(410)과,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수용부(330)가 수용되는 수용부(420)로 구성된 기름받이통(400)과;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름받이통(400) 내부에 수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축수용부(330)와 구동축(211)이 수용되게 형성된 돌출수용부(510)와, 내벽을 따라 형성된 쿠션재(520)와, 다수개의 통공(530)으로 구성된 회전통(500)과;상기 상부케이스(300) 상부에 형성되고, 하측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구(61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300) 상부에 결합되게 형성된 커버케이스(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튀김물이 손상되지 않고 기름이 깨끗하게 빠지며,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고, 구동부의 진동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an oil strainer}
본 고안은 원심력에 의해 어류, 야채, 고기류 등의 튀김 음식물의 기름을 빼는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외식문화의 발달로 일반 음식점, 패스트푸드점이 늘어나면서 맛과 향이 뛰어나고, 재료의 가공과 신속하게 신선한 맛을 고객에게 전할 수 있는 튀김 음식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그 재료로 닭, 감자, 오징어, 새우등이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튀김 음식은 맛과 향은 뛰어나지만 식물성 기름이나 동물성 기름으로 조리한 음식은 지방이 과다하게 들어가 있어서, 비만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패스트푸드점은 어린이들과 바쁜 직장인들이 널리 사용하는 음식점으로서,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에게 있어서는 살이 찌거나 비만이 될 염려 때문에 마음껏 먹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미 튀겨진 음식을 공기 중에 방치하게 되면 기름이 공기와 산화하게 되고, 이를 다시 튀겨 내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 튀김용 기름에 산화된 기름이 들어가게 되고, 그곳에다 계속 음식물을 튀기게 되면 기름의 질이 더욱더 나빠지고 조리된 음식의 맛과 향, 색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해롭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로서 튀김용 음식물의 기름을 빼기 위한 탈유기가 나오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0281725호 닭튀김용 탈유기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그 구성에 있어서, 구동되는 모터와 구동축이 탈유기 상측에 있어서, 전체 고안의 안정감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모터의 심한 진동으로 인해 탈유기가 변형, 이탈할 염려가 있다. 또한 튀김 음식이 들어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기름여과용기의 내벽에 부딪혀 튀김옷이 벗겨지거나 손상되어 너덜너덜해지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등록번호 0305085호에 의한 튀김물용 탈유기는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구동모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여전히 구동축이나 구동모터의 진동을 해결하지 못한 것으로 탈유기의 가동시 소음이나 진동을 초래한다. 또한 튀김 음식이 탈유드럼 내에 넣어져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안 탈유드럼 내벽에 부딪혀 튀김옷이 벗겨지거나 손상되어 너덜너덜해지는 문제점이 또한 있다.
또한 상기 두개의 종래 기술들은 기름수거용기 내에 기름을 일정 정도 모은 후 기름수거용기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기름수거용기를 비우게 되는데, 이는 바쁜 패스트푸드점이나 일반 음식점에서 계속적으로 탈유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기름수거용기에 저장된 기름과 여과용기나 탈유드럼이 닿게 되어 기름이 신속히 빼내어지지 못하고, 빠진 기름이 다시 음식물로 흡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쿠션재가 형성된 회전통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 튀김물이 손상되지 않고 기름이 깨끗하게 빠지며, 상기 회전통과 기름받이통,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가 연결되어 기름배출구로 기름이 용이하게 배출되고, 구동부의 진동이 개선된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의 분해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의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하부케이스 110 : 기름배출구
200 : 구동부 210 : 모터
211 : 구동축 220 : 프레임
230 : 탄성부재 300 : 상부케이스
310 : 결합구 320 : 제1배출공
330 : 구동축수용부 331 : 고정프레임
332 : 탄성부재 333 : 통공
400 : 기름받이통 410 : 제2배출공
420 : 수용부 500 : 회전통
510 : 돌출수용부 520 :쿠션재
521 : 통공 530 : 통공
600 : 커버케이스 610 : 결합구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어 함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기름배출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구동축이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모터와, 상기 모터를 상기 하부케이스 저면과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 저면과 결합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구동부와; 상부가 개구되어 함형태로 형성되고, 하측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구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 상부에 결합되고, 저면에 상기 기름배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1배출공과, 중앙부에 상향으로 다소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중앙에 상기 구동축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통공으로 구성된 구동축수용부로 구성된 상부케이스와; 상부가 개구되어 함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에 수용되고, 저면에 상기 제1배출공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2배출공과,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수용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로 구성된 기름받이통과;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름받이통 내부에 수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축수용부와 구동축이 수용되게 형성된 돌출수용부와, 내벽을 따라 형성된 쿠션재와, 다수개의 통공으로 구성된 회전통과; 상기 상부케이스 상부에 형성되고, 하측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구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 상부에 결합되게 형성된 커버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통은, 상기 쿠션재에 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튀김물이 손상되지 않고 기름이 깨끗하게 빠지며,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고, 구동부의 진동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는 하부케이스(100), 구동부(200), 상부케이스(300), 기름받이통(400), 회전통(500), 커버케이스(60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가 빈 함형태로 형성되고 스텐레스 스틸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0) 일측에는 기름배출구(110)가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통(500)에서 빠져나온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상기 기름배출구(110)는 빠져나온 기름이 서서히 흘러 배출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00)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저면과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외부전원 연결을 위한 창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고, 모터(210)와 프레임(220)과 탄성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210)는 중앙에 모터(210)의 가동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축(211)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210)의 회전속도에 따라 구동축(211)의 속도도 조절되어 상기 구동축(211)에 의해 회전되는 후술할 회전통(500)의 회전속도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211)은 모터(210)로 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회전통(5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프레임(220)은 중앙에 모터(2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420)가 있어서, 상기 모터(210)를 상기 하부케이스(100) 저면과 이격되게 수용고정시킨다. 상기 프레임(220)에는 일반적으로 네개의 팔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팔에는 후술할 탄성부재(230)를 고정할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스프링이 적당하며, 일측은 상기 프레임(220)의 네개의 팔에 형성된 나사공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하부케이스(100) 저면과 결합된다. 즉 상기 모터(21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210)의 진동은 스프링에 의해 감소되며, 외부충격 등으로부터 모터(210)를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상부케이스(3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상부케이스(30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가 빈 함형태로 형성되고 스텐레스 스틸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결합구(310), 제1배출공(320), 구동축수용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구(310)는 상기 상부케이스(300) 하측 외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 상면과 상기 하부케이스(100) 하면이 맞물려 결합되게 된다.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결합구(31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 상부에 나사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배출공(320)은 상기 상부케이스(300)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름배출구(110)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배출공(320)은 후술할 기름받이통(400)의 제2배출공(410)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후술할 회전통(500)에서 빠져나온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동축수용부(330)는 상기 상부케이스(300) 저면 중앙부에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프레임(331)과, 상기 고정프레임(331)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332)와, 상기 탄성부재(332) 중앙에 구동축(21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통공(3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프레임(331)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프레임(331) 내부에는 탄성부재(332)가 수용되어져 있다. 상기 탄성부재(332)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21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통공(333)에 상기 구동축(211)이 수용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32)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얇은 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된 구동축(211)의 흔들림에도 어느 정도 탄성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 소정의 주름이 잡혀져 있다. 즉 단면이 상기 통공(333)을 중심으로 두개의 'U'자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기름받이통(4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기름받이통(400)은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가 빈 함형태로 형성되고 스텐레스 스틸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제2배출공(410), 수용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기름받이통(400)은 상기 상부케이스(300) 내부에 수용되고,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어 분리와 세척을 편리하도록 하였다.
상기 제2배출공(410)은 상기 제1배출공(320)과 연통되는 위치에 상기 기름받이통(400)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배출공(410)은 후술할 회전통(500)으로 부터 빼내어진 기름이 배출되는 구멍으로 상기 제1배출공(320)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형성되어 있는 기름배출구(110)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수용부(420)는 상기 구동축수용부(330)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상하가 개구된 구멍형상으로 그 크기는 상기 구동축수용부(330)보다는 다소 크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회전통(5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회전통(500)은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텐레스 스틸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돌출수용부(510), 쿠션재(520), 통공(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통(500)은 상기 기름받이통(400)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돌출수용부(510)는 상기 회전통(500) 중앙에 형성되어 다소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수용부(510)에는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구동축수용부(330)가, 상부에는 상기 구동축(211)이 수용되게 된다.
상기 구동축(211)을 수용하는 상부는 상기 구동축(2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통(500)이 회전되도록 꼭 맞게 결합되거나 구동축(211)이 수용되어 결합고정시키는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통(500)은 구동축(211)의 회전시에도회전편각 없이 구동축(211)의 회전력이 모두 상기 회전통(500)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수용부(330)를 수용하는 하부는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형상을 이루어, 상기 구동축수용부(330)가 수용되면서 좁은 위쪽에서 걸리게 되어, 상기 기름받이통(400)과 상기 회전통(500)이 다소 이격되게 형성되어 빠진 기름이 다시 음식물에 베어들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빠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쿠션재(520)는 상기 회전통(500)의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스펀지나 합성수지재가 적당하다. 상기 쿠션재(520)는, 상기 회전통(500)내에 튀김 음식물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통(500) 내벽에 음식물이 부딪혀 튀김옷이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쿠션재(520)에는 통공(521)이 더 형성되어 상기 회전통(500)에 형성된 통공(530)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빠져나온 기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였다.
상기 회전통(500)에 형성된 통공(530)은, 원심력에 의해 튀김 음식물이 회전되면서 기름이 빠져나올때 기름을 신속하게 상기 기름받이통(400)으로 배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는 상기 통공(530)은 회전통(500) 전체가 철망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커버케이스(6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커버케이스(600)는 하측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구(61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300)에 상부에 뚜껑으로서 결합되어, 상기 기름받이통(400), 상기 회전통(500)을 모두 덮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하부케이스(100), 구동부(200), 상부케이스(300), 기름받이통(400), 회전통(500)을 차례로 결합시킨 후 회전통(500)에 튀김 음식물을 넣은 후 커버케이스(600)를 덮고 모터(210)를 작동시키게 된다. 모터(210)의 작동에 의해 구동축(211)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회전통(500)이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튀김 음식물에서 기름이 말끔하게 빠져나와 깔끔하고 산뜻한 맛의 튀김 음식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210)와 구동축(211)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230)인 스프링과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구동축수용부(330)에 형성된 탄성부재(332)인 고무 등에 의해 완화되어 진동과 소음이 거의 없다.
튀김 음식물에서 빠져나온 기름은 제2배출공(410), 제1배출공(320), 기름배출구(110)를 따라 외부로 즉시 배출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회전통의 회전에 의한 튀김 음식물의 기름이 말끔하고, 깨끗하게 빠져 맛이 깔끔하고, 단백하며, 튀김기름에 의한 지방성분을 제거하여 살이 찔 염려가 없으며, 튀김 음식을 외부에 오래두어도 인체에 해롭지 않으며, 튀김 음식을 다시 튀겼을 때도 기름이 재오염 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통에 형성된 쿠션재에 의해, 회전통의 회전에도 튀김물이 전혀 손상되지 않으므로 맛뿐만 아니라 외관도 보존하여 고객에게 정성껏 대접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모터와 구동축의 작동에 의해 진동과 소음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인 스프링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구동축수용부에 형성된 탄성부재인 고무 등에 의해 완화되어 진동과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가 개구되어 함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기름배출구(110)가 형성된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고, 구동축(211)이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를 상기 하부케이스(100) 저면과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 저면과 결합되는 탄성부재(230)로 구성된 구동부(200)와;
    상부가 개구되어 함형태로 형성되고, 하측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구(310)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100) 상부에 결합되고, 저면에 상기 기름배출구(110)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1배출공(320)과, 중앙부에 상향으로 다소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프레임(331)과 상기 고정프레임(331)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332)와 상기 탄성부재(332) 중앙에 상기 구동축(21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통공(333)으로 구성된 구동축수용부(330)로 구성된 상부케이스(300)와;
    상부가 개구되어 함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300) 내부에 수용되고, 저면에 상기 제1배출공(320)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2배출공(410)과,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수용부(330)가 수용되는 수용부(420)로 구성된 기름받이통(400)과;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름받이통(400) 내부에 수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축수용부(330)와 구동축(211)이 수용되게 형성된 돌출수용부(510)와, 내벽을 따라 형성된 쿠션재(520)와, 다수개의 통공(530)으로 구성된 회전통(500)과;
    상기 상부케이스(300) 상부에 형성되고, 하측 외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구(61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300) 상부에 결합되게 형성된 커버케이스(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500)은,
    상기 쿠션재(520)에 통공(52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
KR20-2003-0028850U 2003-09-08 2003-09-08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 KR200336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850U KR200336252Y1 (ko) 2003-09-08 2003-09-08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850U KR200336252Y1 (ko) 2003-09-08 2003-09-08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252Y1 true KR200336252Y1 (ko) 2003-12-12

Family

ID=49421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850U KR200336252Y1 (ko) 2003-09-08 2003-09-08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2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113Y1 (ko) 2012-12-28 2013-05-31 조성준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한 탈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113Y1 (ko) 2012-12-28 2013-05-31 조성준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한 탈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6713C2 (ru) Соковыжималка
EP2510842B1 (en) Combined smoothie maker and juicer
US20190117005A1 (en) Auxiliary processing device for appliance
CN104116426B (zh) 能分拆且能分流分置杂质的洗菜方法及洗菜机
CN107997525A (zh) 果茶机
EP2832273A1 (en) Device for food preparation including steaming and steaming vessel
KR200336252Y1 (ko) 튀김 음식물용 탈유기
JP4575351B2 (ja) 種籾選別装置及び種籾選別方法
KR102175579B1 (ko) 다기능 에어 프라이어
JP3165280U (ja) 野菜水洗器
JP2021016774A (ja) 食器洗浄機及びこれを利用した洗浄方法
CN215305277U (zh) 一种封闭式球型打蛋器
KR20080000757U (ko) 후라이팬
CN108906718A (zh) 一种食用蛹清洗设备
CN210748687U (zh) 一种卤锅
CN214549104U (zh) 过滤装置、料理杯和料理机
CN208940964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果汁提取装置
CN218355862U (zh) 一种滤水组件及具有其的料理机
CN206933940U (zh) 一种升降式火锅
KR200373575Y1 (ko) 야외용 튀김기
KR200281725Y1 (ko) 닭튀김용 탈유기
KR200402184Y1 (ko) 밥솥용 내부 칸막이
CN210432794U (zh) 一种蘑菇清洗装置
CN219516014U (zh) 一种多功能炸锅
WO2007108637A1 (en) Dish with small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