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913B1 -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 Google Patents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913B1
KR101607913B1 KR1020150150170A KR20150150170A KR101607913B1 KR 101607913 B1 KR101607913 B1 KR 101607913B1 KR 1020150150170 A KR1020150150170 A KR 1020150150170A KR 20150150170 A KR20150150170 A KR 20150150170A KR 101607913 B1 KR101607913 B1 KR 101607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upport
divided body
divid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권이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권이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권이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5015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이 쉽고 간편하며, 한 종류로도 다양한 지지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형태로 다단 조립되는 다수의 분할몸체들과; 상기 텔레스코픽 분할몸체들을 펼치거나 접으면서 신축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신축수단과; 키높이 조절된 상기 분할몸체들을 서로 록킹(Locking)시키거나 또는 록킹해제시켜, 키높이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HEIGHT ADJUSTABLE HEAVY WEIGHT SUPPORT FOR MANUFACTURING OFFSHORE PLANT, LARGE VESSEL AND CONSTRUCTION WORKS}
본 발명은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이 쉽고 간편하며, 한 종류로도 다양한 지지높이에 대응할 수 있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대형선박과 해양플랜트 등은, 각 모듈을 제조한 후, 이들을 서로 조립하여 건조한다.
이러한 대형선박과 해양플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건조된 모듈(1)을 지지대(3)들에 지지시킨 다음, 다른 모듈(1)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건조한다.
한편, 모듈(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3)들은, 트러스(Truss)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며, 지면(E)에 수직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모듈(1)의 밑면을 받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지지대(3)는, 모듈(1)의 중량과 크기에 따라 그 설치개수가 조절되며, 그 상단부분에는 유압잭(3a)들이 설치된다.
유압잭(3a)은, 모듈(1)의 밑면을 직접적으로 받쳐서 지지하는 것으로, 도입 및 배출되는 압유에 따라 신장 및 수축하면서 모듈(1)의 상,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지지대(3)는, 높은 높이를 가지므로,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이 매우 어렵고, 운반, 설치, 철거, 보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지지대(3)는, 단일의 몸체로 구성되므로, 오직 하나의 높이를 갖는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모듈(1)의 지지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모듈(1)의 지지높이에 맞춰 지지대(3)들을 여러개의 단으로 조립하거나 높이별로 구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이 매우 쉽고 간편한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한 종류로도 모듈의 다양한 지지높이에 대응할 수 있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종류로도 모듈의 다양한 지지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듈의 지지높이에 따라 종류별로 다양하게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이를 통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는,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형태로 다단 조립되는 다수의 분할몸체들과; 상기 텔레스코픽 분할몸체들을 펼치거나 접으면서 신축시켜 키높이를 조절하는 신축수단과; 키높이 조절된 상기 분할몸체들을 서로 록킹(Locking)시키거나 또는 록킹해제시켜, 키높이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몸체들은, 최하부 분할몸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분할몸체와, 최상부 분할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분할몸체들은, 상측의 것이 하측의 것 내부에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면서 서로에 대해 신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중간 분할몸체 중, 최하측의 중간 분할몸체의 밑면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최하부 분할몸체에 설치되는 제 1와이어로프와; 상기 최하측의 중간 분할몸체를 제외한 중간 분할몸체와 최상부 분할몸체의 밑면을 각각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분할몸체에 각각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최하부 분할몸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와이어로프와; 상기 제 1와이어로프가 텐션(Tension)되면서 최하측의 중간 분할몸체의 밑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승시키고, 상승되는 최하측의 중간 분할몸체에 의해 상기 제 2와이어로프가 상측으로 가압되면서 상측에 지지된 해당 분할몸체의 밑면을 각각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각 분할몸체들을 펼칠 수 있도록, 상기 제 1와이어로프를 견인하는 견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견인장치가 상기 제 1와이어로프를 풀어줄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의 텐션(Tension)이 해제되면서 상기 중간 분할몸체와 최상부 분할몸체의 자중(自重)에 의한 하강을 허용하여 상기 최하부 분할몸체에 접혀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각 분할몸체의 외면부분에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다수의 록킹돌기들과; 상기 각 분할몸체에 록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록킹위치에서 인접하는 다른 분할몸체의 록킹돌기에 걸려서 상기 다른 분할몸체의 하강을 제한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록킹돌기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다른 분할몸체의 하강을 허용하는 록킹바들과; 상기 록킹바가 상기 록킹돌기에 록킹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록킹바를 상기 록킹위치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록킹바를 상기 록킹돌기로부터 해제시켜 상기 분할몸체들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록킹바들을 상기 해제위치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해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에 의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이 매우 쉽고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높이를 낮춘 다음,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한 종류로도 모듈의 다양한 지지높이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종류로도 모듈의 다양한 지지높이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모듈의 지지높이에 따라 키높이 종류별로 다양하게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이를 통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형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용 중량물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가 접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가 펼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를 구성하는 록킹수단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대형선박 모듈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10)는, 다수의 분할몸체(12)들을 구비한다.
다수의 분할몸체(12)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을 갖는다. 특히, 상측으로 갈수록 작은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분할몸체(12)들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다단 조립되며, 이렇게 조립된 분할몸체(12)들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측의 것이 하측의 것 내부에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면서 서로에 대해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중량물 지지대(10)의 키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선박, 해양플랜트 모듈(1)의 지지높이에 맞춰 중량물 지지대(10)의 키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도 6참조).
한편, 이러한 분할몸체(12)들은, 사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각의 단면을 가질 경우,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분할몸체(12)들은, 트러스(Truss)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은 면적으로도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적은 제조비용으로도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분할몸체(12)들이, 3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분할몸체(12)들의 개수는 얼마든지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조립된 다단의 분할몸체(12)들을 신장 및 수축시키는 신축수단(20)을 구비한다.
신축수단(20)은, 분할몸체(12)들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부재(22)와, 와이어로프부재(22)를 하측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장치(24)를 포함한다.
와이어로프부재(22)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부 분할몸체(12a)와 중간 분할몸체(12b) 사이에 설치되는 제 1와이어로프(22a)와,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와이어로프(22b)로 구성된다.
제 1와이어로프(22a)는, 최하부 분할몸체(12a)의 하측으로부터 상단을 경유한 다음, 중간 분할몸체(12b)의 밑면을 받쳐 지지하고, 그 상단이 최하부 분할몸체(12a)에 고정된다.
제 2와이어로프(22b)는, 하단이 최하부 분할몸체(12a)에 고정된 상태에서, 중간 분할몸체(12b)의 상단을 경유한 다음, 최상부 분할몸체(12c)의 밑면을 받쳐서 지지하고, 그 상단이 중간 분할몸체(12b)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는, 분할몸체(12)들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분할몸체(12)들의 각 밑면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분할몸체(12)들 중,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의 밑면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견인장치(24)는, 도 2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모터(24a)와, 견인모터(24a)의 출력축(24b)에 설치되는 견인롤(Roll)(24c)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견인장치(24)는, 제 1와이어로프(22a)의 하단부분을 감아서 견인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와이어로프(22a)가 하측방향으로 견인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와이어로프(22a)가 하측??향으로 당겨지면서 중간 분할몸체(12b)의 밑면을 상측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중간 분할몸체(12b)가 상측방향으로 상승되면서 제 2와이어로프(22b)를 상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제 2와이어로프(22b)가 최상부 분할몸체(12c)의 밑면을 상측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게 한다.
결국, 견인장치(24)는, 제 1와이어로프(22a)의 하단부분을 견인함으로써, 중간 분할몸체(12b)의 상승과 제 2와이어로프(22b)의 가압이 연쇄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쇄작용을 통해,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들이 최하부 분할몸체(12)로부터 펼쳐지면서 신장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중량물 지지대(10)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견인장치(24)가 제 1와이어로프(22a)의 견인을 중단하고 제 1와이어로프(22a)를 풀어주면,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의 텐션이 해제되고,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의 텐션이 해제됨에 따라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는 자중(自重)에 의해 하강한다.
그 결과,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가, 최하부 분할몸체(12a)의 내부로 졉혀지면서 수축된다. 이에 따라, 중량물 지지대(1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한편, 견인장치(24)는, 견인롤(24c)의 상,하측부분에 설치되는 아이들 롤러(24d)들을 더 구비한다.
아이들 롤러(24d)는, 제 1와이어로프(22a)를 견인롤(24c)의 외면방향으로 가이드 한다.
따라서, 견인롤(24c)에 대한 제 1와이어로프(22a)의 접촉면적으로 높여준다. 이로써, 제 1와이어로프(22a)에 대한 견인롤(24c)의 마찰접촉력을 높여준다. 그 결과, 제 1와이어로프(22a)에 대한 견인롤(24c)의 견인력을 높여준다.
여기서, 제 1와이어로프(22a)는, 견인롤(24c)에 감기지 않고, 그 하단부분이 자유롭게 풀어진 상태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신축수단(20)은,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의 견인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쉬브(Sheave)(26)들을 더 구비한다.
쉬브(26)들은, 각 분할몸체(12)에 설치된다. 특히,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가 분할몸체(12)들 사이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벤딩(Bending)되는데, 이렇게 벤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분할몸체(12)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쉬브(26)들은,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의 견인을 가이드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의 견인 및 견인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분할몸체(12)들의 신장 및 수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신축수단(20)은, 분할몸체(12)들의 좌,우측을 따라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분할몸체(12)들의 크기가 크면, 3개 또는 그 이상의 신축수단(2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신축수단(20)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와이로로프 견인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유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분할몸체(12)들의 사이에는 유압실린더(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유압실린더들은 도입, 배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장 및 수축하면서 각 분할몸체(12)들을 신장 및 수축시킨다.
그리고,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는, 높이 조절된 분할몸체(12)들을 서로 록킹(Locking)시키거나 또는 록킹해제시키는 록킹수단(30)을 더 구비한다.
록킹수단(30)은, 각 분할몸체(12)의 외면부분에 형성되는 다수의 록킹돌기(32)들과, 이 록킹돌기(32)들에 걸려서 록킹될 수 있도록 각 분할몸체(12)에 설치되는 록킹바(34)들을 포함한다.
록킹돌기(32)들은, 최하부 분할몸체(12a)를 제외한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의 외면부분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특히, 분할몸체(12) 외면의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된다.
록킹바(34)는, 최상부 분할몸체(12c)를 제외한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하부 분할몸체(12a)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인접하는 분할몸체(12)의 록킹돌기(32)들에 각각 대응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최하부 분할몸체(12a)에 설치된 록킹바(34)는, 인접하는 중간 분할몸체(12b)의 록킹돌기(32)들에 대응되고, 중간 분할몸체(12b)에 설치된 록킹바(34)는, 인접하는 최상부 분할몸체(12c)의 록킹돌기(32)들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록킹바(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록킹위치(X)"와 상측의 "해제위치(Y)"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는데, 이때, 하측의 "록킹위치(X)"에서는 인접하는 분할몸체(12)의 록킹돌기(32)에 걸려서 록킹되도록 구성되고, 상측의 "해제위치(Y)"에서는 상기 록킹돌기(32)로부터 이격되면서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분할몸체(12)의 하강을 제한하거나, 또는 하강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인접하는 분할몸체(12)를 록킹시키거나, 또는 록킹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된 분할몸체(12)들을 서로 록킹시키거나 또는 록킹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서로에 대해 펼쳐지면서 높이 조절된 분할몸체(12)들을 하나의 몸체로 록킹시키거나, 또는 록킹 해제시킨다.
이에 따라, 하나의 몸체로 록킹된 분할몸체(12)들이, 특정 키높이의 중량물 지지대(10)로 구성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해양플랜트 등의 모듈(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듈(1)의 지지가 완료될 시에는, 분할몸체(12)들 간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 간에 접혀질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록킹수단(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바(34)를 "록킹위치(X)"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리턴스프링(36)을 더 구비한다.
리턴스프링(36)은, 록킹바(34)의 회전중심축(34a)에 설치되는 것으로, 록킹바(34)를 "록킹위치(X)" 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록킹바(34)가 "록킹위치(X)"로 항상 리턴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를 상승시키면서 신장시킬 시에, 록킹돌기(32)들과 접촉하면서 자동으로 상기 록킹돌기(32)의 밑면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밖에도, 록킹수단(30)은, 각 분할몸체(12)들에 설치된 록킹바(34)들을 "록킹위치(X)"에서 "해제위치(Y)"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해제 케이블(38)을 더 포함한다.
해제 케이블(38)은, 각 록킹바(34)들의 말단부분(34b)과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로 연장된다. 특히, 각 록킹바(34)들의 말단부분(34b)을 서로 연이어서 고정한 상태에서 하부의 지면을 향해 길게 연장된다.
이러한 해제 케이블(38)은, 각 록킹바(34)들의 말단부분(34b)과 고정된 상태이므로, 사용자의 당김 조작에 따라 각 록킹바(34)들을 "록킹위치(X)"에서 "해제위치(Y)"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각 록킹바(34)들을 "해제위치(Y)"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하나의 몸체로 록킹된 분할몸체(12)들이, 록킹 해제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모듈(1)의 지지가 완료된 경우, 각 분할몸체(12)들을 록킹 해제시켜, 서로 접을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중량물 지지대(10)를 수축시키면서 높이를 낮출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해제 케이블(38)의 하단에는, 견인 손잡이(38a)가 설치된다. 견인 손잡이(38a)는 해제 케이블(38)의 당김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면, 원형, 삼각형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해제 케이블(38)은, 각 록킹바(34)들과 서로 연이어서 고정됨으로써, 각 록킹바(34)들을 동시에 "록킹위치(X)"에서 "해제위치(Y)"로 회전시킬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각 록킹바(34)들과 개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각 록킹바(34)들을 독립적으로 "해제위치(Y)"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록킹바(34)가 해제된 분할몸체(12)만, 록킹 해제되면서 하측의 다른 분할몸체(12)에 대해 접힘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록킹수단(30)은, 분할몸체(12)들의 양쪽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록킹수단(30)은, 분할몸체(12)들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되, 한쪽에 두 개씩, 총 4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는, 최상부 분할몸체(12c)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압잭(40)들을 더 구비한다.
유압잭(40)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1)의 밑면을 직접적으로 받쳐서 지지하는 것으로, 도입 및 배출되는 압유에 따라 신장 및 수축하면서 모듈(1)의 상,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 지지대(10)의 각 분할몸체(12)가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작업 장소까지 운반한다.
그리고 중량물 지지대(10)의 운반이 완료되면, 견인장치(24)를 작동시켜 제 1와이어로프(22a)를 견인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와이어로프(22a)가 견인되면서 일정한 텐션을 갖게 되고, 텐션을 갖게 되는 제 1와이어로프(22a)는, 중간 분할몸체(12b)를 상측방향으로 밀어 올리면서 상승시킨다.
이때, 중간 분할몸체(12b)가 상승됨에 따라, 제 2와이어로프(22b)도 일정한 텐션을 갖게 되며, 텐션을 갖게 되는 제 2와이어로프(22b)는 최상부 분할몸체(12c)의 밑면을 상측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 2와이어로프(22b)가 최상부 분할몸체(12c)를 밀어서 상승시킴에 따라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들이 최하부 분할몸체(12)로부터 펼쳐지면서 신장되고, 이러한 신장에 따라, 중량물 지지대(10)의 높이는 점차 높아진다.
한편, 중량물 지지대(10)는 키높이가 원하는 곳에 도달하면, 견인장치(24)의 작동을 중단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할몸체(12)의 록킹바(34)들은, 인접하는 다른 분할몸체(12)의 록킹돌기(32) 밑면에 걸리면서 록킹된다.
그 결과, 각 분할몸체(12)들은 서로 록킹된다. 이에 따라, 높이가 조절된 중량물 지지대(10)는 하나의 몸체로 고정되고, 이렇게 고정된 중량물 지지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등의 모듈(1)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량물 지지대(1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신축수단(20)의 견인장치(24)를 제 1와이어로프(22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견인장치(24)는, 인접하는 다른 중량물 지지대(10)측으로 옮겨 다른 중량물 지지대(10)의 높이 조절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모듈(1)의 지지가 완료되어 중량물 지지대(10)를 접을 경우를 살펴본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견인장치(24)를 작동시킴으로써, 각 분할몸체(12)들을 일정 높이 상승시키고, 이를 통해, 록킹돌기(32)들의 밑면으로부터 록킹바(34)들을 이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제 케이블(38)을 잡아당긴다. 그러면, 각 록킹바(34)들이 "록킹위치(X)"에서 "해제위치(Y)"로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을 통해, 상기 록킹바(34)들은, 록킹돌기(32)들로부터 해제되며, 그 결과, 각 분할몸체(12)들의 록킹이 해제된다.
그리고, 각 분할몸체(12)들의 록킹이 해제되면, 견인장치(24)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제 1와이어로프(22a)를 풀어준다.
그러면,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의 텐션이 해제되고,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의 텐션이 해제됨에 따라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는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가, 최하부 분할몸체(12a)의 내부로 접혀지면서 수축된다. 이에 따라, 중량물 지지대(10)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접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에 의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이 매우 쉽고 간편하다.
또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높이를 낮춘 다음,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한 종류로도 모듈(1)의 다양한 지지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한 종류로도 모듈(1)의 다양한 지지높이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모듈(1)의 지지높이에 따라 키높이 종류별로 다양하게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이를 통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분할몸체(12)들이, 3개로 구성되어 중량물 지지대가 3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분할몸체(12)들이, 2개, 4개 및 그 이상으로 구성되어 중량물 지지대가 2단, 4단 및 그 이상의 단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1: 모듈(Module) 10: 중량물 지지대
12: 분할몸체 12a: 최하부 분할몸체
12b: 중간 분할몸체 12c: 최상부 분할몸체
20: 신축수단 22: 와이어로프(Wire Rope)부재
22a: 제 1와이어로프(Wire Rope) 22b: 제 2와이어로프
24: 견인장치 24a: 견인모터
24b: 출력축 24c: 견인롤(Roll)
24d: 아이들 롤러(Idle Roller) 26: 쉬브(Sheave)
30: 록킹수단 32: 록킹돌기
34: 록킹바(Locking Bar) 36: 리턴스프링(Return Spring)
38: 해제 케이블(Cable) 38a: 견인 손잡이
40: 유압잭(Jack)

Claims (15)

  1.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형태로 다단 조립되는 다수의 분할몸체(12)들과;
    상기 텔레스코픽 분할몸체(12)들을 펼치거나 접으면서 신축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신축수단(20)과;
    높이 조절된 상기 분할몸체(12)들을 서로 록킹(Locking)시키거나 또는 록킹해제시켜, 높이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분할몸체(12)들은,
    최하부 분할몸체(12a)와, 복수개의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로 구성되며, 상기 분할몸체(12a, 12b, 12c)들은, 상측의 것이 하측의 것 내부에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면서 서로에 대해 신축가능하고,
    상기 신축수단(20)은,
    상기 중간 분할몸체(12b) 중, 최하측의 중간 분할몸체(12b)의 밑면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최하부 분할몸체(12a)의 상부 한쪽에 구비된 2개의 시브(26)를 거쳐 최하부 분할몸체(12a)의 상부 다른 쪽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제 1와이어로프(22a)와;
    상기 최하측의 중간 분할몸체(12b)를 제외한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의 밑면을 각각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중간 분할몸체(12b)의 상부 한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최하측의 중간 분할몸체(12b)를 제외한 중간 분할몸체(12b) 내지 최상부 분할몸체(12c)의 하단과 중간 분할몸체(12b)의 상부 다른 쪽을 거쳐 최하부 분할몸체(12a)의 하단에 고정되는 2개의 제 2와이어로프(22b)와;
    상기 제 1와이어로프(22a)가 텐션(Tension)되면서 최하측의 중간 분할몸체(12b)의 밑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승시키고, 상승되는 최하측의 중간 분할몸체(12b)에 의해 상기 제 2와이어로프(22b)가 상측으로 가압되면서 상측에 지지된 해당 분할몸체(12b,12c)의 밑면을 각각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각 분할몸체(12)들을 펼칠 수 있도록, 상기 제 1와이어로프(22a)를 견인하는 견인장치(2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견인장치(24)가 상기 제 1와이어로프(22a)를 풀어줄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의 텐션(Tension)이 해제되면서 상기 중간 분할몸체(12b)와 최상부 분할몸체(12c)의 자중(自重)에 의한 하강을 허용하여 상기 최하부 분할몸체(12a)에 접혀질 수 있게 하고,
    상기 록킹수단(30)은,
    하부면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상기 각 분할몸체(12)의 외면부분에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다수의 록킹돌기(32)들과;
    하부면이 상기 록킹돌기(32)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이 상기 록킹돌기(32)의 수평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분할몸체(12)에 록킹위치(X)와 해제위치(Y)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록킹위치(X)에서 인접하는 다른 분할몸체(12)의 록킹돌기(32)에 걸려서 상기 다른 분할몸체(12)의 하강을 제한하고, 상기 해제위치(Y)에서 상기 록킹돌기(32)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다른 분할몸체(12)의 하강을 허용하는 록킹바(34)들과;
    상기 록킹바(34)가 상기 록킹돌기(32)에 록킹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록킹바(34)를 상기 록킹위치(X)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리턴스프링(36) 및;
    상기 록킹바(34)를 상기 록킹돌기(32)로부터 해제시켜 상기 분할몸체(12)들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록킹바(34)들을 상기 해제위치(Y)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해제 케이블(38)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몸체(12)들 중, 최상부 분할몸체(12c)의 상단부분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압잭(40)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유압잭(40)들은, 중량물을 직접 받쳐서 지지하며, 도입 및 배출되는 압유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중량물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각 분할몸체(12)들은,
    트러스(Truss) 구조로 구성되며, 사각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20)은,
    상기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의 견인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분할몸체(12)들에 각각 설치되는 쉬브(Sheave)(26)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쉬브(26)들은,
    상기 제 1 및 제 2와이어로프(22a, 22b)가 상기 분할몸체(12)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벤딩(Bending)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분할몸체(12)들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20)은,
    상기 분할몸체(12)들의 좌,우측을 따라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30)의 해제 케이블(38)은,
    상기 각 록킹바(34)들의 말단부분(34b)들과 서로 연이어서 고정되어, 당김 조작 시에, 각 록킹바(34)들을 동시에 상기 해제위치(Y)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30)의 해제 케이블(38)은,
    상기 각 록킹바(34)들의 말단부분(34b)과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당김 조작 시에, 각 록킹바(34)들을 독립적으로 상기 해제위치(Y)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30)은,
    상기 분할몸체(12)들의 양쪽부분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20)은,
    상기 분할몸체(12)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들을 포함하며, 상기 유압실린더들은 도입, 배출되는 압유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하측 분할몸체(12)에 대해 상측 분할몸체(12)를 승강시켜, 상기 각 분할몸체(12)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24)는, 상기 제 1와이어로프(22a)로부터 분리 가능하여, 인접하는 다른 중량물 지지대(10)의 제 1와이어로프(22a)를 견인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KR1020150150170A 2015-10-28 2015-10-28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KR101607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170A KR101607913B1 (ko) 2015-10-28 2015-10-28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170A KR101607913B1 (ko) 2015-10-28 2015-10-28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913B1 true KR101607913B1 (ko) 2016-03-31

Family

ID=5565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170A KR101607913B1 (ko) 2015-10-28 2015-10-28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9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42A1 (ko) * 2016-12-21 2018-06-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초중량 구조물 설치용 유압식 높이조절장치
CN109166634A (zh) * 2018-08-01 2019-01-08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容器定位支承装置及压力容器定位系统
KR102177154B1 (ko) * 2020-03-30 2020-11-10 이연희 건조 효율성이 향상된 육포 건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68Y1 (ko) * 2003-08-05 2003-11-07 양봉원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68Y1 (ko) * 2003-08-05 2003-11-07 양봉원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42A1 (ko) * 2016-12-21 2018-06-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초중량 구조물 설치용 유압식 높이조절장치
US10584020B2 (en) 2016-12-21 2020-03-10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Hydraulic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installing ultra-heavy structure
CN109166634A (zh) * 2018-08-01 2019-01-08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容器定位支承装置及压力容器定位系统
CN109166634B (zh) * 2018-08-01 2024-03-22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容器定位支承装置及压力容器定位系统
KR102177154B1 (ko) * 2020-03-30 2020-11-10 이연희 건조 효율성이 향상된 육포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913B1 (ko) 대형선박, 해양플랜트 건조 및 건설용 높이 조절식 중량물 지지대
CN109121426B (zh) 带有自升式钻台的钻机
JP6193253B2 (ja) 伸縮式タワーの組立方法
CA2721540A1 (en) Split sub-basement drill rig
US9580919B2 (en) Scaffold with scaffolding elements and methods for erection thereof
CA2436627A1 (en) Tilt-up and telescopic support tower for large structures
CN101603375B (zh) 多层套叠式伸缩立体舞台
CN1454279A (zh) 构建平台的模件
CN201502192U (zh) 一种用于伸缩式立体舞台的升降机构
CN101796254B (zh) 讲台及用于讲台的支撑结构
KR102045022B1 (ko) 선체 블록 서포트 기구 및 그 사용방법
KR102396839B1 (ko) 다단 리프트 타워
KR101061022B1 (ko)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
US9523212B2 (en) Variable height telescoping lattice tower
US64308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a domed structure
KR102069702B1 (ko)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CN104813537B (zh) 液压伸缩天线杆系统及其操作方法
JPH02117591A (ja) 互いに連接された2個または3個の要素からなるブームを有する折りたたみ可能なクレーン
CN117999237A (zh) 可展开的汽车千斤顶
CZ20003272A3 (cs) Přemístitelná tribuna
KR102629477B1 (ko) 조명탑의 다단식 지주
CN219175968U (zh) 可快速搭建的防护棚
KR101343920B1 (ko) 그린타이어 적재수대
KR20150051859A (ko)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KR101497486B1 (ko) 바지선용 잭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