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925Y1 - 전동식 칼 연마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칼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925Y1
KR200335925Y1 KR20-2003-0029580U KR20030029580U KR200335925Y1 KR 200335925 Y1 KR200335925 Y1 KR 200335925Y1 KR 20030029580 U KR20030029580 U KR 20030029580U KR 200335925 Y1 KR200335925 Y1 KR 200335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ng drum
polishing
vari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걸
Original Assignee
서정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걸 filed Critical 서정걸
Priority to KR20-2003-0029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23Q15/26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of angula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2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shear blades or sci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24D9/04Rigid drums for carrying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샌드페이퍼 연마링을 두른 회전드럼을 이용하여 연마 대상물의 크기 및 굵기에 상관없이 자력(SELF CONTROL)에 의한 적절한 대응 조절을 취하며 연마폭을 조절하여 연마를 가할 수 있어 연마품질 향상과 더불어 사용상의 편의성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칼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모터로 샌드페이퍼 연마링이 둘러진 회전드럼을 회전시켜 날받이대에 댄 칼 또는 가윗날을 연마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대판과 이 대판의 양상부에 일정의 간극을 취하도록 설치시킨 한 쌍의 평행한 지지판 그리고, 상기 지지판 중앙 부위 위치하여 전방부위를 좌우로 분할하는 격판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지지판이 형성하고 있는 후방 사이공간에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동력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지지판과 격판이 형성하고 있는 전방 일측 사이공간에 설치되어 있되, 주축이 구동모터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샌드페이퍼로 이루어진 연마링이 연결 설치된 회전드럼부와;
상기 회전드럼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일정의 전,후 및 상,하 가변 동작을 통해 연마 대상물의 크기에 따른 연마 깊이 조정과 연마 대상물을 회전드럼부의 외주연에 설치된 연마링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 플레이트부와;
상기, 회전드럼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변 플레이트부가 연마 대상물을회전드럼부의 외주연으로 밀착시킬시 연마 대상물의 일내측면 상부를 판스프링으로 가압하여 연마 대상물의 연마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마각도조절부와:
상기, 회전드럼부가 위치한 베이스판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부의 연마링을 교체시 회전드럼부의 주축을 고정토록 하는 잠금장치부와;
상기, 동력부에 전가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구동모터의 작동과 회전력을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칼 연마기{KNIFE GRINDER OF ELECTROMOTIVE}
본 고안은 전동식 칼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샌드페이퍼 연마링을 두른 회전드럼을 이용하여 연마 대상물의 크기 및 굵기에 상관없이 자력(SELF CONTROL)에 의한 적절한 대응 조절을 취하며 연마폭을 조절하여 연마를 가할 수 있어 연마품질 향상과 더불어 사용상의 편의성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칼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전동식 칼 연마기에 있어서의 디스크형 연마석은 숙련자가연마를 가하지 않을 경우 칼날이 크게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일반인의 이용이 사실상 불가한 점이 많았고, 여타의 연마기는 대부분 칼날의 끝부분만 연마되므로 1회 연마후에는 칼을 사용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근자에는 칼의 재질향상으로 효과적인 연마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그리고, 날선의 연마폭도 정확히 조정할만한 장치나 기구를 대부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날선의 연마폭이 칼을 가는 이의 숙련도에 따라 제각각 나타나므로 연마품질의 신뢰도가 낮다.
이에 따라 얼마전 본인은 상술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을 고안하여 출원(실용신안등록 제240841호)한 바 있다.
이는, 상기 칼 연마기에서 샌드페이퍼를 둘러 회전시키는 회전드럼은 그 외주면을 반분한 곳에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드럼의 반원주 길이보다도 약간 더 긴 2장의 띠형 샌드페이퍼는 각 연결단부가 상기 오목홈 내에서 서로 겹치도록 회전드럼에 긴밀하게 두른 다음에 오목홈에 샌드페이퍼의 겹친 단부를 보울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보울트 머리는 오목홈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해서 날갈이를 할 때 칼날에 보울트 머리가 닿지 않게 한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고안은 회전드럼과 2장이 1조로 이루어진 띠상 샌드페이퍼는 처음에 샌드페이퍼를 장전할 때는 물론 수명이 다 된 샌드페이퍼를 새것으로 교체할 때 그 작업이 더디고, 보울트를 풀고 되조이는 작업도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또, 회전드럼의 오목홈이 칼 밑을 지날 때마다 칼이 요동치게 하여 날 연마효율을 떨어뜨리고, 칼자루를 쥔 손에도 진동으로 인한 충격피해가 있었다.
그러므로 뒤이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고안 역시 출원(실용신안등록 제283905호)한 바 있다.
이는, 회전드럼 잠금장치의 잠금쇠(35)에 잠가지는 잠금홈(3a)을 가진 주축(3)과; 원주를 반분한 것보다는 약간 작고 원형 내측판(4a)과 외측판의 캠 조작에 따라 내측판(4a) 상에 핀(20)에 의해 지지되고 축경 및 원형복구가 가능한 캠(25)용 접면(24)을 가진 한 쌍의 드럼부재(4b) 및 드럼부재(4b)의 축경 및 원형복구 조작용 캠(25)을 가진 외측판(4c)과의 조합으로 된 회전드럼(4)과; 쿠션링(30)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드럼(4)에 장착하는 엔드레스형 연마링(29)과; 캠축(8)에 설치되는 구동 클러치(32)와 레버(34) 일체형 종동 클러치(33) 그리고 레버(34)에 연동되도록 지지판(2)상의 잠금쇠축(36)에 설치된 잠금쇠(35)와 상기 레버(34)의 위치안정용 레버 스프링(37) 및 다면캠(9)의 날받이대 잠금면(9e)으로 된 회전드럼 잠금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안은 이음새가 없는 띠상 샌드페이퍼제 연마링을 사용함으로서 칼 또는 가위의 날을 연마할 때 연마작업이 매우 정숙하고 능률적이며, 팔에 오는 충격도 대폭 감소되어 칼 연마작업도 아주 편하고, 또, 연마링을 탈착할 때 잠금장치로 회전드럼을 잠글 수 있으므로 가일층 안전하게 연마링의 교체작업수행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연마 대상물을 측방향에서 삽입하여야지만 연마작업이 가능하므로 이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과 더불어 작업 지연을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칼 연마기에 연마 대상물을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연마 대상물이 칼이냐 가위냐에 따라 별도의 받이를 수작업을 통해 설치해 주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연마 대상물을 수평상태로 위치시켜야 하므로 작업자가 허리를 장시간 숙인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는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였다.
또한, 작업 대상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받이와 더불어 날받이대의 진출폭을 미리 결정해 주어야하는 작업을 선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연마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상당시간을 소모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샌드페이퍼로 이루어진 연마링의 장전 및 분리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장전 및 분리시 다면캠과 구동클러치 사이에 위치한 날받이대용 캠을 통해 날받이대를 들어올릴 수는 있다고 하나 연마링의 신속 용이한 장전 및 분리를 이루기에는 미약한 폭을 취하기 때문이다.
또한, 날받이대의 벌어지는 각도와 전후 슬라이딩 이동 조절을 이루는 다면캠과 회전드럼의 주축을 잠금하는 잠금쇠가 연동하는 구동 클러치와 종동 클러치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있어 작동에 혼선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샌드페이퍼 연마링을 두른 회전드럼을 이용하여 연마 대상물의 크기 및 굵기에 상관없이 자력에 의한 적절한 대응 조절을 취하며 연마폭을 조절하여 연마를 가할 수 있어 연마품질 향상과 더불어 사용상의 편의성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칼 연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모터로 샌드페이퍼 연마링이 둘러진 회전드럼을 회전시켜 날받이대에 댄 칼 또는 가윗날을 연마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대판과 이 대판의 양상부에 일정의 간극을 취하도록 설치시킨 한쌍의 평행한 지지판 그리고, 상기 지지판 중앙 부위 위치하여 전방부위를 좌우로 분할하는 격판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지지판이 형성하고 있는 후방 사이공간에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동력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지지판과 격판이 형성하고 있는 전방 일측 사이공간에 설치되어 있되, 주축이 구동모터와 연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샌드페이퍼로 이루어진 연마링이 연결 설치된 회전드럼부와;
상기 회전드럼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일정의 전,후 및 상,하 가변 동작을 통해 연마 대상물의 크기에 따른 연마 깊이 조정과 연마 대상물을 회전드럼부의 외주연에 설치된 연마링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 플레이트부와;
상기, 회전드럼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변 플레이트부가 연마 대상물을 회전드럼부의 외주연으로 밀착시킬시 연마 대상물의 일내측면 상부를 판스프링으로 가압하여 연마 대상물의 연마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마각도조절부와:
상기, 회전드럼부가 위치한 베이스판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부의 연마링을 교체시 회전드럼부의 주축을 고정토록 하는 잠금장치부와;
상기, 동력부에 전가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구동모터의 작동과 회전력을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동식 칼 연마기의 전체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전동식 칼 연마기의 요부인 회전드럼부와 잠금장치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전동식 칼 연마기의 요부인 가변 플레이트부의 측면도.
도 4a, 도 4b는 본 고안인 전동식 칼 연마기의 요부인 가변 플레이트부와 연마각도조절부의 작동도.
도 5는 종래의 전동식 칼 연마기의 전체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부 11 : 대판
12 : 지지판 13 : 격판
20 : 동력부 21 : 구동모터
30 : 회전드럼부 31 : 주축
32 : 연마링 33 : 잠금홈
34 : 회전드럼 35 :날개부
40 : 가변 플레이트부 41a,41b : 연결축
42 : 주 플레이트 43 : 보조 플레이트
44 : 칼날 삽입링 45 : 승,하강 플레이트
46 : 레버 47 : 다면캠
48 : 탄성스프링 49 : 스토퍼부재
50 : 연마각도조절부 51 : 판스프링
52 : 요홈 53 : 경사홈
60 : 잠금장치부 61 : 연결축
62 : 레버 스프링 63 : 걸림홈
64 : 잠금쇠 65 : "7"자형 걸림가이드공
67 : 조정돌기 68 : 덮게판
70 : 콘트롤부 71 : 온/오프 스위치
72 : 콘트롤 레버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동식 칼 연마기의 전체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전동식 칼 연마기의 요부인 회전드럼부와 잠금장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전동식 칼 연마기의 요부인 가변 플레이트부의 측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판(11)과 이 대판(11)의 양상부에 일정의 간극을 취하도록 설치시킨 한 쌍의 평행한 지지판(12) 그리고, 상기 지지판(12) 중앙 부위에 위치하여 전방부위를 좌,우로 분할하는 격판(13)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지지판(12)이 형성하고 있는 후방 사이공간에는 구동모터(21)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동력부(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지지판(12)과 격판(13)이 형성하고 있는 전방 일측 사이공간에는 주축(31)이 구동모터(21)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샌드페이퍼로 이루어진 연마링(32)이 연결 설치된 회전드럼부(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부(30)의 전방에는 일정의 전,후 및 상,하 가변 동작을 통해 연마 대상물의 크기에 따른 연마 깊이 조정과 연마 대상물을 회전드럼부(30)의 외주연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 플레이트부(4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드럼부(30)의 상부에는 상기 가변 플레이트부(40)가 연마 대상물을 회전드럼부(30)의 외주연으로 밀착시킬시 연마 대상물의 일내측면 상부를 판스프링(51)으로 가압하여 연마 대상물의 연마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마각도조절부(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드럼부(30)가 위치한 베이스부(10)의 타측 상부에는 상기 회전드럼부(30)의 샌드 페이퍼 연마링(32)을 교체시 회전드럼부(30)의 주축(31)을 고정토록 하는 잠금장치부(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12)의 후방 일측면에는 동력부(20)에 전가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구동모터(21)의 작동과 회전력을 제어하는 콘트롤부(7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변 플레이트부(40)는 지지판(12)에 전방 하부에 축설된 연결축(41a)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있는 주 플레이트판(42)과, 상기 주 플레이트판(42)과 일정의 이격을 형성토록 연결 설치된 보조 플레이트(43) 그리고, 상기 주,보조 플레이트(42),(43)의 사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양측에 칼날 삽입링(44)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승,하강 플레이트(45)와, 보조 플레이트(43)의 외측면에 노출 형성되어 있는 레버(46) 동작에 의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5)의 하부를 밀어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면캠(47)과, 상기 주 플레이트(42)의 절곡된 하부와 연결을 취해 일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48)과, 전방에 위치한 또다른 연결축(41b)의 일측에 축설되어 주 플레이트(42)와의 걸림 동작을 통해 가변 플레이트부(40)를 전방으로 눌러 고정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부재(4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부(60)는 지지판(12)의 중앙 하부에 축설된 또다른 연결축(61)의 일측에 하부가 힌지 연결되어 있되, 이 연결축(61)에 축끼움된 레버 스프링(62)에 의해 주축(31)에 형성된 잠금홈(33)에 걸림을 취할 수 있는 걸림홈(63)이 형성된 상부가 항상 전방으로 향하는 힘을 발휘하는 잠금쇠(64)와, 상기 잠금쇠(64)가 축설된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된 "7"자형 걸림 가이드공(65)을 통해 잠금쇠(64) 상부에 형성된 조정돌기(67)를 상부로 노출되게 삽입 위치시켜 잠금 및 해제 동작을 가능하게는 덮게판(6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사용방법 및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도 4b는 본 고안인 전동식 칼 연마기의 요부인 가변 플레이트부와 연마각도조절부의 작동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전동식 칼 연마기의 전체 구성상태를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사용방법은 가변 플레이트부(40)와 판스프링(51) 사이에 연마 대상물을 삽입하면 된다.
이때 연마 대상물의 양측면은 가변 플레이트부(40)와 판스프링(51)에 의해 지지되고, 칼날은 칼날 삽입링(44)에 안치되어 견고한 수직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연마 대상물의 내측 하부는 회전드럼부(30)의 회전드럼(34) 날개부(35)에 밀착된다.
그리고, 이 가변 플레이트부(40)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레버(46)를 조정하여 칼날 삽입링(44)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연마 대상물의 연마 깊이를 조정한 후 콘트롤부(70)의 온/오프 스위치(71)를 누르면 연마를 가할 수 있게 된다.또한, 원하는 연마를 행한 이후에는 가변 플레이트부(4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어 연마 대상물을 인출하면 된다.여기서, 전방으로 당겨지는 가변 플레이트부(40)의 주 플레이트(42)는 하부특정부위가 힌지 회동함과 동시에 스토퍼부재(49)의 경사홈(53)에 걸림되어 연마 대상물을 판스프링(51)과 함께 지지하고 있던 주 플레이트(42)를 일정 벌어진 상태로 고정되게 되어 연마된 연마 대상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마 대상물을 인출한 후 상기 가변 플레이트부(40)를 초기상태로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연마 대상물의 용이한 인출을 위해 일정 벌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던 가변 플레이트부(40)의 주 플레이트(42)를 전방으로 더욱 잡아당기면 된다.
즉, 전방으로 더욱 많이 당겨지는 가변 플레이트부(40)의 주 플레이트(42)는 스토퍼부재(49) 경사홈(53)과 걸림 잠금을 취하고 있던 주 플레이트(42)의 하부와 잠김이 자동으로 해제됨과 동시에 탄성스프링(4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자동 복귀되기 때문이다.
한편, 효과적인 연마를 위해서는 상기 콘트롤부(70)에 마련된 콘트롤레버(72)를 통해 연마 속도를 가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연마 대상물을 전,후로 이동시키며 연마를 취하면 된다.
참고로 상기 회전드럼(34)의 날개부(35)에 밀착된 연마 대상물의 하부 내측은 실질적으로 연마를 가하는 연마링(32)과는 일정의 간극을 유지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마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유는 회전드럼(34)이 고속 회전시 연마링(32)에는 원심력이 발생하여 초기 상태보다 다소 확장된 상태로 회전이 취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갖가지 형상과 크기의 연마 대상물에 상관없이 신속 용이하고도 효과적인 연마 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실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전성은 물론이고, 작업상의 신속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숙련자가 아닐지라도 일관적인 연마를 가할 수 있으므로 연마 품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서있는 자세에서도 연마에 용이한 작업 자세의 구현이 가능한 구조로 변경하였고, 상기 가변 플레이트부(40)와 연마각도조절부(50)가 연마 대상물에 적절한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신속한 가변과 견고한 가압을 취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잠금장치부(60)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의 기술처럼 주축(31)을 고정하고자 취하는 작동에 혼선을 초래할 우려가 전혀 없고, 더불어 전반적인 구조의 단순화를 실현할 수 있어 작동상의 편의성과 조립 과정상의 편의성 등을 향상 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칼날 삽입링(44)의 중앙은 경사진 형태의 상광 하협의 골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되, 골진 하협 부위에는 격자형의 요홈(5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 전후로 이동하며 연마가 취해지게 되는 연마 대상물의 칼날에는 아무런 손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샌드페이퍼를 두른 회전드럼을 이용하여 연마 대상물의 크기 및 굵기에 상관없이 자력에 의한 적절한 대응 조절을 취하며 연마폭을 조절하여 연마를 가할 수 있어 연마품질 향상과 더불어 사용상의 편의성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모터로 샌드페이퍼 연마링이 둘러진 회전드럼을 회전시켜 날받이대에 댄 칼 또는 가윗날을 연마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대판(11)과 이 대판(11)의 양상부에 일정의 간극을 취하도록 설치시킨 한쌍의 평행한 지지판(12) 그리고, 상기 지지판(12) 중앙 부위 위치하여 전방부위를 좌우로 분할하는 격판(13)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지지판(12)이 형성하고 있는 후방 사이공간에 구동모터(21)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동력부(2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지지판(12)과 격판(13)이 형성하고 있는 전방 일측 사이공간에 설치되어 있되, 주축(31)이 구동모터(21)와 연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샌드페이퍼로 이루어진 연마링(32)이 연결 설치된 회전드럼부(30)와;
    상기 회전드럼부(30)의 전방에 위치하여 일정의 전,후 및 상,하 가변 동작을 통해 연마 대상물의 크기에 따른 연마 깊이 조정과 연마 대상물을 회전드럼부(30)의 외주연에 설치된 연마링(32)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 플레이트부(40)와;
    상기, 회전드럼부(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변 플레이트부(40)가 연마 대상물을 회전드럼부(30)의 외주연으로 밀착시킬시 연마 대상물의 일내측면 상부를 판스프링(51)으로 가압하여 연마 대상물의 연마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하는 연마각도조절부(50)와:
    상기, 회전드럼부(30)가 위치한 베이스부(10)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부(30)의 연마링(32)을 교체시 회전드럼부(30)의 주축(31)을 고정토록 하는 잠금장치부(60)와;
    상기, 동력부(20)에 전가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구동모터(21)의 작동과 회전력을 제어하는 콘트롤부(70)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칼 연마기.
  2. 제 1항에 있어서, 가변 플레이트부(40)는 지지판(12)에 전방 하부에 축설된 연결축(41a)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있는 주 플레이트판(42)과, 상기 주 플레이트판(42)과 일정의 이격을 형성토록 연결 설치된 보조 플레이트(43) 그리고, 상기 주,보조 플레이트(42),(43)의 사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양측에 칼날 삽입링(44)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승,하강 플레이트(45)와, 보조 플레이트(43)의 외측면에 노출형성되어 있는 레버(46) 동작에 의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5)의 하부를 밀어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면캠(47)과, 상기 주 플레이트(42)의 절곡된 하부와 연결을 취해 일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48)과, 전방에 위치한 또다른 연결축(41b)의 일측에 축설되어, 주 플레이트(42)와의 걸림동작을 통해 가변 플레이트부(40)를 전방으로 눌러 고정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가능하게하는 스토퍼부재(4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칼 연마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부(60)는 지지판(12)의 중앙 하부에 축설된 또다른 연결축(61)의 일측에 하부가 힌지 연결되어 있되, 이 연결축(61)에 축끼움된 레버 스프링(62)에 의해 주축(31)에 형성된 잠금홈(33)에 걸림을 취할 수 있는 걸림홈(63)이 형성된 상부가 항상 전방으로 향하는 힘을 발휘하는 잠금쇠(64)와, 상기 잠금쇠(64)가 축설된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된 "7"자형 걸림 가이드공(65)을 통해 잠금쇠(64) 상부에 형성된 조정돌기(67)를 상부로 노출되게 삽입위치시켜 잠금 및 해제 동작을 가능하게는 덮게판(6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칼 연마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삽입링(44)의 중앙은 경사진 형태의 상광 하협의 골진형태로 형성되어 있되, 골진 하협 부위에는 격자형의 요홈(5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칼 연마기.
KR20-2003-0029580U 2003-09-18 2003-09-18 전동식 칼 연마기 KR200335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580U KR200335925Y1 (ko) 2003-09-18 2003-09-18 전동식 칼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580U KR200335925Y1 (ko) 2003-09-18 2003-09-18 전동식 칼 연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925Y1 true KR200335925Y1 (ko) 2003-12-11

Family

ID=4934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580U KR200335925Y1 (ko) 2003-09-18 2003-09-18 전동식 칼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9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765B1 (ko) 2007-09-20 2009-05-15 강미영 전동식 칼 연마기
KR100904980B1 (ko) 2007-09-20 2009-06-26 강미영 전동식 칼 연마기의 연마드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765B1 (ko) 2007-09-20 2009-05-15 강미영 전동식 칼 연마기
KR100904980B1 (ko) 2007-09-20 2009-06-26 강미영 전동식 칼 연마기의 연마드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1030A (en) Sharpener device
JP2002224937A (ja) 砥ぎ角度を制御するための構造を備えた手動ナイフ砥ぎ器
KR200335925Y1 (ko) 전동식 칼 연마기
US9095949B2 (en) Sharpening device for cutting blade
CN105026105A (zh) 刀片珩磨设备和合并有所述刀片珩磨设备的切割设备
EP2796302B1 (en) Bead breaking unit for tyre changing machines
JP3711095B2 (ja) ベルト式研削工具
KR200411645Y1 (ko) 전동식 칼 연마기
CN112008564B (zh) 电动工具
JP5222854B2 (ja) 裁断機
JP4231010B2 (ja) 研磨装置
KR100897765B1 (ko) 전동식 칼 연마기
KR102156353B1 (ko) 작업성이 향상된 휴대용 연마기
US6742423B1 (en) Perpendicularly displaced window shade roller cutting assembly
JP3209108U (ja) 角度調整可能な砥石式電動刃研ぎ機
KR102201874B1 (ko) 작업성이 우수한 휴대용 연마기
JP2004538165A (ja) 手持ち式研削工作機械
KR200283905Y1 (ko) 전동식 칼 연마기
KR20060040077A (ko) 손톱깍이의 날 연마장치
KR102002693B1 (ko) 재봉선 절단용 가름칼 연마장치
US1884924A (en) Sharpener for slicing machines
KR200485360Y1 (ko) 전동식 칼갈이 장치
CN212946857U (zh) 一种新型电动冰刀磨刀机
US5027559A (en) Sharpening unit for leather splitting machines
KR200240841Y1 (ko) 전동식 칼 연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