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800Y1 -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 - Google Patents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800Y1
KR200335800Y1 KR20-2003-0030590U KR20030030590U KR200335800Y1 KR 200335800 Y1 KR200335800 Y1 KR 200335800Y1 KR 20030030590 U KR20030030590 U KR 20030030590U KR 200335800 Y1 KR200335800 Y1 KR 200335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discharge pipe
water
auxiliary hol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욱
Original Assignee
김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욱 filed Critical 김양욱
Priority to KR20-2003-0030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의 일측에 물잔류부 또는 사이펀부와 연결되어 통하는 배출관쪽에 연결플랜지가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밀폐마개 등으로 폐쇄시키었다가 사용시에는 밀폐마개를 열어 이 연결플랜지에 바로 청소용구를 밀어 넣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연결플랜지에 연결호스 등을 연결하여 변기내로의 약품 등을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음식물쓰레기 등을 믹서시키어 변기로 배출할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기의 보조구멍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에 관한 것으로, 물통(110)의 물이 변기(100)의 관(140), 물잔류부(170) 및 사이펀부(150)를 통하여 배출관(16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100)의 일측에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출관(160)과 연결되어 통하는 보조구멍의 연결플랜지(20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되고, 또한 상기 연결플랜지(200)의 바깥둘레면에 고정홈(4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플랜지(200)의 바깥둘레면에 나선(600)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toilet bowl with a belly hole}
본 고안은 변기내의 배출관측에 외부와 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청소 및 막힘 등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의 일측에 물잔류부 또는 사이펀부와 연결되어 통하는 배출관쪽에 연결플랜지가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밀폐마개 등으로 폐쇄시키었다가 사용시에는 밀폐마개를 열어 이 연결플랜지에 바로 청소용구를 밀어 넣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연결플랜지에 연결호스 등을 연결하여 변기내로의 약품 등을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음식물쓰레기 등을 믹서시키어 변기로 배출할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기의 보조구멍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용변을 수세식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물통(수조)가 구비되고, 도한 물통으로부터 레버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적당량의 물이 급수구를 통해 물잔류부의 용변을 사이펀부를 거쳐 배출관으로 배출시키어 배출관과 연결되어 통하는 메인배관을 통하여 정화조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변기는 물잔류부와 배출관이 턱이진 사이펀부로 구획되어 있으며, 또한 물잔류부의 물은 사이펀부와 통하는 배출관과의 구획하는 역할로 배출관으로부터 냄새 등이 변기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위와 같이 사이펀부의 형성으로 냄새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사이펀부에 의하여 용변이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수압이 약하여지면서 배출관을 막히는 일이 종종있으나, 이때 압축빨대를 이용한다던지 또는 코일로 일정길이로된 회전도구 등을 사용하여 변기의 막힘을 제거하는데에 있어서의 사이펀부의 형성으로 배출관까지 도구를 밀어 넣어서 용변 등의 이물을 제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도구 등이 사이펀부를 망실시키어 변기를 훼손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변기내의 물통, 급수구, 물잔류부, 사이펀부 및 배출관 등을 그대로 성형하면서 상기 사이펀부를 지나 배출관관과 직접 연결되어 통하면서 외부와 연결되어 통하는 연결플랜지를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여, 변기의 외부에서 사이펀부를 거치지 않고 바로 변기용 청소 도구를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여 변기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연결플랜지를 통하여 청소용약품을 투입하여 청소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외의 급수의 공급이 않되는 비상시의 경우, 연결플랜지를 이용하여 바로 간단한 용변 등을 투입할 수 있는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물통의 물이 변기의 급수관, 물잔류부 및 사이펀부를 통하여 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의 일측에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배출관과 연결되어 통하는 보조구멍의 연결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결플랜지의 바깥둘레면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플랜지에 호스 등을 연결한 후 고정클립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호스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연결플랜지의 바깥둘레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고정캡 등을 연결하여 고정캡에 호스 등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의 종단면도,
도 3a,b,c 는 본 고안의 변기의 보조구멍의 실시예을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변기 110 : 물통
130 : 급수구 140 : 급수관
150 : 사이펀부 160 : 배출관
170 : 물잔류부 200 : 연결플랜지
300 : 밀폐마개 400 : 고정홈
410 : 고정클립 500 : 호스
600 : 나선 700 : 연결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가정용 변기(100)는 물통(수조)(110)이 장착되고 물통(110)의 물은 유입관(500)을 통하여 유입되고, 수세레버(120)의 작동에 의하여 밸브(도시생략)가 급수구(130)를 열어서 급수관(140)을 통해 변기(100)내의 물잔류부(170)로 급수되게 된다.
그리고, 또한 급수관(140)을 통하여 변기(100)의 물잔류부(170)에 유입된 물은 용변과 함께 사이펀부(150)를 넘어서 배출관(160)으로 배출되며, 이 배출관(160)은 메인배수관(도시생략)을 통하여 정화조(도시생략)로 배출되게 된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변기(100)의 일측에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출관(160)과 연결되어 통하는 보조구멍의 연결플랜지(2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플랜지(200)의 둘레면을 매끄러움면으로 일체 성형하여 밀폐마개(300)로 고정하였다가 연결플랜지(200)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밀폐마개(300)를 연결플랜지(20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도 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플랜지(200)의 바깥둘레면에 고정홈(400)을 형성하여, 연결플랜지(200)의 바깥둘레면에 호스(500)를 연결한 후, 이 고정클립(410)을 상기 고정홈(400)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호스(500)를 연결플랜지(200)에 바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플랜지(200)의 바깥둘레면에 나선(600)을 형성하여 연결관(700)을 바로 나선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변기내의 물통, 급수구, 물잔류부, 사이펀부 및 배출관 등을 그대로 성형하면서 상기 사이펀부를 지나 배출관관과 직접 연결되어 통하면서 외부와 연결되어 통하는 연결플랜지를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여, 변기의 외부에서 사이펀부를 거치지 않고 바로 변기용 청소 도구를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여 변기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연결플랜지를 통하여 청소용약품을 투입하여 청소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외의 급수의 공급이 않되는 비상시의 경우, 연결플랜지를 이용하여 바로 간단한 용변 등을 투입할 수 있다.

Claims (3)

  1. 물통(110)의 물이 변기(100)의 관(140), 물잔류부(170) 및 사이펀부(150)를 통하여 배출관(16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100)의 일측에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출관(160)과 연결되어 통하는 보조구멍의 연결플랜지(20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랜지(200)의 바깥둘레면에 고정홈(40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랜지(200)의 바깥둘레면에 나선(60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
KR20-2003-0030590U 2003-09-27 2003-09-27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 KR200335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90U KR200335800Y1 (ko) 2003-09-27 2003-09-27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90U KR200335800Y1 (ko) 2003-09-27 2003-09-27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800Y1 true KR200335800Y1 (ko) 2003-12-11

Family

ID=4934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590U KR200335800Y1 (ko) 2003-09-27 2003-09-27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8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581B2 (en) Waste water outlet
JP2804744B2 (ja) 便器の洗浄装置
WO2004099513A2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US20090014079A1 (en) In-pump gray water bypass system
KR200335800Y1 (ko)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
KR200409455Y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관붙이 앵글밸브
JP2004360263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RU2751915C2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ая сливная арматура
KR200241060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KR200384911Y1 (ko) 비데용 급수 커넥터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US20040187925A1 (en) Plumbing trap after-valve
KR200191217Y1 (ko)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FI92743C (fi) Hajulukon ja viemärin huuhtelulaite
KR100499329B1 (ko)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KR200201960Y1 (ko) 악취 역류 방지용 하수관 마개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KR200257939Y1 (ko) 세면대용 급수관의 분기구조
KR200356292Y1 (ko) 세면기의 소제구 부착형 배수전 폽압장치용 킥 레버실
KR200241059Y1 (ko) 배수트랩
CN104196101A (zh) 一种易通蹲便器
JPS6031598Y2 (ja) 便器洗浄装置
KR200241217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KR200342578Y1 (ko) 걸름망 교체가 용이한 수도관 연결용 밸브장치
KR20190025214A (ko) 이동식 배수관이 구비된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