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733Y1 -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733Y1
KR200333733Y1 KR2019980017643U KR19980017643U KR200333733Y1 KR 200333733 Y1 KR200333733 Y1 KR 200333733Y1 KR 2019980017643 U KR2019980017643 U KR 2019980017643U KR 19980017643 U KR19980017643 U KR 19980017643U KR 200333733 Y1 KR200333733 Y1 KR 200333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finder
moving
camera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499U (ko
Inventor
최승욱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7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73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4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4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7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Abstract

카메라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배럴 베이스 내부에서 직선운동을 행하는 부재와 연동하여 파인더 어셈블리의 이동렌즈군을 이동시키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는 몸체에 설치되는 배럴 베이스와, 배럴 베이스의 내주면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헬리코이드링과, 상기 헬리코이드링과 연동하여 직선운동을 행하는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와,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직선운동을 행하면서 파인더 어셈블리의 제 1 이동렌즈를 이동시키는 직선 가이드부재와, 직선 가이드부재와 결합하여 원주상의 회전운동을 행하면서 파인더 어셈블리의 제 2 이동렌즈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원활한 배율조절을 행하며, 보다 단순한 구조의 경통군을 제공하여 카메라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본 고안은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인더의 배율조절 기능을 겸비한 배럴 어셈블리 내부의 부품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보다 정확하게 파인더 배율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파인더 배율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줌 카메라는 사용자가 줌 버튼, 즉 망원(tele) 또는 광각(wide) 버튼을 누르면 카메라에 내장된 줌 모터가 작동하여 다수개의 렌즈를 장착하는 헬리코이드링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렌즈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써 촬영할 피사체의 배율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배율조절의 확인은 사용자가 카메라 후면에 장착된 접안렌즈를 통하여 피사체의 확대 또는 축소된 상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렇게 촬영렌즈와 별도로 촬영될 피사체의 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장치를 파인더 어셈블리(finder assembly)라 한다.
통상의 파인더 어셈블리는 카메라 후면에 위치하는 접안렌즈와 카메라 전면으로 위치하는 대물렌즈 사이에 광축을 전환시키는 프리즘과, 촬영렌즈와 동일한 배율을 이루도록 광축상으로 이송되어 파인더의 배율을 변화시키는 이동렌즈군 등을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메라의 일부 부품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 D-D선의 단면도로서, 다수개의 렌즈군을 지지하는 배럴 베이스(1)와, 상기 배럴 베이스(1)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회전하는 로테이터(3)와, 상기 로테이터(3)의 내주면에 삽입되며 그 내주면으로 헬리코이드링(5)을 장착하는 고정경통(7)과, 회로기판(미도시)에 연결되어 줌 버튼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하는 줌 모터(9)와, 상기 줌 모터(9)의 구동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을 로테이터(3)에 전달시키는 기어군(11)을 포함한다.
그리고 파인더 어셈블리(13)의 제 1 이동렌즈(15)와 제 2 이동렌즈(17)는 파인더 베이스(19)에 이송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이는 광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봉(21)에 상기 제 1 이동렌즈 지지체(23)와 제 2 이동렌즈 지지체(25)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봉(21)을 따라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저부로 각각의 돌출편(27,29)을 형성하는 제 1 이동렌즈 지지체(23)와 제 2 이동렌즈 지지체(25)는 서로 탄성부재(31)로 연결되어 보다 원활하고 유기적인 간격조절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로테이터(3)는 그 외주면으로 상기 기어군(11)과 치형이 맞물리는 기어홈(33)을 형성하여 망원 또는 광각에 따른 줌 모터 어셈블리(35)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전달받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헬리코이드링(5)을 광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데, 이는 고정경통(7)에 형성된 나선형의 캠 홀(37)을 통하여 헬리코이드링(5)의 돌출부재(39)가 로테이터(3)의 내주면에 형성된 직선 가이드홈(41)에 연동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럴 베이스(1)의 직선홀(45)을 통하여 로테이터(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캠 홈(43a) 및 제 2 캠 홈(43b)에 파인더 어셈블리(13)의 제 1 이동렌즈 지지체(23)와 제 2 이동렌즈 지지체(25)의 돌출편(27,29)이 각각 맞물리므로 상기 로테이터(3)의 회전에 따라 제 1 이동렌즈(15)와 제 2 이동렌즈(17)의 돌출편(27,29)이 제 1 및 제 2 캠 홈(43a,43b)의 궤적을 따라 연동하여 광축의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줌 모터(9)와 연동하는 로테이터(3)의 회전에 따라 헬리코이드링(5)이 이송되어 촬영렌즈의 배율조절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캠 홈(43)의 궤적을 따라 제 1 이동렌즈(15)와 제 2 이동렌즈(17)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 파인더 어셈블리(13)는 촬영렌즈와 동일한 배율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는 로테이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 홈의 궤적을 따라 제 1 이동렌즈와 제 2 이동렌즈가 직선 이동하여 배율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운동이 이동렌즈군의 원활하고도 정확한 직선운동으로 전환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로테이터로 인하여 배럴 어셈블리 전체의 규격과 중량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직선운동을 행하는 배럴 어셈블리 내부의 일부 부품을 이용하여 파인더 어셈블리의 이동렌즈군의 위치를 변화시키므로써 보다 정확한 파인더 배율조절을 행하며, 로테이터의 사용을 배제하여 배럴 어셈블리의 규격과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에 설치되며 내주면으로 다수개의 경통군을 장착하는 배럴 베이스와, 상기 배럴 베이스의 내주면으로 이송 가능하게 장착되며 줌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과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헬리코이드링과, 상기 헬리코이드링에 연동하여 광축상의 직선운동을 행하는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직선이동부재와 파인더 어셈블리 사이에 연계 설치되어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운동을 전달받아 파인더 어셈블리의 이동렌즈군을 이동시키는 파인더 배율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직선이동부재는 헬리코이드링과 연동하여 광축상의 직선운동을 행하는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파인더 배율조절수단은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직선운동을 행하면서 파인더 어셈블리의 제 1 이동렌즈를 이동시키는 직선 가이드부재와,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와 결합하여 원주상의 회전운동을 행하면서 파인더 어셈블리의 제 2 이동렌즈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헬리코이드링에 연동하는 직선 가이드부재의 직선운동으로 파인더 어셈블리의 이동렌즈군을 조절하므로써 보다 정확하고 원활한 배율조절을 행하며, 보다 단순한 구조의 배럴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카메라의 소형,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망원 상태에서의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 A-A선의 단면도.
도 4는 회전부재의 평면도.
도 5는 광각 상태에서의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5 B-B선의 단면도.
도 7은 수납 상태에서의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도 7 C-C선의 단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도 9 D-D선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인더 배율조절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의해 새롭게 구현되는 파인더 배율조절장치는 몸체에 고정 설치되는 배럴 베이스(4)와, 상기 배럴 베이스(4)의 내주면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헬리코이드링(6)과, 상기 헬리코이드링(6)과 연동하여 배럴 베이스(4)의 내주면에서 전후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배럴 베이스(4)의 상부면으로 설치되는 파인더 어셈블리(10)와, 직선이동부재와 파인더 어셈블리(10) 사이에 연계 설치되어 직선이동부재의 움직임으로 파인더 어셈블리(10)의 이동렌즈군(12)을 이동시키는 파인더 배율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직선이동부재는 배럴 베이스(4) 내부에서 헬리코이드링(6)과 연동하여 직선상의 운동을 행하는 모든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캡의 개폐를 조절하는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를 상기 직선이동부재로 사용한다.
상기 헬리코이드링(6)은 외주면으로 나선상의 기어홈(14)을 형성하며, 내주면으로 다수개의 렌즈군을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기어홈(14)은 줌 모터(미도시)와 연동하는 일련의 기어군(미도시)과 결합하여 줌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헬리코이드링(6)을 광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광축방향으로의 전/후진에 따라 촬영렌즈의 배율 조절을 행하는 헬리코이드링(6)은 그 일단부로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와 결합하는 바, 상기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는 헬리코이드링(6)과 연동하여 배럴 베이스(4) 내부에서 직선상의 전/후진 운동을 행하게 된다.
이는 상기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돌기(16)가 헬리코이드링(6) 내부에 형성된 원형상의 홈(미도시)에 물림되어 상기 홈을 따라 헬리코이드링(6)이 회전하므로써 헬리코이드링(6)의 직선운동만이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에 전달되어 상기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를 전/후진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럴 베이스(4)는 파인더 어셈블리(10)와 마주하는 상부면으로 광축방향과 평행한 직선홀(18)을 형성하는데, 이는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의 직선운동을 배럴 베이스(4)의 외부에 설치되는 파인더 배율조절수단에 연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는 배럴 베이스(4)의 직선홀(18)과 마주하는 외주면으로 소정 길이의 제 2 돌기(20)를 형성한다.
그리고 파인더 배율조절수단은 상기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와 연동하여 직선운동을 행하면서 제 1 이동렌즈(22)를 광축상으로 이동시키는 직선 가이드부재(26)와,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26)와 결합하여 원주상의 회전운동을 행하면서 제 2 이동렌즈(24)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배럴 베이스의 외주면으로 파인더 배율조절수단이 장착된 평면도이고, 도 3은 파인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 2 A-A선의 단면도로서, 화살표는 카메라 내부에 위치하는 필름면(46)을 향하여 카메라 외부에서 입사되는 피사체의 입사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26)는 직선홀(18)을 덮을 수 있도록 배럴 베이스(4)의 외주면으로 배치되며, 저면으로는 상기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의 제 2 돌기(20)와 맞물리는 물림홈(30)을 형성한다.
상기 물림홈(30)은 배럴 베이스(4)의 직선홀(18)을 관통하는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의 제 2 돌기(20)와 물림되어,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26)를 직선홀(18)과 평행한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26)는 일단면으로 돌출단(32)을 형성하여 파인더 어셈블리(10)의 제 1 이동렌즈(22)와 접촉하므로 자체의 직선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이동렌즈(22)를 광축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26)는 상면으로 돌기부재(34)를 형성하여 회전부재(28)와 결합하는데, 상기 회전부재(28)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으로 직선 가이드부재(26)의 돌기부재(34)와 맞물리는 나선 및 직선상의 제 1 캠 홈(36)과, 파인더 어셈블리(10)의 제 2 이동렌즈(24)와 맞물리는 나선상의 제 2 캠 홈(4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캠 홈(36)은 나선부 캠 홈(36a)과 직선부 캠 홈(36b)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각각 직선 가이드부재(26)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회전부재(28)를 원주상으로 회전시키는 줌배율 변화 범위(E)와,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를 필름측 방향으로 수납시키는 파인더 줌 렌즈 수납 범위(F)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26)의 돌기부재(34)가 직선운동을 행하면 상기 제 1 캠 홈(36)의 나선부 캠 홈(36a)이 돌기부재(34)를 따라 나선상으로 연동하여 회전부재(28)를 원주상으로 회전시키며, 이와 같은 회전과 동시에 파인더 어셈블리(10)의 제 2 이동렌즈(24)는 제 2 캠 홈(40)의 궤적을 따라 그 위치를 변화시키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파인더 배율조절수단은 줌 모터의 작동으로 헬리코이드링(6)이 배럴 베이스(4)에서 최대로 전진한 상태, 즉 망원(tele) 상태에 이르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인더 어셈블리(10)의 제 1 이동렌즈(22)와 제 2 이동렌즈(24)는 최대로 근접한 상태에 위치하여 촬영 렌즈와 동일한 배율을 이루게 되며, 이후 광각(wide) 상태로의 전환시 다음과 같은 작동에 의해 이동렌즈군(12)의 위치를 변화시키게 된다.
도 5는 광각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 B-B선의 단면도로서, 줌 모터의 작동에 따라 헬리코이드링(6)은 회전과 동시에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하고,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는 상기 헬리코이드링(6)과 연동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의 직선이동으로 인하여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의 제 2 돌기(20)에 물림홈(30)이 맞물리는 직선 가이드부재(26)는 배럴 베이스(4)의 외주면에서 광축방향으로 후진하게 되어 돌출단(32)과 접촉하는 제 1 이동렌즈(22)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그리고 회전부재(28)는 직선 가이드부재(26)의 돌기부재(34)가 직선운동을 하면 제 1 캠 홈(36)의 나선부 캠 홈(36a)이 돌기부재(34)를 따라 나선상으로 연동하여 회전부재(28)의 위치를 변화시키므로 상기 회전부재(28)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원주상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28)의 회전에 의해 파인더 어셈블리(10)의 제 2 이동렌즈(24) 또는 제 2 캠 홈(40)의 궤적을 따라 그 위치가 변화하여, 결과적으로 제 1 이동렌즈(22)와 제 2 이동렌즈(24)는 최대로 멀어진 상태에 위치하여 촬영 렌즈 배율과 동일한 광각 배율을 형성한다.
그리고 헬리코이드링(6)을 필름면 방향으로 더욱 후진시키면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를 필름면 방향으로 수납할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28)에 형성된 제 1 캠 홈(36)의 직선부 캠 홈(36b)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7은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의 수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 C-C선의 단면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헬리코이드링(6)을 필름면(46) 방향으로 더욱 후진시키면 헬리코이드링(6)과 연동하는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가 후진하고,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의 제 2 돌기(20)와 맞물리는 직선 가이드부재(26)가 후진하게 된다.
이 때, 직선 가이드부재(26)의 돌기부재(34)는 회전부재(28)의 직선부 캠 홈(36b)을 통하여 직선부 캠 홈(36b)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8)를 필름면(46) 방향으로 수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파인더 배율조절수단은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작동을 위한 구성요소 이외에 가이드 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그 움직임을 보다 원활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바, 이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가이드부재(26)의 가이드수단은 직선 가이드부재(26)의 저면으로 광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직선돌기부(42)와,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26)가 위치하는 배럴 베이스(4)의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직선돌기부(42)를 가이드하는 직선 가이드홈(44)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직선 가이드부재(26)가 배럴 베이스(4)의 외주면에서 광축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행할 때, 직선 가이드부재(26)의 직선돌기부(42)가 직선 가이드홈(44)에 맞물려 움직이므로, 직선 가이드부재(26)는 광축방향 이외의 타방향으로의 위치변화 없이 직선 가이드홈(44)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보다 정확한 직선이동을 행할 수 있으며, 배럴 베이스(4)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재(28)의 가이드수단은 몸체 또는 파인더 어셈블리(10)의 저면으로 위치하는 가이드 부분(미도시)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는 원활한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는 보다 정확하고 원활하게 배율조절을 행하며, 보다 단순한 경통군을 제공하여 카메라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몸체에 설치되며 내주면으로 다수개의 경통군을 장착하는 배럴 베이스와;
    상기 배럴 베이스의 내주면으로 이송 가능하게 장착되며 줌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과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헬리코이드링과;
    상기 헬리코이드링에 연동하여 광축상의 직선운동을 행하는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직선이동부재와 파인더 어셈블리 사이에 연계 설치되어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운동을 전달받아 파인더 어셈블리의 이동렌즈군을 이동시키는 파인더 배율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부재는 외주면으로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배럴 베이스에 형성된 직선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부재는 상기 헬리코이드링에 결합되어 헬리코이드링과 연동하면서 직선운동을 행하는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더 배율조절수단은 상기 직진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직선운동을 행하면서 파인더 어셈블리의 제 1 이동렌즈를 이동시키는 직선 가이드부재와;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와 결합하여 원주상의 회전운동을 행하면서 파인더 어셈블리의 제 2 이동렌즈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는 상기 배럴 베이스의 직선홀과 마주하는 일면으로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돌기부에 맞물리는 물림홈을 형성하여 직선이동부재와 연동하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마주하는 일면으로 돌기부재를 형성하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직선 가이드부재와 마주하는 일면으로 직선 가이드부재의 돌기부재와 연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나선상의 제 1 캠 홈을 형성하여 직선 가이드부재의 직선운동을 자체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1 캠 홈의 연속으로 직선상의 직선부 캠 홈을 더욱 형성하여 직선이동부재와 직선 가이드부재를 수납하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파인더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일면으로 파인더 어셈블리의 제 2 이동렌즈와 연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 2 캠 홈을 형성하여 자체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제 2 이동렌즈를 직선 이동시키는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KR2019980017643U 1998-09-16 1998-09-16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KR200333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643U KR200333733Y1 (ko) 1998-09-16 1998-09-16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643U KR200333733Y1 (ko) 1998-09-16 1998-09-16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499U KR20000006499U (ko) 2000-04-15
KR200333733Y1 true KR200333733Y1 (ko) 2004-01-24

Family

ID=4941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643U KR200333733Y1 (ko) 1998-09-16 1998-09-16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7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499U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575B1 (ko) 렌즈셔터식 줌렌즈 카메라
US7595937B2 (en) Lens apparatus and image-pickup apparatus
EP2059843B1 (en) Lens barrel and camera including it
JPH08234089A (ja) コンバータレンズを内蔵したレンズ鏡胴
KR200333733Y1 (ko) 카메라용 파인더 배율조절장치
JPH0534558A (ja) 焦点可変装置
US6600877B2 (en) Zoom interlocking mechanism for camera
US6122116A (en) Collapsible type zoom lens barrel ha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component
JP2691562B2 (ja) レンズ鏡筒
JPH0532806Y2 (ko)
KR200343243Y1 (ko) 줌 렌즈 배럴 구동 시스템을 가지는 카메라
US6408139B1 (en) Zoom finder
US6462887B1 (en) Zoom lens barrel structure of zoom camera
JP3380104B2 (ja) レンズ鏡筒のfpc基板案内装置及びそのfpc基板
JP2004004420A (ja) レンズ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H05173223A (ja) ズームファインダーを有するズームレンズ組込みカメラ
KR100307614B1 (ko) 더블 헬리코이드가 형성된 링을 가지는 줌 렌즈 경통구조
JP2001235667A (ja) レンズ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H0618327Y2 (ja) レンズ鏡筒
JP3215792B2 (ja) レンズ鏡筒の直進案内装置
JP2787690B2 (ja) ズームカメラ
JP2535931B2 (ja) レンズ鏡筒の信号切換装置
KR970001569B1 (ko) 줌 카메라의 파인더 및 스트로보 연동장치
JP2569529B2 (ja) 近接撮影装置
JPH0618325Y2 (ja) ズームレンズ鏡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