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975Y1 -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 Google Patents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975Y1
KR200330975Y1 KR20-2003-0023485U KR20030023485U KR200330975Y1 KR 200330975 Y1 KR200330975 Y1 KR 200330975Y1 KR 20030023485 U KR20030023485 U KR 20030023485U KR 200330975 Y1 KR200330975 Y1 KR 200330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onnector
data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배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시스템
Priority to KR20-2003-0023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9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9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 접속되는 유 에스 비 커넥터부와,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주고받는 +,-용의 통신 라인, 접지 라인 및 충전용 +,- 리드선을 구비한 유 에스 비 케이블과, 상기 유 에스 비 케이블의 +,-용의 통신 라인, 접지 라인 및 충전용 +,- 리드선의 타측단에 접속되어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접속되었을 경우에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함과 동시에,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I/O 커넥터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속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 등의 주변기기에 설치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고,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USB DATA COMMUNICATION CABLE WITH CHARGING CIRCUIT}
본 고안은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USB ; 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면서 동작전원을 필요로 하는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 등)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회로가 내장된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 에스 비 케이블로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08175호(등록일자 ; 2003년 3월 8일, 출원번호 20-2002-0035517)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08175호에 개시되어 있는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은 유 에스 비 케이블이 길어짐으로써 발생되는 전자파 발산이나 노이즈 발생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 끼워지는 제1 터미널(21)과, 노트 북 또는 이동전화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 끼워지는 제2 터미널(23)과,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21,23)을 직접 연결시켜주며 소정 탄력으로 일정각도 굴절되는 충격흡수부(25)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 에스 비 케이블(20)은 충격흡수부(25)에 의해 제1 및 제2 터미널(11,13)이 상호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제1 터미널(11)과 제2 터미널(11,13) 사이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케이블이 불필요하므로, 제1 터미널(11)과 제2 터미널(11,13) 사이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케이블에서 전자파가 발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은 있으나,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에 설치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기간 출장시에는 컴퓨터 주변기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충전장치를 휴대하여야 한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속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 등의 주변기기에 설치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와 사용이 편리한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 접속되는 유 에스 비 커넥터부와,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주고받는 +,-용의 통신 라인, 접지 라인 및 충전용 +,- 리드선을 구비한 유 에스 비 케이블과, 상기 유 에스 비 케이블의 +,-용의 통신 라인, 접지 라인 및 충전용 +,- 리드선의 타측단에 접속되어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접속되었을 경우에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함과 동시에,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I/O 커넥터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유 에스 비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I/O 커넥터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상부하우징을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유 에스 비 케이블의 충전용 리드선과 충전회로의 접속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유 에스 비 커넥터부 120:유 에스 비 케이블
121:+용의 통신 라인 122:-용의 통신 라인
123:접지 라인 124:충전용 +리드선
125:충전용 -리드선 130:I/O 커넥터부
131:인쇄회로기판 131a,131b,131c,131d,131e:입력단자
132:접촉단자 블록 132a,132b,132c,132d,132e:접촉단자
132f:관통구멍 133:충전회로
133a:충전용 IC 134:하부 하우징
134a:지지 플레이트 134b:직사각형 수용홈
134c:수용홈 134d:나사구멍
134f,137f:케이블 인입구 134g,137g:커팅부
135,136:록킹 부재 135a,136a:돌기
135b,136b:커팅부 135c,136c:록킹 플레이트
135d,136d:압압판 142:고정볼트
134e:돌기 137:상부 하우징
137a:볼트구멍 137b:날개부
137b':관통구멍 137c:돌기부
137d:위치고정부재 137e:지지판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I/O 커넥터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상부하우징을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유 에스 비 케이블의 충전용 리드선과 충전회로의 접속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은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 접속되는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와,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주고받는 +,-용의 통신 라인(121,122), 접지 라인(123) 및 충전용 +,- 리드선(124,125)을 구비한 유 에스 비 케이블(120)과, 상기 유 에스 비 케이블(120)의 +,-용의 통신 라인(121,122), 접지 라인(123) 및 충전용 +,- 리드선(124,125)의 타측단에 접속되어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었을 경우에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함과 동시에, 컴퓨터 주변기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 등)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I/O 커넥터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I/O 커넥터부(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31)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입력단자(131a,131b,131c,131d,131e)가 접속되도록 배면에 직사각형의 수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입력단자(131a,131b,131c,131d,131e)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전면에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다수개의 접촉단자(132a,132b,132c,132d,132e)가 내설된 직사각형의 관통구멍(132f)이 형성된 접촉단자 블록(13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에 배설되어 직류 입력전압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충전회로(133)와, 상기 충전회로(133)가 배설된 인쇄회로기판(131)이 배면측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수용구멍내에 삽입된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전후 좌우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을 방지하면서 수용하도록 바닥내측의 중간 상부면에 배설된 지지 플레이트(134a)와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지지돌기(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해서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지지 플레이트(134a)의 전방에 일체적으로 형성돤 한쌍의 직사각형 수용홈(134b)을 가진 하부하우징(134)과, 상기 하부하우징(134)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한쌍의 수용홈(134c)내에 배설되어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삽입되었을 경우, 이탈을 방지하는 한쌍의 록킹 부재(135,136)와, 상기 하부하우징(134)에 형성된 한쌍의 나사구멍(134d)에 고정볼트(142)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볼트구멍(137a)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134)의 앞쪽 양측벽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한쌍의 돌기(134e)를 감입해서 상기 하부 하우징(134)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앞쪽의 양 측벽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날개부(137b)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관통구멍(137b')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13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회로(133)는 도 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 에스 비 케이블(120)의 충전용 +,- 리드선(124,125)간에 접속되어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받아서 노이즈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1 캐패시터(C1)와, 상기 제1 캐패시터(C1)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직류전원을 받아서일정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는 충전용 IC(133a)와, 상기 충전용 IC(133a)에서 출력되는 일정레벨의 전압에 함유되어 있는 맥류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 캐패시터(C2)와, 상기 충전용 IC(133a)에서 컴퓨터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 등)에 충전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도록 전류제한 저항(R1)을 통해 충전용 직류전원을 받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 부재(135,136)는 선단부에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내에 감입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선단부에서 직각방향을 향해서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된 돌기(135a,13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하우징(134)에 각각 형성된 턱부(부호표시하지 않음)에 걸려서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착탈할 때에 진퇴하지 않도록 커팅부(135b,136b)가 형성된 록킹 플레이트(135c,136c)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135c,136c)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로부터 제거할 때에 압압하는 압압판(135d,136d)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37)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하부면에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로부터 뺄 때에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이 앞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상부면에 ㄷ자 형상의 수용홈(132g)에 감입되어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위치를 고정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돌기부(137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137c)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도록 대체로 ㄱ자 형상의 위치고정부재(137d)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고정부재(137d)의 뒤쪽 끝단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삽입시에 상기 접촉단자블록(132)이 후퇴하지 않도록 지지판(137e)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34f,137f는 상기 하부하우징(134) 및 상부 하우징(135)에 각각 형성된 케이블 인입구이고, 134g,137g는 상기 록킹 유닛(135,136)의 압압판(135d,136d)을 진퇴가능하게 수용하는 커팅부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록킹 유닛(135,136)의 압압판(135d,136d)를 누르면서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를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I/O 커넥터부(130)를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커넥터에 접속시켜서 상기 유 에스 비 케이블(120)의 +,-용의 통신 라인(121,122), 접지 라인(123) 및 충전용 +,- 리드선(124,125)이 컴퓨터 주변기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함과 동시에,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록킹 유닛(135,136)의 록킹 플레이트(135c,136c)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록킹 돌기(135a,136a)가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가 록킹되어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의 커넥터로부터 I/O커넥터부(130)가 위치고정되어 빠질 염려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를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I/O 커넥터부(130)를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커넥터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 유 에스 비 케이블(120)의 +,-용 통신라인(121,122)을 통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에 형성된 +,-용 통신패턴(도시하지 않음),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입력단자(131a,131b) 및 상기 접촉단자블록(132)의 접촉단자(132a,132b)을 통해서 컴퓨터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의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고속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를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I/O 커넥터부(130)를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커넥터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 유 에스 비 케이블(120)의 충전용 +,-리드선(124,125)을 통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에 형성된 충전용 +,-리드선패턴(도시하지 않음),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상에 설치된 상기 충전회로(133),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입력단자(131d,131e) 및 상기 접촉단자블록(132)의 접촉단자(132d,132e)을 통해서 컴퓨터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의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에 각각 설치된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133)에서는 상기 유 에스 비 케이블(120)의 충전용 +,- 리드선(124,125)간에 접속된 제1 캐패시터(C1)에서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받아 노이즈 성분을 필터링하고, 상기 제1 캐패시터(C1)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직류전원을 충전용 IC(133a)에서 받아 일정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충전용 IC(133a)에서 출력되는 일정레벨의 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맥류성분을 제2 캐패시터(C2)에서 필터링하여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에 각각 설치된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충전시킨다.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에 각각 설치된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충전시킬 때, 상기 제1 캐패시터(C1)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직류전원이 전류제한 저항(R1)을 통해서 발광다이오드(LED)에 인가되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를 발광시켜서 배터리에 충전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에 각각 설치된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충전시키고 나서 상기 컴퓨터의 메인 스위치를 오프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한 후에, 본 고안의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의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를 컴퓨터에 설치된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서 뽑고, I/O 커넥터부(130)의 록킹 유닛(135,136)에 설치된 압압판(135d,136d)을 누르면, 상기 록킹 유닛(135,136)의 록킹 플레이트(135c,136c)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록킹 돌기(135a,136a)가 상기컴퓨터 주변기기(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와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의 커넥터로부터 I/O 커넥터부(130)를 용이하게 뽑아 낼 수 있다.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를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거나 또는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를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로부터 뽑아낼 때, 상기 접촉단자블록(132)의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하부 하우징(143)의 전방에 형성된 직사각형 수용홈(134b)에 감입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하우징(143)의 중간 상부에 배설된 지지플레이트(134a)의 앞쪽 단부가 상기 접촉단자블록(132)의 뒤쪽 끝단부에 당접되고,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37)의 하부면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돌기부(137c)가 상기 접촉단자블록(132)에 형성된 ㄷ자 형상의 수용홈(132e) 내에 감입됨과 동시에, 상기 돌기부(137c)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돌출 형성된 ㄱ자 형상의 위치고정부재(137d)가 상기 접촉단자블록(132)의 좌우측에 당접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촉단자블록(132)이 후퇴하거나 전진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하우징(134)과 상부 하우징(137)내에 위치고정되어 파손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 등의 주변기기에 설치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별도의 충전장치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고, 고속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 등의 주변기기에 설치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고,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에 의하면,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 접속되는 유 에스 비 커넥터부와,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주고받는 +,-용의 통신 라인, 접지 라인 및 충전용 +,- 리드선을 구비한 유 에스 비 케이블과, 상기 유 에스 비 케이블의 +,-용의 통신 라인, 접지 라인 및 충전용 +,- 리드선의 타측단에 접속되어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접속되었을 경우에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함과 동시에,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I/O 커넥터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속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디지탈카메라 또는 이동전화기 등의 주변기기에 설치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고,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 접속되는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와, 상기 유 에스 비 커넥터부(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주고받는 +,-용의 통신 라인(121,122), 접지 라인(123) 및 충전용 +,- 리드선(124,125)을 구비한 유 에스 비 케이블(120)과, 상기 유 에스 비 케이블(120)의 +,-용의 통신 라인(121,122), 접지 라인(123) 및 충전용 +,- 리드선(124,125)의 타측단에 접속되어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접속되었을 경우에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함과 동시에,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I/O 커넥터부(1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I/O 커넥터부(130)는 인쇄회로기판(131)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입력단자(131a,131b,131c,131d,131e)가 접속되도록 배면에 직사각형의 수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입력단자(131a,131b,131c,131d,131e)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전면에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다수개의 접촉단자(132a,132b,132c,132d,132e)가 내설된 직사각형의 관통구멍(132f)이 형성된 접촉단자 블록(13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에 배설되어 직류 입력전압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충전회로(133)와, 상기 충전회로(133)가 배설된 인쇄회로기판(131)이 배면측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수용구멍내에 삽입된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전후 좌우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을 방지하면서 수용하도록 바닥내측의 중간 상부면에 배설된 지지 플레이트(134a)와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지지돌기를 수용해서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지지 플레이트(134a)의 전방에 일체적으로 형성돤 한쌍의 직사각형 수용홈(134b)을 가진 하부하우징(134)과, 상기 하부하우징(134)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한쌍의 수용홈(134c)내에 배설되어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삽입되었을 경우, 이탈을 방지하는 한쌍의 록킹 부재(135,136)와, 상기 하부하우징(134)에 형성된 한쌍의 나사구멍(134d)에 고정볼트(142)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볼트구멍(137a)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134)의 앞쪽 양측벽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한쌍의 돌기(134e)를 감입해서 상기 하부 하우징(134)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앞쪽의 양 측벽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날개부(137b)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관통구멍(137b')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137)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133)는 상기 유 에스 비 케이블(120)의 충전용 +,- 리드선(124,125)간에 접속되어 컴퓨터에 설치된 유 에스 비 포트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받아서 노이즈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1 캐패시터(C1)와, 상기 제1 캐패시터(C1)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직류전원을 받아서 일정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는 충전용 IC(133a)와, 상기 충전용 IC(133a)에서 출력되는 일정레벨의 전압에 함유되어 있는 맥류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 캐패시터(C2)와, 상기 충전용 IC(133a)에 충전용 직류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도록 전류제한 저항(R1)을 통해 충전용 직류전원을 받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135,136)은 선단부에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내에 감입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선단부에서 직각방향을 향해서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된 돌기(135a,13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하우징(134)에 각각 형성된 턱부에 걸려서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착탈할 때에 진퇴하지 않도록 커팅부(135b,136b)가 형성된 록킹 플레이트(135c,136c)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135c,136c)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로부터 제거할 때에 압압하는 압압판(135d,136d)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137)은 내측 하부면에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로부터 뺄 때에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이 앞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상부면에 ㄷ자 형상의 수용홈(132g)에 감입되어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위치를 고정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돌기부(137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137c)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상기 접촉단자 블록(132)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도록 대체로 ㄱ자 형상의 위치고정부재(137d)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고정부재(137d)의 뒤쪽 끝단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컴퓨터 주변기기에 설치된 커넥터에 삽입시에 상기 접촉단자블록(132)이 후되하지 않도록 지지판(137e)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KR20-2003-0023485U 2003-07-21 2003-07-21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KR200330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85U KR200330975Y1 (ko) 2003-07-21 2003-07-21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85U KR200330975Y1 (ko) 2003-07-21 2003-07-21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975Y1 true KR200330975Y1 (ko) 2003-10-22

Family

ID=4941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485U KR200330975Y1 (ko) 2003-07-21 2003-07-21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9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591B1 (ko) 2011-11-09 2013-10-2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온도 측정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591B1 (ko) 2011-11-09 2013-10-2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온도 측정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4280A1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EP1729487B1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BR0305565A (pt) Módulo de conexão cruzada de troca digital
KR200330975Y1 (ko) 충전회로가 내장된 유 에스 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
US7625240B2 (en) Receptacle connector
US20230420899A1 (en) Charging adapter devic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20010092656A (ko)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CN209785552U (zh) 一体化多接口存储装置
CN107871154B (zh) 无人飞行器
CN116845605A (zh) 一种多功能连接器
KR20210004774A (ko) 리셉터클 커넥터
SE9300997L (sv) Anordning för att ansluta ett kretskort till ett anslutningsplan
CN210744244U (zh) 一种具有对插结构的电连接器
CN2383227Y (zh) 模组连接器
CN109244702B (zh) 带信号采集接口的线路转接式端子台
CN111220191A (zh) 一种用于光电开关传感器的分体式结构及注胶工艺
CN213602707U (zh) 薄型工业相机
CN213126175U (zh) 侧照式工业相机
DE3466329D1 (en) Device for the connection of cables to the terminals of printed circuit boards
CN218977034U (zh) 一种网络模块
CN218274361U (zh) 一种前接线后开关的组合开关
CN219961098U (zh) 一种移动终端
CN216119922U (zh) 一种特殊氮化稼充电器专用电容
CN218852605U (zh) 一种洗地机充电盒及洗地机
CN217787441U (zh) 一种兼容双传输方案的qsfp-dd光模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