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945Y1 -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 - Google Patents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945Y1
KR200332945Y1 KR20-2003-0024932U KR20030024932U KR200332945Y1 KR 200332945 Y1 KR200332945 Y1 KR 200332945Y1 KR 20030024932 U KR20030024932 U KR 20030024932U KR 200332945 Y1 KR200332945 Y1 KR 200332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urine
toilet seat
bidet
scattering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준
Original Assignee
김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준 filed Critical 김기준
Priority to KR20-2003-0024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9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9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8Covers with urine fun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데 또는 좌변기에 설치된 변좌의 전방에 상, 하로 돌출 형성되는 소변 비산방지부를 형성하여 변좌에 앉아서 소변을 볼 때 변기 자체에 소변이 묻거나 변기 밖으로 소변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사용자가 앉는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는 변좌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몸체의 변좌 하부에는 냉, 온수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관과 온풍을 분사하는 온풍 분사구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냉, 온수의 온도, 온풍의 온도, 수압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통상의 비데에 있어서, 상기 변좌의 전방에 상, 하로 돌출 형성되는 소변 비산방지부를 형성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A bidet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on of urine scattering}
본 고안은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데 또는 좌변기(이하 “비데”로 통칭한다.)에 설치되는 변좌의 전방에 상, 하로 돌출 형성되는 소변 비산방지부를 형성하여 변좌에 앉아서 소변을 볼 때 변기 자체에 소변이 묻거나 변기 밖으로 소변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변 후 화장지를 사용하여 항문을 닦게되면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므로 근자에 들어 용변 후에 항문이나 생식기에 냉, 온수를 분사하여 세정하고 다시 온풍을 분사시켜 물기를 건조하는 비데가 가정에 급속도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비데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앉는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는 변좌(11)가 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몸체(12)의 변좌(11) 하부에는 냉, 온수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관(13)과 온풍을 분사하는 온풍 분사구(14)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몸체(12)의 일측에는 냉, 온수의 온도, 온풍의 온도, 수압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5)가 구비되어 제어부(15)의 선택적 조작에 의하여 분사관(13)을 통해 냉, 온수가 분사되어 세척하고자 하는 신체부위 즉, 항문 또는 생식기 등을 세척하게 되고, 다시 제어부(15)의 선택적 조작에 의하여 온풍 분사구(14)를 통해 온풍이 분사되어 세척한 신체부위의 물기를 건조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데는 변좌에 소변의 비산을 방지는 별도의 소변 비산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변좌에 앉아서 소변을 보는 경우 부주의로 소변이 변기 밖으로 비산되거나 소변이 변기 자체에 묻는 일이 빈번하여 변기 자체에 묻거나 변기 밖으로 비산된 소변에 의해 변기 자체가 불결해져 화장실 전체에 악취가 발생하여 화장실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변좌의 전방에 상, 하로 돌출 형성되는 소변 비산방지부를 형성하여 소변의 비산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청결하고 쾌적한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종래의 비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비데 11:변좌
11a:비산방지부 12:몸체
13:분사관 14:분사구
15:제어부 16:변기
17:변기덮개 17a:절개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앉는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는 변좌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몸체의 변좌 하부에는 냉, 온수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관과 온풍을 분사하는 온풍 분사구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냉, 온수의 온도, 온풍의 온도, 수압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통상의 비데에 있어서, 상기 변좌의 전방에 상, 하로 돌출 형성되는 소변 비산방지부를 형성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종래의 비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비데(10)는 사용자가 앉는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는 변좌(11)가 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몸체(12)의 변좌(11) 하부에는 냉, 온수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관(13)과 온풍을 분사하는 온풍 분사구(14)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몸체(12)의 일측에는 냉, 온수의 온도, 온풍의 온도, 수압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5)가 구비된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의 비데(10)와 동일하나 상기 변좌(11)의 전방에 상, 하로 돌출 형성되는 소변 비산방지부(11a)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변 비산방지부(11a)는 상기 변좌(11)의 전방에 상, 하로 돌출 성형되며, 내측은 곡선으로 형성되어 소변의 비산을 최대한 막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변 비산방지부(11a) 하부의 돌출부위는 대략 15°의 각도로 형성하여 소변이 잘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각도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소변 비산방지부(11a)의 재질은 변좌(11)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필요시 다른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변좌(11)의 상측을 덮는 변기덮개(17)는 상기 변좌(11) 전방에 상, 하로 돌출 형성되는 소변 비산방지부(11a)를 감안하여 절개부(17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변좌(11)의 상부 전면이 덮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변좌(11)의 전방에 상, 하로 돌출 형성되는 소변 비산방지부(11a)를 형성하여 청결하고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비데(10)와는 달리 변좌(11)의 전방에 상, 하로 돌출 형성되는 소변 비산방지부(11a)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변좌(11)에 앉아서 소변을 볼 경우 상기 소변 비산방지부(11a)가 상, 하로 돌출되어 소변이 일단 소변 비산방지부(11a)에 부딪쳐 변기(16) 내부로 잘 흐르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종래의 비데(10)와 같이 사용자의 부주의로 소변이 비산되어 소변이 변기(16) 자체에 묻거나 또는 변기(16) 밖으로 비산되는 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장실을 사용하는 뒷사람이 항상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잦은 화장실 청소로 인한 시간과 인력과 경제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데에 설치된 변좌의 전방에 상, 하로 돌출 형성되는 소변 비산방지부를 형성하여 변좌에 앉아서 소변을 볼 때 변기 밖으로 소변이 비산되거나 소변이 변기 자체에 묻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하여 바람직한 화장실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이 비데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을 지라도 비데가 설치되지 있지 않은 일반적인 좌변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사용자가 앉는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는 변좌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몸체의 변좌 하부에는 냉, 온수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관과 온풍을 분사하는 온풍 분사구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냉, 온수의 온도, 온풍의 온도, 수압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통상의 비데에 있어서,
    상기 변좌의 전방에 상, 하로 돌출 형성되는 소변 비산방지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
KR20-2003-0024932U 2003-08-01 2003-08-01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 KR200332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932U KR200332945Y1 (ko) 2003-08-01 2003-08-01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932U KR200332945Y1 (ko) 2003-08-01 2003-08-01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945Y1 true KR200332945Y1 (ko) 2003-11-14

Family

ID=4934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932U KR200332945Y1 (ko) 2003-08-01 2003-08-01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9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55Y1 (ko) * 2008-01-29 2010-09-15 황도익 등받이 겸용 커버가 구비된 양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55Y1 (ko) * 2008-01-29 2010-09-15 황도익 등받이 겸용 커버가 구비된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1296B2 (en) Toilet having a bidet shower
US20110010834A1 (en)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disposable nozzle tip for bidet
KR20100125847A (ko) 좌변기용 비데
KR20100091039A (ko)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0332945Y1 (ko) 소변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한 비데
US20090044324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KR100999399B1 (ko)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데 장치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US20090276948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US5734997A (en) Portable toilet seat bidet assembly
CN105863016A (zh) 一种防尿液外溢的马桶盖及马桶
CN116113392A (zh) 具有阴茎冲洗功能的小便器
KR101134887B1 (ko) 절수용 소변기
KR20090098184A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비데시트
KR200426389Y1 (ko)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KR200211463Y1 (ko) 비데
JP3164809U (ja) 便座の洗浄構造
KR200349845Y1 (ko) 비데기
KR200211507Y1 (ko)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KR20090119350A (ko) 비데용 노즐커버
KR20100003858U (ko) 파지형 수동식 간이 비데
KR200237107Y1 (ko) 보조변기커버가부설된 비데장치
KR200443751Y1 (ko) 세면대
KR200437387Y1 (ko) 소변흘림 방지턱에 세정장치가 구비된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