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708Y1 - 독터 브레이드 홀더 - Google Patents

독터 브레이드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708Y1
KR200333708Y1 KR20-2003-0028325U KR20030028325U KR200333708Y1 KR 200333708 Y1 KR200333708 Y1 KR 200333708Y1 KR 20030028325 U KR20030028325 U KR 20030028325U KR 200333708 Y1 KR200333708 Y1 KR 200333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octor blade
doctor
blade holder
upp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백
Original Assignee
대진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대진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20-2003-0028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Landscapes

  • Rotary Pr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RINTING CYLINDER 동판롤(23)에 독터 브레이드(13)를 균등한 힘으로 밀착시켜 여분의 도포물을 긁어내어 인쇄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독터 브레이드(13)의 교체를 미숙련자(무경험자)도 손쉽고 편리하게, 빠른 시간에 교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독터 브레이드 홀더{Doctor Blade Holder}
본 고안은 그라비아 인쇄장치에 장착하는 부품에 관한 것이다. 그라비아 인쇄장치는 도면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의 외주표면에 다양한 인쇄 내용을 음각한 동판롤(9)을 잉크팬(7)에 부분적으로 잠기게 한 상태에서 구동(회전)을 시켜, 동판롤과 압동 고무롤(10) 사이로 통과되는 피인쇄물의 음각부에 잔류되어 있는 잉크가 전이(부착) 되어 인쇄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라비아 인쇄장치에 있어서, 피인쇄물에 인쇄를 하려면 동판롤(9)의 외주표면에 잉크(8)나 토너, 도료 등과 같은 도포물을 도포하여 필름, 종이 등의 피인쇄물에 인쇄를 하여야 하는데, 동판롤(9)의 외주표면에 묻어있는 여분의 도포물(8)을 긁어내기 위한 독터 브레이드(일명 스크레이퍼)(3)가 장착된다. 본 고안은 그라비아 인쇄장치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독터 브레이드(일명 스크레이퍼)를 그라비아 인쇄장치 본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면 1이 종래의 독터 브레이드 홀더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1과 같이 종래의 독터 브레이드 홀더(6)는 대략 6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독터 브레이드(3) 교환시, 독터 브레이드(3)의 일정치 않은 위치 설정과 하부 홀더(1)와 상부 홀더(2) 체결을 다수의 고정볼트(4)(대략 12개 이상)로 체결하는 관계로 조립시 고정볼트(4)의 체결력이 일정하지 않고 위치설정이 일정하지 않으므로써 동판롤(9) 표면에 가해지는 힘이 균등하지 않기 때문에 동판롤(9) 표면에마모 현상이 나타나고, 스크레이퍼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 인쇄 품질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종래의 독터 브레이드 홀더는 대부분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관계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교환에 어려움이 따르고, 독터 브레이드 교환을 위한 시간도 상당히 소요된다.
따라서, 독터 브레이드(3)는 동판롤(9) 표면에 일정하고, 균등하게 밀착하여 동판롤(9) 표면의 마모를 경감시키고, 인쇄 품질을 높이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구조로는 위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고안에 이르게 된 것이다.
도 1은 개선 전의 독터 홀더 셋트(구형).
도 2는 개선 후의 독터 홀더 셋트(신형).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명칭) *
1.,11. 하부홀더 2.,12. 상부홀더
3.,13. 독터 브레이드 4. 고정볼트
5.,19. 핸들 6.,20. 독터 홀더
7.,21. 잉크팬 8.,22. 잉크
9.,23. 동판롤 10.,24. 압동 고무롤
14. 샤프트 15. 조정 브라켓트
16. 스프링 17. 그립레버
18. 스톱퍼 볼트 25. 편심캠
26. 볼트
본 고안은 동판롤(23) 외주 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여분의 도포물을 긁어내는 독터 브레이트 홀더 장치에 있어서 독터 브레이드(13)와 하부홀더(11) 및 상부 홀더(12), 그리고 상기 하부 홀더(11) 및 상부 홀더(12)를 압착하여 연결하는 압착스프링(16), 상기 상부 홀더(12)와 편심캠(25)을 통하여 연결된 그립레버(17), 샤프트(14), ㄷ자 형상의 조정브라켓트(15), 스톱퍼볼트(18), 핸들(19)로 구성되는 독터 브레이드 홀더 장치이다.
본 고안은 압착스프링(16) 및 편심캠(25)을 이용하여 미숙련자도 수월하게 짧은 시간내에 독터 브레이드(13)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독터 브레이드(13)의 교체 과정은 제일 먼저 그립레버(17)를 위로(90˚) 젖히면 편심캠(편심량:1mm)(25) 구조로 이루어져 스프링을 누르면서샤프트(14)를 중심점으로 상부 홀더(12)가 벌어지게 된다. (언클램핑), 그러면 작업자는 미리 설정해 놓은 스톱퍼볼트(18)에 의해 위치를 설정하여 독터 브레이드(13)를 끼울 수 있으며, 그립레버(17)를 원상태(90˚)로 젖히면 자연스럽게 스프링(16)의 힘에 의하여 클램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 홀더(12)의 벌어지는 정도는 조정 브라켓트(15)를 조절하여 조정하면 된다. 조정 브라켓트(15)는 "ㄷ"자 모양의 브라켓트 및 볼트로 구성되어 있고 볼트 체결 조절에 의하여 상부 홀더(12)의 벌어지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해서 교체시간을 절약하고, 특히 미숙련자(무경험자)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클램핑력을 균등하게 하고, 밀착을 일정하게 하여서 동판롤(23)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인쇄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언클램핑시 편심롤에 의하여 압착이 해제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전의 고무 스프링 방식보다 내구성 및 가공성이 높다. 독터홀터의 각 구성부분의 내구성을 높히기 위하여 독터홀더의 재질은 하기 표 1.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 좋다.
[표 1]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독터 브레이드(13) 교체시 신속성, 편리성, 정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스크레이퍼(SCRAPER)의 역할을 극대화하고, 독터 브레이드 홀더의 재질을 특수 AL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가공성과 탄성력을 높였다. 위와 같은 개선으로 인쇄 품질성, 작업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Claims (5)

  1. 인쇄장치의 동판롤(23) 외주 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여분의 도포물을 긁어내는 독터 브레이트 홀더 장치에 있어서 독터 브레이드(13)와 하부홀더(11) 및 상부 홀더(12), 그리고 상기 하부 홀더(11) 및 상부 홀더(12)를 압착하여 연결하는 압착스프링(16), 상기 상부 홀더(12)와 편심캠(25)을 통하여 연결된 그립레버(17), 샤프트(14)로 이루어진 독터 브레이드 홀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독터 브레이드(13)의 위치설정수단으로서 스톱퍼 볼트(18)를 포함하는 독터 브레이드 홀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홀더(12)의 이격 정도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ㄷ자 모양의 브라켓트(15) 및 볼트(26)를 포함하는 독터 브레이드 홀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12)는 Si, Fe, Cu, Mn, Mg, Cr, Zn, Ca, V, Ti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터 브레이드 홀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홀더(11)는 Si, Fe, Cu, Mn, Mg, Cr, Zn, Ca, V, Ti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터 브레이드 홀더 장치.
KR20-2003-0028325U 2003-09-03 2003-09-03 독터 브레이드 홀더 KR200333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325U KR200333708Y1 (ko) 2003-09-03 2003-09-03 독터 브레이드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325U KR200333708Y1 (ko) 2003-09-03 2003-09-03 독터 브레이드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708Y1 true KR200333708Y1 (ko) 2003-11-17

Family

ID=4941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325U KR200333708Y1 (ko) 2003-09-03 2003-09-03 독터 브레이드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7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96B1 (ko) 2010-12-02 2011-03-23 동우아펙스산업 주식회사 편심 샤프트를 이용한 독터나이프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96B1 (ko) 2010-12-02 2011-03-23 동우아펙스산업 주식회사 편심 샤프트를 이용한 독터나이프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36387B2 (ko)
UA53644C2 (uk) Притискний циліндр листової друкарської машини
JPH0358304B2 (ko)
US9643399B2 (en) Ink feed device comprising an ink blade
JPS58138652A (ja) 輪転印刷機のインキつぼにおけるインキべらおよびその調整装置
KR200333708Y1 (ko) 독터 브레이드 홀더
EP0047618B1 (en) A rotogravure printing press
US5460088A (en) Printing press
US5452660A (en) Washing device selectively engageable with plural inking paths
EP2002977A3 (en) Liquid transfer member pressing force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of rotary stencil printing plate liquid coating machine
US200700228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late cylinder contamination during a plating process
JPH01272455A (ja) 枚葉オフセット印刷機におけるニスコーティング装置
US7841277B1 (en) Layered structure of a printing plate for printing solid areas and highlight areas
EP0681915A2 (de) Vorrichtung zum Aufziehen flexibler Druckformen
JP2703761B2 (ja) 印刷機のインキ装置
US56760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king a waterless planographic printing plate
AU731488B2 (en) Method of operation of a printing unit and printing unit for offset machine
JP4528931B2 (ja) チャンバー型インキ供給装置
JP3730617B2 (ja) コータ版面ニス乾燥防止装置
US6796228B2 (en) Dampener metering device
US4821641A (en) Dampening and bridging apparatus for a duplicating machine
RU26770U1 (ru) Ракельный нож для флексографских машин
JPH0747305B2 (ja) 凹版印刷機のワイピング装置
KR200285100Y1 (ko) 롤러용 스크레이퍼
JP4411419B2 (ja) 凹版印刷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