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583Y1 - 도어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583Y1
KR200330583Y1 KR20-2003-0024073U KR20030024073U KR200330583Y1 KR 200330583 Y1 KR200330583 Y1 KR 200330583Y1 KR 20030024073 U KR20030024073 U KR 20030024073U KR 200330583 Y1 KR200330583 Y1 KR 200330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ssword
microprocessor
butt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경
Original Assignee
권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경 filed Critical 권태경
Priority to KR20-2003-0024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5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5Saving energy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모콘을 사용하거나 또는 단일의 버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을 하나의 버튼으로 줄여 비밀번호의 누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본 고안의 도어잠금장치는, 도어외부에서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잠금 신호를 발생하고 도어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버튼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시 스위치가 온되어 전원을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공급하는 충격센서와, 도어내부에서 도어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키신호 및 도어내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내부버튼과, 상기 충격센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어 상기 내부버튼의 조작에 의한 비밀번호 변경이나 잠금 해제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버튼로부터 발생된 조작키 신호에 의해 잠금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거나 비밀번호를 번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할 시 잠금해제동작을 하기 위한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터구동신호에 의해 잠금동작이나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록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본 고안은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콘을 사용하거나 또는 단일의 버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잠금장치는 열쇠와 자물쇠 구조에 의한 기계적인 구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잠금장치는 건물의 출입도어의 경우 잠금장치가 도어 상부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개폐하기 위해 열쇠를 소지하고 이를 자물쇠에 기계적으로 작동시켜야 하기 위해 받침대에 올라서야 하고, 또한 잠금장치가 도어 하부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허리를 굽히고 자물쇠를 열쇠로 기계적으로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들어 전자식 도어 잠금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전자식 도어 잠금장치는 카드키 형태의 시건장치, 지문 또는 홍채인식 및 비빌번호를 입력시키는 도어잠금장치가 있다.
상기 전자식 도어 잠금장치중 비밀번호를 입력시켜 도어를 개폐하는 전자 도어잠금 장치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955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95518호에는 다수개의 숫자키버튼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비밀번호 숫자를 입력시켜 도어를 오픈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반복적으로 누른 키버튼의 흔적이 남게 되어 다른 사람에게 비밀번호를 노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또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여러 개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키버튼으로 인한 부피가 커져 도어잠금장치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을 하나의 버튼으로 줄여 비밀번호의 누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충격이 가해질 때 설정시간 동안만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하여 각종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모듈(100)의 장착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록킹부(34)의 상세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에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리모콘 12: 적외선센서
14: 외부버튼 16: 배터리
18: 외부전원 20: 충격센서
22: 외부 LED 24: 내부버튼
28: 마이크로 프로세서 30: 내부 LED
32: 부저 34: 록킹부
38: 제1 리미트 스위치 40: 제2 리미트 스위치
50: 케이스 52: 모터
54: 피니언 56: 래크
58: 걸림쇠 60: 데드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도어잠금장치는, 도어외부에서 도어를잠그기 위한 도어잠금 신호를 발생하고 도어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버튼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시 스위치가 온되어 전원을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공급하는 충격센서와, 도어내부에서 도어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키신호 및 도어내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내부버튼과, 상기 충격센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어 상기 내부버튼의 조작에 의한 비밀번호 변경이나 잠금 해제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버튼로부터 발생된 조작키 신호에 의해 잠금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거나 비밀번호를 번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할 시 잠금해제동작을 하기 위한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터구동신호에 의해 잠금동작이나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록킹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로부터 잠금동작이 수행될 때 잠금완료 동작을 센싱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록킹부로부터 잠금해제 동작이 수행될 때 잠금해제 완료동작을 센싱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버튼이나 상기 내부버튼의 조작에 따라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구동신호 및 부저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나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센싱신호가 입력될 시 모터구동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충격센서에서 충격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전원을 공급받은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충격센서를 제어하여 전원공급을중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버튼을 키조작할 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외부 LED와, 상기 내부버튼을 키조작할 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내부 LED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 또는 외부에서 키조작 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동작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부저음을 발생하는 부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터구동신호를 받아 정회전 또는 회전동작을 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리도록 제어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피니언과, 수평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래크와, 상기 래크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래크가 이동함에 따라 도어문틀에 형성된 홀에 진입하거나 후퇴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리도록 하는 데드볼트와, 상기 래크의 하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래크가 좌,우로 이동할 때 물리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걸림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모듈(100)과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모듈(200)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모듈(100)은 적외선센서(12), 외부버튼(14), 외부LED(22), 외부전원(18)으로 구성되고, 내부모듈(200)은 배터리(16), 충격센서(20), 내부버튼(24), 내부LED(30), 부저(32), 록킹부(34),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38, 40), 마이크로 프로세서(28)로 구성되어 있다.
리모콘(10)은 원격으로 도어를 잠그하거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키신호를 변조하여 적외선으로 출력한다. 적외선 센서(12)는 상기 리모콘(10)으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키신호를 받아 복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8)로 인가한다. 외부버튼(14)는 도어외부에서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잠금 신호를 발생하고 도어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단일의 푸쉬버튼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16)는 전원을 공급한다. 외부전원(18)은 배터리(16)가 방전되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시 비상용 전원을 공급한다. 충격센서(20)는 상기 배터리(16)나 외부전원(18)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시 스위치를 온되어 전원을 마이크로 프로세서(28)로 공급한다. 외부 LED(22)는 외부에서 키조작 시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내부버튼(24)은 도어내부에서 도어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키신호 및 도어내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단일의 푸쉬버튼 스위치로 구성된다. 내부 LED(30)는 내부에서 키조작 시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부저(32)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키조작 시 동작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부저음을 발생한다. 록킹부(3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8)의 모터구동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잠금동작이나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리미트 스위치(38)는 상기 록킹부(34)로부터 잠금동작이 수행될 때 잠금완료 동작을 센싱한다. 제2 리미트 스위치(40)는 상기 록킹부(34)로부터 잠금해제 동작이 수행될 때 잠금해제 완료동작을 센싱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상기 충격센서(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어 내부버튼(24)의 조작에 의한 비밀번호 변경이나 잠금 해제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외부버튼(14)로부터 발생된 조작키 신호에 의해 잠금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거나 비밀번호를 번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할 시 잠금해제동작을 하기 위한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외부 버튼(14)나 내부버튼(24)의 조작에 따라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구동신호 및 부저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1 리미트 스위치(38)나 제2 리미트 스위치(40)로부터 센싱신호가 입력될 시 모터구동 정지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충격센서(20)에서 충격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전원을 공급받은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충격센서(20)를 제어하여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모듈(100)의 장착상태의 정면도로서,
상기 리모콘(10)으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키신호를 받아 복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8)로 인가하는 적외선 센서(12)와, 외부전원(18)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17)와, 도어외부에서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잠금 신호를 발생하고 도어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단일의 푸쉬버튼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는 외부버튼(14)과, 내부에서 키조작 시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외부 LED(22)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록킹부(34)의 상세구조도이다.
내부모듈(200)내에 형성되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의 내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28)의 모터구동신호를 받아 정회전 또는 회전동작을 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리도록 제어하는 모터(52)와, 상기 모터(5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피니언(54)과, 수평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54)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래크(56)와, 상기 래크(56)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래크(56)가 이동함에 따라 도어문틀에 형성된 홀(도시하지 않음)에 진입하거나 후퇴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리도록 하는 데드볼트(60)와, 상기 래크(56)의 하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래크(56)가 좌,우로 이동할 때 물리적으로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38, 40)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걸림쇠(58)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에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초기 비밀번호는 000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정상상태에서는 도어잠금장치는 배터리(16)이나 외부전원(18)의 전원이 충격센서(20)가 오프됨에 의해 항상 공급중단 상태에 있다가 도어의 도어잠금장치를 두드려 충격을 주게되면 충격센서(20)가 온된다. 따라서 101단계에서 충격센서(20)에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센서(20)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가 온되어 10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로 전원이 공급된다. 그런 후 103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타이머를 동작시켜 시간을 카운팅한다. 상기 타이머는 설정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와 키입력이 있을 때마다 초기화되어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104단계에서 내부버튼(24)가 눌러지는가 검사하여 내부버튼(24)이 눌러지지 않으면 1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5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전원이 공급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가 검사하여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104단계로 돌아가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1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충격센서(20)를 제어하여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하여 전원공급을 중단되면 슬립모드로 들어간다. 그러나 내부버튼(24)이 눌러지면 107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내부버튼(24)이 제1 설정시간(예컨대 약5초)동안 눌러졌는가 검사하여 제1 설정시간동안 눌러지지 않았으면 1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제2설정시간(예컨대 1초)동안 눌러졌는가 검사하여 제1 설정시간동안 눌러지지 않았으면 107단계로 돌아가고, 제2 설정시간동안 눌러졌으면 1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9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도어잠금 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모터(52)로 출력한다. 이때 모터(52)는 정회전하여 록킹부(34)의 피니언(54)의 회전에 의해 래크(56)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데드볼트(60)가 도어문틀에 형성된 홀(도시하지 않음)로 진입하여 도어가 잠기도록 한다. 이때 래크(56)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걸림쇠(58)는 제2리미트 스위치(40)를 온시키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이를 감지하여 모터구동 정지신호를 모터(52)로 인가한다.
또한 상기 내부버튼(24)이 제1 설정시간(예컨대 5초) 동안 눌러졌으면 110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부저(32)를 구동하여 부저음(예를 들어 삑삑 소리)을 발생하는 동시에 내부 LED(30)을 점멸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이 부저음과 내부LED(30)의 점멸상태를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 비밀번호의 입력은 예를 들어 4개로 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내부버튼을 1번 누르면 1, 2번 누르면 2, 3번 누르면 3이되며, 0번은 10번을 누르면 된다. 그리고 그 다음 숫자를 누르기 위해서는 2초 동안 기다린 후 그 다음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횟수만큼 누르는 방식으로 4개의 비밀번호를 누른다. 예를 들어 초기에 0000으로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다면 내부버튼(24)을 10번 누르고, 2초가 경과된 후 다시 10번 누르고, 다시 2초가 경과된 후 다시 내부버튼(24)을 10번 누르며, 2초가 경과된 후 내부버튼(24)을 10번 누르면 된다. 이렇게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111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 11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설정된 비밀번호와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검사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118단계로 진행하여 에러처리를 한다. 그러나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113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부저(32)를 구동하여 부저음(예를 들어 삑삑 소리)을 발생하는 동시에 내부 LED(30)을 점멸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이 부저음과 내부LED(30)의 점멸상태를 확인하고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 새로운 비밀번호의 입력은 예를 들어 4개로 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내부버튼을 1번 누르면 1, 2번 누르면 2, 3번 누르면 3이되며, 0번은 10번을 누르면 된다. 그리고 그 다음 숫자를 누르기 위해서는 2초 동안 기다린 후 그 다음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횟수만큼 누르는 방식으로 4개의 비밀번호를 누른다. 예를 들어 새로운 비밀번호가 1234라면 내부버튼(24)을 1번 누르고, 2초가 경과된 후 다시 2번 누르고, 다시 2초가 경과된 후 다시 내부버튼(24)을 3번 누르며, 2초가 경과된 후 내부버튼(24)을 4번 누르면 된다. 이렇게 새로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114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 115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비밀번호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새로운 비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되었으면 116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1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7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부저(32)를 구동하여 부저음(예를 들어 삑삑 소리)을 발생하는 동시에 내부 LED(30)을 점멸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놓은 후 외부에서 외부버튼(14)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페하는 동작을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상상태에서는 도어잠금장치는 배터리(16)이나 외부전원(18)의 전원이 충격센서(20)가 오프됨에 의해 항상 공급중단 상태에 있다가 도어의 도어잠금장치를 두드려 충격을 주게되면 충격센서(20)가 온된다. 따라서 201단계에서 충격센서(20)에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센서(20)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가 온되어 20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로 전원이 공급된다. 그런 후 203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타이머를 동작시켜 시간을 카운팅한다. 상기 타이머는 설정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와 키입력이 있을 때마다 초기화되어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204단계에서 외부버튼(14)이 눌러지는가 검사하여 외부버튼(14)이 눌러지지 않으면 2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전원이 공급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가 검사하여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204단계로 돌아가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2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충격센서(20)를 제어하여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하여 전원공급을 중단되면 슬립모드로 들어간다. 그러나 외부버튼(14)이 눌러지면 207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외부버튼(24)이 제1 설정시간(예컨대 약5초)동안 눌러졌는가 검사하여 제1 설정시간동안 눌러지지 않았으면 2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제2설정시간(예컨대 1초)동안 눌러졌는가 검사하여 제1 설정시간동안 눌러지지 않았으면 207단계로 돌아가고, 제2 설정시간동안 눌러졌으면 2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9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부저(32)를 구동하여 부저음(예를 들어 삑삑 소리)을 발생하는 동시에 내부 LED(30)을 점멸하도록 한다. 그런 후 21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도어잠금 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모터(52)로 출력한다. 이때 모터(52)는 정회전하여 록킹부(34)의 피니언(54)의 회전에 의해 래크(56)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데드볼트(60)가 도어문틀에 형성된 홀(도시하지 않음)로 진입하여 도어가 잠기도록 한다. 이때 래크(56)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걸림쇠(58)는 제2리미트 스위치(40)를 온시키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이를 감지하여 모터구동 정지신호를 모터(52)로 인가한다.
그러나 상기 내부버튼(24)이 제1 설정시간(예컨대 5초) 동안 눌러졌으면 211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부저(32)를 구동하여 부저음(예를 들어 삑삑 소리)을 발생하는 동시에 내부 LED(30)을 점멸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이 부저음과 내부LED(30)의 점멸상태를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 내부버튼을 1번 누르면 1, 2번 누르면 2, 3번 누르면 3이 되며, 0번은 10번을 누르면 된다. 그리고 그 다음 숫자를 누르기 위해서는 2초 동안 기다린 후 그 다음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횟수만큼 누르는 방식으로 4개의 비밀번호를 누른다. 예를 들어 1234로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다면 내부버튼(24)을 1번 누르고, 2초가 경과된 후 다시 2번 누르고, 다시 2초가 경과된 후 다시 내부버튼(24)을 3번 누르며, 2초가 경과된 후 내부버튼(24)을 4번 누르면 된다. 이렇게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21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 213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설정된 비밀번호와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검사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216단계로 진행하여 에러처리를 한다. 그러나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214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부저(32)를 구동하여 부저음(예를 들어 삑삑 소리)을 발생하는 동시에 내부 LED(30)을 점멸하도록 한다. 그런 후 215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도어잠금 해제 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모터(52)로 출력한다. 이때 모터(52)는 역회전하여 록킹부(34)의 피니언(54)의 역회전에 의해 래크(56)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데드볼트(60)가 도어문틀에형성된 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빠져나와 도어잠김이 해제되도록 한다. 이때 래크(56)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걸림쇠(58)는 제1리미트 스위치(38)를 온시키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이를 감지하여 모터구동 정지신호를 모터(52)로 인가한다.
한편 외부에서 리모콘(10)을 소지하여 리모콘(10)에 의해 도어잠금장치를 개폐하는 동작을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상상태에서는 도어잠금장치는 배터리(16)이나 외부전원(18)의 전원이 충격센서(20)가 오프됨에 의해 항상 공급중단 상태에 있다가 도어의 도어잠금장치를 두드려 충격을 주게되면 충격센서(20)가 온된다. 따라서 301단계에서 충격센서(20)에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센서(20)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가 온되어 30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로 전원이 공급된다. 그런 후 303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타이머를 동작시켜 시간을 카운팅한다. 그리고 304단계에서 적외선 센서(12)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었는가 검사하여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3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5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전원이 공급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가 검사하여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304단계로 돌아가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3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충격센서(20)를 제어하여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하여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슬립모드로 들어간다. 그러나 적외선센서(12)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면 308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부저(32)를 구동하여 부저음(예를 들어 삑삑 소리)을 발생하는 동시에 내부 LED(30)을 점멸하도록 한다. 그리고 309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도어잠금 해제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모터(52)로 출력한다. 이때 모터(52)는 역회전하여 록킹부(34)의 피니언(54)의 회전에 의해 래크(56)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데드볼트(60)가 도어문틀에 형성된 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빠져나와 도어잠금이 해제 되도록 한다. 이때 래크(56)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걸림쇠(58)는 제1리미트 스위치(38)를 온시키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이를 감지하여 모터구동 정지신호를 모터(52)로 인가한다.
그러나 도어열림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도어잠금키신호가 입력되었는지 검사하여 도어잠금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313단계로 진행하여 에러처리를 한다. 그러나 도어잠금키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312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부저(32)를 구동하여 부저음(예를 들어 삑삑 소리)을 발생하는 동시에 내부 LED(30)을 점멸하도록 한다. 그리고 31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도어잠금 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모터(52)로 출력한다. 이때 모터(52)는 정회전하여 록킹부(34)의 피니언(54)의 회전에 의해 래크(56)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데드볼트(60)가 도어문틀에 형성된 홀(도시하지 않음)로 진입하여 도어가 잠기도록 한다. 이때 래크(56)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걸림쇠(58)는 제2리미트 스위치(40)를 온시키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8)는 이를 감지하여 모터구동 정지신호를 모터(52)로 인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공급을중단시키고, 도어잠금장치의 도어잠금이나 도어잠금 해제 동작을 할 경우 도어에 충격을 주어 충격센서에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하므로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버튼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여 도어잠금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숫자키의 누름에 의한 흔적을 남기지 않으므로 타인에게 비밀번호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외부에서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잠금 신호를 발생하고 도어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버튼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시 스위치가 온되어 전원을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공급하는 충격센서와,
    도어내부에서 도어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키신호 및 도어내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내부버튼과,
    상기 충격센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어 상기 내부버튼의 조작에 의한 비밀번호 변경이나 잠금 해제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버튼로부터 발생된 조작키 신호에 의해 잠금동작을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거나 비밀번호를 번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할 시 잠금해제동작을 하기 위한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터구동신호에 의해 잠금동작이나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록킹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로부터 잠금동작이 수행될 때 잠금완료 동작을 센싱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록킹부로부터 잠금해제 동작이 수행될 때 잠금해제 완료동작을 센싱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버튼이나 상기 내부버튼의 조작에 따라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구동신호 및 부저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나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센싱신호가 입력될 시 모터구동 정지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충격센서에서 충격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전원을 공급받은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충격센서를 제어하여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버튼을 키조작할 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외부 LED와,
    상기 내부버튼을 키조작할 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내부 LED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내부 또는 외부에서 키조작 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동작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부저음을 발생하는 부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모터구동신호를 받아 정회전 또는 회전동작을 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리도록 제어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피니언과,
    수평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래크와,
    상기 래크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래크가 이동함에 따라 도어문틀에 형성된 홀에 진입하거나 후퇴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리도록 하는 데드볼트와,
    상기 래크의 하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래크가 좌,우로 이동할 때 물리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걸림쇠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KR20-2003-0024073U 2003-07-25 2003-07-25 도어잠금장치 KR200330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073U KR200330583Y1 (ko) 2003-07-25 2003-07-25 도어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073U KR200330583Y1 (ko) 2003-07-25 2003-07-25 도어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583Y1 true KR200330583Y1 (ko) 2003-10-17

Family

ID=4941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073U KR200330583Y1 (ko) 2003-07-25 2003-07-25 도어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5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9003A (zh) * 2019-03-22 2020-11-24 韩国烟草人参公社 用于使气溶胶生成装置解锁的方法和设备
US20220017042A1 (en) * 2020-07-14 2022-01-20 Nine Intelligent (Changzhou) Tech Co.,Ltd.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activating vehicle, and storage mediu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9003A (zh) * 2019-03-22 2020-11-24 韩国烟草人参公社 用于使气溶胶生成装置解锁的方法和设备
US20220017042A1 (en) * 2020-07-14 2022-01-20 Nine Intelligent (Changzhou) Tech Co.,Ltd.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activating vehicle,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7576B2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JP2688429B2 (ja) モータロック金庫
CN102597401B (zh) 电子密码锁
US20040068935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11512499B2 (e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smart lock
CN201738727U (zh) 一种保险柜
CN106555539A (zh) 基于人脸识别技术的智能防盗门
JP2002256745A (ja) リモコン式補助錠
WO1999053161A1 (en) Remotely controlled door lock system and method
KR200330583Y1 (ko) 도어잠금장치
KR200392382Y1 (ko) 도어록 장치
KR100414426B1 (ko) 저소비 전력이면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전자 도어록
JP2001342757A (ja) 二重ロック装置
KR980009726A (ko) 전자열쇠 및 그 제어방법
KR20040106668A (ko) 절전형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20040091172A (ko) 무선 도어키와 알에프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입문 잠금장치
KR200295546Y1 (ko) 초절전형 도어 락
CN219891699U (zh) 一种可自动开门的智能锁系统
JP2557286Y2 (ja) 電子錠装置
JP2001012122A (ja) 自転車用施錠装置
KR20040014711A (ko) 초절전형 도어 락
KR100574688B1 (ko) 전자식 도어록 장치
KR200249794Y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건물 제어 시스템
KR200322392Y1 (ko) 디지털 도어록장치
JPH0624534Y2 (ja) キーレス貸しロッカーの暗証番号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