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685Y1 -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 - Google Patents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685Y1
KR200331685Y1 KR20-2003-0026076U KR20030026076U KR200331685Y1 KR 200331685 Y1 KR200331685 Y1 KR 200331685Y1 KR 20030026076 U KR20030026076 U KR 20030026076U KR 200331685 Y1 KR200331685 Y1 KR 200331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ge
trees
pests
tree
bin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길
이규범
Original Assignee
이상길
이규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길, 이규범 filed Critical 이상길
Priority to KR20-2003-0026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6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6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Abstract

본 고안은 원단을 재단하여 소정의 너비를 갖는 포지와; 적어도 상기 포지의 양단을 연결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포지는 수목의 수간에 감아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결속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병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포지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결착밴드를 구비하고, 포지의 적당한 위치에 신축부가 구비된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protectionpad for provent noxious insert disease of a tree}
본 고안은 수목의 병충해 예방을 위한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산림의 수목, 공원, 녹지대 및 가로수 등의 수목과 품격이 높은 국가 보호수, 기념수 예를 들면 천연 기념물, 지방 기념물 등 수목 전반에 걸쳐 줄기에 피해를 주는 병해충을 인위적으로 차단 하므로써, 막대한 산림 자원 손실을 줄이고 특히 조경수목(이식목)의 천공성 해충 피해를 차단하여 고사 등으로 인한 하자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간(樹幹)에 피해를 받는 전수종에 적용할 수 있는 수목의 병충해 예방을 위한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이 수목을 가해하는 습성을 보면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진딧물, 응애류, 깍지벌레, 방패벌레 등 처럼 잎이나 가지를 흡즙하는 해충과, 둘째 솔나방(송충이), 흰불나방, 명나방, 쐐기나방 등과 같이 잎을 갈가먹는 섭식성 해충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천공해충이 있다.
이러한 천공해충으로는 좀류, 바구미류, 하늘소류, 나방류(유리나방, 박쥐나방) 등이 있다. 그런데 천공해충의 경우에는 흡즙성 해충, 섭식성 해충의 피해와는 달리 양분과 수분의 이동통로 (동물로 비유하면 호흡기관, 순환기관에 해당한다)인 사부조직에 침입하여 가해하기 때문에 일단 피해가 시작되면 구제방법이 어려우며, 급격히 수세(樹勢)가 쇠약해지고 고사(枯死)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 행해지고 있는 해충방제 방법으로는 대부분이 조경수목(이식목)에 국한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별히 해충방제만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없으나, 유사한 방법으로 수간에 새끼줄(볏짚)을 감고 진흙을 그 위에 피복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녹화포지로 줄기 하단부 즉 지제부에서부터 대략 2∼3m 높이로 감아주는 방법이 있으며, 해충 발생시기 별로 줄기에 방제약제를 반복적으로 살포하는 방법도 있으며, 비닐을 감아주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들 즉, 새끼줄을 감아 진흙을 피복하는 방법은 열이나 빛에 의해 건조되거나, 수목이 성장할 경우 균열이 발생하여 그 이격공간 사이로 해충의 피해를 받기가 쉬우며, 장마철에는 수간이 과습하여 부패 및 고사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람이 피부 호흡을 하는 것처럼 수목 또한 잎에서 80%의 호흡한다면 줄기나 가지, 뿌리 등에서 나머지 20%는 호흡을 하게되는데 진흙으로 도포한 상태에서는 호흡작용이 원할하지 못하게 되므로 수목의 수세 저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 밖에 진흙 도포는 작업의 난이도로 인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보호할 수목이 대량인 경우에는 병해충 발생시기에 맞추어 작업을 행하기가 사실상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녹화 포지로 감는 방법은 수간 하단부부터 감아 올라가므로 작업이 난해하며, 그물망식으로 감아놓기 때문에 환경 미화를 해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천공성 해충의 크기가 2∼4mm로 포지의 공극이 크기 때문에 2중으로 포지를 감을 경우에도 해충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 줄기에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은 방제할 수목이 많거나 산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수목에 걸쳐 반복하여 살포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평균 7일간격으로 살포한다고 하여도 약제의잔효 기간 즉 살포 후 효과를 발휘하는 가간이 수일 이내로 짧은 상태이므로 해충 방제효과가 완벽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그 목적은 수간을 감싸 병충해 특히 천공성 해충의 침투를 방지하는 수목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간에 감싸지는 포지와, 포지의 단부를 연결하여 감싸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부재로 구성되어 병충해의 침입을 완전히 차단함과 아울러 면직물로 포지를 구성하여 통기성이 뛰어나고, 수간의 호흡을 가능하게 하며, 수분 배출이 용이한 수목의 병충해 예방을 위한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산림의 수목이나 특히 조경수목(이식목)의 경우 대부분의 근부 즉, 뿌리부를 절단하여 이식을 하게 되는데, 수목의 수세가 급격히 약화되어 뿌리로부터 양분이나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떨어질 경우 특히 소나무, 해송, 잣나무 등의 경우는 천공성 해충의 표적이 되며, 이들 해충은 줄기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서 수분, 송진 등의 분출력이 미약할 경우 피해는 급격히 확산되며 대량 식재시 예를 들어 공원수, 가로수, 정원수, 기타 녹지등의 수목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원단을 적당한 너비로 재단하여 일반 산림의 수목, 조경수목의 수간에 적당한 높이로 감싸지도록 하는 포지와; 적어도 상기 포지의 양측단을 연결하여 수간에 감싸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부재;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대는 포지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탄성력을 가지는 협착밴드와, 포지의 적당한 위치에 신축부를 구비하여 피복시 상기 협착밴드와 신축부가 조여지며 수간에 밀착되어 병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대가 나무에 감싸진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대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보호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보호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 보호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나무 10 : 보호대
20 : 포지 21 : 협착밴드
22 : 신축밴드 30 : 결속밴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보호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수목 보호대(10)는 포지(20)와, 상기 포지(20)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나무에 감싸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부재(3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포지(20)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이루어지는 면직물이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합성섬유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포지(20)를 면직물로 사용하는 것은 적당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통기성이 우수하고, 우기에 습기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수간(1) 호흡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포지(20)는 실과 실의 간격 즉, 공극이 1mm를 넘지 않아야 한다. 이는 통상의 병해충 크기가 2∼4mm로, 이 보다는 작게 구성함으로써,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고 더불어, 햇빛이 과다하게 조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포지(20)는 롤 형태로 감아진 원단을 적당한 너비로 재단하여 구성하되, 적어도 수간(1)을 한바퀴 이상 감을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수간(1)의 하단 즉 지제부로부터 적당한 높이 대략 0.5∼5m 정도의 높이로 재단된다.
상기 포지(20)의 다른 실시 예로 방부, 방충 처리된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나프탈렌 및 잔유성, 잔효성이 비교적 양호한 유기인계 살충제를 원단에 침투 코팅하여 이를 재단하여 사용함으로써, 병충해의 접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포지(20)의 양단부에는 수간(1)에 감아졌을 때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결속부재(30)는 포지(20)를 편리하게 수간(1)에 감아 질 수 있도록 여러 종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는 매직테이프가 있다. 이러한 매직 테이프는 포지(20)의 양단 각각의 대향측면에 상호 대응하는 접착부가 재봉되어 구성된 것으로 이들 접착하여 포지(20)를 수간(1)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매직 테이프는 도면과 같이 양측단 뿐만 아니라, 상단 또는 하단 적당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접착되는데, 이는 수목에 따라 또는, 수간의 굵기 따라 포지(20)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함과 아울러, 양단부와 상단 또는 하단이 각각 접착됨으로 보다 견고하게 포지(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결속부재(30)는 매직 테이프 뿐만 아니라 지퍼, 고무 밴드 및 후크 형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노끈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보호대(10)는 산림, 조경 수목 특히 소나무, 해송, 잣나무, 벚나무 등이 해충의 피해를 방지하는 것으로, 포지(20)를 수간(1)에 감싼 다음, 결속부재(30)를 이용하여 이 포지(20)의 양단을 연결 고정하는 것으로, 작업을 완료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 보호대(1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포지(20)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협착밴드(21)를 구비하여 포지(20)의 피복시 수간(1)과 포지(20) 사이에서 간격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협착밴드(21)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밴드로 구성되어 피복시 포지(20)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조임으로써, 수간과의 사이에서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해충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포지(20)의 중앙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축부(22)를 구비하여 포지(20)가 수간(1)에 탄력적으로 감싸지도록함과 아울러, 포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하는 구성이다.
예컨데, 상기 보호대(10)를 설치할 때에는 신축부(22)를 당겨 수간(1)에 감싼 다음 결속부재로 포지(20)의 양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신축부의 탄력에 의해 포지이 수간(1)에 밀착되도록함으로써, 해충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포지(20)의 전면에 나무의 표피모양 및 색상으로 인쇄층(23)을 두어 기존 수목의 표피와 유사하여 이질감을 줄이고, 시각적인 효과를 갖도록 하며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한다. 물론 상기한 인쇄층(23)은 실크 인쇄를 비롯하여 양각, 음각의 입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일반 산림의 수목 및 공원, 녹지대, 가로수 등의 수목과 품격이 높은 국가 보호수, 기념수 예를 들면 천연 기념물, 지방 기념물 등 수목 전반에 걸쳐 줄기에 피해를 주는 병해충을 인위적으로 차단하여 고사의 위험을 방지하고 산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성이 뛰어나고, 수간에 감싸는 작업이 편리하며, 자연 친화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4)

  1. 원단을 재단하여 소정의 너비를 갖는 포지와;
    적어도 상기 포지의 양단을 연결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포지는 수목의 수간에 감아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결속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병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탄성력을 가지는 협착밴드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수목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의 중앙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축부를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수목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포지의 양측단 종 방향 또는 중앙 부위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매직 테이프, 고무밴드, 지퍼, 노끈 중 어느 하나 인것을 포함하는 수목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
KR20-2003-0026076U 2003-08-13 2003-08-13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 KR200331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076U KR200331685Y1 (ko) 2003-08-13 2003-08-13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076U KR200331685Y1 (ko) 2003-08-13 2003-08-13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685Y1 true KR200331685Y1 (ko) 2003-10-30

Family

ID=4933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076U KR200331685Y1 (ko) 2003-08-13 2003-08-13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68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08B1 (ko) 2006-07-05 2008-04-22 김희상 수간 피복 고정 보호장치
KR100909671B1 (ko) 2007-12-11 2009-07-29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수목용 해충방제벨트
KR200450252Y1 (ko) * 2008-04-08 2010-09-15 옥수산업 주식회사 수목의 병해충 방제용 밴드
KR20160069261A (ko) * 2014-12-08 2016-06-16 유정환 고추나무 병충해 예방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08B1 (ko) 2006-07-05 2008-04-22 김희상 수간 피복 고정 보호장치
KR100909671B1 (ko) 2007-12-11 2009-07-29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수목용 해충방제벨트
KR200450252Y1 (ko) * 2008-04-08 2010-09-15 옥수산업 주식회사 수목의 병해충 방제용 밴드
KR20160069261A (ko) * 2014-12-08 2016-06-16 유정환 고추나무 병충해 예방방법 및 장치
KR101712997B1 (ko) * 2014-12-08 2017-03-07 유정환 고추나무 병충해 예방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702B1 (ko) 수목용 랩핑식 롤트랩에 의한 수목해충방제방법
KR100990650B1 (ko) 해충 방제용 수목 보호대
KR101439366B1 (ko) 수목 이식용 보호 직물
KR200331685Y1 (ko)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보호대
JP3149236U (ja) 樹木・植物保護シート
KR101183103B1 (ko) 수목용 끈끈이 롤트랩 및 이에 의한 수목병해충 방제방법
CN210143437U (zh) 一种害虫捕获网
KR101044062B1 (ko) 해충방제용 수목 보호대
JP4471377B2 (ja) 樹木用の害虫捕獲帯
CN109983968A (zh) 一种紫薇蛀干性害虫的防治方法
JP5330611B1 (ja) 樹木の萌芽抑制方法、及び樹木の萌芽抑制シート
JPH0356222Y2 (ko)
KR20020015369A (ko) 나무 붕대
KR200450252Y1 (ko) 수목의 병해충 방제용 밴드
KR200331589Y1 (ko) 해충 방제용 수목 보호대
KR200474556Y1 (ko) 수간 천공성 해충 방제커버
EP1032256B1 (de) Vorrichtung zum verhindern des hochkletterns des frostspanners an baumstämmen
Kallekkattil et al. Pests and their management in jackfruit
JP7437749B2 (ja) 害虫防除ネット及び防除方法
JP4540010B1 (ja) 株立ち植物用防虫ネット
KR101074514B1 (ko) 수간 피복 보호장치
JPH11225648A (ja) 樹木用害虫駆除帯
KR200159986Y1 (ko) 나무용 테이프
JPH08168321A (ja) 樹木用害虫捕殺帯
CN210226628U (zh) 一种诱虫粘贴胶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