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604Y1 -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604Y1
KR200331604Y1 KR20-2003-0024128U KR20030024128U KR200331604Y1 KR 200331604 Y1 KR200331604 Y1 KR 200331604Y1 KR 20030024128 U KR20030024128 U KR 20030024128U KR 200331604 Y1 KR200331604 Y1 KR 200331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uide rail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성
Original Assignee
엄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태성 filed Critical 엄태성
Priority to KR20-2003-0024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6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6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가이드레일의 바닥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기 양단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 다수의 체결구가 형성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폭방향 단면과 형상적으로 일치하고, 일단에는 상기 덮개와 연결되도록 상기 체결구에 대응하는 제 1연결구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기둥의 수평단면의 절반에 해당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단의 테두리는 상향 절곡되어 절곡면에 수직하게 다수의 제 2연결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덮개 및 연결부재의 폭방향 중앙에서 소정길이만큼 수직으로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차단벽 및 상기 체결구와 제 1연결구를 각각 관통하여 체결하고, 대면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절곡면에 형성된 제 2연결구를 각각 관통하여 체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덮개는 폭방향 양단이 일정각도로 하향 절곡되는 것 또는 폭방향으로 원호 형상을 취하고, 길이방향에는 굴곡이 형성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다수의 연속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제 1연결구는 상기 연결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신축이 가능하도록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A Device For Controlling Growth Of Weeds Around A Guiderail}
본 고안은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에 덮개를 배치하고 상기 덮개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레일 주변에 잡초의 발생 및 성장을 억제함으로 인해 도로 운행자에게 가이드레일(또는 가이드레일에 부착된 발광체 또는 표지판 등)을 명확하게 인식되게 하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는 차량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발광체를 일정간격으로 붙여 놓아 야간에 운전자의 안전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심을 벗어난 곳에 형성된 도로에는 주변이 대체로 논 등의 벌판으로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레일 주변에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 운전자의 시야에 가이드레일이 명확하게 인식되기가 쉽지 않고, 상기 발광체도 잡초에 가려 주변 조명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야간에는 사고 위험이 증대된다.
따라서, 전국의 각 도로를 관리하는 관청에서는 해마다 두 세번씩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를 제거작업을 함으로 해서 인력 및 비용의 낭비가 심하고, 상기 작업 중에 전기 낫이 철재로 된 가이드레일 기둥에 부딛혀 파손되고 일부는 튕겨나와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논 등에 사는 동물, 즉 개구리, 뱀, 지렁이 등이 도로로 들어와 차량에 밟힘으로 해서 운전자에게 혐오감을 주는 한편 도로가 지저분하게 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변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바닥면 주위에 잡초를 제거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가이드레일을 인식하게 하여 추락 등의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잡초 제거 작업으로 인한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하고 잡초 제거용 도구(예를 들어 낫 등)가 파손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잡초 제거를 위한 덮개 및 연결부재에 일정 높이의 차단벽을 형성함으로써, 논 등의 들판에서 사는 생물(예를 들어 개구리, 뱀, 지렁이등)이 도로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생태계 보존 및 도로 환경을 정돈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잡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가이드레일의 바닥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기 양단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 다수의 체결구가 형성되는 덮개부; 덮개부의 폭방향 단면과 형상적으로 일치하고, 일단에는 상기 덮개부와 연결되도록 체결구에 대응하는 제 1연결구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기둥의 수평단면의 절반에 해당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타단의 테두리는 상향 절곡되어 절곡면에 수직하게 다수의 제 2연결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체결구와 제 1연결구를 각각 관통하여 체결하고, 대면하는 연결부재의 절곡면에 형성된 제 2연결구를 각각 관통하여 체결하는 결합부재;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는, 덮개부 및 연결부재의 폭방향 중앙에서 소정길이만큼 수직으로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차단벽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부는 폭방향 양단이 일정각도로 하향 절곡되는 것이거나, 폭방향으로 원호 형상을 취하고 길이방향에는 굴곡이 형성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다수의 연속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결부재의 제 1연결구는 상기 연결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신축이 가능하도록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 분명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덮개, 110 : 체결구,
200 : 연결부재, 210 : 제 1연결구,
220 : 제 2연결구, 300 : 결합부재,
400 : 차단벽, 1000 : 잡초 성장억제 장치,
2000 : 가이드레일, 3000 : 도로.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변(300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00)을 따라 덮개(100)가 설치되고, 덮개(100)와 인접한 덮개(100) 사이의 가이드레일 기둥(2100) 위치에서는 한 쌍의 연결부재(200)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각 구성요소를 결합부재(300)로 체결하여 구성된다.
덮개(100)는 가이드레일(2000)의 바닥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상기 양단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 다수의 체결구(110)가 형성된다.
또한, 덮개(100)는 가이드레일(2000)의 굴곡 정도에 따라 직선형 덮개(100a)와 곡선형 덮개(100b)로 구분할 수 있다. 직선형 덮개(100a)는 폭방향 양단이 일정각도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고, 곡선형 덮개(100b)는 폭방향으로 원호 형상을 취하고 길이방향에는 굴곡이 형성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다수의 연속된 홈이 형성된다.
이 때, 곡선형 덮개(100b)에 형성되는 폭방향의 연속된 다수의 홈(230)은 가이드레일(2000)의 굴곡에 따라 일정 각도로 구부려서 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덮개(100)의 폭방향의 일단은 도로의 경계석(3100)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덮개(100)가 경계석(3100)에서부터 바닥면을 덮음으로써 잡초 성장의 억제 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100)의 폭방향 길이를 약 600mm 정도가 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도로 경계석으로부터 잡초 성장을 억제하고자 하는 곳까지 연장 또는 축소하여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하다.
덮개(100)는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나, 가공이 비교적 쉽고 비용이 저렴한 PVC 소재, 알루미늄 판재, 금속재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덮개(100)는 중앙에서 소정길이 만큼 수직으로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차단벽(400)이 형성되어 이루어 질 수 있다. 차단벽(400)은 덮개(100)와 일체로 주조될 수 있으나, 덮개(100)를 주조한 후 차단벽(400) 부재를 상기 덮개(100)의 상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열접합 또는 접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차단벽(400)의 높이는 바닥면에서 가이드레일(2000)의 하단까지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적으로 바닥면에서 가이드레일(2000) 하단까지가 약 425mm 정도일 때, 약 100mm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연결부재(200)는 상기 덮개(100)의 폭방향 단면과 동일하고, 일단에는 덮개(100)와 연결되도록 덮개(100)의 체결구(110)에 대응하는 제 1연결구(210)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가이드레일 기둥(2100)의 수평단면의 절반에 해당하는 절단부가 형성되고 타단의 테두리는 상향 절곡되어 절곡면에 수직하게 다수의 제 2연결구(220)가 형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덮개(100)가 가이드레일(2000)의 굴곡 정도에 따라 직선형 덮개(100a)와 곡선형 덮개(100b)로 나뉘어 질 때, 직선형 덮개(100a) 상호간을 연결하기 위한 직선형 연결부재(200a)가 있고, 곡선형 덮개(100b) 상호간을 연결하기 위한 곡선형 연결부재(200b)가 있다.
만일 직선형 덮개(100a)와 곡선형 덮개(100b)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직선형 덮개(100a)와는 직선형 연결부재(200a)가, 곡선형 덮개(100b)와는 곡선형 연결부재(200b)가 연결되고, 각 연결부재(200a, 200b)는 각각의 제 2연결구(220)를통해 체결되게 된다.
직선형 연결부재(200a)의 폭방향 단면는 직선형 덮개(100a)와 폭방향 단면과 형상적으로 일치하고, 일단에는 다수의 제 1연결구(210)가 있고, 타단에는 상향 절곡된 면에 수직하게 다수의 제 2연결구(220)가 있다. 제 1연결구(210)는 직선형 덮개(100a)의 체결구(110)에 각각 대응하여 결합부재(300)를 관통 결합함으로써 체결되고, 제 2연결구(220)는 인접한 직선형 연결부재(200a) 또는 곡선형 연결부재(200b)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어 인접한 각 부재(200a, 200b)의 제 2연결구(220)를 결합부재(300)를 관통시켜 체결한다.
곡선형 연결부재(200b)는 곡선형 덮개(100b)의 폭방향 단면과 형상적으로 일치하고, 제 1 및 제 2 연결구(210, 220)의 체결형태는 상기 직선형 연결부재(200a)와 동일하다.
그러나, 곡선형 연결부재(200b)의 상향 절곡면은 곡선형 연결부재(200a)가 직선형 연결부재(200a)와 결합하기 위한 제 2연결구(220)가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되도록 직선형 연결부재(200a)의 상향 절곡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직선형 연결부재(200a)에 비해 곡선형 연결부재(200b)의 상향 절곡면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 연결부재(200a, 200b)의 제 1연결구(210)는 연결부재(200a, 200b)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신축이 가능하도록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이 긴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각 구성요소는 공장 제작되어 현장에서 결합되는데 가이드레일 기둥(2100) 간의 거리는 현장의 조건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므로 제 1연결구(210)를 길이방향의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재(200)를 일정길이 만큼 덮개(100)의 길이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 연결부재(200a, 200b)의 상향 절곡된 일면은 가이드레일 기둥(2100)의 수평 단면의 절반에 해당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데, 연결부재(200)가 인접한 연결부재(200)와 한 쌍을 이루어 기둥 둘레를 상향 절곡면으로 감싸게 된다.
이 때, 도 1, 도 2 및 도 3에는 기둥(2100)이 원통형상을 취한 것으로 하여 연결부재(200)의 절단부도 반원형으로 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기둥(2100)이 H 형강 등일 경우에도 상기 형강의 수평 단면의 절반에 해당하는 절단부가 형성되게 된다.
결합부재(300)는 체결구(110)와 제 1연결구(210)를 각각 관통하여 체결하고, 대면하는 연결부재(200)의 절곡면에 형성된 제 2연결구(220)를 각각 관통하여 체결한다. 결합부재(300)는 볼트와 너트일 수 있으나, 리벳이나 핀, 용접 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000)의 하단에 기둥(2100)을 따라 덮개(100) 및 연결부재(200)가 연속 배치되고, 상기 덮개(100) 및 연결부재(200)를 볼트 등의 결합부재(300)로 결합하여 상기 장치(1000)를 형성한다.
덮개(100)와 연결부재(200)의 연결시 연결부재(200)는 덮개(100)의 하단에덮개(100)의 체결구(110)와 상기 연결부재(200)의 제 1연결구(210)가 각각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연결부재(200)의 제 1연결구(210)는 타원형으로 구비되어 연결부재(200)를 기둥(2100)간격에 따라 소정길이만큼 이동 배치시킬 수 있다.
덮개(100)와 연결부재(200)의 차단벽(400)은 각각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렇게 되면 차단벽(400)의 상단선이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덮개(100)와 연결부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차단벽(400)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조정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200)는 덮개(100)와의 체결시 덮개(100)의 하단에 위치하므로 연결부재(200)의 차단벽(400)은 덮개(100)와 겹치지 않는 부위에서부터 형성된다.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직선형 연결부재(200a)의 상향 절곡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은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곡선형 연결부재(200b)의 상향 절곡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연결부재(200a) 및 곡선형 연결부재(200b)의 상향 절곡면은 하단의 형상에서는 차이가 있으나, 상단의 형상은 동일하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직선형 연결부재(200a)는 폭방향의 양단이 하향 절곡된 형상인데, 부재(200a)의 절곡면도 절곡면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동일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곡선형 연결부재(200b)는 폭방향으로 원호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직선형 연결부재(200a)의 절곡면의 연장길이만큼 연장된다면 곡선형 연결부재(200b)와 직선형 연결부재(200a)의 연결시 각각의 제 2연결구(220)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곡선형 연결부재(200b)의 상향 절곡면은 직선형 연결부재(200a)의 절곡면과 상단면이 일치하도록 연장되고, 제 2연결구(220)도 직선형 연결부재(200a)의 연결구(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곡선형 연결부재(200b)의 상향 절곡면이 직선형 연결부재(200a)의 그것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에 의하면,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바닥면에 일정 폭만큼 덮개를 배치하여 잡초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해당 도로를 통행하는 운전자에게 가이드레일을 눈에 잘 띄게 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장치에 의하면, 일일이 인력을 동원하여 잡초를 제거할 필요가 없음으로, 잡초 제거를 위한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하고, 잡초 제거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논 등의 들판에서 서식하는 생물이 도로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생태계 보존 및 도로의 청결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되어졌으나, 고안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5)

  1. 가이드레일(2000)의 바닥면에 상기 가이드레일(200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기 양단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 다수의 체결구(110)가 형성되는 덮개(100a, 100b);
    상기 덮개(100a, 100b)의 폭방향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일단에는 상기 덮개(100a, 100b)와 연결되도록 상기 체결구(110)에 대응하는 제 1연결구(210)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기둥(2100)의 수평단면의 절반에 해당하는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타단의 테두리는 상향 절곡되어 절곡면에 수직하게 다수의 제 2연결구(220)가 형성되는 연결부재(200a, 200b); 및
    상기 체결구(110)와 제 1연결구(210)를 각각 관통하여 체결하고, 대면하는 연결부재(200)의 절곡면에 형성된 제 2연결구(220) 각각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결합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0)는, 상기 덮개(100a, 100b) 및 연결부재(200a, 200b)의 폭방향 중앙에서 소정길이만큼 수직으로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차단벽(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0a)는 폭방향 양단이 일정각도로 하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0b)는 폭방향으로 원호 형상을 취하고, 길이방향에는 굴곡이 형성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다수의 연속된 홈(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a, 200b)의 제 1연결구(210)는 상기 연결부재(200a, 200b)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신축이 가능하도록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KR20-2003-0024128U 2003-07-25 2003-07-25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KR200331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128U KR200331604Y1 (ko) 2003-07-25 2003-07-25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128U KR200331604Y1 (ko) 2003-07-25 2003-07-25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604Y1 true KR200331604Y1 (ko) 2003-10-30

Family

ID=4941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128U KR200331604Y1 (ko) 2003-07-25 2003-07-25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6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78B1 (ko) 2006-11-22 2007-10-22 김태학 도로 안전시설물용 가드
KR101731767B1 (ko) * 2016-11-22 2017-05-02 임정구 중앙분리대 가이드레일의 지주 주변에 이물질을 차단하는 커버장치
KR101875793B1 (ko) * 2017-10-11 2018-07-06 주식회사 넥스코 도로변 방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78B1 (ko) 2006-11-22 2007-10-22 김태학 도로 안전시설물용 가드
KR101731767B1 (ko) * 2016-11-22 2017-05-02 임정구 중앙분리대 가이드레일의 지주 주변에 이물질을 차단하는 커버장치
KR101875793B1 (ko) * 2017-10-11 2018-07-06 주식회사 넥스코 도로변 방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925B2 (en) Running board attachment
KR100967138B1 (ko) 동물 및 식물 침입 방지용 가드레일
KR200395989Y1 (ko) 가드레일의 식물 성장 억제 구조
KR200331604Y1 (ko) 가이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억제 장치
KR100926257B1 (ko) 안전장치가 내장된 기능성 도로표지판
KR200413446Y1 (ko) 도로의 안전주행 확보용 가드레일
KR200407504Y1 (ko) 로드킬 방지구
US20180355632A1 (en) Safety Device for Guard Rail
KR101109111B1 (ko)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US2655225A (en) Vehicle barrier
KR20150144661A (ko) 힌지식으로 개방되는 도로용 차광판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WO2003018360A3 (en) Heavy duty vehicle frame
KR101463709B1 (ko) 도로의 가드레일용 동식물 진입차단장치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90013986A (ko) 가드레일 주변 식물 성장 억제 및 동물 침입 방지용덮개구조
KR101677493B1 (ko) 가드레일용 기능성 보조 펜스
KR200351164Y1 (ko) 습지지역 도로의 빗물튀김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구조
JP2016180268A (ja) 側溝蓋、及び当該側溝蓋を備えた路面構造
FR2855128B1 (fr) Dispositif et procede pour la protection antivol d&#39;un vehicule automobile
FR2844361B1 (fr) Procede d&#39;elargissement de la distance non ambigue dans les radars a fsk
WO2018172747A1 (en) An accessory for a barrier, a barrier, and a method of use thereof
KR20150002152U (ko) 경계석의 보조 장치
JP2013223484A (ja) 害獣侵入防止装置
KR200249071Y1 (ko) 스틸 그레이팅의 소음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