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875Y1 -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갖는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갖는 광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0875Y1 KR200330875Y1 KR20-2003-0025420U KR20030025420U KR200330875Y1 KR 200330875 Y1 KR200330875 Y1 KR 200330875Y1 KR 20030025420 U KR20030025420 U KR 20030025420U KR 200330875 Y1 KR200330875 Y1 KR 20033087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optical fiber
- body portion
- terminal
- ferru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Details of housings mounting, engaging or coupling of the package to a board, a frame or a panel
- G02B6/4261—Packages with mounting structures to be pluggable or detachable, e.g. having latches or r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내장되는 광케이블이 클램퍼로 압착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광단자 내에 접점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되고 상기 광섬유를 내장 지지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의 주변으로 요구를 형성시키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사방이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페룰과 더불어 상기 광단자에 끼움 결합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는, 상기 광단자에 대한 결합에 연동하여 벌려지는 각 단부의 걸림구가 상기 광단자 양측의 대칭 함입된 홈부에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레버가 대칭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광단자의 상/하로 대칭 개구 및 관통된 각 관통구에 상기 레버의 결합과 동반하여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로커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광섬유를 광단자(Optical Terminal)내의 광소자(수광소자 또는 발광소자)에 접점시키기 위한 광커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상/하 및 좌/우로 로커 및 레버가 겸비되어 광단자의 광소자에 대한 접점중심을 보다 공고히 유지시킬 수 있으며, 광케이블의 각 피복층에 대해 압착 고정할 수 있는 클램퍼가 몸체부에 내장되어 접점중심 유지에 기능할 수 있는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영상 및 음성에 관한 데이터 처리기술이 발달하면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한 기술도 함께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기술에서 데이터 전송매체로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광섬유이다.
광섬유는 코어층, 코어층에 외장되는 클래드층을 포함한 것을 일컫는 것으로, 클래드층에는 단일 또는 이중으로 피복층이 외장됨으로써 제품화된 광케이블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광케이블이 전자기기에 접속될 수 있도록 광케이블은 보통 광커넥터에 내장된다. 광커넥터는 전자기기에 실장된 광단자의 리셉터클에 끼워지면서 단부로 드러난 광섬유가 광단자 내에 접점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광케이블의 양측에 구비되어 이 중 하나는 발광소자가 실장된 광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하나는 수광소자가 실장된 광단자에 접속된다.
이러한 광커넥터의 접속 연결구조를 통해, 광섬유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변조된 광신호를 받아 전송하고 전송된 광신호는 광-전변환을 통해 데이터로 처리된다.
종래 광커넥터의 구조가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다. 종래 광커넥터는, 광케이블(30)이 내장되는 몸체(10)와, 광단자에 진입되는 광케이블(30)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페룰(21)과, 페룰(21)의 주변으로 요구가 형성되도록 돌출된 플러그(20) 등을 기본적인 구조로 포함하고 있다.
플러그(20)는 광단자에 페룰(21)과 함께 광단자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고, 페룰(21)은 광섬유(31)가 내부에 내장 지지되는 중공축 형상의 돌기이다. 광단자에는 광소자가 내장되어 있고 페룰(21)의 단부로 노출된 광섬유(31)가 상기 광소자에 접점된다.
또한 상기 광커넥터는 몸체(10)의 양측으로 레버(40)가 구비되어 있다. 광커넥터의 플러그(20) 및 페룰(21)이 광단자에 결합되면서 각 레버(40)는 광단자의 양측면에 각각 함입된 홈부에 끼워진다. 상기 결합을 해제할 경우 레버(40)의 단부를 눌러 홈부로부터 이탈시키면 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 광커넥터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50)이 광케이블(30)의 외주연에 권취되어 있는 형태로 내장된다. 코일스프링(50)은 광케이블(30)의 축선방향 특히 페룰(21)이 위치한 전방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압착수단이다. 코일스프링(50)의 탄성력은 광단자에 광커넥터가 결합되고 광섬유(31)의 단부에 광소자가 접점될 때 보다 강한 밀착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결국 광케이블(30)이 몸체(10)의 내부에서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됨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페룰(21)은 플러그(20)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광케이블(30)의 광섬유(31)에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광케이블(30)의 광섬유(31)가 광소자에 접점될 때에는 페룰(21) 및 광섬유(31)가 함께 뒤로 밀리게 되며 이 때 압착력을 가해 광섬유(31)가 광소자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코일스프링(50)이 내장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50)은 광케이블(30)의 외주연에 구비된 지지부재(51)보다 직경이 작다. 지지부재(51)는 몸체(10)에 내장되고 몸체(10) 내에 의해 전진이 제한되도록 취부되어 있다. 코일스프링(50)은 지지부재(51)의 후방으로 배치됨으로 페룰(21) 및 광섬유(31)가 밀리면 지지부재(51)에 의해 압축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50) 및 지지부재(51)의 취부구조는 조립공정을 복잡하게 만들고 비숙련공의 조립작업을 어렵게 한다.
그리고 종래 광커넥터는, 광케이블(30)과 광케이블(30)의 전단부의 광섬유(31)가 일체로 끼움 결합된 페룰(21)이 몸체(10) 내에서 전/후진이 가능한 독립적인 움직임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로 인해 외부에 몰딩처리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 취약점은, 몸체(10)와 광케이블(30)이 일체로 고정되지 못함으로, 존재하는 유격으로 이물질이 침투할 소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광커넥터의 반복적인 사용은 코일스프링(50)에 대한 피로강도 누적으로 이어지고 코일스프링(50)의 국부파손 내지 전면파손의 소지를 제공한다. 또한 수분침투로 인한 코일스프링(50)의 부식 등도 이러한 소지제공에 기능한다.
이에 따라 광커넥터와 광단자의 결합상태가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어려워지며 종국에는 광섬유(31)와 광소자 간의 접점 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광케이블(30)은 레버(40)가 형성된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끼움 결합 구조는, 광단자와 광커넥터의 결합을 위해 광케이블(30)에 대하여 일정한 유동성을 제공하는 헐거운 끼움 구조이다. 상기 끼움 결합 구조가 해제되면, 광케이블(30)은 몸체(10)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몸체(10)와 광케이블(30) 간의 결합강도(인장강도)를 약 2kgf 정도로 제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럼으로 종래 광커넥터는 코일스프링(50)의 내장구조와 더불어 내구성이 매우 약함으로 장기간의 사용을 담보해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광단자에 대한 광섬유의 접점중심 유지의 향상을 위해 레버 결합 구조 및 로커 결합 구조가 겸비된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인장강도의 향상을 위해 몸체 내부에 광케이블을 클램퍼 압착구조로 고정한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광케이블을 클램퍼로 압착 고정함으로써, 이물질 차단을 위한 몰딩처리가 가능한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들은, 내장되는 광케이블이 클램퍼로 압착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광단자 내에 접점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되고 상기 광섬유를 내장 지지하는 페룰; 상기 페룰의 주변으로 요구를 형성시키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페룰과 더불어 상기 광단자에 끼움 결합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는, 상기 광단자에 대한 결합에 연동하여 벌려지는 각 단부의 걸림구가 상기 광단자 양측의 대칭 함입된 홈부에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레버가 대칭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광단자의 상/하로 대칭 개구 및 관통된 각 관통구에 상기 레버의 결합과 동반하여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로커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퍼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동일 평면상으로 내장되는 연결판과, 상기 광케이블의 클래드층에 외장된 제 1피복층을 하향 압착하도록 상기연결판의 전방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방 압착판과, 상기 제 1피복층에 외장된 제 2피복층을 하향 압착하도록 상기 연결판의 후방이 하향 절곡된 후방 압착판과, 상기 전방 압착판 및 후방 압착판의 하부에, 압착하는 제 1피복층 및 제 2피복층보다 작은 내경으로 요설되는 제 1압착홈 및 제 2압착홈과, 상기 연결판의 양측부가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고, 높이방향으로 갈수록 표면과 멀어지며 돌출된 형상의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의 상부에 관통된 고정구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 내부 측면의 각 돌출부위 및 상기 돌출부위 하부의 요설부위에 상기 고정구 및 고정편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압착홈의 테두리는 상대적으로 더 큰 외경의 제 2피복층을 압착 고정하기 위해 돌출과 함몰이 반복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커는, 상기 플러그의 돌출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고 폭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몸체부는, 타측에 인접한 상기 광케이블을 외장 지지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 피복 처리된 몰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광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커넥터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광커넥터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클램퍼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0: 몸체부 110: 레버 110a: 걸림구
120: 클램퍼 121: 연결판 122: 전방 압착판
122a: 제 1압착홈 123: 후방 압착판 123a: 제 2압착홈
124: 고정판 124a: 고정편 124b: 고정구
130: 몰딩층 140: 노브 200: 플러그
200a: 요구 210: 로커 220: 가이드
300: 페룰 1000: 광커넥터 2000: 광케이블
2100: 광섬유 2200: 제 1피복층 2300: 제 2피복층
3000: 광단자 3100: 홈부 3200: 관통구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커넥터(10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커넥터(1000)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광커넥터(1000)의 정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커넥터(1000)는, 몸체부(100) 전방의 플러그(200)에는 로커(210)가 돌출되고, 몸체부(100)의 양측으로는 레버(110)가 형성되어 광단자(3000)에 대한 결합시 로커(210)와 레버(110)가 모두 결합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는 구조이다.
광단자(3000)에는 로커(210)와의 결합을 위해 상부와 하부로 각각 관통구(3200)가 대응 형성되어 있고, 양측으로는 홈부(3100)가 형성되어 레버(110)에 돌출된 걸림구(110a)가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각 결합구조의 마련으로 광커넥터(1000)의 광섬유(2100)와 광단자(3000)간의 광학적인 접점중심이 보다 공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광커넥터(1000)는, 광케이블(2000)이 내장되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전방으로 돌출된 플러그(200)와, 플러그(200)의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고 광섬유(2100)가 내장 지지된 페룰(300) 및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에 연결되어 축선방향을 따라 구비된 한 쌍의 레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0)는, 길쭉한 육면체 기둥의 외형을 갖고 있으며, 내부에는 광케이블(2000)이 축선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내장되어 있다. 내장된 광케이블(2000)은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움직임이 없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클램퍼(120)로 압착된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페룰(300)의 주변으로 요구(200a)를 형성하는 것이 플러그(200)이다. 플러그(200)는 팔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광단자(3000)에 삽입되는 것으로 방향을 뒤바꿔서 사용해도 무방하도록 사방이 대칭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200)의 내측으로는 상기 페룰(300)이 돌출되어 있고, 양측에 축선방향을 따라 동반 형성되어 있는 것은 광단자(3000)에 대한 결합을 안내하는 가이드(220)이다.
이 때 몸체부(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된 것이 로커(210)이다. 로커(210)는 플러그(200)의 축선방향을 따라 반원형상으로 라운드져 있으며 이 형상이 폭방향을 따라 연속되며 형성된다. 광커넥터(1000)가 광단자(3000)에 진입되면 로커(210)는 광단자(3000)의 관통구(3200)에 전방으로 형성된 개구부위를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관통구(3200)에 이르러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로커(210)는 몸체부(100)의 상/하에 구비됨으로 광단자(3000)에 대한 결합시 상/하로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능할 수 있다.
페룰(300)은, 광케이블(2000)의 광섬유(2100)를 내장 지지하여 광단자(3000)에 결합됨에 따라 해당 접점부위인 광소자와 정확히 도킹하기 위한 것으로, 플러그(200)의 내부에서 중공의 봉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페룰(300)의 주변으로는 플러그(200)가 돌출되면서 형성된 요구(200a)가 위치하고 광케이블(2000)의 광섬유(2100)가 내장되도록 몸체부(100)와 상통하며 플러그(200)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표면에는 몰딩층(130)이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후방으로 인접한 광케이블(2000)이 사용 중 꺽여지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선보호대로서 노브(140)가 외장되어 있는데, 몰딩층(130)과 노브(140)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에 내장된 광케이블(2000)은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어떠한 유격도 존재함이 없이 고정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레버(110)는 몸체부(100)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양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지레대의 구조로 작동될 수 있도록 앞뒤가 각각 하향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뒷부분의 상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손으로 눌러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앞부분의 밑면에는 광단자(3000)의 측부에 끼워지기 위한 걸림구(110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110)는 좌/우로 구비됨으로, 광단자(3000)에 대한 결합시 좌/우로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광커넥터(1000)는, 광단자(3000)에 대한 광커넥터(1000)의 결합에 따라 레버(110)와 로커(210)가 2중의 결합수단으로 기능하게 되고, 결합 뒤 사방으로 유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광섬유(2100)의 접점중심이 보다 공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에는 각 피복층(2200,2300)이 부분적으로 선별되어 벗겨진 광케이블(2000)이 내장되어 있다. 몸체부(100)의 전방으로는 플러그(200) 및 페룰(3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20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로커(210)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그(200) 및 페룰(300)은 광단자(300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플러그(200)는 몸체부(100)의 전면보다 작은 크기로 돌출되어, 광단자(3000)에 진입되면서 레버(110)의 걸림구(110a)와 플러그(200)의 로커(210)가 광단자(3000)의 홈부(3100)와 관통구(3200)에 각각 끼움 결합되면, 상대적으로 큰 몸체부(100)의 전면 테두리가 광단자(3000)의 전방에 걸리면서 플러그(200)와 페룰(300)의 진입이 멈춰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 때 플러그(200)는 광단자(3000)에 대한 진입이 용이하도록 전방 테두리가 경사지게 부분 절단되어 있으며, 페룰(300)은 광섬유(2100)의 접점이 용이하도록 테두리 내측이 경사지게 부분 절단되어 있다.
그리고 노브(140)는 몸체부(100)의 후방에 몰딩층(13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광케이블(2000)이 꺽여지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이 주름져 있다. 이러한 몰딩층(130) 및 노브(140)가 몸체부(100) 및 인접한 광케이블(2000)까지 덮어 고정됨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될 유격이 사라진다.
여기서 광케이블(2000)은, 코어층와 클래층을 포함한 광섬유(2100)와, 광섬유(2100)에 외장되는 제 1피복층(2200) 및 제 2피복층(230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페룰(300)에는 제 1피복층(2200) 및 제 2피복층(2300) 모두가 벗겨지고 그 안에 있던 광섬유(2100)만이 내장된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2000)이 내장되는 구조에서, 광케이블(2000)은 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클램퍼(120)에 의해 압착 고정된다. 클램퍼(120)는전방 압착판(122), 후방 압착판(123), 연결판(121) 및 고정판(124)이 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직사각의 연결판(121) 전방이 하향 절곡된 것이 전방 압착판(122)이고, 후방이 하향 절곡된 것이 후방 압착판(123)이다. 그리고 연결판(121)의 양측부가 대칭으로 하향 절곡된 것이 고정판(124)이다.
이 때 전방 압착판(122)은 광케이블(2000)에서 광섬유(2100)에 외장된 제 1피복층(2200)을 하향 압착한다. 그리고 후방 압착판(123)은 제 1피복층(2200)에 외장된 제 2피복층(2300)을 하향 압착한다.
이를 위해 광케이블(2000)은 몸체부(100)에 대한 내장 조립과정 이전에, 광섬유(2100)가 페룰(300)에 내장되도록 전방부위의 각 피복층(2200,2300)을 모두 벗겨내고, 그 뒤로는 전방 압착판(122)에 제 1피복층(2200)이 압착되도록 제 2피복층(2300)만을 벗겨내며, 그 뒤로는 후방 압착판(123)에 제 2피복층(2300)이 압착되도록 온전한 광케이블(2000) 상태로 둔다. 그리고 광케이블(2000)의 내장 조립과정에서, 광케이블(2000)을 몸체부(100)에 삽입하고 클램퍼(120)의 각 압착판(122,123)으로 압착하여 광케이블(2000)을 고정한다.
도 7은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클램퍼(120)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퍼(120)는, 몸체부(100)의 축선방향으로 보다 긴 길이를 갖는 사각의 연결판(121)과, 연결판(121)의 전방이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전방 압착판(122) 및 연결판(121)의 후방이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후방 압착판(1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판(121)의 양측부가 대칭되게 하향 절곡된 한쌍의 고정판(124)을 포함한다.
전방 압착판(122)의 하부는 압착되는 광케이블(2000)의 제 1피복층(220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으로 둥글게 파여져 제 1압착홈(122a)이 요설됨으로써, 제 1압착홈(122a)가 제 1피복층(2200) 위를 내리 눌러 압착하면서 보다 공고히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압착판(123)의 하부는 압착되는 제 2피복층(230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으로 둥글게 파여져 제 2압착홈(123a)이 요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압착홈(123a)이 제 2피복층(2300) 위를 내리 눌러 압착함으로써, 제 2피복층(2300)을 보다 공고히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판(121)의 양측부가 대칭으로 하향 절곡된 고정판(124)에는 하부 중앙부위에 높이방향으로 갈수록 표면과 멀어지는 형상의 고정편(124a)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124a)의 상부에는 사각의 고정구(124b)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응하는 몸체부(100) 내부의 마주보는 양측 표면에는 상면이 하향 경사지는 한쌍의 돌출부위가 대칭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클램퍼(120)가 몸체부(100) 내로 진입하고 각 압착홈(122a,123a)이 각 피복층(2200,2300)을 압착 고정하면서 고정편(124a)은 몸체부(100) 내부의 돌출부위의 상면을 타고 내려오면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다가 이를 극복 복원되어 돌출부위의 하부의 요설부위에 끼워지고, 고정편(124a) 상부의 고정구(124b)에는 상기 돌출부위가 내측으로 끼워지게 됨으로써, 클램퍼(120) 전체가 몸체부(100) 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100)에 고정된 클램퍼(120)는 몰딩층(130)을 벗기면 연결판(121)이 몸체부(100)의 상면에 동일 평면상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조립과정에서 축선방향을 따라 각 피복층(2200,2300)이 선별적으로 벗겨진 광케이블(2000)이 몸체부(100)로 진입하고 광섬유(2100)는 페룰(300)에 내장되면, 클램퍼(120)가 몸체부(100)의 상부를 통해 아래로 눌려지면서 각 압착판(122,123)의 각 압착홈(122a,123a)이 각 피복층(2200,2300)을 내리눌러 압착시킨다.
이 때 제 2피복층(2300)은 제 1피복층(2200)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기 때문에, 보강된 압착구조가 요구되는데, 이에 따라 제 2압착홈(124a)의 테두리는 돌출과 함몰이 반복되는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제 2압착홈(124a)의 사다리꼴 형상 의 테두리가 제 2피복층(2300)을 내리 누르면서 제 2피복층(2300)을 보다 공고히 압착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광단자(3000)에 대한 결합시 몸체부(100) 양측의 레버(110) 및 플러그(200) 상/하의 로커(210)는 외부 결합을 공고하게 하는 구조로서 기능함으로, 이에 더하여 클램퍼(120)의 구비로 사방 각 방향에서의 유격방지와 더불어 내부에서의 유격방지에 기능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1000)에서, 몸체부(100)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측부에 레버(110)가 구비되는 구조가 예시되고 있지만 이외에, 보다 두꺼운 측부에 레버(110)가 각각 구비되는 구조의 사용도 가능할 것이며, 이에 대응하여 로커(210)는 레버(110)가 배치되지 않은 방향의 플러그(200) 측부에 형성되는 구조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클램퍼(120)는 몸체부(10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 이외에, 하부면에도 대칭되게 별도로 클램퍼(120)가 구비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에 의하면, 상/하와 좌/우로 각각 로커 및 레버가 구비되고 로커 및 레버가 광단자 내에 끼움 결합되는 등 이중의 결합구조를 갖음으로써, 광섬유와 광단자 내의 광소자에 대한 광학적인 접점 중심을 보다 공고히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클램퍼에 의한 압착 고정 구조를 갖음으로써, 몸체부 내에서 광케이블이 공고히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몰딩층의 피복구조가 가능하고 몸체부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 내장되는 광케이블(2000)이 클램퍼(120)로 압착 고정되는 몸체부(100);상기 광케이블(2000)의 광섬유(2100)가 광단자(3000) 내에 접점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 돌출되고 상기 광섬유(2100)를 내장 지지하는 페룰(300);상기 페룰(300)의 주변으로 요구(200a)를 형성시키며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서 사방이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페룰(300)과 더불어 상기 광단자(3000)에 끼움 결합되는 플러그(200);를 포함하며,상기 몸체부(100)의 양측에는, 상기 광단자(3000)에 대한 결합에 연동하여 벌려지는 각 단부의 걸림구(110a)가 상기 광단자(3000) 양측의 대칭 함입된 홈부(3100)에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레버(110)가 대칭 형성되고,상기 플러그(200)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광단자(3000)의 상/하로 대칭 개구 및 관통된 각 관통구(3200)에 상기 레버(110)의 결합과 동반하여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로커(21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120)는, 상기 몸체부(100)의 측면에 동일 평면상으로 내장되는 연결판(121)과,상기 광케이블(2000)의 클래드층에 외장된 제 1피복층(2200)을 하향 압착하도록 상기 연결판(121)의 전방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방 압착판(122)과,상기 제 1피복층(2200)에 외장된 제 2피복층(2300)을 하향 압착하도록 상기 연결판(121)의 후방이 하향 절곡된 후방 압착판(123)과,상기 전방 압착판(122) 및 후방 압착판(123)의 하부에, 압착하는 제 1피복층(2200) 및 제 2피복층(2300)보다 작은 내경으로 요설되는 제 1압착홈(122a) 및 제 2압착홈(123a)과,상기 연결판(121)의 양측부가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고, 높이방향으로 갈수록 표면과 멀어지며 돌출된 형상의 고정편(124a) 및 상기 고정편(124a)의 상부에 관통된 고정구(124b)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100) 내부 측면의 각 돌출부위 및 상기 돌출부위 하부의 요설부위에 상기 고정구(124b) 및 고정편(124a)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판(1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압착홈(123a)의 테두리는 돌출과 함몰이 반복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210)는, 상기 플러그(200)의 돌출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고 폭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타측에 인접한 상기 광케이블(2000)을 외장 지지하는 노브(140) 및 상기 노브(14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표면에 피복 처리된 몰딩층(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5420U KR200330875Y1 (ko) | 2003-08-07 | 2003-08-07 |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갖는 광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5420U KR200330875Y1 (ko) | 2003-08-07 | 2003-08-07 |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갖는 광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0875Y1 true KR200330875Y1 (ko) | 2003-10-22 |
Family
ID=4941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5420U KR200330875Y1 (ko) | 2003-08-07 | 2003-08-07 |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갖는 광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0875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7759B1 (ko) * | 2017-04-28 | 2019-12-19 | 유영상 | 케이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수납 장치 |
CN115585379A (zh) * | 2022-11-08 | 2023-01-10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电网光端机结构装置 |
-
2003
- 2003-08-07 KR KR20-2003-0025420U patent/KR20033087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7759B1 (ko) * | 2017-04-28 | 2019-12-19 | 유영상 | 케이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수납 장치 |
CN115585379A (zh) * | 2022-11-08 | 2023-01-10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电网光端机结构装置 |
CN115585379B (zh) * | 2022-11-08 | 2024-04-02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电网光端机结构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86625A (en) |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retainer | |
JP4942327B2 (ja) | 光コネクタ | |
JP3735011B2 (ja) |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 | |
US7621676B2 (en) | Optical connector | |
JP5085694B2 (ja) | 光コネクタ | |
JP2780640B2 (ja) |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接続コネクタ | |
KR20020087965A (ko) | 광섬유플러그접속부용 이중접속부 | |
JP2002107574A (ja) | 光コネクタ | |
JP2001235654A (ja) | 光コネクタ | |
JP2002023022A (ja) |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 |
US8905649B2 (en) | Optical fiber terminal fixing member,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fiber cable with connector | |
US7182622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JP2003157926A (ja) | 光、電気複合コネクタ装置 | |
KR200330875Y1 (ko) | 광섬유의 광학적인 접점유지를 위한 이중 결합구조를갖는 광커넥터 | |
US9250394B2 (en) | Connector for ribbon optical fiber | |
EP2631691A1 (en) | Optical fiber terminal, optical fiber cable with terminal, optical connector, optical fiber cable with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 |
KR100940186B1 (ko) | 광 컨넥터 | |
US6352373B1 (en) | Optical connector | |
JPH08292344A (ja) | 光ファイバの保持構造、及び光コネクタ | |
US7081013B2 (en) | Structure of removable electrical connector | |
JPS62159108A (ja) | 光フアイバ用コネクタ | |
JP2601675Y2 (ja) |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接続コネクタ | |
JP4017974B2 (ja) | 光電気コネクタ | |
JP3761403B2 (ja) | 光コネクタの嵌合構造、電気コネクタの嵌合構造、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の嵌合構造 | |
CN212846042U (zh) | 一体式mpo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01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