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168Y1 -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 Google Patents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168Y1
KR200335168Y1 KR20-2003-0027685U KR20030027685U KR200335168Y1 KR 200335168 Y1 KR200335168 Y1 KR 200335168Y1 KR 20030027685 U KR20030027685 U KR 20030027685U KR 200335168 Y1 KR200335168 Y1 KR 200335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main body
adapter
attached
plug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윤
Original Assignee
강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윤 filed Critical 강대윤
Priority to KR20-2003-0027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1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에 삽입되어 각종 전자기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매개체인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가 서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스위치기능을 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360°회전가능하며 LED(발광다이오드)가 플러그아답타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감전을 방지하고 절전할 수 있으며 코드꺾임이 없고 통전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각종 전자기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매개체인 전기플러그(10) 및 플러그아답타(20)에 있어서, 정면내부둘레를 따라 스프링(11a)이 설치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 내부에 삽입되어 360°회전가능하고 상기 스프링(11a)에 의해 본체(11)내에서 앞뒤로 탄성적인 이동이 가능한 몸체(12a), 상기 몸체(12a) 앞면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11)앞으로 뻗어 있으며 플러그아답타(20)에 결합되는 한쌍의 플러그핀(12b), 그리고, 상기 몸체(12a)뒷면에 형성된 본체(11)뒤로 뻗어 있는 회전손잡이(12c)로 구성된 회전체(12)로 이루어진 플러그(10); 그리고, 정면에 부착되어 있고 콘센트에 삽입되는 한쌍의 플러그핀(21)과, 정면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전도체(22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러그핀(12b)과 순차적인 접촉을 하는 볼록부(22)와, 뒷면 중앙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핀(12b)이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공(23a)이 형성된 360°회전가능한회전구(23)로 이루어진 플러그아답타(20)가 일조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Multipurpose Electricplug and Plugadapter}
본 고안은 콘센트에 삽입되어 각종 전자기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매개체인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가 서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스위치기능을 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360°회전가능하며 LED(발광다이오드)가 플러그아답타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감전을 방지하고 절전할 수 있으며 코드꺾임이 없고 통전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는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 전원입력코드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데 부착된 한쌍의 플러그핀이 콘센트에 삽입되어 외부전원을 전자기기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극으로 나뉘어진 전기적 연결을 갖는 상기 한쌍의 플러그핀을 콘센트에 형성된 플러그핀 삽입공에 삽입하여 콘센트 내부에 있는 접속구에 접속되게 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이러한 플러그는 콘센트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콘센트에 바로 삽입되지 않고 플러그아답타와 결합시키고 플러그아답타에 부착된 한쌍의 플러그핀을 콘센트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플러그는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한 후 절전을 위해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킨 경우 아이들이 콘센트 삽입공내로 전도성의 물질을 집어넣어 감전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반면에, 전자기기 사용후 플러그를 뽑지 않을 경우 소량의 전류가 플러그를타고 전자기기로 흘러들어가 불필요한 전력손실의 원인이 되었다.
그래서, 콘센트에 스위치를 부착시키고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한 후에는 스위치를 off 상태로 하여 더 이상의 전류흐름을 차단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별도로 콘센트에 스위치를 부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외관상으로도 보기에 좋지 않았다.
또한,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에는 플러그가 결합된 채로 고정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질 때 쉽게 코드가 꺾여 접속불량이 발생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러그를 어느정도 회전가능하게 한 것들이 개발되었으나 그 회전각도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코드꺾임을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콘센트에 별도의 스위치를 부착하지 않고 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를 서로 결합하여 플러그를 회전시키면서 스위치기능을 하게 하여 손쉽게 감전을 방지하고 절전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360°회전가능하게 하여 코드꺾임이 완전히 없는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LED(발광다이오드)를 플러그아답타에 부착시켜 통전여부를 간편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의 제조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가 서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스위치기능을 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360°회전가능하며 LED(발광다이오드)가 플러그아답타에 부착되어있음으로써, 감전을 방지하고 절전할 수 있으며 코드꺾임이 없고 통전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각종 전자기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매개체인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에 있어서, 정면내부둘레를 따라 스프링이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어 360°회전가능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본체내에서 앞뒤로 탄성적인 이동이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 앞면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앞으로 뻗어 있으며 플러그아답타에 결합되는 한쌍의 플러그핀, 그리고, 상기 몸체뒷면에 형성된 본체뒤로 뻗어 있는 회전손잡이로 구성된 회전체로 이루어진 플러그; 그리고, 정면에 부착되어 있고 콘센트에 삽입되는 한쌍의 플러그핀과, 정면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전도체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러그핀과 순차적인 접촉을 하는 볼록부와, 뒷면 중앙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핀이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공이 형성된 360°회전가능한 회전구로 이루어진 플러그아답타가 일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아답타는 통전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LED(발광다이오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의 전원인가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의 전원비인가시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아답타 볼록부의 사시도이다.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플러그 11: 본체
11a: 스프링 12: 회전체
12a: 몸체 12b: 플러그핀
12c: 회전손잡이
20: 플러그아답타 21: 플러그핀
22: 볼록부 22a: 전도체
23: 회전구 23a: 삽입공
24: LED(발광다이오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의 전원인가시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의 전원비인가시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아답타 볼록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각종 전자기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매개체인 전기플러그(10) 및 플러그아답타(20)에 있어서, 정면내부둘레를 따라 스프링(11a)이 설치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 내부에 삽입되어 360°회전가능하고 상기 스프링(11a)에 의해 본체(11)내에서 앞뒤로 탄성적인 이동이 가능한 몸체(12a), 상기 몸체(12a) 앞면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11)앞으로 뻗어 있으며 플러그아답타(20)에 결합되는 한쌍의 플러그핀(12b), 그리고, 상기 몸체(12a)뒷면에 형성된 본체(11)뒤로 뻗어 있는 회전손잡이(12c)로 구성된 회전체(12)로 이루어진 플러그(10); 그리고, 정면에 부착되어 있고 콘센트에 삽입되는 한쌍의 플러그핀(21)과, 정면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전도체(22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러그핀(12b)과 순차적인 접촉을 하는 볼록부(22)와, 뒷면 중앙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핀(12b)이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공(23a)이 형성된 360°회전가능한 회전구(23)로 이루어진 플러그아답타(20)가 일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아답타(20)는 통전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LED(발광다이오드)가 부착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플러그(10)의 본체(11)는 정면내부둘레를 따라 스프링(11a)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12)의 몸체(12a)는 상기 본체(11)내에서 360°회전가능하고 상기 스프링(11a)에 의해 앞뒤로 탄성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한쌍의 플러그핀(12b)은 상기 몸체(12a) 앞면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11)앞으로 뻗어 있으며 플러그아답타(20)의 회전구(23)에 형성된 삽입공(23a)에 삽입된다.
회전손잡이(12c)는 상기 몸체(12a) 뒷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1)뒤로 뻗어 있다.
플러그아답타(20)는 정면에 콘센트에 삽입되는 한쌍의 플러그핀(21)이 부착되어 있다.
볼록부(22)는 정면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전도체(22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러그핀(12b)과 순차적인 접촉을 한다.
회전구(23)는 뒷면 중앙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핀(12b)이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공(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360°회전가능하다.
플러그아답타(20)는 통전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LED(발광다이오드)(2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본체(11)는 정면내부둘레를 따라 스프링(11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1)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회전체(12)는 상기 스프링(11a)에 의해 본체(11)내에서 앞뒤로 탄성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한쌍의 플러그핀(12b)은 상기 몸체(12a) 앞면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11)앞으로 뻗어 있어서 플러그아답타(20)의 회전구(23)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23a)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한다.
회전손잡이(12c)는 상기 몸체뒷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1)뒤로 뻗어 있어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돌림으로써, 회전체(12)를 본체(11)내에서 손쉽게 360°회전시킬 수 있다.
플러그아답타(20)의 정면에 부착된 상기 한쌍의 플러그핀(21)은 콘센트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에 삽입된다.
정면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전도체(22a)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볼록부(22)는 회전체(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러그핀(12b)과 순차적인 접촉을 한다.
그래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플러그핀(12b)이 몸체(12a)와 함께 회전하면서 볼록부(22)에 부착된 전도체(22a)에 스프링(11a)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촉할 때에는 플러그(10)를 통해 전자기기로 전원이 공급된다.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플러그핀(12b)이 회전하면서 볼록부(22)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전자기기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전자기기를 사용한 후 플러그(10)를 뽑지 않더라도 전력손실이 없게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플러그(10)를 플러그아답타(20)로부터 분리시키면 회전구(23)의 삽입공(23a)에 전도성물질을 넣더라도 볼록부(22)에 부착된 전도체(22a)에 쉽게 닿지 않아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뒷면 중앙에 삽입되어 있고 한쌍의 삽입공(23a)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회전구(23)는 상기 플러그핀(12b)이 삽입공(23a)에 삽입되어 함께 360°회전한다.
플러그아답타(20)는 LED(발광다이오드)(24)가 부착되어 있어서 통전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플러그아답타(20)는 종래 벽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건축물 공사시 종래의 콘센트 대신에 벽에 매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플러그(10) 및 플러그아답타(20)가 서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스위치기능을 함으로써 감전을 방지하고 절전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10)가 360°회전가능하여 코드꺾임이 없고 LED(발광다이오드)(24)가 플러그아답타(20)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통전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는 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가 서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스위치기능을 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360°회전가능하며 LED(발광다이오드)가 플러그아답타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감전을 방지하고 절전할 수 있으며 코드꺾임이 없고 통전여부를 시각적으로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콘센트에 삽입되어 각종 전자기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매개체인 전기플러그(10) 및 플러그아답타(20)에 있어서,
    정면내부둘레를 따라 스프링(11a)이 설치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 내부에 삽입되어 360°회전가능하고 상기 스프링(11a)에 의해 본체(11)내에서 앞뒤로 탄성적인 이동이 가능한 몸체(12a), 상기 몸체(12a) 앞면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11)앞으로 뻗어 있으며 플러그아답타(20)에 결합되는 한쌍의 플러그핀(12b), 그리고, 상기 몸체(12a)뒷면에 형성된 본체(11)뒤로 뻗어 있는 회전손잡이(12c)로 구성된 회전체(12)로 이루어진 플러그(10); 그리고,
    정면에 부착되어 있고 콘센트에 삽입되는 한쌍의 플러그핀(21)과,
    정면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전도체(22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러그핀(12b)과 순차적인 접촉을 하는 볼록부(22)와,
    뒷면 중앙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핀(12b)이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공(23a)이 형성된 360°회전가능한 회전구(23)로 이루어진 플러그아답타(20)가 일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아답타(20)는 통전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LED(발광다이오드)(24)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전기플러그및 플러그아답타.
KR20-2003-0027685U 2003-08-28 2003-08-28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KR200335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685U KR200335168Y1 (ko) 2003-08-28 2003-08-28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685U KR200335168Y1 (ko) 2003-08-28 2003-08-28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921A Division KR100592867B1 (ko) 2003-07-28 2003-07-28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168Y1 true KR200335168Y1 (ko) 2003-12-03

Family

ID=4942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685U KR200335168Y1 (ko) 2003-08-28 2003-08-28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1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117A1 (ko) * 2021-04-30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접지가 가능한 어답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117A1 (ko) * 2021-04-30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접지가 가능한 어답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2472B (zh) 一种多功能插座
US7874844B1 (en) Universal magnetic power supply adaptor
US8079877B1 (en) Power adapter connecting in a surface to surface contact
EP1638170A3 (en) Electrical connectors
JP2012190769A (ja) 車両充電ケーブル用ソケットコネクタ
CN203707514U (zh) 一种多功能插座
KR100592867B1 (ko)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CN208093815U (zh) 一种可更换端子连接器
US6840784B2 (en) Adapter with foldaway plug components
KR100977381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전원어댑터
KR200335168Y1 (ko)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CN214124250U (zh) 插座
TWM569945U (zh) 對接連接器及其組件
CN212849229U (zh) 一种数据线
TW201832428A (zh) 電連接器
KR20190053618A (ko) 전원 어댑터 및 멀티탭
JP2007172850A (ja) コンセントプラグアダプタ
US20060157333A1 (en) Safety plug that is used to switch power in sequence easily and is composed of main body
CN212676563U (zh) 一种用于高压电流输送的翻转式高安全插座
JP2016225272A (ja) 電動工具用コネクタ装置
KR200379697Y1 (ko) 휴대폰 충전기용 커넥터
CN112909669B (zh) 插座
CN217882015U (zh) 连接稳固的dc电源线
CN219123160U (zh) 一种智能断路器
KR20030019714A (ko) 가전기기용 플러그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