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568Y1 -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 Google Patents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568Y1
KR200332568Y1 KR20-2003-0025202U KR20030025202U KR200332568Y1 KR 200332568 Y1 KR200332568 Y1 KR 200332568Y1 KR 20030025202 U KR20030025202 U KR 20030025202U KR 200332568 Y1 KR200332568 Y1 KR 200332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wire
fixed
poles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봉원
Original Assignee
양봉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봉원 filed Critical 양봉원
Priority to KR20-2003-0025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2Adjustable mountings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Abstract

본 고안은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와이어 일측이 감기고 풀리게 되는 드라이브와; 상기 드라이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이루어진 구동수단; 고정폴, 제 1,2,3,4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과 폴 인출입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라이트 폴; 및 상기 고정폴, 제 1,2,3폴 상단의 제 1,2,3,4플랜지 하부 영역에 각각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고정너트로써 체결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게 되는 수평고정볼트와; 상기 수평고정볼트 머리부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캡으로 이루어진 와어어 장력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단의 접이식으로 이루어진 라이트 폴을 각각의 와이어로써 각각 연결하고, 하부의 폴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입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와이어로써 연결되어 안테나 타입으로 인출입되는 종래의 라이트 폴에 비하여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인장강도가 줄어들어 안전한 인출입동작이 가능하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DRAW OUT AND DRAW IN OF LIGHT POLE}
본 고안은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의 접이식으로 이루어진 라이트 폴을 와이어로써 각각 연결하고,하부의 폴부터 순차적으로 인출입되도록 하여 다단의 라이트 폴의 인출입을 적은 힘으로써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트는 야간에 골프장, 공원 등 넓은 지역에 조명을 하기 위한 장치로서, 비교적 넓은 장소를 조명하기 위해서는 그 길이가 일정 이상을 유지하는것이 필수적인 것이다. 그런데, 조명등의 점검, 보수 및 청소를 주기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라이트를 다단식의 폴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강시에는 다단식의 폴이 접혀지면서 그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사용시에는 다단의 폴이 펼쳐지면서 그 높이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이트 폴의 인출입장치는 다단으로 이루어지고, 인출입 가능하도록 조립유지되는 폴을 와이어로써 상호 연결하고, 이 와이어를 드라이브 상에 감거나 풀어 다단의 풀을 인출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는 다단의 폴을 길이가 비교적 긴 하나의 와이어로써 상호 연결하게 됨으로써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인장강도가 높아져 와이어가 늘어나게 되어 인출입 동작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또한 장시간 사용시에는 와이어 자체에 무리가 발생됨으로써 수명이 단축되어 경제적으로 손실이 발생되고,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다단의 라이트 폴을 각각의 와이어로써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게 되어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인장강도가 줄어들어 안전한 인출입이 가능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다단 접이식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와이어 일측이 감기고 풀리게 되는 드라이브와; 상기 드라이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이루어진 구동수단; 고정폴, 제 1,2,3,4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과 폴 인출입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라이트 폴; 및 상기 고정폴, 제 1,2,3폴 상단의 제 1,2,3,4플랜지 하부 영역에 각각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고정너트로써 체결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게 되는 수평고정볼트와; 상기 수평고정볼트 머리부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캡으로 이루어진 와어어 장력조절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가 최대로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가 최대한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의 와이어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측단면도.
도 9는 도 7의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이어 10 : 드라이브
12 : 콘트롤러 20 : 라이트 폴
30 : 고정폴 40,50,60,70 : 제1,2,3,4폴
31,41,51,61 : 제 1,2,3,4플랜지 80,90,100,110 : 제 1,2,3,4인출입부재
81,91,101,111:제 1,2,3,4하부안내롤 82,92,102,112 : 제 1,2,3,4하부롤
83,93,103,113 : 제 1,2,3,4상부롤 96 : 베이스
120 : 고정브라켓 130 : 고정너트
140 : 수평고정볼트 150 : 고정캡
151 : 고정끼움홈 160,161,162,163 : 제 1,2,3,4고정부
170 : 마감부 200 : 기어박스
210 : 워엄기어 300 : 이송스크류
500 : 동력조절부재 600 : 구동모터
A : 구동수단 B : 폴 인출입수단
C : 와이어 장력조절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가 최대로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가 최대한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의 와이어 장력조절장치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요부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는 구동수단(A), 라이트 폴(20), 폴 인출입수단(B) 및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A)은 일측의 와이어(1)가 고정되고, 감기고 풀리게 되는 드라이브(10)와; 드라이브(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라이트 폴(20)은 바닥면에 입설 고정되고, 상단 외주연에는 제 1플랜지(31)가 구비되며, 제 1플랜지(31) 하부에는 제 1고정구(32)가 구비된 고정폴(30)과; 고정폴(3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단 외주연에는 제 2플랜지(41)가 구비되며, 제 2플랜지(41) 하부에는 제 2고정구(42)가 구비된 제 1폴(40)과; 제 1폴(4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단 외주연에는 제 3플랜지(51)가 구비되며, 제 3플랜지(51) 하부에는 제 3고정구(52)가 구비된 제 2폴(50)과; 제 2폴(5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단 외주연에는 제 4플랜지(61)가 구비되며, 제 4플랜지(61) 하부에는 제 4고정구(62)가 구비된 제 3폴(60)과; 제 3폴(6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단에는 다수의 조명등(71)이 설치되는 마감판(72)이 구비되고, 마감판(72) 하부에는 제 5고정구(73)가 구비된 제 4폴(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2,3,4,5고정구(42)(52)(62)(73)는 제 1,2,3,4폴(40)(50)(60)(70)의 하강시 제 1,2,3,4플랜지(31)(41)(51)(61) 상부에 걸리게 되어 내부로의 인입이 차단된다.
그리고, 고정폴(30), 제 1,2,3,4폴(40)(50)(60)(70)은 원형 및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폴 인출입수단(B)은 제 1폴(40) 하부에 구비되어 고정폴(3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 1하부안내롤(81)과, 제 1하부안내롤(81)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 중앙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제 1하부롤(82)과, 고정폴(30) 상부에 구비되어 드라이브(10)에 감겨진 와이어(1) 일측과 타측 삽입 지지되는 제 1상부롤(83)로 이루어진 제 1인출입부재(80)와; 제 2폴(50) 하부에 구비되어 제 1폴(4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 2하부안내롤(91)과, 2하부안내롤(91)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중앙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제 2하부롤(92)과, 제 1폴(40)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양측이 삽입 지지되는 제 2상부롤(93)로 이루어진 제 2인출입부재(90)와; 제 3폴(60) 하부에 구비되어 제 2폴(5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 3하부안내롤(101)와, 3하부안내롤(101)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중앙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제 3하부롤(102)과, 제 2폴(50)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양측이 삽입 지지되는 제 3상부롤(103)로 이루어진 제 3인출입부재(100)와; 제 4폴(70) 하부에 구비되어 제 3폴(6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 4하부안내롤(111)과, 4하부안내롤(111)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중앙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제 4하부롤(112)과, 제 3폴(60)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양측이 삽입 지지되는 제 4상부롤(113)과, 제 5고정구(73) 상부에 구비된 상부 안내롤(114)로 이루어진 제 3인출입부재(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어어 장력조절수단(C)은 고정폴(30), 제 1,2,3폴(40)(50)(60)의 제 1,2,3,4플랜지(31)(41)(51)(61) 하부 영역에 각각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120)과; 고정브라켓(120)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고정너트(130)로써 체결 고정되고, 와이어(1)가 감기게 되는 수평고정볼트(140)와; 수평고정볼트(140) 머리부에 체결고정되고, 와이어(1)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끼움홈(151)이 형성된 고정캡(1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끼움홈(151)은 중앙 영역으로부터 외주연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고정브라켓(120) 하부에는 제 1,2,3,4상부롤(83)(93)(103)(113)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제 1,2,3,4상부롤(83)(93)(103)(113)은 고정폴(30), 제 1,2,3,4폴(40)(50)(60)(7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축설되어 제 1,2,3,4하부롤(82)(92)(102)(112)과 각각의 와어어(1)로써 연결된다.
한편, 구동수단(A)의 드라이브(10) 상에 와이어(1) 일단이 고정되어 감겨지고, 일측 영역이 고정폴(30) 일측의 제 1상부롤(83)에 삽입 지지되며, 중앙 영역이 제 1폴(40)의 제 1하부롤(82)에 삽입 지지되고, 타측 영역이 고정풀(30) 타측의 제 1상부롤(83)에 삽입 지지되며, 타단이 고정폴(30)의 제 1고정구(32)에 고정되어 제 1풀(40)이 고정풀(30) 내외부에 인출입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제 1,2,3폴(40)(50)(60) 일측의 제 2,3,4상부롤(93)(103)(113)에는 와이어(1) 일측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동시에 그 일단이 각각의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에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중앙 영역이 제 2,3,4하부롤(92)(102)(112)에 삽입 지지되며, 타측 영역이 타측의 제 2,3,4상부롤(83)(93)(113)에 삽입 지지되는 동시에 그 타단이 제 2,3,4고정구(42)(52)(62)에 고정되어 제 1폴(40) 내부로는 제 2폴(50)이, 제 2폴(50) 내부로는 제 3폴(60)이, 제 3폴(60) 내부로는 제 4폴(70)이 순차적으로 인출입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나 와이어(1)가 연결되는 구조가 상이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2,3,4폴(40)(50)(60)(70)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제 1,2,3,4하부롤(82)(92)(102)(112) 대신에 제 1,2,3,4고정부(160)(161)(162)(163)를 각각 구비하고, 이에 복수개의 와이어(1) 타단을 각각 고정시키며, 그 일단을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에 각각 고정시켜 제 1,2,3,4폴(40)(50)(60)(70)을 순차적으로 인출입시키게 된다.
즉, 구동수단(A)의 드라이브(10) 상에 적정 길이의 와이어(1) 일측이 감겨져 고정되고, 그 중앙 영역은 고정폴(30) 일측의 제 1상부롤(83)에 삽입 지지되며, 타단이 제 1폴(40)의 제 1고정편(130)에 고정되며, 다른 하나의 와이어(1)는 일측이 고정풀(30) 타측의 제 1상부롤(83)에 삽입 지지되고, 일단이 제 1고정구(82)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 1폴(40)의 제 1고정부(160)에 고정되어 제 1폴(40)이 고정폴(30) 내부에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와이어(1) 일단이 일측의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제 2,3,4폴(50)(60)(70)의 제 2,3,4고정부(161)(162)(163)에 각각 고정되며, 다른 하나의 와이어(1)의 일단이 타측의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제 2,3,4폴(50)(60)(70)의 제 2,3,4고정부(161)(162)(163)에 각각 고정되어 제 2폴(40) 내부로는 제 3폴(50)이, 제 3폴(50) 내부로는 제 4폴(60)이, 제 4폴(60) 내부로는 제 5폴(70)이 순차적으로 인출입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4의 폴 인출입수단(B)및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이 동일하고, 구동수단(A)이 상이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을 살펴보면, 고정폴(30) 하단의 베이스(96)와 제 1폴(40)의 하부안내롤(81) 사이에 다른 구동수단(A)을 구비하여 이의 동작으로 제 1,2,3,4폴(40)(50)(60)(70)을 순차적으로 인출입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A)은 고정폴(30) 내부의 하부 영역에 설치된 마감부(170) 상부에 설치되고, 외부로 돌출되게 회전 가능하게 워엄기어(210)가 수평으로 축설된 기어박스(200)와; 워엄기어(2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치합되고, 고정폴(30)의 베이스(96)와 제 1폴(40)의 하부안내롤(81) 사이에 고정된 이송스크류(300)와; 베이스(96)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전달부재(500)로써 워엄기어(210)를 동작시키는 구동모터(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부재(500)은 워엄기어(210) 일단에 구비된 제 1풀리(520)와, 구동모터(600)에 구비된 제 2풀리(540)와, 제 1,2풀리(520)(540)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모터(600)의 회전력을 어웜기어(210)로 전달하는 벨트(56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하부롤(82)에 중앙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와이어(1)의 양측은 제 1상부롤(83)에 삽입 지지되고, 그 양단부가 제 1고정구(32)에 각각 고정되어 제 1폴(40)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3a에서와 같이 구동수단(A)의 드라이브(10)를 콘트롤러(12)로써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드라이브(10)가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드라이브(10)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1)가 감겨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수단(A)의 드라이브(10) 상에 일단이 고정되어 감겨지고, 일측 영역이 고정폴(30) 일측의 제 1상부롤(83)에 삽입 지지되며, 중앙 영역이 제 1폴(40)의 제 1하부롤(82)에 삽입 지지되고, 타측 영역이 고정풀(30) 타측의 제 1상부롤(83)에 삽입 지지되며, 타단이 고정폴(30)의 제 1고정구(82)에 고정된 상태의 와이어(1)가 드라이브(10) 상에 감기게 됨으로써 제 1폴(40)의 제 1하부안내롤(81)이 고정폴(30)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고정풀(30) 내부로부터 제 1폴(40)이 인출된다.
이에 따라 제 1폴(40)의 제 1하부롤(82)이 상승하게 되면서 제 2폴(50)의 제 2하부안내롤(91)을 밀게 되어 제 2폴(50)의 제 2하부안내롤(91)이 제 1폴(40)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됨으로서 제 1폴(40) 내부로부터 제 2폴(50)이 인출된다.
이와 동시에 제 2,3폴(50)(60)의 제 2,3하부롤(92)(102)이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제 3,4폴(60)(70)의 제 3,4하부안내롤(101)(111)을 밀게 되어 제 3폴(60)의 제 3하부안내롤(101)이 제 2폴(50)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됨으로써 제 2폴(50) 내부로부터 제 3폴(60)이 인출되고, 제 4폴(70)의 제 4하부안내롤(111)이 제 3폴(60)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며, 제 4폴(70)의 제 5고정구(73)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상부안내롤(114)에 안내되어 상승하게 됨으로써 제 3폴(60) 내부로부터 제 4폴(70)이 인출된다.
따라서, 제 4폴(70) 상단에 구비된 마감판(72)의 조명등(71)이 적정높이로 입출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조명등(71)에 점등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폴(30), 제 1,2,3,4폴(40)(50)(60)(70)의 인출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고정폴(30)의 내부로부터 제 1폴(40)이 완전히 인출됨과 동시에 제 2,3,4폴(50)(60)(70)의 인출이 순차적으로 완료된다.
한편, 제 1,2,3폴(40)(50)(60) 일측의 제 2,3,4상부롤(83)(93)(103)에는 와이어(1)의 일측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동시에 그 일단이 와이어 장력조절장치(C)에 고정되고, 중앙 영역이 제 2,3,4하부롤(82)(92)(102)에 삽입 지지되며, 타측 영역이 타측의 제 2,3,4상부롤(83)(93)(103)에 삽입 지지되는 동시에 그 타단이 제 2,3,4고정구(52)(72)(7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1폴(40) 내부로는 제 2폴(50)이, 제 2폴(50) 내부로는 제 3폴(60)이, 제 3폴(60) 내부로는 제 4폴(70)이 순차적으로 인출된다.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이 다단으로 인출된 다수의 폴을 인입시키기 위해서는 구동수단(A)의 드라이브(10)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드라이브(10)에 감겨진 와이어(1)가 풀리도록 한다.
그러면, 제 1폴(40)의 제 1하부안내롤(81)이 고정폴(30) 내부를 따라 하강하게 되어 고정풀(30) 내부로 제 1폴(40)이 인입되고, 이에 따라 제 1폴(40)의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에 와이어(1)로써 연결된 제 2폴(50)은 제 1폴(40) 내부로 인입되고, 제 3폴(60)은 제 2폴(50) 내부로, 제 4폴(70)은 제 3폴(60) 내부로 순차적으로 인입된다.
이때, 제 2,3,4,5고정구(42)(52)(62)(73)는 제 1,2,3,4폴(40)(50)(60)(70)의 하강시 제 1,2,3,4플랜지(31)(41)(51)(61) 상부에 걸리게 되어 내부로의 인입이 차단된다.
한편, 제 1폴(40)을 지지하는 와이어(1)는 일측이 드라이브(10) 상에 감겨져 제 1폴(40)을 지지하게 되고, 제 2,3,4폴(50)(60)(70)을 지지하는 와이어(1)는 그 일측이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에 지지되고, 타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하게 되어 상승시 간섭이 발생지 않게 된다.
그리고, 고정폴(30), 제 1,2,3,4폴(40)(50)(60)(70)은 원형 및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와이어(1)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고정폴(30), 제 1,2,3폴(40)(50)(60)의 제 1,2,3,4,5플랜지(31)(41)(51)(61) 하부 영역에 각각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120)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고정너트(130)로써 체결 고정되고, 와이어(1)가 감기게 되는 수평고정볼트(14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평고정볼트(140) 외경에 감겨지고, 수평고정볼트(140) 머리부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캡(150)에 그 끝단이 각각 고정된 와이어(1)가 감겨지고, 풀려지게 되어 와이어(1)의 장력이 조절되어 제 2,3,4폴(50)(60)(70)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의 고정브라켓(120) 하부에는 제 1,2,3,4상부롤(83)(93)(103)(113)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제 1,2,3,4상부롤(83)(93)(103)(113)은 고정폴(30), 제 1,2,3,4폴(40)(50)(60)(7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축설되어 제 1,2,3,4하부롤(82)(92)(102)(112)와 각각의 와어어(1)로써 연결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제 1,2,3,4폴(40)(50)(60)(70)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제1,2,3,4하부롤(82)(92)(102)(112) 대신에 제 1,2,3,4고정부(160)(161)(162)(163)를 각각 구비하고, 이에 복수개의 와이어(1) 타단을 각각 고정시키고, 그 일단을 와이어 장력조절장치(C)에 각각 고정시켜 제 1,2,3,4폴(40)(50)(60)(70)을 순차적으로 인출입시키게 된다.
즉, 구동수단(A)의 드라이브(10)를 동작시켜 적정 길이의 와이어(1)를 드라이브(10) 상에 감거나 풀게되면,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은 동일한 동작으로 고정폴(30) 내외부로 제 1폴(40)이 인출입되고, 이에 따라 제 1폴(40)의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에 와이어(1)로써 연결된 제 2폴(50)은 제 1폴(40) 내외부로 인출입되고, 제 3폴(60)은 제 2폴(50) 내외부로, 제 4폴(70)은 제 3폴(60) 내외부로 순차적으로 인입출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으로 이루어지나, 구동수단(A)이 상이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폴(30) 하단의 베이스(96)와 하부안내롤(81) 사이에 다른 구동수단(A)을 구비하여 이의 동작으로 제 1,2,3,4폴(40)(50)(60)(70)을 순차적으로 인출입시키게 된다.
즉, 고정폴(30) 내부의 베이스(96)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600)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구동모터(600)의 회전력이 워엄기어(210)의 제 1풀리(520)와 구동모터(600)의 제 2풀리(540) 및 제 1,2풀리(520)(540) 사이에 연결된 벨트(560)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재(500)로써 이에 따라 고정폴(30) 내부의 마감부(170) 상부에 설치된 기어박스(200)의 워엄기어(210)로 전달되어 워엄기어(210)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기어박스(200)의 워엄기어(2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치합되고, 베이스(96)와 하부안내롤(81) 사이에 고정된 이송스크류(300)가 워엄기어(210)에 치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고정폴(30) 내외부로 제 1폴(40)은 인출입되고, 제 2폴(50)은 제 1폴(40) 내외부로 인출입되며, 제 3폴(60)은 제 2폴(50) 내외부로, 제 4폴(70)은 제 3폴(60) 내외부로 순차적으로 인입출된다.
이때, 제 1폴(40)의 제 1하부롤(41)에 중앙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와이어(1)의 양측은 제 1상부롤(83)에 삽입 지지되고, 그 양단부가 제 1고정구(32)에 각각 고정되어 제 1폴(40)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다단의 접이식으로 이루어진 라이트 폴을 각각의 와이어로써 각각 연결하고, 하부의 폴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와이어로써 연결되어 안테나 타입으로 인출입되는 종래의 라이트 폴에 비하여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인장강도가 줄어들어 안전한 인출입동작이 가능하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5)

  1. 와이어(1) 일측이 감기고 풀리게 되는 드라이브(10)와; 상기 드라이브(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12)로 이루어진 구동수단(A);
    고정폴(30), 제 1,2,3,4폴(40)(50)(60)(70)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A)과 폴 인출입수단(B)에 의해 순차적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라이트 폴(20); 및
    상기 고정폴(30), 제 1,2,3폴(40)(50)(60) 상단의 제 1,2,3,4플랜지(31)(41)(51)(61) 하부 영역에 각각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120)과; 상기 고정브라켓(120)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고정너트(130)로써 체결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1)가 감기게 되는 수평고정볼트(140)와; 상기 수평고정볼트(140) 머리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1)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끼움홈(151)이 형성된 고정캡(150)으로 이루어진 와어어 장력조절수단(C);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풀 인출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4폴(40)(50)(60)(70)의 상부 영역에는 제 2,3,4,5고정구(42)(52)(62)(73)가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 1,2,3,4폴(40)(50)(60)(70)의 하강시 상기 고정폴(30), 상기 제 1,2.3,4폴(40)(50)(60)의 제 1,2,3,4플랜지(31)(41)(51)(61) 상부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 인출입수단(B)은
    상기 제 1폴(4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폴(3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 1하부안내롤(81)과, 상기 제 1하부안내롤(81)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 중앙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제 1하부롤(82)과, 상기 고정폴(3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라이브(10)에 감겨진 상기 와이어(1) 일측과 타측 삽입 지지되는 제 1상부롤(83)로 이루어진 제 1인출입부재(80);
    상기 제 2폴(5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폴(4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 2하부안내롤(91)과, 상기 2하부안내롤(91)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의 중앙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제 2하부롤(92)과, 상기 제 1폴(4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 양측이 삽입 지지되는 제 2상부롤(93)로 이루어진 제 2인출입부재(90);
    상기 제 3폴(6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2폴(5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 3하부안내롤(101)과, 상기 3하부안내롤(101)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의 중앙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제 3하부롤(102)과, 상기 제 2폴(5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 양측이 삽입 지지되는 제 3상부롤(103)로 이루어진 제 3인출입부재(100); 및
    상기 제 4폴(7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3폴(6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 4하부안내롤(111)과, 상기 4하부안내롤(111)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의 중앙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제 4하부롤(112)과, 상기 제 3폴(6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 양측이 삽입 지지되는 제 4상부롤(113)로 이루어진 제 4인출입부재(11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2,3,4폴(40)(50)(60)(70) 하부 양측에 제 1,2,3,4고정부(160)(161)(162)(163)를 각각 구비하여 복수의 와이어(1) 타단을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와이어(1) 일단을 상기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에 각각 고정시켜 상기 제 1,2,3,4폴(40)(50)(60)(70)을 순차적으로 인출입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A)은
    상기 고정폴(30) 내부에 설치된 마감부(170) 상부에 설치되고, 외부로 돌출되게 회전 가능하게 워엄기어(210)가 수평으로 축설된 기어박스(200);
    상기 워엄기어(2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치합되고, 상기 베이스(96)와 상기 하부안내롤(81) 사이에 입설된 이송스크류(300); 및
    상기 베이스(96)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전달부재(500)로써 상기 워엄기어(210)를 동작시키는 구동모터(6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KR20-2003-0025202U 2003-08-05 2003-08-05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KR200332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02U KR200332568Y1 (ko) 2003-08-05 2003-08-05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02U KR200332568Y1 (ko) 2003-08-05 2003-08-05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568Y1 true KR200332568Y1 (ko) 2003-11-07

Family

ID=4934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202U KR200332568Y1 (ko) 2003-08-05 2003-08-05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5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41B1 (ko) 2008-05-07 2010-05-26 (주)에프.이.에스 다단 자동식 조명탑
KR101607913B1 (ko) * 2015-10-28 2016-03-31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KR102527192B1 (ko) * 2022-05-03 2023-05-02 주식회사 화신이앤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식 조명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41B1 (ko) 2008-05-07 2010-05-26 (주)에프.이.에스 다단 자동식 조명탑
KR101607913B1 (ko) * 2015-10-28 2016-03-31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KR102527192B1 (ko) * 2022-05-03 2023-05-02 주식회사 화신이앤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식 조명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4856A1 (en) Operation system for outdoor umbrella
CN101230774B (zh) 自平衡门窗帘升降装置
KR200332568Y1 (ko)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EP3825507A1 (en) Roller blind that freely opens/closes up and down
KR20070078521A (ko) 승강구동식 조명타워
CN116913651B (zh) 变压器台架
KR102069661B1 (ko) 활차와 구동부 일체형 슬라이딩 무대장치
CN215292282U (zh) 一种多轨道窗帘装置、日夜帘装置和电动窗帘
KR101451751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구동장치
KR20020075357A (ko) 조명장치
KR101566326B1 (ko)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CN209536668U (zh) 一种弱电工程用防松散便于整理的收线装置
KR100900050B1 (ko)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KR200429777Y1 (ko) 승강식 무대장치의 케이블 지지구조
CN201021595Y (zh) 自平衡门窗升降装置
KR101883698B1 (ko) 전동 바텐의 승하강 장치
CN217396181U (zh) 车辆遮阳帘及车辆
CN220621703U (zh) 具有防坠保持机构的顶棚帘
CN211419411U (zh) 滑轨式自动下排绳驱动机
CN220487457U (zh) 一种横开式的卷帘门
CN214943839U (zh) 一种移动式窗帘
CN213904543U (zh) 一种信号灯杆的安装结构
CN115523448B (zh) 一种便于安装的吊顶灯具
CN220545551U (zh) 温室侧墙收放幕装置及一种温室
KR200218264Y1 (ko)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909

Effective date: 20050929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