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656Y1 - 접속함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접속함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656Y1
KR200334656Y1 KR20-2003-0027223U KR20030027223U KR200334656Y1 KR 200334656 Y1 KR200334656 Y1 KR 200334656Y1 KR 20030027223 U KR20030027223 U KR 20030027223U KR 200334656 Y1 KR200334656 Y1 KR 200334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lip
junction box
horizont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기
Original Assignee
남양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7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6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속함이 고정되는 고정판의 양쪽 상하부변에 슬라이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홀더가 결합되게 하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한 후 상기 홀더에 철근이 결합되게 하는 접속함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판을 철근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는 한편, 철근이 다양하게 배근되어 상기 철근의 위치와 간격의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슬라이딩부에 홀더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에 의해 상기 홀더의 위치를 철근에 맞출 수 있어 접속함을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속함용 고정구{FIXER FOR WIRING BOX}
본 고안은 접속함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판의 양쪽 상하부변에 형성된 슬라이딩부에 홀더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다양한 간격으로 배근되는 철근에 접속함용 고정구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함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건축시 실내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접속함이 벽체 및 천장에 미리 설치되는데, 이러한 접속함은 벽체 또는 천장을 이루게 되는 철근에 미리 고정 설치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설된다.
상기 종래의 접속함용 고정구는 고정판상에 체결구멍을 형성하여 접속함을 설치하고, 또한 고정판의 양측단부에 집게형상의 탄성편을 구비하여, 상기 집게 형상의 탄성편사이에 철근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접속함용 고정구를 철근에 고정하는 경우 설치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종래의 고정판의 일 측 탄성편사이에 먼저 철근을 끼워넣어 고정되게 하고 나서 타측 탄성편사이에 철근을 끼워넣어 고정되게 하는데, 철근사이의 간격이 넓거나 좁아서 상기 타측 탄성편에 고정하기가 불가능한 경우에 이미 삽입된 탄성편사이의 철근의 위치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옮기고 다시 상기 타측의 탄성편사이에 철근을 삽입하여 고정해야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또한 상기 탄성편에 고정 후 와이어등으로 다시 결속하여야 함으로 시공에 있어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체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매설되는 철근의 간격은 위치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되고, 최근 건축되는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철근의 간격이 매우 촘촘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더욱이 층마다 철근의 간격이 달라 일정한 규격으로 고정구를 제조하는 경우 결속하기가 곤란하고, 철근의 위치에 맞추어 고정구를 설치하는 경우 접속함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게 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속함용 고정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철근이 다양하게 배근되어 상기 철근의 위치와 간격이 달라져도 접속함을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도록, 두께는 얇고 길이방향으로는 긴 직사각형 형상인 고정판의 양쪽 상하부변에 오목한 형상인 슬라이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홀더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접속함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특징은 얇은 두께를 지니는 직사각의 고정판에 전기 배선을 위한 접속함이 고정되고, 긴 길이를 이루는 변이 상,하부변을 이루면서 양측 단부가 배근 된 철근에 고정되어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접속함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 다수개의 체결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배열되어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접속함이 볼트 조임에 의해 고정되게 하는 한편, 양쪽의 상,하부변에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면과 상기 슬라이딩면의 양쪽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좁은 폭의 판체를 이루는 수직연결부의 상,하부에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면에 끼움되는 상,하부고리가 "ㄷ"자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게 하는 한편, 후방면을 이루는 면에 상,하부 클립이 형성되게 하여 수직으로 배근 되는 철근을 협지하여 고정되게 하는 홀더를 상기 슬라이딩면의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되도록 하되, 수직연결부와 상,하부클립은 고정판의 후방면에, 접속함은 전방면에 각각 위치되게 결합되는 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홀더고정부의 상하부에 각각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오목부에 끼워짐으로서 고정판에 고정되는 홀더로 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은 홀더고정부의 상하부에 각각 슬롯을 형성하여 상기 슬롯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상기 슬롯에 삽입됨으로서 고정판에 고정되는 홀더로 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은 일체로 형성되나 상부는 분리되어 있는 형상으로서 상기 분리되는 부분에 각각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의 결합에 의해 고정판에 고정되는 홀더로 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고정판에 간격유지구를 사용하여 상기 접속함이 거푸집에 밀착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에 홀더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홀더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홀더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홀더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120,130,140 : 홀더
111a : 상부고리 111b : 하부고리
112, 122g,132g,142g : 수직연결부 113a, 122e, 132e, 142e : 상부클립
113b, 122f, 132f, 142f : 하부클립 121, 131, 141 : 결합부
122,132,142 : 클립 고정부 150 : 고정판
151 : 체결구멍 152 : 슬라이딩부
160 : 간격유지구 170 : 접속함
본 고안은 두께는 얇고 길이방향으로는 긴 직사각형 형상인 고정판의 양쪽 상하부변에 오목한 형상인 슬라이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홀더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홀더가 배근된 철근에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접속함용 고정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접속함용 고정구의 조립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외부로 전원을 인출하기 위한 접속함(170)과 상기 접속함(170)이 고정되는 접속함용 고정구(100) 그리고 상기 고정구(100)를 거푸집(도시되지않음)에 밀착하기 위한 간격유지구(16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속함용 고정구(100)는 상기 접속함(170)이 고정되는 고정판(150)과 철근에 고정되는 홀더(1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150)은 장방형으로서 길이방향으로는 길이가 길고 두께는 얇은 판체로서 세워져 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판상에는 다수개의 체결구멍(151)이 형성되어 접속함(170)과 간격유지구(160)와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50)의 양측 상하변에는 오목한 형상인 슬라이딩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152)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슬라이딩면(152a)와 상기 슬라이딩면(152b)의 양쪽 단부에 설치되는 걸림턱(152b)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면(152a)에 후술하는 홀더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이동가능한 범위는 상기 걸림턱(152b)에 의해 제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는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철근이 시공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배근되어 철근의 위치와 간격이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홀더(131)를 상기 변동된 철근에 결합할 수 있어 접속함(170)을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50)의 슬라이딩부(152)에 결합되는 홀더(11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홀더(110)은 상술한 슬라이딩부(152)에 고정되는 상부 고리(111a)와 하부 고리(111b)사이에 설치되는 수직연결부(112)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부 고리(111a)와 하부 고리(113b)가 형성되는 수직연결부(112)의 반대면에는 철근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부 클립(113a)과 하부 클립(113b)이 설치된다. 상기 클립(113a, 113b)은 한쌍으로서 원주형상으로 형성되나 그 만나는 끝부분은 반대로 꺽여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근된 철근이 상기 클립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클립(113a, 113b)에 의해 철근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클립(113a, 113b)을 철근에 밀어붙이기만 하면 상기 철근이 상기 클립(113a, 113b)에 결합되므로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판(150)을 철근에 조립할 때 예를 들어 왼손으로 상기 고정판(150)을 잡고 오른손으로 철근을 잡아 상기 철근을 상기 클립(113a, 113b)에 결합한 후 다시 오른손으로 다른 철근을 잡아서 측면에 있는 클립(113a, 113b)에 고정하는 작업순서에 의해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이는 종래의 접속함용 고정구의 경우 철근에 고정한 후 와이어등으로 다시 결속을 하여야 하는 공정이 필요한 경우와 비교하여 보면 그 조립의 용이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홀더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홀더(120)는 결합부(121)와 클립 고정부(122)로 구성되는데, 철근을 고정하기 위해 클립을 구비하는 것은 상기 홀더(110)와 동일하나, 고정판(150)에 고정되는 구성이 상이하다.
상기 결합부(121)은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 형상인 판체(121c)의 상하면에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인 상부 돌출부(121a)와 하부 돌출부(121b)가 형성된다.
상기 클립 고정부(122)는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 형상인 수직연결부(122g)의 상하부측에는 한쌍으로서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게하되, 그 끝부분에는 바깥방향으로 꺽이게 되는 상부 클립(122e)과 하부 클립(122f)이 설치되고, 그 반대측면의 상하측 단부에는 상부 수평부(122a) 및 하부 수평부(122b)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수평부(122a) 및 하부 수평부(122b)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돌출부(121a)와 하부 돌출부(121b)와 결합되도록 상부 오목부(122c)와 하부 오목부(122d)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홀더(120)를 고정판(15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상부 수평부(122a)와 하부 수평부(122b)사이에 고정판(150)을 삽입한 후 상기 상부 돌출부(121a)와 상부 오목부(122c) 그리고 하부 돌출부(121b)와 하부 오목부(122d)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판(150)은 홀더(12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홀더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 4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홀더(130)는 결합부(131)와 클립 고정부(132)로 구성되는데, 상기 홀더(120)와 유사하게 클립을 구비하나 고정판(150)을 고정하는 구성이 상이하다.
상기 결합부(131)는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형상인 판체(131c)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 슬롯(131a)과 하부 슬롯(131b)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클립 고정부(132)는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 형상인수직연결부(132g)의 상하부측에는 한쌍으로서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게하되, 그 끝부분에는 바깥방향으로 꺽이게 되는 상부 클립(132e)과 하부 클립(132f)이 설치되고, 그 반대측면의 상하측 단부에는 상부 수평부(132a) 및 하부 수평부(132b)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수평부(132a) 및 하부 수평부(132b)의 단부에는 상기 슬롯(131a,131b)에 삽입되기위한 상부 돌출부(132c)와 하부 돌출부(132d)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홀더(130)에 고정판(15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정판(150)을 상부 수평부(132a)와 하부 수평부(132b)사이에 삽입을 하고나서 결합부(131)를 밀어넣어서 상기 상부 돌출부(132c)와 하부 돌출부(132d)가 상부 슬롯(131a)과 하부 슬롯(131b)에 각각 관통되게 한 후 상기 슬롯(131a,131b)을 통과하고 남은 돌출부(132c, 132d)를 구부려서 고정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홀더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 5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홀더(140)의 경우 결합부(141)와 클립 고정부(142)로 구성되는데, 철근을 고정하기 위해 클립을 구비하는 점에서는 상술한 홀더(110,120,130)와 유사하나 고정판에 고정되는 구성이 상이하다.
상기 결합부(141)은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 형상인 판체(141c)의 상단부에 제2상부 수평부(141a)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상부 수평부(141a)의 하측에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인 제2 돌출부(141b)가 설치된다.
상기 클립 고정부(142)는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 형상인 수직연결부(142g)의 상하부측에는 한쌍으로서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게하되, 그 끝부분에는 바깥방향으로 꺽이게 되는 상부 클립(142e)과 하부 클립(142f)이 설치되고, 그 반대측면의 상부측 단부에는 제1상부 수평부(142b)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상부 수평부(142b)의 상면에는 상기 제2 돌출부(141b)와 결합되도록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인 제1돌출부(142a)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141)와 상기 클립 고정부(142)의 하부측이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서, 상기 홀더(140)를 고정판(15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정판(150)을 상기 결합부(141)와 큽립 고정부(142)의 벌어진 틈사이로 삽입한 후 상기 결합부(141)를 상기 클립 고정부(142)방향으로 밀어붙여 상기 제1돌출부(142a)와 제2돌출부(141b)가 결합되게 하여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함이 고정되는 고정판의 상하측의 끝부분에 오목한 형상인 슬라이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홀더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한 후 상기 홀더에 철근이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판을 철근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는 한편, 철근이 시공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배근되어 철근의 위치와 간격의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슬라이딩부에 홀더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에 의해 상기 홀더의 위치를 철근에 맞출 수 있어 접속함을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얇은 두께를 지니는 직사각의 고정판에 전기 배선을 위한 접속함이 고정되고, 긴 길이를 이루는 변이 상,하부변을 이루면서 양측 단부가 배근 된 철근에 고정되어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접속함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50)에 다수개의 체결구멍(151)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배열되어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접속함(170)이 볼트 조임에 의해 고정되게 하는 한편, 양쪽의 상,하부변에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면(152a)과 상기 슬라이딩면(152a)의 양쪽 단부에는 걸림턱(152b)이 형성된 슬라이딩부(152)를 구비하고, 좁은 폭의 판체를 이루는 수직연결부(131)의 상,하부에 상기 슬라이딩부(152)의 슬라이딩면(152a)에 끼움되는 상,하부고리(111a)(111b)가 "ㄷ"자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게 하는 한편, 후방면을 이루는 면에 상,하부 클립(113a)(113b)이 형성되게 하여 수직으로 배근 되는 철근을 협지하여 고정되게 하는 홀더(110)를 상기 슬라이딩면(152a)의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되도록 하되, 수직연결부(131)와 상,하부클립(113a)(113b)은 고정판(150)의 후방면에, 접속함(170)은 전방면에 각각 위치되게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함용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 형상인 판체(121c)의 상하면에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인 상부 돌출부(121a)와 하부 돌출부(121b)가 형성되는 결합부(121)와,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 형상인 수직연결부(122g)의 상하부측에는 한쌍으로서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게하되, 그 끝부분에는 바깥방향으로 꺽이게 되는 상부 클립(122e)과 하부 클립(122f)이 설치되고, 그 반대측면의 상하측 단부에는 상부 수평부(122a) 및 하부 수평부(122b)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 수평부(122a) 및 하부 수평부(122b)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돌출부(121a)와 하부 돌출부(121b)와 결합되도록 상부 오목부(122c)와 하부 오목부(122d)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클립 고정부(122)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돌출부(121a)와 상부 오목부(122c) 그리고 하부 돌출부(121b)와 하부 오목부(122d)의 결합에 의해 상기 결합부(121)와 클립 고정부(122)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함용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형상인 판체(131c)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 슬롯(131a)과 하부 슬롯(131b)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부(131)와,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 형상인 수직연결부(132g)의 상하부측에는 한쌍으로서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게하되, 그 끝부분에는 바깥방향으로 꺽이게 되는 상부 클립(132e)과 하부 클립(132f)이 설치되고, 그 반대측면의 상하측 단부에는 상부 수평부(132a) 및 하부 수평부(132b)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 수평부(132a) 및 하부 수평부(132b)의 단부에는 상기 슬롯(131a,131b)에 삽입되기 위한 상부 돌출부(132c)와 하부 돌출부(132d)가 각각 형성되는 클립 고정부(132)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슬롯(131a)과 하부 슬롯(131b)에 각각 상부 돌출부(132c)와 하부 돌출부(132d)가삽입됨에 의해 결합부(131)와 클립 고정부(132)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함용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 형상인 판체(141c)의 상단부에 제2상부 수평부(141a)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상부 수평부(141a)의 하면에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인 제2 돌출부(141b)가 설치되는 결합부(141)와, 세로방향으로는 길고 두께는 얇은 직육면체 형상인 수직연결부(142g)의 상하부측에는 한쌍으로서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게하되, 그 끝부분에는 바깥방향으로 꺽이게 되는 상부 클립(142e)과 하부 클립(142f)이 설치되고, 그 반대측면의 상부측 단부에는 제1상부 수평부(142b)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상부 수평부(142b)의 상면에는 상기 제2 돌출부(141b)와 결합되도록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직각삼각형 형상인 제1돌출부(142a)가 설치되는 클립 고정부(142)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결합부(141)와 상기 클립 고정부(142)의 하부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돌출부(142a)와 제2돌출부(141b)의 결합에 의해 상기 결합부(141)와 상기 클립 고정부(142)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함용 고정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용 고정구가 거푸집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110)에 결합되는 간격유지구(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함용 고정구.
KR20-2003-0027223U 2003-08-25 2003-08-25 접속함용 고정구 KR200334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223U KR200334656Y1 (ko) 2003-08-25 2003-08-25 접속함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223U KR200334656Y1 (ko) 2003-08-25 2003-08-25 접속함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656Y1 true KR200334656Y1 (ko) 2003-11-28

Family

ID=4934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223U KR200334656Y1 (ko) 2003-08-25 2003-08-25 접속함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6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521B2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US9300119B2 (en) Universal mounting bracket for electrical boxes in concrete block walls
US10056748B2 (en) Electrical box support
US10033173B2 (en) Masonry box positioning support
EA038886B1 (ru) Панели, крепежные зажимы и стеновое или потолочное покрытие для создания трехмерного рисунка из стеновых и потолочных панелей
KR101973319B1 (ko) 천장 프레임 체결용 고강도 행거
KR20150112476A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US20030047664A1 (en) Sleeve holder for utility conduit
KR200334656Y1 (ko) 접속함용 고정구
KR102055659B1 (ko) 프로파일용 멀티블록
KR101832213B1 (ko) 천정 티바용 고정클립
KR101389958B1 (ko) 천장 루버
KR20190017320A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JP2003079023A (ja) 電線管接続部を備えた配線用ボックス及び電線管継手
KR102632510B1 (ko)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RU2819554C1 (ru) Комплект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олотна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JP3000177U (ja) コンクリート貫通孔形成用パイプ取付具
JP3201518B2 (ja) 設備工事用スリーブ支持金具
KR950007029Y1 (ko) 파이프 고정용 죔쇠
JPS631728Y2 (ko)
KR200275170Y1 (ko) 커텐레일 고정구
KR200315004Y1 (ko) 천정 패널 고정 장치
KR200377095Y1 (ko) 천장등 고정용 매입형 전선함
KR200246051Y1 (ko) 건축용 받침파이프 고정부재
JPS62315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