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980Y1 - 다용도 의자 - Google Patents

다용도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980Y1
KR200333980Y1 KR20-2003-0028453U KR20030028453U KR200333980Y1 KR 200333980 Y1 KR200333980 Y1 KR 200333980Y1 KR 20030028453 U KR20030028453 U KR 20030028453U KR 200333980 Y1 KR200333980 Y1 KR 200333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hair
user
support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남
Original Assignee
김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남 filed Critical 김종남
Priority to KR20-2003-0028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9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 침대, 테이블 등으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진 시트 본체 양측단부에 삽입공간부를 갖는 발걸이부재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일측의 발걸이부재 저면에 형성된 삽입공간부에 양발을 끼워 넣고 반대편 발걸이부재 상부에 머리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윗몸 일으키기를 하거나, 또는 발걸이부재를 이용하여 팔굽혀펴기 등의 운동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시트로 이루어진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본체가 지면에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다리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평판으로 형성하고, 본체의 양측 단부에 삽입공간부를 갖는 발걸이부재를 대향되도록 형성하여 일측의 발걸이부재 저면 삽입공간부에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고 타측의 발걸이부재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여 윗몸 일으키기 등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면에 보조받침다리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의자{Multipurpose chair}
본 고안은 다용도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 침대, 테이블 등으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진 시트 본체 양측단부에 삽입공간부를 갖는 발걸이부재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일측의 발걸이부재 저면에 형성된 삽입공간부에 양발을 끼워 넣고 반대편 발걸이부재 상부에 머리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윗몸 일으키기를 하거나, 또는 발걸이부재를 이용하여 팔굽혀펴기 등의 운동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의자는 주로 고정식 또는 회전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TV를 보거나 학습을 할 경우 운동량이 부족하여 허리에 요통이 발생하거나 또는 팔, 어깨, 목 부분이 저리거나 아프고 심하면 운동장애나 마비현상까지 발생하여 건강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되는바, 지금까지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비치된 의자와는 별도로 헬스용 기구나 의자 등을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운동기구의 경우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저조하고 또한 장비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등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비합리적인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근래에 사용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헬스기구는 보통 두가지 이상의 목적으로 운동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헬스기구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넓은 설치장소 및 사용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 비치하여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일반 의자에 여러 가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다용도 헬스 의자가 선 출원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의자의 경우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운동을 하거나 또는 다리운동을 겸하면서 의자를 뒤로 젖혀서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정도여서 직접적인 운동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장시간 업무를 보는 회사원이나 학생들의 경우 굳어 있는 몸을 풀기 위하여 스트레칭이나, 윗몸 일으키기 또는 팔굽혀펴기 등의 간단한 운동을 하려고 해도 장소가 비좁고, 윗몸 일으키기의 경우 혼자서 하기에 다소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윗몸 일으키기를 위하여 여러 가지의 운동기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전체구조가 복잡하고 미관상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혼자서 윗몸 일으키기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운동기구를 구입해야 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와, 운동기구를 사용할 때마다 설치하고 분리시켜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평판으로 이루어진 시트 본체를 사람이 누울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본체의 양측에 삽입공간부를 갖는 발걸이부재를 형성하여 전후방의 받침다리를 지지하도록 하여 본체에 사람이 누워서 일측의 삽입공간부에 발을 삽입하고 타측의 발걸이부재에 머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윗몸 일으키기를 하거나 또는 발걸이부재를 이용하여 팔굽혀펴기를 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의자, 침대 또는 테이블로 사용하다가 사용자가 운동이 필요할 경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다리의 길이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시트로 이루어진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본체가 지면에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다리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평판으로 형성하고, 본체의 양측 단부에 삽입공간부를 갖는 발걸이부재를 대향되도록 형성하여 일측의 발걸이부재 저면 삽입공간부에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고 타측의 발걸이부재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여 윗몸 일으키기 등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면에 보조받침다리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의자 11 : 본체
12 : 보조받침다리 13 : 체결구멍
20 : 받침다리 21 : 발걸이부재
22 : 삽입공간부 23 : 가이드홈
24 : 결합구멍 25 : 체결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로서, 본 고안 의자(10)는 사람이 앉는 시트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되어 본체(11)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받침다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다리(20)의 상부에 발걸이부재(21)와 삽입공간부(2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의자(10)는 사람이 앉거나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시트 본체(11)를 평판으로 형성하고, 본체(11)를 길이방향으로 사람이 누울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본체(11)의 양단부에 후술할 받침다리(20)가 설치된다.
이때,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1)의 사각모서리부분을 절단하여 받침다리(20)가 절단부에 끼움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본체(11)의 절곡된 부분을 제외한 양단부에는 보조받침다리(12)를 밀착 설치하여 본체(11)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받침다리(20)는 본체(11)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절단된 모서리부분에 위치하도록 전후방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받침다리(20)가 설치되고, 이 받침다리(20)의 상부에는 발걸이부재(21)를 형성하되, 상기 발걸이부재(21)의 하측과 본체(11) 사이에는 삽입공간부(22)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본체(11)에 앉아있거나, 또는 누워서 휴식을 취하다가 간단한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 일측의 삽입공간부(22)에 발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본체(11)에 누우면 반대편 발걸이부재(21)에 사용자의 머리부분이 위치하게 되어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도 양측의 발이 발걸이부재(21)에 고정되어 윗몸 일으키기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의자(10)는 테이블이나 침대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본체(11)의 일측 발걸이부재(21)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팔굽혀펴기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써, 받침부재(20)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자의 키에 맞도록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받침다리(20)의 내측에 가이드홈(23)을 형성하여 본체(11)의 양측면을 따라서 받침다리(20)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아이나 주부들의 키에 맞추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받침다리(2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평판으로 이루어진 본체(11)의 모서리부분을 일측에만 절단하여 받침다리(20)가 고정되도록하고, 타측은 절단하지 않고 평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동이 가능한 받침다리(20)의 가이드홈(23)이 본체(11)의 단부에 위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1)의 보조받침다리(12)는 본체(11)의 단부에 설치함에 있어서, 단부 외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본체(11) 내측에 삽입홈(14)을 형성하고 삽입홈(14) 내측에 보조받침다리(12)를 끼움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단부 외측에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이 가능한 받침다리(20)는 가이드홈(23)이 본체(11)의 양단부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가이드홈(23)이 본체(11)를 지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써, 도면 부호 14는 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을 나타낸다.
본체(11)의 전후면에 복수의 체결구멍(13)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받침다리(20)의 내측면에 결합구멍(24)을 형성한 다음 체결부재(25)로 받침다리(20)를 본체(11)에 고정시킨다. 이때 체결부재(25)는 사용자가 받침다리(20)의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받침다리(20)가 이동 및 흔들리지 않도록 체결부재(25)를결합구멍(24)에 끼워 넣어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체결부재(25)는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봉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25)를 끼움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체결구멍(13)과 결합구멍(24)은 어느 일측에만 형성하여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면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의자, 침대, 테이블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가정이나 회사에서 혼자서도 윗몸 일으키기나, 팔굽혀펴기 등의 운동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서 침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아이들이나 주부들이 운동기구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받침다리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제작공정이 간편하여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별도로 설치하거나 분리시켜서 사용할 필요가 없기에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Claims (5)

  1.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시트로 이루어진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본체가 지면에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다리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평판으로 형성하고, 본체의 양측 단부에 삽입공간부를 갖는 발걸이부재를 대향되도록 형성하여 일측의 발걸이부재 저면 삽입공간부에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고 타측의 발걸이부재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여 윗몸 일으키기등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면에 보조받침다리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사각모서리부분을 절단하여 받침다리가 각각 삽입고정되고, 상기 받침다리 상부에 삽입공간부를 갖도록 발걸이부재를 형성하여 전후방의 받침다리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보조받침다리를 고정하되, 이 보조받침다리의 양측이 받침다리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는 내측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양측 모서리부분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다리의 내측면에 체결구멍과 대응하도록 결합구멍을 형성하여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받침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KR20-2003-0028453U 2003-09-04 2003-09-04 다용도 의자 KR200333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453U KR200333980Y1 (ko) 2003-09-04 2003-09-04 다용도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453U KR200333980Y1 (ko) 2003-09-04 2003-09-04 다용도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980Y1 true KR200333980Y1 (ko) 2003-11-19

Family

ID=4934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453U KR200333980Y1 (ko) 2003-09-04 2003-09-04 다용도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9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516A (ko) * 2021-08-09 2023-02-16 조재근 거꾸리수단이 구비된 쇼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516A (ko) * 2021-08-09 2023-02-16 조재근 거꾸리수단이 구비된 쇼파
KR102515930B1 (ko) * 2021-08-09 2023-03-29 조재근 거꾸리수단이 구비된 쇼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WO2011018046A1 (zh) 一种仿生正姿桌椅
US20090270236A1 (en) Supporting device for a person's back and head area
KR200333980Y1 (ko) 다용도 의자
JP2024511474A (ja) 2段フットレスト
KR200449737Y1 (ko) 헬스의자
KR20040004345A (ko) 책걸상용 높이조절장치
KR200368208Y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0308554Y1 (ko) 책걸상과 사물함이 결합된 책걸상
KR200222333Y1 (ko)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200202412Y1 (ko)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KR200413796Y1 (ko) 책걸상용 높이조절장치
KR910002203Y1 (ko) 운동을 할수 있는 의자
CN210783675U (zh) 椅座前后调节机构
CN219183103U (zh) 一种具有限位结构的调节式课桌椅
JP3098245U (ja) 椅子
CN219556803U (zh) 一种可调节踏板高度的儿童餐椅
KR200464922Y1 (ko) 의자와 탁자를 결합하였을 때 사각상자 형상을 하는 가구
KR200365382Y1 (ko) 학생용 책걸상의 간격조정장치
KR200361362Y1 (ko) 의자용 발받침 기구
KR200335914Y1 (ko) 골격 교정용 다단식 철봉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200243683Y1 (ko)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940002050Y1 (ko) 책상용 대판을 갖는 침대용 헤드보드
JP3116685U (ja) 足載せ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