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860Y1 - 층간 소음 저감재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저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860Y1
KR200331860Y1 KR20-2003-0026136U KR20030026136U KR200331860Y1 KR 200331860 Y1 KR200331860 Y1 KR 200331860Y1 KR 20030026136 U KR20030026136 U KR 20030026136U KR 200331860 Y1 KR200331860 Y1 KR 200331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yer noise
board
noise reducing
reducing ma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20-2003-0026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감소시키는 층간 소음 저감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면사로 형성된 층간 소음 저감재를 바닥층에 시공하는 층간 소음 저감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층간 소음 저감재에 있어서, 유리면사로 형성되는 보드와; 상기 보드의 상·하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보드의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며 결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된 보드를 밀봉시키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리면사의 보드로 형성된 층간 소음 저감재를 바닥층에 시공하여 직상층에서 발생하여 직하층으로 전달되는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단열효과가 매우 좋다. 특히, 같은 두께를 갖는 다른 층간 소음 저감재에 비하여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을 크게 저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저감재 {THE MATERIAL FOR DECREASING NOISE OF BETWEEN THE TWO FLOOR}
본 고안은 건물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감소시키는 층간 소음 저감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면사로 형성된 층간 소음 저감재를 바닥층에 시공하여 경량충격음과 함께 중량충격음을 크게 감소시키고,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 저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다세대 주택 등의 공동주택, 오피스텔 및 학교 등 건물이 대형화, 초고층화 및 고급화되면서 직하층의 거주자나 이용자에게 직상층에서 발생한 바닥 충격 및 기타 소음이 그대로 전달되어 이에 따른 피해가 발생되고, 이는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이에 대한 불만이 사회적으로 문제가되고 있다.
아파트는 대량 공급시대에 건립되었던 때부터 현재까지 대부분 경제성과 대량공급성을 위하여 콘크리트로 건설되고 있음은 주지와 같으나, 콘크리트는 재료특성상 동일한 두께의 다른 재료보다 공기를 매체로 전달되는 소음에 대해서는 저감성이 양호하지만, 콘크리트에 충격이 직접 가해짐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음은 인접세대 및 하층에 쉽게 전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소음은 크게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나누어진다.
경량충격음은 접시, 수저 떨어지는 소리, 의자당기는 소리, 플라스틱 샌달로 온돌마루를 걷는 소리 등 "딱딱", "쨍" 하는 고음으로서 탭핑머신을 충격원으로 사용하여 측정되는 충격음이며, 중량충격음은 아이들 뛰는 소리, 달리기, 보행, 농구공 낙하 등 "쿵" 하는 저음으로서 타이어를 충격원으로 사용하여 측정되는 충격음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충격음을 규제하기 위하여 중량충격음은 50dB 이하, 경량충격음을 58dB 이하로 규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회사에서는 아파트의 층과 층 사이에 매트형태의 바닥충격음 방지재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 고무계나 우레탄 및 프라스틱계 등의 보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시공원가가 높고, 시공이 어려우며, 시공의 정밀성과 균일성이 결여되어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동시에 저감하지 못하고, 특히 중량충격음의 저감에 있어서는 대단히 취약하고, 강화된 층간 단열 규정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가 탁월한 유리면사로 보드를 형성하여 건물의 직상층과 직하층 사이에 시공함으로서, 경량충격음과 함께 중량충격음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단열효과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 저감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과 부수되는 많은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작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재의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층간 소음 저감재 2 - 보드
3 - 탄성부재 4 - 방수부재
10 - 콘크리트 슬래브 11 - 1차 기포 콘크리트층
12 - 2차 기포 콘크리트층 13 - 난방용 배관
14 - 마감 모르타르 15 - 바닥 마감재
16 - 완충재 17 - 걸레받이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은 층간 소음 저감재에 있어서, 유리면사로 형성되는 보드와; 상기 보드의 상·하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보드의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며 결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된 보드를 밀봉시키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드는 암면, 기타 화학 및 천연섬유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는 우레탄이나 고무 또는 석유화학제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방수부재는 방수포장지, P.E 필름, 비닐 혹은 기타 화학 합성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수부재로 밀봉된 보드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한다.
상기 층간 소음 저감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시공되는 기포 콘크리트층을 1차와 2차로 나누어 시공하며, 상기 1차 기포 콘크리트층과 2차 기포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층간 소음 저감재를 결합시킨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층간 소음 저감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재의 요부단면도이다.
본 고안 층간 소음 저감재(1)는 유리면사로 형성된 보드(2)와, 상기 보드(2)에 사방 등간격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에 우레탄이나 고무 또는 석유화학제품 등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탄성부재(3)와, 상기 탄성부재(3)가 결합된 보드(2)를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드(2)를 밀봉시키는 방수부재(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드(2)는 1미터 혹은 필요치수의 길이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하고, 탄성부재(3)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등 상부의 하중으로부터 보드(2)를 보호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면 된다.
그리고, 상기 보드(2)에 결합되는 탄성부재(3)의 크기 및 탄성부재(3)와 탄성부재(3) 사이의 간격 등은 상부하중을 고려하여 제작한다.
상기 층간 소음 저감재(1)의 탄성부재(3)가 보드(2)의 상·하면의 높이보다 더 돌출되게 결합되므로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은 탄성부재(3)에만 전달되어 보드(2)가 상부하중으로 인하여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는 상부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직상층에서 발생된 바닥충격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여 직하층으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최소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재(1)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건축물의 바닥구조는 건물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슬래브(10)층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0)층의 상단에 시공되는 1차 기포 콘크리트층(11)과, 상기 1차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하는 층간 소음 저감재(1)와, 상기 층간 소음 저감재(1)의 상부에 시공되는 2차 기포 콘크리트층(12)과, 상기 2차 기포 콘크리트층(12)의 상부에 시공되고 난방용 배관(13)이 내설되는 마감 모르타르층(14)과,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14)의 상부에 시공되는 바닥 마감재층(15)과, 벽체면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벽면에 부착되는 완충재(16)와, 바닥청소시 벽지가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측벽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걸레받이판(1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0)의 두께는 120 내지 150mm가 일반적이고 많게는 150 내지 200mm로 형성하기도 한다.
상기 층간 소음 저감재(1)를 콘크리트 슬래브(10)의 상부에 시공하는 방법은 먼저, 기포콘크리트를 콘크리트 슬래브(10) 위에 두께 10 ~ 20mm 정도로 고르게 포설하여 1차 기포 콘크리트층(11)을 형성하고, 상기 1차 기포 콘크리트층(11)을 접착제로 하여 층간 소음 저감재(1)를 밀착시킨 후 5 ~ 7일간의 양생기간을 거친다.
이때, 상기 1차 기포 콘크리트층(11)이 양생되기 전에 층간 소음 저감재(1)를 밀착시켜 시공하는 것은 층간 소음 저감재(1)와 콘크리트 슬래브(10) 간의 공극을 없애고 일체화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1차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양생이 완료되면 층간 소음 저감재(1)의 상부에 다시 기포 콘크리트를 두께 30 ~ 40mm 정도로 포설하여 2차 기포 콘크리트층(12)을 형성하고, 이또한 5 ~ 7일간 양생기간을 거친게 되며, 이로써 1·2차 기포콘크리트층(11)(12)의 사이에 층간 소음 저감재(1)가 밀실하게 일체화되어 상층에서 발생되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경량 및 중량소음을 저감하고,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층간 소음 저감재(1)의 소음 저감 효과는 다음의 [표 1]의 내용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것이다.
[표 1]
상기의 [표 1]은 건설교통부 발행, 96 연구 개발 사업 최종 보고서 "공동주택 바닥 난방 시스템 개발 및 실용화 연구"에서 일반적인 "단열 완충재의 재질이 실제 온돌바닥의 내하중성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은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재료 중 바닥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완충재의 발굴 및 적용을 위하여 총 17종을 측정대상 완충재로 선정하여 실험한 재료표이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기섬유류 중 유리면(W2)의 경우 밀도를100㎏/㎡ 으로 사용하면 단가가 4,240원으로 고가의 제품이 되나, 상기 유리면의 충격음 흡수율은 유리면의 밀도가 아니라 두께의 차이에서 그 흡수율이 변화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유리면의 밀도를 32 ~ 50㎏/㎡ 으로 사용한다면, 자재비가 상기 100㎏/㎡ 에 비해 1/2 ~ 1/3 정도로 저하되어 경제적으로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다.
[표 2]
상기 [표 2]는 각 종류별 중량 충격에 따른 저감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복합구조의 제진매트(C1)가 10으로 가장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방진고무의 방진패드(D1)와 무기섬유류의 유리면(W2)이 8.5로 월등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 층간 소음 저감재(1)는 유리면사로 형성되므로 중량 충격음에 대하여 탁월한 저감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
상기 [표 3]은 각 종류별 경량 충격에 따른 저감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무기섬유류의 유리면(W2)이 22.6으로 가장 월등한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여러종류의 재료들이 16.4 이하의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표 2]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층간 소음 저감재(1)는 유리면사로 형성되므로 중량 충격음과 함께 경량충격음에 대해서도 탁월한 저감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유리면사는 타 재료들에 비해 그 자재비가 적게 소요됨을 알 수 있어, 낮은 비용으로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최대의 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층간 소음 저감재(1)는 층간 충격 소음 중 중량소음은 8dB 정도, 경량소음은 22dB 정도 감소시키므로 2004년 4월부터 적용될 법령의 층간 소음 차단 2급 기준을 만족시키게 되어 그 유용성이 매우 높은 고안인 것이다.
한편, 본 고안 층간 소음 저감재(1)는 방수부재(4)로 밀봉되고, 그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되어 층간 소음 저감과 함께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 층간 소음 저감재(1)는 유리면사로 형성되어 수분에 매우 취약한 것이 단점이므로 이를 방수포장지나 비닐 등의 수분침투를 막는 방수부재(4)로 밀봉시키므로 유리면사의 소음 저감효과를 항상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4)로 밀봉하며 보드(2)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진공상태에서는 소음이나 열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층간 소음 저감효과와 함께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드(2)의 내부를 고진공상태로 만들면 상기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나, 상기 유리면사의 보드(2)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대기보다 약간 낮은 진공상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층간 소음 저감재(1)는 충격음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다양한 구조물, 예를 들면 볼링장, 주차장, 에어로빅이나 라켓볼 등의 실내 스포츠센터, 교실, 강당, 공장, 기계실을 비롯한 층간 경계벽간 차음 및 진동방지를 필요로 하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유용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설계 변경하거나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경우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유리면사의 보드로 형성된 층간 소음 저감재를 바닥층에 시공하여 직상층에서 발생하여 직하층으로 전달되는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단열효과가 극대화된다. 특히, 같은 두께를 갖는 다른 층간 소음 저감재에 비하여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을 크게 저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 층간 소음 저감재는 그 비용이 저렴하여 저렴한 시공비로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단열효과 또한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고안 층간 소음 저감재는 시공시 기포콘크리트를 병행하여 시공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슬래브와 층간 소음 저감재 사이에 기포콘크리트가 충진되어 콘크리트 슬래브와 일체화됨에 따른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6)

  1. 층간 소음 저감재(1)에 있어서,
    유리면사로 형성되는 보드(2)와;
    상기 보드(2)의 상·하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보드(2)의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며 결합되는 탄성부재(3)와;
    상기 탄성부재(3)가 결합된 보드(2)를 밀봉시키는 방수부재(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재.
  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2)는 암면, 기타 화학 및 천연섬유 재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재.
  3.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는 우레탄이나 고무 또는 석유화학제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재.
  4.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4)는 방수포장지, P.E 필름, 비닐 혹은 기타 화학 합성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재.
  5.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4)로 밀봉된 보드(2)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재.
  6. 상기 제 1 항의 층간 소음 저감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0)의 상부에 시공되는 기포 콘크리트층을 1차와 2차로 나누어 시공하며, 상기 1차 기포 콘크리트층(11)과 2차 기포 콘크리트층(12)의 사이에 층간 소음 저감재(1)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재.
KR20-2003-0026136U 2003-08-13 2003-08-13 층간 소음 저감재 KR200331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136U KR200331860Y1 (ko) 2003-08-13 2003-08-13 층간 소음 저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136U KR200331860Y1 (ko) 2003-08-13 2003-08-13 층간 소음 저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860Y1 true KR200331860Y1 (ko) 2003-10-30

Family

ID=4933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136U KR200331860Y1 (ko) 2003-08-13 2003-08-13 층간 소음 저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8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00B1 (ko) 2006-06-28 2007-06-21 김인배 다층건물의 바닥충격소음 감쇄구조
KR101094503B1 (ko) 2009-03-17 2011-12-1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소음방지부재
KR102003830B1 (ko) * 2019-05-07 2019-07-26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저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00B1 (ko) 2006-06-28 2007-06-21 김인배 다층건물의 바닥충격소음 감쇄구조
KR101094503B1 (ko) 2009-03-17 2011-12-1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소음방지부재
KR102003830B1 (ko) * 2019-05-07 2019-07-26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357B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US20100282539A1 (en) Composite material multilayered membrane with sound insulating and sound absorbing to mitigate impact noise
KR20150093628A (ko) 건축용 방음 방진 패널 및 시공방법
KR100783117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101206929B1 (ko) 탄성체를 이용한 층간소음 완충재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
KR200419673Y1 (ko) 층간소음 저감용 이중바닥 지지대
KR100715869B1 (ko) 층간소음 저감 및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한 복합판상재 및에어스프링을 이용한 시공공법
KR200331860Y1 (ko) 층간 소음 저감재
KR200433755Y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20090117498A (ko)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JP2001214551A (ja) 空間仕切り面用防音複合システム
KR1014884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2119407B1 (ko) 층간소음 저감용 고강성 방진구
KR20050017952A (ko) 아파트, 다층다가구 공동주택 또는 다층건물의 소음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82848A (ko)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66651Y1 (ko) 층간 소음방지재
KR101979346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KR200453109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101849532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030017026A (ko) 뜬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KR100875598B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장치 및 저감재의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
KR100756414B1 (ko) 건축물의 층간 매트
KR200322187Y1 (ko) 공동주택의 층간 충격진동흡음판넬
CN221255806U (zh) 用于设备机房的减振隔声墙体构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