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494Y1 -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494Y1
KR200335494Y1 KR20-2003-0029289U KR20030029289U KR200335494Y1 KR 200335494 Y1 KR200335494 Y1 KR 200335494Y1 KR 20030029289 U KR20030029289 U KR 20030029289U KR 200335494 Y1 KR200335494 Y1 KR 2003354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athroom
opening
temperatur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원테크
Priority to KR20-2003-0029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4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4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기장치의 몸체에 난방급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난방급기구에 히터를 구비하며 배기구와 난방급기구로 공기송풍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절환밸브를 구비하여서 욕실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하강시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여 온도 급감으로 인한 욕실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환기장치에 있어서 몸체(100)의 일측에 난방급기구(120)를 형성하고, 상기 난방급기구(120)에 결합되어서 송풍장치(200)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가 욕실로 순환 공급되게 하는 난방공급관(300)을 구비하며, 상기 난방공급관(300)에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히터(310)를 구비하고, 송풍장치(200)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가 난방급기구(120)와 배기구(110) 중 일측으로 선택 송풍되게 하는 절환밸브장치를 구비하며, 욕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난방히터(310)의 동작과 절환밸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감지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A heating ventilator for bathroom}
본 고안은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장치의 몸체에 난방급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난방급기구에 히터를 구비하며 배기구와 난방급기구로 공기송풍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절환밸브를 구비하여서 욕실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하강시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여 온도 급감으로 인한 욕실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난방급기구에 필터를 구비하여서 욕실내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는 사용과정에 있어 악취와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동절기와 같이 온도의 급감으로 인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라디에이터를 구비하거나 바닥에 난방시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욕실에 별도의 라이에이터를 구비하거나 난방시공을 하는 것은 건축시의 원가 상승을 초래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방이나 거실과 동일하게 난방이 이루어져 불필요한 연료낭비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욕실에 구비되는 환기장치는 환기 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않아 그 활용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환기장치에 난방급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난방급기구에 결합되어서 욕실내부로 온풍이 송풍되게하는 난방공급관을 구비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난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주요 회로 구성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주요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 배기구 120 : 난방급기구
200 : 송풍장치
210 : 송풍모터 220 : 송풍팬
300 : 난방공급관
301 : 필터결합구 302 : 가이드턱
310 : 난방히터 320 : 정화필터
330 : 전기집진장치
400 : 절환밸브장치
410 : 판밸브 411 : 개폐축
420 : 개폐아암 430 : 개폐모터
440 : 개폐솔레노이드
441 : 링크 442 : 스프링
500 : 보호캡
510 : 흡기구 520 : 난방공급구 530 : 필터삽입구
610 : 제어부
621 : 온도센서 622 : 온도스위치
630 : 동작스위치 640 : 욕실등스위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욕실에 구비되는 환기장치를 통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여 동절기의 온도 급감으로 인한 동파와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몸체(100)의 하부에 송풍팬(220)과 송풍모터(210)로 이루어진 송풍장치(200)를 구비하고, 몸체(100)의 상측에는 건축물상에 구비되는 배기관로와 연결되는 배기구(110)를 형성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난방급기구(120)를 형성하고, 상기 난방급기구(120)에 결합되어서 송풍장치(200)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가 욕실로 순환 공급되게 하는 난방공급관(300)을 구비하며, 상기 난방공급관(300)에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히터(310)를 구비하고, 송풍장치(200)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가 난방급기구(120)와 배기구(110) 중 일측으로 선택 송풍되게 하는 절환밸브장치를 구비하며, 욕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난방히터(310)의 동작과 절환밸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감지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환밸브장치는 배기구(110)와 난방급기구(120)를 선택개폐할 수 있게한 몸체(100)에 축지된 판밸브(410)와, 온도감지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밸브(410)를 회동 동작시키는 개폐수단으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개폐수단은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개폐축(411)과 워엄기어결합되는 개폐모터(430)로 구성하거나,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개폐축(411)에 상기 판밸브(410)가 난방급기구(120)를 상시 밀폐하게 스프링(442)에 탄성구속된 개폐아암(420)과, 상기 개폐아암(420)과 링크(441)를 매개로 결속되는 개폐솔레노이드(440)로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개폐수단을 개폐축과 워엄기어결합되는 개폐모터(430)로 구성시 판밸브(410)의 닫힘과 열림 완료를 제어할 수 있게 상기 개폐모터(430)를 위상각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로 실시하거나, 배기구(110)와 난방급기구(120) 또는 개폐축(411)에 판밸브(410)의 닫힘과 열림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온도제어감지부는 몸체(100)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보호캡(500)에 난방히터(310)와 개폐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온도스위치(622)로 구성하여 실시하거나, 몸체(100)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보호캡(500)에 온도센서(621)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센서(621)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신호에 따라 난방히터(310)와 개폐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욕실등스위치(640)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송풍장치(200)의 동작을 제어부(61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보호캡(5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난방기능의 동작을 온오프할 수 있게한 동작스위치(63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장치(200)의 송풍팬(210)은 송풍압을 높일 수 있게 원심류형 팬으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난방공급관(300)의 하부에는 욕실로 난방급기되는 공기를 정화할수 있게 하부로부터 정화필터(320)가 결합되는 필터결합구(301)를 천공형성하고 관로의 양측에 가이드턱(302)을 형성하여 구성한 필터결합부를 형성하여 실시하며, 상기 정화필터(320)에는 고압전원에 의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33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난방히터(310)는 탄소와 발열체를 배합조성한 세라믹히터로 구성하고, 과열방지를 위한 과열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호캡(500)에는 몸체(100)로 유입되는 흡기구(510)와, 흡입된 공기가 가열 공급되는 난방공급구(520)가 형성되고, 정화필터(320)가 끼워 결합되는 필터삽입구(530)가 천공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100)의 하부에 송풍팬(220)과 송풍모터(210)로 이루어진 송풍장치(200)를 구비하고, 몸체(100)의 상측에는 건축물상에 구비되는 배기관로와 연결되는 배기구(110)를 형성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난방급기구(120)를 형성하고, 상기 난방급기구(120)에 결합되어서 송풍장치(200)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가 욕실로 순환 공급되게 하는 난방공급관(300)을 구비하며, 상기 난방공급관(300)에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히터(310)를 구비하고, 송풍장치(200)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가 난방급기구(120)와 배기구(110) 중 일측으로 선택 송풍되게 하는 절환밸브장치를 구비하며, 욕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난방히터(310)의 동작과 절환밸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감지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한 본 고안이 적용된 환기장치를 욕실에 설치한 상태에서 동절기와 같이 실내의 온도가 급감하게 되면, 보호캡(500)의 흡기구(510)에 구비된 온도센서(621)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10)로 입력하게 되고, 이를 입력받은 제어부(610)는 절환밸브장치의 개폐수단을 제어하여서 난방급기구(120)가 개방되고 배기구(110)가 밀폐되게 함과 더불어 난방히터(310)로 전원을 공급하고, 송풍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송풍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되게 되면, 송풍팬(22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난방급기구(120)를 통하여 난방공급관(300)으로 공급되어서 상기 난방공급관(300)에 구비된 난방히터(310)에 의하여 가열되어서 욕실로 재 유입되게 되어 온도의 급감으로 인한 동파가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동작과정에 있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난방공급관(300) 상에 필터결합부를 형성하여서 정화필터(320)를 구비하게 되면 욕실의 난방과정에 있어 공기가 정화되게 되며, 특히 전기집진장치를 구비하게 되면 담배연기등과 같은 유해가스도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동절기와 같이 온도가 급감되지 않는 다른 계절에는 욕실등스위치(640)의 온오프에 따라 동작되어서 욕실의 환기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흡입된 공기를 난방급기구(120)로 송풍되게 한후 정화필터(320)와 전기집진장치를 거쳐 공기가 재유입되게 하면 욕실내부의 공기정화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욕실에 구비되는 환기장치에 난방급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난방급기구에 결합되는 난방히터가 결합된 난방공급관을 구비하여서 동절기와 같이 온도가 급감되는 경우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온도급감으로 인한 욕실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몸체(100)의 하부에 송풍팬(220)과 송풍모터(210)로 이루어진 송풍장치(200)를 구비하고, 몸체(100)의 상측에는 건축물상에 구비되는 배기관로와 연결되는 배기구(110)를 형성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난방급기구(120)를 형성하고, 상기 난방급기구(120)에 결합되어서 송풍장치(200)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가 욕실로 순환 공급되게 하는 난방공급관(300)을 구비하며, 상기 난방공급관(300)에 송풍된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히터(310)를 구비하고, 송풍장치(200)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가 난방급기구(120)와 배기구(110) 중 일측으로 선택 송풍되게 하는 절환밸브장치를 구비하며, 욕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난방히터(310)의 동작과 절환밸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감지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밸브장치는 배기구(110)와 난방급기구(120)를 선택개폐할 수 있게한 몸체(100)에 축지된 판밸브(410)와, 온도감지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밸브(410)를 회동 동작시키는 개폐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난방공급관(300)의 하부에는 욕실로 난방급기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하부로부터 정화필터(320)가 결합되는 필터결합구(301)를 천공형성하고 관로의 양측에 가이드턱(302)을 형성하여 구성한 필터결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개폐축(411)에 상기 판밸브(410)가 난방급기구(120)를 상시 밀폐하게 스프링(442)에 탄성구속된 개폐아암(420)과, 상기 개폐아암(420)과 링크(441)를 매개로 결속되는 개폐솔레노이드(440)로 구성하고,
    상기 정화필터(320)에는 고압전원에 의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3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개폐축(411)과 워엄기어결합되는 개폐모터(4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감지부는 몸체(100)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보호캡(500)에 온도센서(621)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센서(621)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신호에 따라 난방히터(310)와 개폐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욕실등스위치(640)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송풍장치(200)의 동작을 제어부(61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KR20-2003-0029289U 2003-09-16 2003-09-16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KR200335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289U KR200335494Y1 (ko) 2003-09-16 2003-09-16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289U KR200335494Y1 (ko) 2003-09-16 2003-09-16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494Y1 true KR200335494Y1 (ko) 2003-12-06

Family

ID=49420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289U KR200335494Y1 (ko) 2003-09-16 2003-09-16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4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263B1 (ko) * 2008-12-26 2011-08-30 고상수 다기능 급기장치
KR101265473B1 (ko) 2012-10-10 2013-05-16 문상순 파리 박멸 기능을 갖는 쓰레기통 뚜껑
WO2021199638A1 (ja) * 2020-03-30 2021-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換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263B1 (ko) * 2008-12-26 2011-08-30 고상수 다기능 급기장치
KR101265473B1 (ko) 2012-10-10 2013-05-16 문상순 파리 박멸 기능을 갖는 쓰레기통 뚜껑
WO2021199638A1 (ja) * 2020-03-30 2021-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換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160B1 (ko) 환기장치
KR101013372B1 (ko) 공기 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656357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9074788A (ja) 空気調和機
KR102263864B1 (ko) 주방 공기청정 시스템
JP2003207176A (ja) 浴室換気装置
KR101230251B1 (ko) 자기보호운전을 하는 환기장치
KR200461855Y1 (ko) 환기 시스템
KR200335494Y1 (ko) 욕실용 난방 환기장치
JP2005188830A (ja) 空気調和機
JP4391125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02089940A (ja) 空気調和機
KR100528119B1 (ko) 공기 청정장치
KR200317624Y1 (ko) 실내 온도조절 및 공기정화 장치
KR100566804B1 (ko) 환기장치
KR200334441Y1 (ko) 다목적 블로워
KR200321779Y1 (ko) 환기유니트 제어장치
JP2002228223A (ja) 全熱交換型換気装置
KR100712927B1 (ko) 공기조화기
KR20010028976A (ko) 공기 조화기용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55105A (ko) 환기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및 그 운용 방법
KR100680622B1 (ko) 환기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20050020528A (ko) 다목적 블로워
KR100483509B1 (ko) 공기정화 환풍기
KR200227586Y1 (ko) 팬코일 유니트의 가습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