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547Y1 -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547Y1
KR200335547Y1 KR20-2003-0030532U KR20030030532U KR200335547Y1 KR 200335547 Y1 KR200335547 Y1 KR 200335547Y1 KR 20030030532 U KR20030030532 U KR 20030030532U KR 200335547 Y1 KR200335547 Y1 KR 200335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uilt
worm
power transmission
low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스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스피아
Priority to KR20-2003-0030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5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공급부(110)에 웜(121)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고 웜(121)의 상측에 웜휠(122)을 수직으로 결합하되 웜휠(122)의 샤프트에 유성기어(123)를 형성하고 웜(121)의 전방으로 샤프트(124)를 형성시킨 동력전달부(120)와,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유성기어(123)에 태양기어(131)를 결합하고 태양기어(131)의 중심축(132)에 스윙아암(133)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되 스윙아암(133)의 하측에 대응되는 리밋스위치(135)를 설치하여 승,하강을 제어하는 콘트롤부(130)와,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나선형샤프트(124)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승,하강드럼(141)을 연결하되 각각의 승,하강드럼(141) 사이를 연결샤프트(147)로 연결하여 결합하고 승,하강드럼(141)의 외주연 일측에 틸트조절구(145)를 결합하는 작동부(140)로 구성하므로, 설치 할 때 블라인드의 상한 및 하한 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승,하강용 로프의 권취량을 일정하고 정확하게 하여 모터와 권취부분 등의 보호하며 대형창에 설치할 때에도 샤프트의 회전계열 직진도가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어 모터의 과부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후의 폭을 최소화하여 내장형 블라인드의 설치된 이중창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Built-in gearing blind device}
본 고안은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장형 블라인드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블라인드 내장형 창의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대형창에서도 모터의 과부화의 발생을 억제하여 원활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하게 블라인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특히 설치시 전원이 차단되는 시점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창(窓)에 설치하여 차광·조광·차단 등을 하는 물건을 말하는 것으로, 예로부터 갈대발·명장자(明障子)·격자(格子)·셔터·베니션블라인드 등이 있었고, 근대에 이르러서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말아 올리는 롤러셰이드, 베니션블라인드를 2중유리 사이에 끼운 것 등, 여러 가지 새로운 형식이 고안되었다.
이와 같은 철거·이동이 가능한 것만이 아니라 항구적으로 건축 본체에 짜 넣은 차일장치는 브리즈솔레유라고 한다.
건축에는 이러한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차단하는 기능이 어느 정도는 갖추어져 있는데, 블라인드는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추구하는 것임과 동시에 건축 장치로서의 특질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려는 표현의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밖에 현대의 블라인드에 대한 관심은 냉방의 보급에 따라 외부로부터 열을 적게 받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면을 고려하고 있다.
블라인드에 요구되는 성능은 직사광선이나 외부시선을 차단하면서도 통풍이나 간접광선, 안쪽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야확보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필요하지 않을 때는 쉽게 철거, 이동할 수 있는 것 등이다.
한편 블라인드는 루버형이 많다.
루버란 직사각형의 얇은 슬랫을 평행으로 늘어놓은 것을 말하며, 슬랫의 각도를 바꿈으로써 광선을 가릴 수 있다.
블라인드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베니션블라인드인데, 밝은색깔로 도장한 곡률(曲率)이 있는 슬랫을 수평으로 하여 창 뒤쪽에 달아 매고, 판의 각도를 자유로 바꾸어 직사광선을 가리거나 또는 위를 향하게 하여 반사시킨다.
현재에는 이러한 각종 블라인드에 전동장치를 결합하여 자동으로 이를 제어하고 전동 블라인드를 이중창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이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는 기어방식이나 연산방식 또는 타이머 방식으로 블라인드의 승,하강 및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는 이를 설치할 때 블라인드의 상한 및 하한 위치에서 구동장치의 전원이 차단될 시점을 각각의 창 크기에 정확하게 세팅하기 까다롭고 이로 인하여 설치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숙련자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는 승,하강용 로프의 권취량을 정확하게 검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과부화가 발생하여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심지어 권취 부분을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대형창에 내장하는 경우에는 횡방향으로 길게 헤드박스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회전되는 샤프트의 직진도가 떨어져 모터에 과부화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심지어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블라인드는 구조가 복잡하고 전후 폭이 비교적 넓어 이중창의 내장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중창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블라인드의 상한 및 하한 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동 블라인드의 승,하강용 로프의 권취량을 일정하고 정확하게 하여 모터와 권취부분 등의 보호하므로 장치 수명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작동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정확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형창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샤프트의 회전계열 직진도가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모터의 과부화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단히 하고 전후의 폭을 최소화하여 내장형 블라인드가 설치된 이중창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의 일측 구동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의 타측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의 컨트롤부 부분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블라인드 10: 루버
11: 슬랫 20: 틸트로프
30: 승,하강로프 100: 전동장치
110: 동력공급부 111: 모터
112: 감속기 113: 샤프트
120: 동력전달부 121: 웜
122: 웜휠 123: 유성기어
124: 샤프트 130: 컨트롤부
131: 태양기어 132: 중심축
133: 스윙아암 134: 가이드로울러
135: 리밋스위치 140: 작동부
141: 상하조절드럼 142: 나선부
143: 축공 144: 지지대
145: 틸트조절구 146: 가이드홈
147: 연결샤프트 148: 나선지지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는 모터에 감속기를 결합하여 회전력을 적정 회전수로 감속시켜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동력공급부와, 상기 동력공급부의 샤프트에 웜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고 웜의 상측에 웜휠을 수직으로 세워 치차결합하되 웜휠의 일측 샤프트에 유성기어를 형성하고 웜의 전방으로 나선형샤프트를 형성시킨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유성기어에 내접형의 태양기어를 치차결합하고 태양기어의 타측에 형성된 중심축에 한 쌍의 스윙아암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되 스윙아암의 하측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리밋스위치를 설치하여 승,하강을 제어하는 콘트롤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나선형샤프트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승,하강드럼을 연결하되 각각의 승,하강드럼 사이를 연결샤프트로 연결하여 결합하고 승,하강드럼의 외주연 일측에 틸트조절구를 결합하는 작동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 은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의 일측 구동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의 타측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의 컨트롤부 부분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는 모터(111)에 감속기(112)를 결합하여 회전력을 적정 회전수로 감속시켜 샤프트(113)를 회전시키는 동력공급부(110)와, 상기 동력공급부(110)의 샤프트(113)에 웜(121)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고 웜(121)의 상측에 웜휠(122)을 수직으로 세워 치차결합하되 웜휠(122)의 일측 샤프트에 유성기어(123)를 형성하고 웜(121)의 전방으로 사각형상의 샤프트(124)를 형성시킨 동력전달부(120)와,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유성기어(123)에 내접형의 태양기어(131)를 치차결합하고 태양기어(131)의 타측에 형성된 중심축(132)에 한 쌍의 스윙아암(133)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되 스윙아암(133)의 하측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리밋스위치(135)를 설치하여 승,하강를 제어하는 콘트롤부(130)와,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샤프트(124)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승,하강드럼(141)을 연결하되 각각의 승,하강드럼(141) 사이를 연결샤프트(147)로 연결하여 결합하고 승,하강드럼(141)의 외주연 일측에 틸트조절구(145)를 결합하는 작동부(140)로 구성한다.
상기 동력공급부(110)는 모터(111)에 감속기(112)를 일체로 형성하여 모터(111)의 회전수를 적정 회전수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웜(121)의 상측에 수직으로 웜휠(122)을 치차결합시켜 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웜휠(122)의 회전축 일측에는 유성기어(123)를 형성한다.
상기 컨트롤부(130)는 기어가 내접형상으로 형성된 태양기어(131)를 수직으로 세워 웜휠(122) 일측의 회전축에 형성된 유성기어(123)와 치차결합시켜 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태양기어(131)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134)를 설치하여 태양기어(131)가 정확한 위치에 세팅됨과 동시에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되 가이드로울러(134)는 헤드박스에 결합된다.
나아가, 태양기어(131)의 내접형기어 반대측에는 중심축(132)을 형성하되 중심축(132)에 승,하강을 제어하는 스윙아암(133)을 고정시킨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태양기어(131)의 하측에 리밋스위치(135)를 좌우에 각각 설치하여 각각의 스윙아암(133)과 대응되게 하므로 블라인드(1)의 루버(10)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펼쳐진 상태)에서 한 개의 스윙아암(133)을 태양기어(131)의 중심축(132)에 세팅하고, 블라인드(1)의 루버(10)가 완전히 상승한 상태(접혀진 상태)에서 또 다른 한 개의 스윙아암(133)을 태양기어(131)의 중심축(132)에 세팅하여 이들을 완전 고정시키므로 작업자 블라인드(1)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설치함으로써 모터(111)의 과부화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부(140)는 동력전달부(120)의 사각형상 샤프트(124)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승,하강드럼(141)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되 각각의 승,하강드럼(141) 사이를 연결샤프트(147)로 연결하여 결합한다.
여기서 승,하강드럼(141)의 축공(143)을 육각공으로 형성하고 연결샤프트(147)를 육각봉으로 형성하여 정확하게 회전할 있도록 하되 축공(143)의 내부에 연질성질의 접착제를 충진하여 조인트 부분에 약간의 후렉시블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좌우 길이가 긴 창에 설치하는 경우 샤프트의 진직도를 향상시켜 모터(111) 등의 부재에 과부화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승,하강드럼(141)에는 승,하강로프(30)를 결합하고, 하측에는 한 개 이상의 지지대(144)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승,하강드럼(141)의 외주연 일측에는 가이드홈(146)이 형성된 틸트조절구(145)를 결합하여 여기에 사다리 형상의 틸트로프(20) 상측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또한, 틸트조절구(145)는 승,하강드럼(141)에 일정한 마찰력을 가지도록 설치하여 고속회전시 공회전하고 저속(실제 아주 느린 속도임)에서는 연동되게 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블라인드(1)를 승,하강 시킬 때는 승,하강드럼(141)이 고속 회전하므로 틸트조절구(145)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블라인드(1)의 루버(10)를 이루는 슬랫(11)의 각도를 조절하여 빛의 투과 정도 등을 조절할 때에는 승,하강드럼(141)이 매우 느린 속도로 회전하므로 마찰력에 의하여 틸트조절구(145)도 연동되어 회전하므로 슬랫(11)의 각도가 조절된다.
실제로 회전각은 좌우 각이 85°로 매우 미세한 움직이므로 블라인드(1)의 높낮이에는 변화가 거의 없다.
한편, 동력전달부(120)의 사각형상 샤프트(124)와 결합되는 승,하강드럼(141)은 일측 외주연에 나선부(142)를 형성하고 나선부(142)에 암나사로된 나선지지부(148)를 치차결합하며 동력전달부(120)측의 축공(143)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되 축공(143)에 샤프트(124)를 단순히 끼워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사각형상의 샤프트(124)가 회전하면 헤드박스에 고정된 나선지지부(148)에 치차결합된 나선부(142)로 인하여 승,하강드럼(141)이 회전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즉,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승,하강드럼(141)이 회전 또는 역회전할 때 이와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승,하강드럼(141)에 승,하강로프(30)가 코일형상으로 감기거나 풀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정확하게 블라인드(1)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블라인드(1)의 루버(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자 할 때 모터(111)를 제어하면 감속기(112) 통하여 적정 회전속도로 회전력이 웜(121)에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승,하강드럼(141)이 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루버(10)를 원하는 위치로 승,하강시킨다.
이때 원하는 적정위치 도달하면 모터(111)의 전원을 차단하여 작동을 정지 시키게 된다.
여기서 블라인드(1)를 최상측까지 접거나 최하측까지 펼치는 경우에는 상기한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웜(121)의 지속적인 회전으로 웜(121) 상측에 수직으로 치차결합된 웜휠(122)도 계속하여 회전하게되고 따라서 일체로 된 유성기어(123)도 회전하게 되므로 태양기어(131)가 회전된다.
이로 인하여 태양기어(131)의 중심축(132)에 최초 세팅된 스윙아암(133)이 리밋스위치(135)를 눌러 블라인드(1)의 루버(1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 또는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자동으로 블라인드(1)의 작동을 정지시키므로 모터(111)를 과부화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한편 승,하강드럼(141)이 회전 또는 역회전할 때 이와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하므로 승,하강드럼(141)에 승,하강로프(30)가 코일형상으로 감기거나 풀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승,하강로프(30)가 중첩되지 않고 블라인드(1)를 정확하게 승,하강 시킬 수 있다.
여기서 틸트조절구(145)는 승,하강드럼(141)이 회전하더라도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블라인드(1)의 루버(10)를 이루는 슬랫(11)의 각도를 조절하여 빛의 투과 정도 등을 조절할 때에는 모터(111)를 저속으로 회전시켜 감속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아주 느린 속도로 전달되므로 틸트조절구(145)가 승,하강드럼(141)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므로 슬랫(11)의 각도가 조절된다.
실제로 회전각은 전체가 170°로 그 회전력은 매우 미세한 움직이므로 이미 세팅된 블라인드(1)의 높낮이에는 변화가 거의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는 모터(111)에 감속기(112)를 결합하여 회전력을 적정 회전수로 감속시켜 샤프트(113)를 회전시키는 동력공급부(110)와, 상기 동력공급부(110)의 샤프트(113)에 웜(121)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고 웜(121)의 상측에 웜휠(122)을 수직으로 세워 치차결합하되 웜휠(122)의 일측 샤프트에 유성기어(123)를 형성하고 웜(121)의 전방으로 샤프트(124)를 형성시킨 동력전달부(120)와,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유성기어(123)에 내접형의 태양기어(131)를 치차결합하고 태양기어(131)의 타측에 형성된 중심축(132)에 한 쌍의 스윙아암(133)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되 스윙아암(133)의 하측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리밋스위치(135)를 설치하여 승,하강을 제어하는 콘트롤부(130)와,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나선형샤프트(124)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승,하강드럼(141)을 연결하되 각각의 승,하강드럼(141) 사이를 연결샤프트(147)로 연결하여 결합하고 승,하강드럼(141)의 외주연 일측에 틸트조절구(145)를 경하하는 작동부(140)로 구성하므로, 설치 할 때 블라인드의 상한 및 하한 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승,하강용 로프의 권취량을 일정하고 정확하게 하여 모터와 권취부분 등의 보호하며 대형창에 설치할 때에도 샤프트의 회전계열 직진도가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모터의 과부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후의 폭을 최소화하여 내장형 블라인드의 설치된 이중창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모터(111)에 감속기(112)를 결합하여 회전력을 적정 회전수로 감속시켜 샤프트(113)를 회전시키는 동력공급부(110)와,
    상기 동력공급부(110)의 샤프트(113)에 웜(121)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고 웜(121)의 상측에 웜휠(122)을 수직으로 세워 치차결합하되 웜휠(122)의 일측 샤프트에 유성기어(123)를 형성하고 웜(121)의 전방으로 사각형상의 샤프트(124)를 형성시킨 동력전달부(120)와,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유성기어(123)에 내접형의 태양기어(131)를 치차결합하고 태양기어(131)의 타측에 형성된 중심축(132)에 한 쌍의 스윙아암(133)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되 스윙아암(133)의 하측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리밋스위치(135)를 설치하여 승,하강를 제어하는 콘트롤부(130)와,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샤프트(124)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승,하강드럼(141)을 연결하되 각각의 승,하강드럼(141) 사이를 연결샤프트(147)로 연결하여 결합하고 승,하강드럼(141)의 외주연 일측에 틸트조절구(145)를 결합하는 작동부(1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40)는 승,하강드럼(141)의 축공(143)을 육각공으로 형성하고연결샤프트(147)를 육각봉으로 형성하여 정확하게 회전할 있도록 하되 축공(143)의 내부에 연질성질의 접착제를 충진하여 조인트 부분에 약간의 후렉시블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40)는 승,하강드럼(141)의 외주연 일측에는 가이드홈(146)이 형성된 틸트조절구(145)를 결합하여 여기에 사다리 형상의 틸트로프(20) 상측을 고정시키되 틸트조절구(145)가 승,하강드럼(141)에 일정한 마찰력을 가지도록 설치하여 고속회전시에는 공회전하고 저속에서는 연동되어 회전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사각형상 샤프트(124)와 결합되는 승,하강드럼(141)은 일측 외주연에 나선부(142)를 형성하고 나선부(142)에 암나사로된 나선지지부(148)를 치차결합하며 동력전달부(120)측의 축공(143)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되 축공(143)에 샤프트(124)를 단순히 끼워 회전할 때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KR20-2003-0030532U 2003-09-26 2003-09-26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KR200335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32U KR200335547Y1 (ko) 2003-09-26 2003-09-26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32U KR200335547Y1 (ko) 2003-09-26 2003-09-26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068A Division KR100522357B1 (ko) 2003-09-26 2003-09-26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547Y1 true KR200335547Y1 (ko) 2003-12-11

Family

ID=4942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532U KR200335547Y1 (ko) 2003-09-26 2003-09-26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5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494B2 (en) Window treatment having an adjustable bottom bar
US5119868A (en) Venetian blind with a three-position tilt adjustment
US6135189A (en) Mechanism for constant balance
KR100522357B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TWI513890B (zh) Horizontal blinds of the blade drive device
EP2295703B1 (en) Lift Mechanism For Venetian Blind
CN113585945A (zh) 一种可伸缩百叶窗及其使用方法
KR101712142B1 (ko) 영역별 블라인드 슬랫 조절 장치
CN110792384A (zh) 一种遮挡位置可任意调整的窗帘装置
KR200335547Y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US10604999B2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for orienting a blind and range of electromechanical actuators
KR200375829Y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KR101098843B1 (ko) 블라인드 장치
KR200392782Y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KR20010000268U (ko) 블라인더의 차단 각도 조절장치
US7089988B2 (en) Window blinds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170112138A (ko) 조도 및 습도 자동감지를 통해 작동되는 다기능 블라인드
JP5401720B2 (ja) ブラインドの昇降高さ決定装置
KR940004904Y1 (ko) 전동식 블라인드 구동장치
CN213510366U (zh) 百叶窗牵引绳控制器
KR101109136B1 (ko) 롤 블라인드
JP2004143753A (ja) ブラインド内蔵複層ガラス
CN218991449U (zh) 一种控光百叶窗帘
CN218092848U (zh) 一种能够精确控制行程的车库门机
CN207795018U (zh) 一种可控遮光百叶窗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