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187Y1 - 자동확산소화기 - Google Patents

자동확산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187Y1
KR200331187Y1 KR20-2003-0023732U KR20030023732U KR200331187Y1 KR 200331187 Y1 KR200331187 Y1 KR 200331187Y1 KR 20030023732 U KR20030023732 U KR 20030023732U KR 200331187 Y1 KR200331187 Y1 KR 200331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ead portion
extinguishing agent
hole
r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보
Original Assignee
심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영보 filed Critical 심영보
Priority to KR20-2003-0023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1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확산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저부에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소화약제가 압축상태로 수용되는 약제통과, 분출관부와 상기 분출관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앙영역에 분출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길이방향을 따라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분출공을 밀폐하도록 삽입되는 캡과 상기 캡을 가압하도록 상기 캡과 상기 지지기둥사이에 개재하고 내부에 감열액체가 충진되는 유리벌브를 구비하고 상기 분출관부가 상기 분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약제통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갖는 자동확산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판상의 캡헤드부와 상기 캡헤드부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분출공에 형상 맞춤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수직링홈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캡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링홈에 장착되는 탄성재질의 수직밀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선택된 소화약제의 분출온도에서 소화약제를 즉시에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소화약제의 누설을 감소시키고 소화기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약제통내에 충진할 수 있는 소화약제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확산소화기{Automatic Scattering Fire Extinguisher}
본 고안은 자동확산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화염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캡이 개방되어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가 자동으로 분출되는 자동확산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확산소화기는 공간이 협소하여 스프링쿨러 등 다른 소방설비를 설치하기 어렵거나 기름 등의 존재로 물로서 화재를 진화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되는 현수식 소방설비로서, 설치공간의 천정에 고정되는 약제통과 화재발생시 화염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반응하여 약제통에 압축상태로 수용된 소화약제를 분출공을 통해 분출시키는 헤드부를 갖고 있다.
종래 헤드부에서 열에 반응하여 소화약제를 분출시키기 위해, 1998년 실용신안등록제7890호(고안의 명칭 : 소화기의 소화확산장치)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분출공과 분출공에 삽입되는 캡사이영역을 휴즈 블링커(Fuse Blinker)로 밀봉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휴즈 블링크(Fuse Blink)로 밀봉하는 방법은 분출공과 캡사이의 밀폐성이 양호하여 약제통의 내부에 충진할 수 있는 소화약제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휴즈의 재료인 납의 용융온도가 납성분비에 따라 차이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사용자가 소화약제가 분출되기를 원하는 온도에서 소화약제를 분출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휴즈 블링크의 용융이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소화약제의 분출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휴즈 블링크를 이용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액체의 팽창압력을 이용하는 방법이 안출되었다.
도4는 액체의 팽창압력을 이용하는 종래의 자동확산소화기의 헤드부의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의 헤드부의 부분절단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헤드부(120)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단면형상의 분출관부(121)와, 분출관부(121)의 하단에 결합된 지지판(123)과, 길이방향을 따라 축공(127a)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기둥(127)과, 지지판(123)과 지지기둥(127)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125)을 갖고 있다.
지지판(123)의 중앙영역에는 분출공(123a)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연결프레임(125)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라고 종래의 헤드부(120)는 분출공(123a)에 삽입되는 캡(140)과, 지지기둥(127)의 축공(127a)에 삽입되는 벌브지지축(131)과, 분출공(123a)에 삽입되는 캡(140)과 축공(127a)에 삽입된 벌브지지축(131)사이에 개재하는 유리벌브(32, Glass Bulb)와 벌브지지축(131)의 하단에 판상으로 형성된 디플렉터(129, Deflector)를 갖고 있다,
캡(140)은 원판형상의 캡헤드부(141)와, 캡헤드부(141)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형상의 캡바디부(142)를 갖고 있다. 캡바디부(142)는 캡헤드부(141)와 지지판(123)사이에 판스프링형상의 개스켓(145)을 개재시킨 상태로 분출공(123a)에 삽입된다. 개스켓(145)에 의해 약제통(도시되지 않음)의 소화약제가 분출공(123a)과 헤드부(120)사이를 통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벌브지지축(131)의 상면에는 고정홈(13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유리벌브(132)는 일단에 고정돌기(132a)가 고정홈(131a)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감열액체(132b)가 충진되어 있다. 이 때 유리벌브(132)에는 사용자가 소화약제가 분출되기를 원하는 표면온도에서 유리벌브(132)가 파손되도록 팽창하는 액체를 선택하여 충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리벌브(132)는 고정돌기(132a)를 벌브지지축(131)의 고정홈(131a)에 삽입한 다음, 벌브지지축(131)을 상부를 향해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캡(140)과 벌브지지축(131)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벌브(132)의 가압력에 의해 캡(140)은 지지판(1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디플렉터(129)에는 다수의 날개(129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헤드부(120)는 분출관부(121)를 통해 약제통(도시되지 않음)에 나사 결합된다.
종래의 헤드부(120)를 갖는 자동확산소화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으로부터 유리벌브(132)로 열이 전달되어 유리벌브(132)의 표면온도가 상승하고 감열액체(132b)는 팽창한다.
유리벌브(132)의 표면온도가 특정온도(감열액체의 선택시 결정됨)에 도달하면 유리벌브(132)는 감열액체(132b)의 팽창압력에 의해 파손된다.
유리벌브(132)가 파손되면 캡(140)은 지지판(123)으로부터 이탈한다. 이 때 유리벌브(132)의 파편도 설치공간의 바닥면으로 떨어진다.
캡(140)이 지지판(123)으로 이탈하면 약제통(도시되지 않음)에 압축상태로 수용된 소화약제는 분출관부(121)를 통과한 후 분출공(123a)을 통해 헤드부(120)의 외부로 분출된다.
헤드부(120)의 외부로 분출된 소화약제는 디플렉터(129)에서 반사되어 확산범위가 확대된 후 화재발생영역으로 하강한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확산소화기에 따르면 화재발생시 사용자가 소화약제가 분출되기를 원하는 온도에서 소화약제를 즉시에 분출시킬 수 있으나, 분출공(123a)과 캡(140)사이의 밀폐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소화약제의 누설이 부분적으로 발생하고 소화기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약제통내에 충진할 수 있는 소화약제의 양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소화영역이 증가하여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이 커짐에 따라(9.8Kg/㎠ 이상)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선택된 소화약제의 분출온도에서 소화약제를 즉시에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분출공과 캡사이의 밀폐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자동확산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확산소화기의 설치상태도,
도2는 도1의 헤드부의 사시도,
도3은 도1의 헤드부의 부분절단분해사시도,
도4는 액체의 팽창압력을 이용하는 종래의 자동확산소화기의 헤드부의 사시도,
도5는 도4의 헤드부의 부분절단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약제통 20, 120 : 헤드부
21, 121 : 분출관부 23, 123 : 지지판
25, 125 : 연결프레임 27, 127 : 지지기둥
29, 129 : 디플렉터 31, 131 : 벌브지지축
32, 132 : 유리벌브 40, 140 : 캡
41, 141 : 캡헤드부 42, 142 : 캡바디부
45, 47 : 밀폐링 145 : 개스켓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저부에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소화약제가 압축상태로 수용되는 약제통과, 분출관부와 상기 분출관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앙영역에 분출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길이방향을 따라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분출공을 밀폐하도록 삽입되는 캡과 상기 캡을 가압하도록 상기 캡과 상기 지지기둥사이에 개재하고 내부에 감열액체가 충진되는 유리벌브를 구비하고 상기 분출관부가 상기 분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약제통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갖는 자동확산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판상의 캡헤드부와 상기 캡헤드부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분출공에 형상 맞춤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수직링홈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캡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링홈에 장착되는 탄성재질의 수직밀폐링을 포함하거나, 상기 캡은 일면에 고리상의 수평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캡헤드부와 상기 캡헤드부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분출공에 형상 맞춤되고 상기 수평링홈에 둘러싸이도록 연장 형성되는 캡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링홈에 장착되는 탄성재질의 수평밀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확산소화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캡바디부를 지지판의 분출공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캡바디부의 상단영역은 테이퍼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확산소화기의 설치상태도이고, 도2는 도1의 헤드부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헤드부의 부분절단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확산소화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가 압축상태로 충진되어 있는 약제통(10)과, 약제통(10)의 저부에 결합되는 헤드부(20)를 갖고 있다.
헤드부(20)의 상단에는 고정플랜지(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결합플랜지(13) 돌출형성되어 있다. 결합플랜지(13)의 내부에는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헤드부(20)는 고정플랜지(11)를 고정브라켓(51)에 나사 결합시켜 설치장소의 천정에 고정된다.
헤드부(20)는 외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단면형상의 분출관부(21)와, 분출관부(21)의 하단에 결합된 지지판(23)과, 길이방향을 따라 축공(27a)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기둥(27)과, 지지판(23)과 지지기둥(27)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25)을 갖고 있다.
지지판(23)의 중앙영역에는 분출공(23a)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연결프레임(25)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라고 헤드부(20)는 분출공(23a)에 삽입되는 캡(40)과, 지지기둥(27)의 축공(27a)에 삽입되는 벌브지지축(31)과, 분출공(23a)에 삽입된 캡(40)과 축공(27a)에 삽입된 벌브지지축(31)사이에 개재하는 유리벌브(32)와, 벌브지지축(31)의 하단에 판상으로 형성된 디플렉터(29)를 갖고 있다,
캡(40)은 원판형상의 캡헤드부(41)와, 캡헤드부(41)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형상의 캡바디부(42)를 갖고 있다. 캡헤드부(41)의 상면에는 원형고리형상의 수평링홈(41a)이 형성되어 있고, 캡바디부(42)의 저부에는 수직링홈(42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수평링홈(41a)과 수직링홈(42a)에는 각각 수평밀폐링(47)과 수직밀폐링(45)이 장착되어 있다. 캡바디부(42)는 수평밀폐링(47)과 수직밀폐링(45)을 수평링홈(41a)과 수직링홈(42a)에 각각 장착한 상태로 분출공(23a)에 삽입된다. 수평밀폐링(47)과 수직밀폐링(45)에 의해 약제통(10)의 소화약제가 분출공(23a)과 헤드부(20)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밀폐링(47)과 수직밀폐링(45)은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그리고 캡바디부(42)의 상단영역은 테이퍼(Taper)져 있다. 이렇게 캡바디부(42)의 상단영역을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캡바디부(42)를 지지판(23)의 분출공(23a)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벌브지지축(31)의 상면에는 고정홈(3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유리벌브(32)는 일단에 고정돌기(32a)가 고정홈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감열액체(32b)가 충진되어 있다. 이 때 유리벌브(32)에는 사용자가 소화약제가 분출되기를 원하는 표면온도에서 유리벌브(32)가 파손되도록 팽창하는 액체를 선택하여 충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리벌브(32)는 고정돌기(32a)를 벌브지지축(31)의 고정홈(31a)에 삽입한 다음, 벌브지지축(31)을 상부를 향해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캡(40)과 벌브지지축(31)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벌브(32)의 가압력에 의해 캡(40)은 지지판(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디플렉터(29)에는 다수의 날개(29a)가 약제통(10)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헤드부(20)는 분출관부(21)와 결합플랜지(13)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해 약제통(10)에 결합된다. 이 때 분출관부(21)의 유로와 결합플랜지(13)의 분출구는 연통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확산소화기는 약제통(10)의 소화약제가 수평밀폐링(47)과 수직밀폐링(45)에 의해 분출공(23a)과 헤드부(20)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캡(40)의 캡헤드부(41)와 캡바디부(42)에 수평링홈(41a)과 수직링홈(42a)을 형성하고 이들 링홈(41a, 42a)에 밀폐링(45, 47)을 각각 장착함으로써, 선택된 소화약제의 분출온도에서 소화약제를 즉시에 분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분출공(23a)과 캡(40)사이의 밀폐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캡(40)의 캡헤드부(41)와 캡바디부(42)에 수평링홈(41a)과 수직링홈(42a)을 형성하고 있으나, 캡헤드부(41)와 캡바디부(42)중 어느 일방에 선택적으로 링홈을 형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캡의 캡헤드부와 캡바디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링홈을 형성하고 이링홈에 밀폐링을 장착함으로써, 선택된 소화약제의 분출온도에서 소화약제를 즉시에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분출공과 캡사이의 밀폐성이 증가된다. 분출공과 캡사이의 밀폐성이 증가됨에 따라 소화약제의 누설을 감소시킬 수 있고 소화기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약제통내에 충진할 수 있는 소화약제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저부에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소화약제가 압축상태로 수용되는 약제통과, 분출관부와 상기 분출관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앙영역에 분출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길이방향을 따라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분출공을 밀폐하도록 삽입되는 캡과 상기 캡을 가압하도록 상기 캡과 상기 지지기둥사이에 개재하고 내부에 감열액체가 충진되는 유리벌브를 구비하고 상기 분출관부가 상기 분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약제통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갖는 자동확산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판상의 캡헤드부와 상기 캡헤드부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분출공에 형상 맞춤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수직링홈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캡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링홈에 장착되는 탄성재질의 수직밀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확산소화기.
  2. 저부에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소화약제가 압축상태로 수용되는 약제통과, 분출관부와 상기 분출관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앙영역에 분출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길이방향을 따라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분출공을 밀폐하도록 삽입되는 캡과 상기 캡을 가압하도록 상기 캡과 상기 지지기둥사이에 개재하고 내부에 감열액체가 충진되는 유리벌브를 구비하고 상기 분출관부가 상기 분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약제통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갖는 자동확산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일면에 고리상의 수평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캡헤드부와 상기 캡헤드부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분출공에 형상 맞춤되고 상기 수평링홈에 둘러싸이도록 연장 형성되는 캡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링홈에 장착되는 탄성재질의 수평밀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확산소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바디부의 상단영역은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확산소화기.
KR20-2003-0023732U 2003-07-23 2003-07-23 자동확산소화기 KR200331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732U KR200331187Y1 (ko) 2003-07-23 2003-07-23 자동확산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732U KR200331187Y1 (ko) 2003-07-23 2003-07-23 자동확산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187Y1 true KR200331187Y1 (ko) 2003-10-22

Family

ID=4941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732U KR200331187Y1 (ko) 2003-07-23 2003-07-23 자동확산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1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67B1 (ko) 2018-12-24 2020-04-16 주식회사 파이어캅 무동력 회전식 자동확산 소화기
KR20200079118A (ko)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파이어캅 자동확산 소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67B1 (ko) 2018-12-24 2020-04-16 주식회사 파이어캅 무동력 회전식 자동확산 소화기
KR20200079118A (ko)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파이어캅 자동확산 소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95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20200089393A (ko) 회전가능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KR101184678B1 (ko) 퓨즈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212984B1 (ko) 소방기기의 스마트 헤드 자동작동장치
KR200331187Y1 (ko) 자동확산소화기
KR102158705B1 (ko) 나선형 유로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KR200403464Y1 (ko) 내충격 및 내진성의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KR20200089395A (ko) 방사형 유로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KR200403462Y1 (ko)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KR200375591Y1 (ko)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NO20093514A1 (no) Brannslukningsenhet for omdanning av en vaeske til en vaesketake
US5794705A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having a spraying nozzle assembly
KR200388089Y1 (ko) 미세 물분무형 자동 소화장치
KR200293261Y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감열부재
KR200398251Y1 (ko) 조기 반응형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JP4980279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
CN221206601U (zh) 一种消防喷头
CN219558577U (zh) 一种单模启动闭式喷头
JP3477562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2009226014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CN219983764U (zh) 一种全氟己酮灭火装置
CN212067542U (zh) 闭式细水雾喷头及细水雾灭火装置
CN215961914U (zh) 一种环向出水的消防喷头
JPH10277174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CN109364396A (zh) 一种航空灭火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