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241Y1 - 야채칼 - Google Patents

야채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241Y1
KR200333241Y1 KR20-2001-0034732U KR20010034732U KR200333241Y1 KR 200333241 Y1 KR200333241 Y1 KR 200333241Y1 KR 20010034732 U KR20010034732 U KR 20010034732U KR 200333241 Y1 KR200333241 Y1 KR 200333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guide plate
cutting
cutter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 장
Original Assignee
수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 장 filed Critical 수 장
Priority to KR20-2001-0034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2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리재료의 절단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요리재료를 용도에 따라 얇은 평판형태 또는 가늘고 진 채 형태로 선택 절단할 수 있도록 된 다목적 주방용 야채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하로 관통된 배출구(15)가 절단물(50)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이 배출구(15)의 일측에는 그 상면을 따라 절단물(50)을 이송하는 가이드판(20)이 구비된 바디(10)와, 상기 가이드판(20)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수직 설치되어 절단물(50)을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폭으로 절개하는 빗살모양의 보조커터(35)와, 상기 바디(10)의 배출구(15)에는 가이드판(20)을 향해 수평 설치되어 이송되는 절단물(50)을 소정 두께로 절단하는 커터(30)와, 상기 바디(10)의 상측에 위치되고 그 저면에는 절단물(50)을 고정해주는 홀더부(45)가 구비된 캐리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커터(35)를 가이드판(20)에 착탈함에 따라 절단물(50)을 가늘고 긴 채 형태 또는 얇은 평판형태로 선택 절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야채칼{Vegetables knife}
본 고안은 주방용 야채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요리재료의 절단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요리재료를 용도에 따라 얇은 평판형태 또는 가늘고 진 채 형태로 선택 절단할 수 있도록 된 다목적 주방용 야채칼에 관한것이다.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과일이나 채소를 얇게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야채칼은 상면이 평탄하고 그 중간부에 횡방향의 배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이 본체에 고정되되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금 높은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커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야채칼을 이용하여 과일이나 야채를 절단하게 되면, 야채와 과일 등의 요리재료가 커터와 본체 상면의 상대적인 높이 차이에 해당되는 두께로만 절단될 뿐, 요리의 종류에 따라 절단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야채칼을 이용하여 요리재료를 가늘고 길게 채로 썰어야 할 경우에는 일정 두께의 평판형태로 절단된 요리재료를 도마에 놓고 다시 칼로 절단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야채나 과일을 채로 썰어야 할 경우에는 채칼이라고 하는 별도의 주방용 도구가 이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채칼은 전술한 야채칼과는 반대로 요리재료를 채로 썰기 때문에, 얇은 평판형태로 절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요리재료를 얇은 평판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야채칼과, 요리재료를 채로 썰기 위한 채칼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야채칼을 이용하여 요리재료를 가늘고 길게 채로 썰어야 할 경우에는 일정 두께의 평판형태로 절단된 요리재료를 도마에 놓고 다시 칼로 절단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야채나 과일을 채로 썰어야 할 경우에는 채칼이라고 하는 별도의 주방용 도구가 이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채칼은 전술한 야채칼과는 반대로 요리재료를 채로 썰기 때문에, 얇은 평판형태로 절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요리재료를 얇은 평판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야채칼과, 요리재료를 채로 썰기 위한 채칼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요리재료의 절단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요리재료를 용도에 따라 얇게 또는 가늘고 길게 선택 절단할 수 있도록 된 다목적 주방용 야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야채칼의 분해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야채칼의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야채칼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 15 : 배출구
20 : 가이드판 25 : 베이스판
30 : 커터 35 : 보조커터
40 : 캐리어 50 : 절단물
본 고안에 따르면, 상하로 관통된 배출구(15)가 절단물(50)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이 배출구(15)의 일측에는 그 상면을 따라 절단물(50)을 이송하는 가이드판(20)이 구비된 바디(10)와, 상기 가이드판(20)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수직 설치되어 절단물(50)을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폭으로 절개하는 빗살모양의 보조커터(35)와, 상기 바디(10)의 배출구(15)에는 가이드판(20)을 향해 수평 설치되어 이송되는 절단물(50)을 소정 두께로 절단하는 커터(30)와, 상기 바디(10)의 상측에 위치되고 그 저면에는 절단물(50)을 고정해주는 홀더부(45)가 구비된 캐리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커터(35)를 가이드판(20)에 착탈함에 따라 절단물(50)을 가늘고 긴 채 형태 또는 얇은 평판형태로 선택 절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칼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10)는 배출구(15)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승강홀(11)이 형성되고, 이 승강홀(11)에는 바디(10)와 별체로 된 상기 가이드판(20)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가이드판(20)의 하측에는 바디(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판(20)을 지지하는 베이스판(25)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판(20)과 베이스판(25)의 접촉부는 일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상기 베이스판(25)을 위치 이동함에 따라 이 베이스판(25)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가이드판(20)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절단물(50)의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칼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야채칼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야채칼은 절단물(50)을 필요에 따라 가늘고 긴 채 형태 또는 얇은 평판형태로 선택 절단할 수 있고, 절단물(50)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은 상면 중앙부에 배출구(15)가 형성된 바디(10)와, 이 바디(10)의 배출구(15)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면을 따라 절단물(50)을 이송하는 가이드판(20)과, 상기 바디(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판(2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된 베이스판(25)과, 상기 가이드판(20)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수직 설치된 빗살모양의 보조커터(35)와, 상기 바디(10)의 배출구(15)에 가이드판(20)을 향해 돌출되도록 수평 설치된 커터(30)와, 상기 바디(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절단물(50)을 이송하는 캐리어(40)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대략 사각의 테두리를 이루는 수직벽(12)의 내측에 수평 연장부(14)와 상하로 관통된 배출구(15) 및 승강홀(11)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평연장부(14)에는 가이드판(20)을 향해 돌출되도록 수평의 커터(30)가 장착되고, 상기 승강홀(11)에는 그 상면을 따라 절단물(50)이 이송되는 가이드판(20)과 이 가이드판(20)을 지지하는 베이스판(25)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바디(10)의 양측 수직벽(12)에는 바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연장된 가이드홈(13)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3)에는 베이스판(25) 양단의 결합부(26)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베이스판(25)을 바디(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20)과 베이스판(25)은 그 접촉면이 바디(1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높아지거나 낮아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25)을 바디(10)의 가이드홈(13)을 따라 위치이동함에 따라 베이스판(25)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판(20)이 승강홀(11)을 따라 승강되어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판(20)의 높낮이에 대한 눈금(16)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판(25)의 일측단에는 이 눈금(16)과 대응되는 화살표(27) 등의 표식이 되어 있어 이 눈금(16)과 화살표(27)를 보면서 베이스판(25)을 위치 이동시키게 되면, 원하는 만큼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20)과 베이스판(25)의 접촉면에는 다수개의 스톱핑돌기(29)가 바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25)이 임의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커터(35)는 가이드판(20)의 내측단에 착탈가능하게 수직 설치된 것으로서, 가이드판(20) 내측단의 삽입홈(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몸통부(37)와, 이 몸통부(37) 상단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매입성형된 다수개의 날부재(36)로 이루어지며, 절단물(50)을 가이드판(20)을 따라 이송하게 되면, 상기 날부재(36)에 의해 절단물(50)의 하측을 소정폭으로 절개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20)의 삽입홈(23)에 결합된 보조커터(35)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커터(30)는 가이드판(20)을 향해 바디(10)의 배출구(15)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가이드판(20)을 따라 이송되는 절단물(50)을 소정두께로 절단하게 된다. 이때, 커터(30)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물(50)은 가이드판(20)의 상면과 커터(30) 사이의 상대적인 높이차에 해당되는 두께의 평판형태로 절단된다.
상기 케리어(40)는 작업자가 직접 절단물(50)을 파지하지 않고 이 케리어(40)를 파지하고 절단 작업하도록 하므로써, 작업중 커터(30) 또는보조커터(35)에 의해 작업자의 손을 베이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사각 플레이트(41)의 상면에 손잡이(43)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절단물(50)을 고정해주는 홀더(4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홀더(45)는 절단물(50)을 고정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적용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41)의 저면에 선단이 뾰족한 다수개의 돌기를 구비하여 이 돌기가 절단물(50)에 박혀 고정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야채칼은 상기 가이드판(20)에 보조커터(35)를 장착한 상태로 절단작업을 하게 되면, 과일이나 야채 등의 절단물(50)이 가이드판(20)을 따라 이송되면서 보조커터(35)에 의해 소정폭의 절개선이 형성된 후 바디(10)에 수평 설치된 커터(30)에 의해 소정 두께로 절단되므로, 상기 절단물(50)은 결국 가늘고 긴 채형태로 절단된다. 또한, 상기 보조커터(35)를 가이드판(20)으로부터 분리해내고 작업하게 되면, 절단물(50)이 커터(30)에 의해 얇은 평판형태로 절단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요리의 종류에 따라 과일이나 야채 등이 절단물(50)을 가늘고 긴 채형태나 얇은 평판형태로 선택 절단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상기 야채칼은 베이스판(25)을 바디(10)의 가이드홈(13)을 따라 위치 이동시킴에 따라 이 베이스판(25)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판(20)의 높낮이가 조절되므로, 커터(30)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물(50)의 절단두께를 요리의 종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10)와 베이스판(25)의 일측면에는 절단두께를 나타내는 눈금표시(16)가 되어 있어, 작업자가 절단두께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야채칼은 야채나 과일 등의 절단두께를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절단물을 용도에 따라 얇은 평판형태 또는 가늘고 긴 채형태로 선택 절단할 수 있다.

Claims (2)

  1. 상하로 관통된 배출구(15)가 절단물(50)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이 배출구(15)의 일측에는 그 상면을 따라 절단물(50)을 이송하는 가이드판(20)이 구비된 바디(10)와, 상기 가이드판(20)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수직 설치되어 절단물(50)을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폭으로 절개하는 빗살모양의 보조커터(35)와, 상기 바디(10)의 배출구(15)에는 가이드판(20)을 향해 수평 설치되어 이송되는 절단물(50)을 소정 두께로 절단하는 커터(30)와, 상기 바디(10)의 상측에 위치되고 그 저면에는 절단물(50)을 고정해주는 홀더부(45)가 구비된 캐리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커터(35)를 가이드판(20)에 착탈함에 따라 절단물(50)을 가늘고 긴 채 형태 또는 얇은 평판형태로 선택 절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는 배출구(15)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승강홀(11)이 형성되고, 이 승강홀(11)에는 바디(10)와 별체로 된 상기 가이드판(20)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가이드판(20)의 하측에는 바디(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판(20)을 지지하는 베이스판(25)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판(20)과 베이스판(25)의 접촉부는 일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상기 베이스판(25)을 위치 이동함에 따라 이 베이스판(25)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가이드판(20)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절단물(50)의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칼.
KR20-2001-0034732U 2001-11-12 2001-11-12 야채칼 KR200333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32U KR200333241Y1 (ko) 2001-11-12 2001-11-12 야채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32U KR200333241Y1 (ko) 2001-11-12 2001-11-12 야채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241Y1 true KR200333241Y1 (ko) 2003-11-12

Family

ID=4934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732U KR200333241Y1 (ko) 2001-11-12 2001-11-12 야채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2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067A (en) Slicer guide
KR900001860B1 (ko) 식품 슬라이서
CA2599744C (en) Multi grater
US20060075872A1 (en) Easily adjustable mandolin type food slicer
US7992476B2 (en) Food chopper
US20040231482A1 (en) Food processing device
CN101687330A (zh) 可调节切割深度的食物切片器
US5904271A (en) Chopping board system
AU2015273435B2 (en) Food comminution device
US4573387A (en) Kitchen utensil for cutting of food
AU2005225052A1 (en) Food chopper
US10220536B2 (en) Device for cutting foodstuffs
US5100115A (en) Cutting board
DK0691188T3 (da) Apparat til udskæring af levnedsmidler i skiver
KR100717255B1 (ko) 도마의 절단보조장치
US6206356B1 (en) Tray for holding food
US4131043A (en) Food-slicing device
CN105559642B (zh) 一种多功能刨丝机
KR200333241Y1 (ko) 야채칼
KR200477265Y1 (ko) 다용도 스파이럴 슬라이서
RU2250161C2 (ru) Кухон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нарезания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KR200343106Y1 (ko) 채칼
KR200443455Y1 (ko) 채칼
SU159918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з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N205497556U (zh) 一种新型刨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ED 20020612

Effective date: 200310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