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956Y1 - 오폐수 처리장치용 산기관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장치용 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956Y1
KR200330956Y1 KR20-2003-0023109U KR20030023109U KR200330956Y1 KR 200330956 Y1 KR200330956 Y1 KR 200330956Y1 KR 20030023109 U KR20030023109 U KR 20030023109U KR 200330956 Y1 KR200330956 Y1 KR 200330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body tube
wastewater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병욱
오창식
Original Assignee
백병욱
오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병욱, 오창식 filed Critical 백병욱
Priority to KR20-2003-0023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하수 및 폐수 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송풍기로부터 압송된 공기를 저수조의 오폐수 내에 공급할 때 기포를 미세화 하면서 오폐수를 회류시킬 수 있는 산기관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보면, 수직형으로 구성되어 분사관(4)의 상부위치에 설치되는 수직형태의 본체관(10)이 구성되고, 본체관(10) 하단부의 내부중앙에는 역원뿔형태의 공기분산구(11)를 구성하였고 그 바로 위의 본체관(11) 내부에는 경사진 형태로 고정된 하나 이상의 나선형 가이드판(12)을 구성하여 공기와 물이 회전하면서 본체관(10)을 통과하도록 하였으며, 나선형 가이드판(12)의 상단부 일정구간에는 나선형 가이드판(12)의 앞뒤에 다수의 돌출봉(13)을 구성하여서 공기가 충돌하면서 미세화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저수조 바닥의 침전물이 고여있지 못하게 하면서 하나의 산기관이 넓은 범위의 오폐수 순환 및 정화작용을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장치용 산기관{Air diffuser for sewage wastewater disposal plant}
본 고안은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하수 및 폐수 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송풍기로부터 압송된 공기를 저수조의 오폐수 내에 공급할 때 기포를 미세화 하면서 오폐수를 회류시킬 수 있는 산기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에서는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저수조 바닥의 침전물이 고여있지 못하게 하면서 하나의 산기관이 넓은 범위의 오폐수 순환 및 정화작용을 담당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미생물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에는 원활한 산소공급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산기장치를 통해 미세화 하여 분출되므로 그에 의해 형성되는 상향류에 의해 물에 공기가 용해되도록 하고, 따라서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 형태의 산기관이 개발되어 사용되고는 있지만 그 중에서 비 다공성 산기관은 큰 오리피스(orifice)를 갖고 있어 대체적으로 큰 기포가 발생하므로 폭기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다공성 산기관은 미세기포의 양산은 가능하지만 하수 및 폐수의 부유물에 의해 다공부가 쉽게 막히는 단점을 갖고 있다.
상기한 종래 산기관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비다공성 산기관의 형태를 갖지만 폭기효율을 매우 크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다공성 산기관의 단점은 갖지 않고 장점인 미세기포의 발생이 가능케 하는 등, 비다공성 산기관 및 다공성 산기관의 장점을 모두 갖춘 산기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산기관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산기관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산기관의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산기관
2: 저수조
3: 공급관
4: 분사관
10: 본체관
11: 공기분산구
12; 나선형 가이드판
13: 돌출봉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산기관의 설치상태를 알 수 있는 도면으로서, 산기관(1)의 하단에는 저수조(2)를 통과하면서 각 산기관(1)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3)과 분사관(4)을 볼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산기관(1)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수직형으로 구성되어 분사관(4)의 상부위치에 설치되는 수직형태의 본체관(10)이 구성되고, 본체관(10) 하단부의 내부중앙에는 역원뿔형태의 공기분산구(11)를 구성하였고 그 바로 위의 본체관(11) 내부에는 경사진 형태로 고정된 하나 이상의 나선형 가이드판(12)을 구성하여 공기와 물이 회전하면서 본체관(10)을 통과하도록 하였으며, 나선형 가이드판(12)의 상단부 일정구간에는 나선형 가이드판(12)의 앞뒤에 다수의 돌출봉(13)을 구성하여서 공기가 충돌하면서 미세화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돌출봉(13)은 각각 그 돌출길이를 불규칙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데, 그에 따라 공기의 미세화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5는 송풍장치, 6은 고정용 브라켓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산기관(10)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산기관(10)을 설치한 후 공급관(3)을 통하여 공기를 압송하면 공기가 분사관(4)을 통하여 분사가 되고, 분사된 공기는 공기 분산구(11)에 닿으면서 본체관(10)의 내부 가장자리 방향으로 분산된다.
공기는 상승하면서 나선형 가이드판(12)에 의해 나선형의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상승회전작용에 의해 본체관(10)내부의 오폐수 역시 동일하게 상승회전을 하면서 본체관(10)의 상부로 배출된다.
공기는 나선형 가이드판(12)을 통과하는 중에 돌출봉(13)에 충돌하면서 방울이 깨지고 점차 더욱 작은 크기로 미세화 된다. 따라서 많은 양의 산소가 오폐수 속에 용해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준다.
본체관(10)의 상부로 배출된 공기와 오폐수는 점차 그 회전 반경이 커지면서 상승을 하게 되고 따라서 공기가 오폐수 외부로 배출되는 시간이 그만큼 지연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소가 오폐수 속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 충분한 양이 용해되므로 용존량을 늘려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공기가 계속적으로 산기관(1)에 공급됨에 의해 오폐수는 산기관(1)을 계속 순환하게 되는데, 본체관(10)의 상부로 토출된 오폐수는 하강하여 다시 본체관(10)의 하단으로 유입되는 순환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산기관에 의하면 공기가 나선형 가이드판(12)에 의해 회류하면서 상승을 하고 그에 따라 오폐수 역시 회류상승 작용을 하므로 오폐수가 부드럽고도 빠른 속도로 순환을 하게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저수조의 바닥에 침전물이 잘 쌓이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오폐수의 흐름에 의해 공기가 분사될 때 발생하는 부하가 매우 낮아지므로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공기와 오폐수가 나선형 가이드판(12)에 의해 회류작용을 하게됨으로 인해 공기가 오폐수의 속에 머무르는 시간이 지연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많은 량의 산소가 오폐수 내에 용존될 수가 있고, 결국 이러한 효과가 오폐수의 정화능력을 향상시키는 요인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공기와 오폐수의 회류작용은 산기관을 벗어나면서 그 직경이 크게 확대되므로 하나의 산기관으로 넓은 범위 즉, 많은 양의 오폐수를 순환 및 정화할 수 있어서 그 효율이 매우 높은 것이다.

Claims (2)

  1. 저수조(2)를 통과하면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3)과 분사관(4)에 설치되는 산기관에 있어서,
    분사관(4)의 상부위치에 설치되는 수직형태의 본체관(10)과,
    본체관(10) 하단부의 내부중앙에 역원뿔형태로 설치되는 공기분산구(11)와,
    공기분산구(11) 바로 위의 본체관(11) 내부에 경사진 형태로 고정되어 공기와 물이 회전하면서 본체관(10)을 통과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나선형 가이드판(12)과,
    나선형 가이드판(12)의 상단부 일정구간 앞뒤에 구성되어 공기가 충돌하면서 미세화 되도록 하는 다수의 돌출봉(1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용 산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돌출봉(13)은 각각 그 돌출길이를 불규칙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용 산기관.
KR20-2003-0023109U 2003-07-16 2003-07-16 오폐수 처리장치용 산기관 KR200330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109U KR200330956Y1 (ko) 2003-07-16 2003-07-16 오폐수 처리장치용 산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109U KR200330956Y1 (ko) 2003-07-16 2003-07-16 오폐수 처리장치용 산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956Y1 true KR200330956Y1 (ko) 2003-10-22

Family

ID=4941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109U KR200330956Y1 (ko) 2003-07-16 2003-07-16 오폐수 처리장치용 산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9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833B1 (ko) 2011-05-11 2011-11-08 우광재 미세 와류기포 산기관
KR20210083520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수중 포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833B1 (ko) 2011-05-11 2011-11-08 우광재 미세 와류기포 산기관
KR20210083520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수중 포기장치
KR102382198B1 (ko) * 2019-12-27 2022-04-04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수중 포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7516B2 (ja) 微細化気泡水生成装置
JP4309021B2 (ja) 排水処理システム
JP4022565B1 (ja) 曝気装置
KR100927673B1 (ko)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
KR100855289B1 (ko) 폐수 처리를 위한 현탁물의 분리 방법 및 그 실행 장치
KR101990747B1 (ko) 미세버블 생성장치
KR101163089B1 (ko)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JP6078036B2 (ja) 臭気抑制システム
KR101003874B1 (ko) 폭기 장치
KR20190110331A (ko) 가이드 모듈 및 하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KR200330956Y1 (ko) 오폐수 처리장치용 산기관
RU143767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KR101774488B1 (ko) 침강 및 부유하는 슬러지 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217720B1 (ko) 비엠-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
JP2011167674A (ja) 水中曝気装置
KR200172329Y1 (ko) 폭기식 폐수처리 장치
KR102208338B1 (ko) 미세기포 발생 노즐
CN204874000U (zh) 污水处理装置
CN107902749A (zh) 一种潜水曝气机
CN110818106B (zh) 一种带有消泡功能的高效曝气污水处理池
JP7474601B2 (ja) 気液分散装置
JP7474602B2 (ja) 気液分散装置
KR20060089927A (ko) 수처리 처리장치 및 공정
KR102091382B1 (ko) 오존산화용 노즐 및 이를 구비한 하폐수 재이용과 산화 소독용 설비
KR19990025094U (ko)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