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315Y1 - 집진기 - Google Patents
집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3315Y1 KR200333315Y1 KR20-2003-0027028U KR20030027028U KR200333315Y1 KR 200333315 Y1 KR200333315 Y1 KR 200333315Y1 KR 20030027028 U KR20030027028 U KR 20030027028U KR 200333315 Y1 KR200333315 Y1 KR 2003333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dust
- air suction
- filter
- blow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진 흡입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설비비 등을 절약할 수 있으며, 분진 흡입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 체결 작업 등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집진실(12)과 필터실(16)과 블로잉실(18) 및 에어흡입실(22)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본체(10)와, 이 본체(10)의 필터실(16)에 장착되는 필터(30)와, 상기 블로잉실(18)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30)에 역풍을 불어주도록 된 블로워(40)와, 상기 에어흡입실(22)에 장착되어 집진실(12)의 내부로 분진이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흡입기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에어흡입실(22)을 구성하는 하우징(26)이 별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흡입실(22)이 결합될 블로잉실(18)의 외측면에 상기 흡입기구(50)를 장착한 다음, 상기 하우징(26)을 체결수단(70)에 의해 블로잉실(18)에 에어흡입실(22)을 기밀되게 조립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분진 흡입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설비비 등을 절약할 수 있도록 된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공장이나 탄광 또는 터널 공사장 등의 작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여 대기중에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된 장치이다. 이러한 집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측의 집진실(12)로부터 상측으로 필터실(16)과 블로잉실(18) 및 에어흡입실(2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본체(10)와, 이 본체(10)의 필터실(16)에 장착되는 필터(30)와, 상기 블로잉실(18)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30)에 역풍을 불어주도록 된 블로워(40)와, 상기 에어흡입실(22)에 장착되어 분진이 필터실(16)로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흡입기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기구(50)는 흡입팬(52a)과, 이 흡입팬(52a)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3a)와, 상기 흡입팬(52a)을 수용하도록 된 케이스(54a)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54a)가 블로잉실(18)의 상면에 체결수단(7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에어흡입실(22)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집진실(12)의 상면은 필터실(16)과 연통되고, 이 집진실(12)의 내부에는 더스트박스(85)가 전방의 개구부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집진실(12)의 내벽면에는 상기 더스트박스(85)의 상단부와 인접되는 경사부(80)가 형성된다.
이러한 집진기에 의하면, 그 내부로 분진과 에어가 함께 유입되면 상기 필터(30)에 의해 분진이 걸러져 더스트박스(85)에 쌓이는 한편, 분진이 여과된 청정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블로워(40)에 의해 주기적으로 필터(30)에 역풍을 불어주면 필터(30)에 달라붙은 분진이 떨어져 더스트박스(85)에 쌓이며, 이렇게 분진이 쌓인 더스트박스(85)를 인출하여 분진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흡입기구(50)는 무거운 구동모터(53a)와 흡입팬(52a) 등으로 이루어져 상당한 중량체인데, 작업자가 이러한 중량체인 흡입기구(50)를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는 에어흡입실(22)까지 들어서 이 에어흡입실(22)의 전방 개구부로부터 에어흡입실(22)의 내부로 삽입하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상기 에어흡입실(22)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부커버판(도시되지 않음)을 분리한 상태에서 호이스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흡입기구(50)를 에어흡입실(22)의 내부로 삽입한 다음, 상기 흡입기구(50)의 적어도 네 모서리부분을 볼트 등의 체결수단(70)에 의해 블로잉실(18)의 상면에 고정하여 에어흡입실(22)의 내부에 흡입기구(50)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기는 흡입기구(50)를 에어흡입실(2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에어흡입실(22) 상면의 상부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호이스트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기구(50)를 에어흡입실(22)의 내부로 삽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호이스트 등의 장비가 별도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집진기는 흡입기구(50)의 적어도 네 모서리를 블로잉실(18)의 상면에 체결수단(70)으로 체결하여 흡입기구(50)를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본체(10)가 최대한 콤팩트한 사이즈로 제작되는 추세이고 상기 흡입기구(50)도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그 둘레부가 에어흡입실(22)의 내벽면에 거의 닿을 정도의 사이즈로 이루어지 때문에, 상기 흡입기구(50)의 둘레부와 에어흡입실(22)의 내벽면 사이가 매우 협소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기는 이처럼 흡입기구(50)의 둘레부와 에어흡입실(22)의 내벽면 사이의 매우 협소한 공간으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70)을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흡입기구(50)의 후방쪽 모서리에는 전방쪽 모서리보다 체결수단(70)의 체결 작업이 더욱 어렵다.
그리고, 상기 집진기는 집진실(12)의 내부에 서랍식으로 결합되는 더스트박스(85)의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8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상기 집진실(12)과 더스트박스(85) 사이가 제대로 기밀되지 못하기 때문에, 화살표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분진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진 흡입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설비비 등을 절약할 수 있으며, 분진 흡입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 체결 작업 등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집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집진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기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서 흡입기구를 수용하는 에어흡입실이 블로잉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집진기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4a는 도 1의 주요부인 흡입기구의 사시도
도 4b는 도 1의 주요부인 더스트박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집진실
16. 필터실 18. 블로잉실
22. 에어흡입실 30. 필터
40. 블로워 50. 흡입기구
60. 체결벽면 70. 체결수단
80. 경사부 90. 승강수단
본 고안에 따르면, 집진실(12)과 필터실(16)과 블로잉실(18) 및 에어흡입실(22)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본체(10)와, 이 본체(10)의 필터실(16)에 장착되는 필터(30)와, 상기 블로잉실(18)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30)에 역풍을 불어주도록 된 블로워(40)와, 상기 에어흡입실(22)에 장착되어 집진실(12)의 내부로 분진이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흡입기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에어흡입실(22)을 구성하는 하우징(26)이 별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흡입실(22)이 결합될 블로잉실(18)의 외측면에 상기 흡입기구(50)를 장착한 다음, 상기 하우징(26)을 체결수단(70)에 의해 블로잉실(18)에 에어흡입실(22)을 기밀되게 조립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입기구(50)의 둘레부 또는 블로잉실(18)의 둘레부에는 체결벽면(60)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블로잉실(18)에 상기 흡입기구(50)를 고정 장착하고, 상기 에어흡입실(22)의 하우징(26)과 상기 체결벽면(60)을 관통하도록 체결수단(70)을 체결하여 상기 블로잉실(18)의 상측에 에어흡입실(22)을 조립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집진실(12)에는 반경방향 안쪽으로하향 경사진 경사부(80)가 집진실(12)의 내벽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80)의 하측에는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더스트박스(85)가 구비되고, 상기 더스트박스(85)의 하측에는 그 작동에 따라 더스트박스(85)의 상단부(86a)를 경사부(80)의 저면에 가압 밀착시키는 승강수단(90)이 구비되며, 상기 더스트박스(85)의 상단부(86a)가 경사부(80)의 하단부에 가압밀착되면서 더스트박스(85)와 집진실(12)의 내벽면 사이가 기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기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서 흡입기구를 수용하는 에어흡입실이 블로잉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집진기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4a는 도 1의 주요부인 흡입기구의 사시도, 도 4b는 도 1의 주요부인 더스트박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기는 집진실(12)과 필터실(16)과 블로잉실(18)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본체(10)와, 이 본체(10)의 필터실(16)에 장착되는 필터(30)와, 상기 블로잉실(18)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30)에 역풍을 불어주도록 된 블로워(40)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집진기는 본체(10)의 에어흡입실(22)을 구성하는 하우징(26)이 별체로 형성되고, 이 에어흡입실(22)에 상기 흡입기구(50)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흡입실(22)을 구성하는 하우징(26)은 금속패널을 대략 사각 박스 형태로 연결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집진실(12)과 필터실(16) 및 블로잉실(18)과는 별체로 이루어지며 그 하부는 개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에어흡입실(22)의 하우징(2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흡입기구(50)에 상향으로 구비된 수직의 체결벽면(60)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7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블로잉실(18)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기구(50)는 필터실(16)의 분진흡입구(13a)로부터 분진이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흡입팬(52a)과, 이 흡입팬(52a)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3a)와, 상기 흡입팬(52a)을 수용하며 그 하부는 개방된 케이스(54a)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흡입기구(50)는 그 케이스(54a)의 네 모서리 부분이 상기 블로잉실(18)의 상면에 볼트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블로잉실(18)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는데, 상기 에어흡입실(22)이 아직 블로잉실(18)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이렇게 흡입기구(50)의 상부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70)을 체결하여 흡입기구(50)를 에어흡입실(22)의 상면에 체결하여 고정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특히 흡입기구(50)의 후방이라 할 지라도 전혀 상관없이 매우 간편하게 체결수단(70)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기구(50)의 둘레부(즉, 상기 흡입기구(50)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둘레부)에는 상향으로 직각 절곡된 체결벽면(60)이 구비된다. 이러한 체결벽면(60)은 상기 에어흡입실(22)의 하측 내벽면에 맞닿도록 된 것으로, 상기 에어흡입실(22)의 하측 둘레벽과 상기 체결벽면(60)을 관통하여 볼트 등의 체결기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블로잉실(18)의 상측에 에어흡입실(22)을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집진기에 의하면, 상기 에어흡입실(22)이 별체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블로잉실(18)의 상부측이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흡입기구(50)를 블로잉실(18)의 상면에 얹어놓고, 이 흡입기구(50)의 네 모서리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70)을 체결하여 흡입기구(50)를 블로잉실(18)의 상면에 장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흡입기구(50)의 둘레부(즉, 흡입기구(50)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둘레부)에 형성된 체결벽면(60)에 상기 에어흡입실(22)의 하측 둘레벽을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벽면(60)과 에어흡입실(22)의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체결수단(70)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에어흡입실(22)을 블로잉실(18)의 상측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기는, 호이스트 등의 장비에 의해 상기 흡입기구(50)를 들어 올려서 상기 에어흡입실(22)의 상면 개방부로부터 에어흡입실(22)의 내부에 삽입한 후 체결수단(70)에 의해 흡입기구(50)를 고정해야 했던 종래와 달리, 상기 블로잉실(18)의 상부측이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람이 상기 흡입수단을 비교적 낮은 높이의 블로잉실(18)까지만 들어올려서 상기 흡입수단을 블로잉실(18)의 상면에 얹어놓고 체결수단(70)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호이스트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면, 집진시 설치시 연입도어의 높이가 낮아 기계 반입이 어려울 때에 현장에서 조립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집진기는 상기 블로잉실(18)의 상부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흡입기구(50)를 먼저 블로잉실(18)의 상면에 고정하기 때문에, 상기 흡입기구(50)의 둘레부와 에어흡입실(22)의 내벽면 사이의 매우 협소한 공간으로 체결수단(70)을 체결해야 했던 종래와 비교할 때, 상기 체결수단(70)의 체결 작업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는 흡입기구(50)의 후방쪽 모서리에 체결수단(70)을 체결하기가 더욱 어려웠지만, 본 고안의 집진기는 상기 흡입기구(50)에 에어흡입실(22)이 결합되지 않은 개방된 상태에서 흡입기구(50)의 모서리에 체결수단(70)을 체결하므로, 전후방에 관계없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집진실(12)의 내벽면에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80)가 구비되어, 상기 집진실(12)에는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더스트박스(85)가 구비되며, 상기 더스트박스(85)의 하측에는 그 작동에 따라 더스트박스(85)의 상단부(86a)가 경사부(80)의 저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승강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수단(90)은 더스트박스(85)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캠(90)과, 이 캠(90)을 회동시키는 레버(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레버를 작동시켜 캠(90)을 상향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더스트박스(85)의 상단부(86a)가 상기 경사부(80)의 하단부에 가압 밀착되면서 상기 더스트박스(85)와 경사부(85) 사이가 기밀된다. 이때, 상기 더스트박스(85)의 내부에 별도의 비닐(8)을 깔아주고, 이 비닐(8)의 둘레부를 더스트박스(85)의 상단 둘레부 외측으로 더 내민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90)에 의해 더스트박스(85)의 상단부(86a)와 비닐(8)의 둘레부를 집진실(12)의 경사부(85) 하단에 가압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90)은 더스트박스(85)의 저면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신축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승강수단(90)은 더스트박스(85)를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더스트박스(85)와 집진실(12)의 내벽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더스트박스(85)에 쌓이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더스트박스(85)의 내부에는 별도의 비닐(8)이 깔려져 있어서, 상기 비닐(8)을 들어내어 분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분진의 날림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블로잉실의 상단 둘레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체결벽면(100)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흡입실(22)의 하측 둘레부와 상기 블로잉실(22)의 체결벽면(60)을 관통하도록 체결수단(70)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블로잉실(18)의 상측에 에어흡입실(22)을 기밀되게 조립할 수도 있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는 집진기의 전방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2)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분진 흡입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설비비 등을 절약할 수 있으며, 분진 흡입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 체결 작업 등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집진기가 제공된다.
Claims (3)
- 집진실(12)과 필터실(16)과 블로잉실(18) 및 에어흡입실(22)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본체(10)와, 이 본체(10)의 필터실(16)에 장착되는 필터(30)와, 상기 블로잉실(18)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30)에 역풍을 불어주도록 된 블로워(40)와, 상기 에어흡입실(22)에 장착되어 집진실(12)의 내부로 분진이 유입되도록 흡입하는 흡입기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에어흡입실(22)을 구성하는 하우징(26)이 별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흡입실(22)이 결합될 블로잉실(18)의 외측면에 상기 흡입기구(50)를 장착한 다음, 상기 하우징(26)을 체결수단(70)에 의해 블로잉실(18)에 에어흡입실(22)을 기밀되게 조립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입기구(50)의 둘레부 또는 블로잉실(18)의 둘레부에는 체결벽면(60)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블로잉실(18)에 상기 흡입기구(50)를 고정 장착하고, 상기 에어흡입실(22)의 하우징(26)과 상기 체결벽면(60)을 관통하도록 체결수단(70)을 체결하여 상기 블로잉실(18)의 상측에 에어흡입실(22)을 조립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실(12)에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80)가 집진실(12)의 내벽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80)의 하측에는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더스트박스(85)가 구비되고, 상기 더스트박스(85)의 하측에는 그 작동에 따라 더스트박스(85)의 상단부(86a)를 경사부(80)의 저면에 가압 밀착시키는 승간수단(90)이 구비되며, 상기 더스트박스(85)의 상단부(86a)가 경사부(80)의 하단부에 가압밀착되면서 더스트박스(85)와 집진실(12)의 내벽면 사이가 기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7028U KR200333315Y1 (ko) | 2003-08-22 | 2003-08-22 | 집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7028U KR200333315Y1 (ko) | 2003-08-22 | 2003-08-22 | 집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3315Y1 true KR200333315Y1 (ko) | 2003-11-12 |
Family
ID=4934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7028U KR200333315Y1 (ko) | 2003-08-22 | 2003-08-22 | 집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331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9853B1 (ko) | 2012-07-04 | 2012-09-05 | 고상옥 |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
KR101398911B1 (ko) | 2012-12-14 | 2014-05-27 | 김유석 | 스크랩 수거장치 |
CN118022450A (zh) * | 2024-04-15 | 2024-05-14 | 太原科峰喷煤有限公司 | 脉动菱形宽扁袋收粉器反吹清灰装置 |
-
2003
- 2003-08-22 KR KR20-2003-0027028U patent/KR20033331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9853B1 (ko) | 2012-07-04 | 2012-09-05 | 고상옥 |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
KR101398911B1 (ko) | 2012-12-14 | 2014-05-27 | 김유석 | 스크랩 수거장치 |
CN118022450A (zh) * | 2024-04-15 | 2024-05-14 | 太原科峰喷煤有限公司 | 脉动菱形宽扁袋收粉器反吹清灰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2186572A5 (ko) | ||
KR102065695B1 (ko) | 노면 청소차량 | |
KR200333315Y1 (ko) | 집진기 | |
CN100545519C (zh) | 壁面安装型微波炉 | |
US7251855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CN214139918U (zh) | 一种垃圾桶 | |
CN113966160A (zh) | 一种通信设备用散热除尘装置 | |
KR20230039504A (ko) | 휴대용 무선 집진 청소기 | |
CN209747949U (zh) | 一种便于除尘的配电柜 | |
JP3459179B2 (ja) | 混練機における集塵装置 | |
KR200490336Y1 (ko) | 박스형 필터 탈부착 장치 | |
JP3127565B2 (ja) | 床面清掃車 | |
CN219412660U (zh) | 一种矿用隔爆兼本安型喷雾降尘装置主机 | |
CN214763973U (zh) | 一种建筑废料破碎设备用除尘装置 | |
JP2988408B2 (ja) | 高所設置用空気調和機 | |
CN210846726U (zh) | 一种具有降尘装置的建筑垃圾破碎分类装置 | |
KR101659794B1 (ko) | 집진기의 캠 방식 필터 탈부착 장치 | |
CN221991923U (en) | Air duct machine | |
KR102441811B1 (ko) | 진공 청소기 | |
CN213574688U (zh) | 一种排油烟风机 | |
CN219683458U (zh) | 一种吹灰设备 | |
CN217270918U (zh) | 一种可快速组装的排风设备 | |
CN219823044U (zh) | 一种物料散装收尘装置 | |
CN216233892U (zh) | 一种电气自动化元件除尘防潮处理装置 | |
CN215301272U (zh) | 一种建筑工程用防尘通风式电气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