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004Y1 - 천정 패널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천정 패널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004Y1
KR200315004Y1 KR20-2003-0005654U KR20030005654U KR200315004Y1 KR 200315004 Y1 KR200315004 Y1 KR 200315004Y1 KR 20030005654 U KR20030005654 U KR 20030005654U KR 200315004 Y1 KR200315004 Y1 KR 200315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anel
fixing
channel member
fixing member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규
Original Assignee
강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규 filed Critical 강신규
Priority to KR20-2003-0005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0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0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 패널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천정 슬래브(C)에 매설되는 앵커 보울트(1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00)에 탄성을 가지는 고정부(202)를 형성하여 채널부재(300)가 고정되게 하고, 상기 채널부재(300)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부(202)에 삽입되는 제1수평부(301)와 나란한 제2수평부(303)로부터 연장부(305)를 포함하는 걸림턱(306)(307)을 형성하여 천정패널 고정부재(400)가 흔들림이 없이 설치되게 함으로써, 체결용 부품의 수를 줄이고,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구조의 천정 패널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정 패널 고정 장치{.}
본 고안은 천정에 설치되는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천정 패널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 슬래브에 매설되는 앵커 보울트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설치되는 채널부재와, 천정 패널이 설치되는 천정패널 고정부재의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천정을 시공할 수 있게 되는 천정 패널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천정 패널을 고정하는 종래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천정 패널 고정 장치는 천정 슬래브(C)에 앵커 보울트(10)로 고정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에 고정되는 채널부재(30), 그리고 천정패널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고정부재(20)는 천정고정부(21)와 수직연결부(22) 및 행거 고정부(23)로 구성된다.
천정고정부(21)는 중앙에 앵커보울트(10)가 삽입되는 앵커 보울트 삽입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연결부(22)는 상기 천정고정부(21)의 한쪽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행거고정부(23)가 천정 슬래브(C)와 일정한 간격이 생기게 한다.
행거고정부(23)에는 보울트(50)가 체결되는 보울트 삽입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채널부재(30)는 수평상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울트 삽입공(31)이 형성되고, 한쪽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부(32)의 하단부에는 천정패널 고정부재(40)를 설치하기 위한 걸림턱(33·34)이 적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천정 패널 고정 장치에 의하여 천정 패널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천정슬래브(C)에 매설되는 앵커 보울트(10)에 고정부재(20)의 천정 고정부(21)에 형성된 앵커 보울트 삽입공(24)을 삽입하여 너트(11)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부재(20)를 천정 슬래브(C)에 고정시킨다.
천정 슬래브(C)에 고정된 고정부재(20)에는 행거 고정부(23)의 보울트 삽입공(25)에 보울트(50)를 체결시킨 다음, 상기 보울트(50)를 채널부재(30)의 보울트 삽입공(31)에 삽입하고 상부와 하부에서 너트(51)(52)를 체결하여 채널부재(30)가 고정된다.
채널부재(30)의 걸림턱(33·34)에는 천정패널 고정부재(40)가 현가되어 천정패널(P)이 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천정 슬래브(C)에 하나의 고정부재(20)와 채널부재(30)를 설치하기 위하여 앵커 보울트(10)를 포함하여 두개의 보울트, 그리고 상기 두개의 보울트에 사용되는 세 개의 너트(11·51·52)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천정패널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개의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채널부재(30)를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부품과 시공시간을 필요로 하고, 너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많은 시간 동안 위쪽을 올려다보면서 작업을 하게 됨으로써 쉽게 피로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견고한 천정 패널 설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발명된 실용신안등록 제134920호'천정 패널 고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구조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앵커 보울트(5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60)에 채널부재(70)가 고정되고, 채널부재(70)에는 천정패널 고정부재(80)를 설치하기 위한 크립부재(90)가 별도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천정 패널 고정 장치는 앞서 설명된 전통적인 천정 패널 고정 장치에서 보울트의 사용을 줄이고, 종래 부품이 강도가 약한 취약점을 개선하여 안전도 높은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시공을 함에 있어서 보울트 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정부재(60)와 크립(90)에 형성되는 고정편 들은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절곡되어져야 만이 연관된 부재들과 결합될 수 있는 것이었으나 새로운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보울트를 적게 사용할 수 있고, 부품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는 있었지만, 별도의 부품으로서 클립(90)이 사용되어 다른 한편으로 부품이 증가되는 것이었으며, 또한 공사 현장에서 수많은 절곡 작업을 하는 것은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앵커 보울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는 채널부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고정부를 형성하여 보울트와 같은 체결용 요소를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고, 채널부재는 걸림턱이 천정패널 고정부재와 결합되면서 천정패널 고정부재와 접촉하여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시공되는 천정 구조물에 안정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천정 패널 고정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천정 패널 고정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채널부재의 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앵커 보울트 200 : 고정부재
202 : 고정부 204,205 : 보강편
206,207 : 이탈 방지용 돌기 300 : 채널부재
400 : 천정패널 고정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천정 슬래브에 매설되는 앵커 보울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채널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채널부재에 형성된 걸림턱에 천정패널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천정 패널 고정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한쪽 단부에 채널부재가 삽입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채널부재의 걸림턱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1수평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수평부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고정부재의 고정부는 평상부로부터 한쪽 단부가 만곡된 곡면체가 되도록 절곡되며, 절곡되는 단부는 상기 평상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게 되면서 채널부재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평상부는 고정부에 삽입된 채널부재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면으로부터 벤딩(bending)되어 고정부의 입구를 향하는 이탈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다.
채널부재의 제1수평부와 제2수평부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구조를 가지며, 제2수평부의 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고정부의 탄성력으로 채널부재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앵커 보울트 만으로 채널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채널부재의 걸림턱에 천정패널 고정부재가 현가될 때에 제2수평부와 천정패널 고정부재의 상부면이 접촉하게 되어 천정 구조물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굽힘 작업을 하여야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도 없다.
본 고안에 의한 새로운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천정 패널 고정 장치는 앵커 보울트(100) 고정부재(200), 채널부재(300) 및 천정패널 고정부재(400)로 구성된다.
앵커 보울트(100)는 일반적인 시공 방법에 의하여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천정 슬래브(C)에 매설되며, 한쌍의 너트(101)(102)를 이용하여 고정부재(200)가 고정된다.
고정부재(200)는 앵커 보울트(100)에 고정되는 평상부(201)와 채널부재(300)가 고정되는 고정부(202)로 형성된다.
평상부(201)의 중앙에는 앵커 보울트(100)가 삽입되는 보울트 삽입공(203)이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는 상부로 절곡되는 보강편(204)(205)이 돌출되어 있으며, 앵커 보울트 삽입공(203)의 일측에는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으로 타발되어 고정부(202)를 향하여 돌출되는 이탈 방지용 돌기(206)(207)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02)는 평상부(201)의 한쪽편으로부터 대략 원형으로 절곡되는 벤딩부(208)가 형성되고, 상기 벤딩부(208)로부터 평상부(201)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채널부재(300)가 삽입되는 입구(209)를 포함하는 공간(210)을 형성한다.
입구(209)를 형성하는 고정부(202)의 단부는 채널부재(30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만곡되는 곡면으로 되는 절곡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공간(210)이 형성하는 상하 간격은 채널부재(3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형성된다.
채널부재(300)는 제1수평부(301)와 상기 제1수평부(301)의 한쪽편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수직부(302)와, 상기 수직부(302)로부터 상기 제1수평부(301)와 나란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수평부(303)와 상기 제2수평부(303)의 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걸림부(304)가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04)는 제2수평부(303)의 단부로부터 이어지는 연장부(305)의 하단부에서 양쪽으로 돌출되는 걸림턱(306)(307)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05)의 길이, 즉 제2수평부(303)의 저면과 걸림턱(306)(307)의 상부면사이의 거리는 천정패널 고정부(4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절곡부(401)(402)의 높이와 같은 치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여 천정 패널이 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천정 슬래브(C)에 앵커 보울트(100)가 매설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00)의 보울트 삽입홈(203)에 앵커 보울트(100)를 관통시켜서 평상부(201)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의 너트(101)(102)를 체결하여 앵커 보울트(100)에 고정부재(200)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앵커 보울트(100)에 고정된 고정부재(200)에는 채널부재(300)의 제1수평부(301)를 고정부(20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210) 내에 삽입하면 평상부(201)와 벤딩부(208)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고정부(202) 사이에서 제1수평부(301)가 협지되어 채널부재(300)는 간편하게 고정부재(20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202)가 형성하는 공간(210)의 입구(209)로 제1수평부(301)가 삽입될 때에 제1수평부(301)와 수직부(302)가 연결되는 모서리부(308)는 고정부재(200)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 방지용 돌기(206)(207)를 넘어서게 되고, 제1수평부(301)가 공간(210)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모서리부(308)가 이탈 방지용 돌기(206)(207)에 걸리게 됨으로써 채널부재(300)는 고정부재(2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후 채널부재(300)의 걸림턱(401)(402)에는 통상적인 시공방법과 같이 천정패널 고정부재(400)의 절곡부(401)(402)가 현가되어 천정패널 고정부재(400)가 설치되고, 또한 천정패널 고정부재(400)에는 통상적인 시공 방법과 같이 천정 패널(P)이 고정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부에 채널부재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보울트와 너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채널부재에 현가되는 천정패널 고정부재는 채널부재의 제2수평부에 의하여 흔들림이 없이 설치되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체결용 부품의 수를 줄이고,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구조의 천정 패널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4)

  1. 천정 슬래브에 매설되는 앵커 보울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채널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채널부재에 형성된 걸림턱에 천정패널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천정 패널 고정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한쪽 단부에 채널부재가 삽입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채널부재의 걸림턱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1수평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수평부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패널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양쪽 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보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패널 고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부에 이탈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천정 패널 고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채널부재의 걸림턱에 천정패널 고정부재가 현가될 때에 제2수평부와 천정패널 고정부재의 상부면이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패널 고정 장치.
KR20-2003-0005654U 2003-02-26 2003-02-26 천정 패널 고정 장치 KR200315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654U KR200315004Y1 (ko) 2003-02-26 2003-02-26 천정 패널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654U KR200315004Y1 (ko) 2003-02-26 2003-02-26 천정 패널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004Y1 true KR200315004Y1 (ko) 2003-06-02

Family

ID=4940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654U KR200315004Y1 (ko) 2003-02-26 2003-02-26 천정 패널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0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150B1 (ko) 2010-07-20 2013-02-15 주신기업(주) 태양광 모듈 고정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150B1 (ko) 2010-07-20 2013-02-15 주신기업(주) 태양광 모듈 고정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322B1 (ko) 천장 마감용 케링찬넬 행거
JP5439003B2 (ja) 固定クリップ
KR200315004Y1 (ko) 천정 패널 고정 장치
CA2547139C (en) Adjustable support for cable tray
KR100503120B1 (ko) 경량철골 천정판 설치용 구조
KR200485218Y1 (ko) 거푸집 체결장치
KR101037968B1 (ko) 스피커 장착 지지구
KR100749904B1 (ko)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190064814A (ko) 댐핑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10205A (ko) 면진 기능을 갖는 천장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20170046533A (ko) 천장패널 고정구
KR200371856Y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0360249Y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JP4782536B2 (ja) 天井下地部材の取付け構造
KR100383792B1 (ko) 조립성을 개선한 천정구조물
KR200336138Y1 (ko) 천정부재 고정용 힌지식 행거
KR101662780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569120B1 (ko) 천장재 어셈블리
JP3163512B2 (ja) 天井バーの連結構造
KR200207355Y1 (ko)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KR20030076731A (ko) 천정 패널 고정용 행거의 고정구
KR200311720Y1 (ko) 트러스 구조물용 결합부재
KR950008947Y1 (ko) 천정 판재 조립구
KR200153896Y1 (ko) 배관용 파이프행거(pipe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