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464Y1 - 앵커 조립체 - Google Patents

앵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464Y1
KR200330464Y1 KR20-2003-0024893U KR20030024893U KR200330464Y1 KR 200330464 Y1 KR200330464 Y1 KR 200330464Y1 KR 20030024893 U KR20030024893 U KR 20030024893U KR 200330464 Y1 KR200330464 Y1 KR 200330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wedge pin
nut
assembl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Original Assignee
김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용 filed Critical 김재용
Priority to KR20-2003-0024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4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4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 threaded element, e.g. screw or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 작업시 웨지핀과 앵커너트를 일일이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유통시에나 설치 작업시 앵커너트로부터 웨지핀이 분리될 염려가 없으면서도, 벽체의 구멍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앵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벽체(1)의 구멍(3)에 삽입되며 벽체(1) 내측을 향하는 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다수개의 확장편(13)이 형성된 앵커너트(10)와, 이 앵커너트(10)의 확장편(13) 내측 공간에 끼워지며 끼움방향 선단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웨지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앵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앵커너트(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편(13)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밴딩되고, 상기 웨지핀(20)의 테이퍼부(21) 선단에는 밴딩된 확장편(13)의 내측 공간에 억지끼움되는 조립부(23)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앵커 조립체{Anker assembly}
본 고안은 앵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작업시 웨지핀과 앵커너트를 일일이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유통시에나 설치 작업시 앵커너트로부터 웨지핀이 분리될 염려가 없으면서도, 벽체의 구멍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앵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앵커 조립체는 콘크리트 벽체에 매입 설치되어 배관라인 등의 피고정물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형태는 도 1에서와 같은 앵커너트(10)와 웨지핀(2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앵커너트(10)는 그 내주면 하단부에 행거(30) 등과 결합되기 위한 나선홈(15)이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소정각도로 분할된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절개선(11)이 형성되어 이 절개선(11)에 의해 다수개의 확장편(13)이 구획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웨지핀(20)은 설치시 앵커너트(10)의 상단부 내주면에 압입되는 것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앵커 조립체는 앵커너트(10)와 웨지핀(20)이 각각 별체로 제작 유통되어, 작업시 앵커너트(10)의 상단부에 웨지핀(20)을 끼워서 벽체(1)의 구멍(3)에 삽입하여 망치 등으로 타격하면, 상기 웨지핀(20)이 앵커너트(10)에 압입되면서 앵커너트(10)의 확장편(13)이 벌어져서 벽체(1)의 구멍(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앵커 조립체는 설치 작업시 상기 앵커너트(10)와 웨지핀(20)을 각각 별체로 구입하여, 이 앵커너트(10)와 웨지핀(20)을 일일이 하나씩 꺼내서 결합한 후 벽체(1)의 구멍(3)에 삽입하여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상기 앵커 조립체가 건물의 측벽에 설치될 때에는 웨지핀(20)을 앵커너트(10)에 삽입하여 측벽의 구멍(3)에 끼우다보면, 상기 웨지핀(20)이 구멍(3) 내부에서 종종 빠져버리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웨지핀(20)을 협소한 공간의 구멍에서 빼내기가 여간 어렵지 않아서, 주변에 다시 구멍(3)을 천공하여 앵커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그렇다고 하여, 상기 앵커너트(10)에 웨지핀(20)을 압입하여 유통하게 되면, 테이퍼진 웨지핀(20)의 선단쪽 일부분만이 앵커너트(10)에 압입된 상태에서 유통되므로, 유통시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웨지핀(20)과 앵커너트(10)를 미리 압입한 상태로 유통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 작업시 웨지핀과 앵커너트를 일일이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유통시에나 설치 작업시 앵커너트로부터 웨지핀이 분리될 염려가없으면서도, 벽체의 구멍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앵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앵커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앵커너트 11 : 절개선
13 : 확장편 20 : 웨지핀
21 : 테이퍼부 23 : 조립부
본 고안에 따르면, 벽체(1)의 구멍(3)에 삽입되며 벽체(1) 내측을 향하는 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다수개의 확장편(13)이 형성된 앵커너트(10)와, 이 앵커너트(10)의 확장편(13) 내측 공간에 끼워지며 끼움방향 선단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웨지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앵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앵커너트(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편(13)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밴딩되고, 상기 웨지핀(20)의 테이퍼부(21) 선단에는 밴딩된 확장편(13)의 내측 공간에 억지끼움되는 조립부(23)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립부(23)는 밴딩되기 이전의 확장편(13) 내측 공간에는 헐겁게 끼워질 수 있는 사이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상기 앵커 조립체는 앵커너트(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편(13)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밴딩되고, 상기 웨지핀(20)의 테이퍼부(21) 선단에는 밴딩된 확장편(13)의 내측 공간에 억지끼움되는 조립부(23)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웨지핀(20)이 앵커너트(10)에 일체로 조립되어 유통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앵커너트(10)는 벽체(1)의 구멍(3)에 삽입 고정되어 도 3의 행거(30) 등이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벽체(1)의 구멍(3) 내측을 향하는 단부에는 소정각도로 분할된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절개선(11)이 형성되어 이 절개선(11)에 의해 구획된 다수개의 확장편(1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확장편(13) 중 적어도 하나의 확장편(13)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밴딩되어 상기 웨지핀(20)이 이 확장편(13) 내측 공간에 억지끼움되어 일체로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앵커너트(10)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면취부(12)가 형성되어 웨지핀(20)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웨지핀(20)은 벽체(1)의 구멍(3)에 삽입된 앵커너트(10)의 확장편(13)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구멍(3)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벽체(1) 내측을 향한 기단부에는 앵커너트(10)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21)가 형성되고, 이 테이퍼부(21)의 선단에는 동일 직경으로 연장된 조립부(2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립부(23)의 직경은 밴딩된 확장편(13)의 내측 공간에는 억지끼움되나, 밴딩되기 이전의 확장편(13) 내측 공간에는 헐겁게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됨이, 상기 조립부(23)가 절개선(11) 안쪽까지 압입되더라도 절개되지 않은 앵커너트(10)의 내벽면에 걸려져서 압입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웨지핀(20)이 하단부에도 면취부(22)가 형성되어 앵커너트(1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앵커너트(10)의 단부에 형성된 확장편(13)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밴딩한 후 이 확장편(13) 내측 공간에 웨지핀(20)의 조립부(23)를 억지끼움하여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유통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앵커 조립체는 웨지핀(20)과 앵커너트(10)가 이미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벽체(1)의 구멍(3)에 설치되므로, 사용시마다 웨지핀(20)과 앵커너트(10)를 하나씩 일일이 결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측벽 등에 설치시에도 작업자의 부주의로 벽체(1)의 구멍(3)에서 상기 웨지핀(20)이 앵커너트(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더불어, 상기 웨지핀(20)의 조립부(23)는 그 직경이 밴딩되기 이전의 확장편(13) 내측 공간에 헐겁게 끼워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웨지핀(20)을 앵커너트(10)에 압입되도록 망치로 타격시 이 웨지핀(20) 선단의 조립부(23)가 절개선(11) 안쪽으로도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어서, 앵커너트(10)의 확장편(13)이 웨지핀(20)의 테이퍼부(21)에 의해 충분히 확장되어 벽체(1)의 구멍(3)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웨지핀(20)이 앵커너트(10)에 억지끼움되어 유통시 충격 등에 의해 분리될 염려가 없으며, 웨지핀(20)과 앵커너트(10)가 일체로 조립되어 있으므로, 사용시마다 웨지핀(20)과 앵커너트(10)를 하나씩 일일이 결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웨지핀(20) 선단의 조립부(23)는 앵커너트(10)의 절개선(11) 안쪽으로도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어서, 웨지핀(20) 기단의 테이퍼부(21)에 의해 앵커너트(10)의 확장편(13)이 충분히 확장되어 벽체(1)의 구멍(3)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벽체(1)의 구멍(3)에 삽입되며 벽체(1) 내측을 향하는 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다수개의 확장편(13)이 형성된 앵커너트(10)와, 이 앵커너트(10)의 확장편(13) 내측 공간에 끼워지며 끼움방향 선단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웨지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앵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앵커너트(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편(13)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밴딩되고, 상기 웨지핀(20)의 테이퍼부(21) 선단에는 밴딩된 확장편(13)의 내측 공간에 억지끼움되는 조립부(23)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23)는 밴딩되기 이전의 확장편(13) 내측 공간에는 헐겁게 끼워질 수 있는 사이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조립체.
KR20-2003-0024893U 2003-08-01 2003-08-01 앵커 조립체 KR200330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893U KR200330464Y1 (ko) 2003-08-01 2003-08-01 앵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893U KR200330464Y1 (ko) 2003-08-01 2003-08-01 앵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464Y1 true KR200330464Y1 (ko) 2003-10-17

Family

ID=4941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893U KR200330464Y1 (ko) 2003-08-01 2003-08-01 앵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4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956B1 (ko) * 2018-10-22 2019-09-11 홍석희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956B1 (ko) * 2018-10-22 2019-09-11 홍석희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5627B1 (en) Expansion anchor
KR101467929B1 (ko) 앵커 볼트
EP0834658A2 (en) Bolt anchoring device
JP6197204B1 (ja) 拡張アンカー
JP5551352B2 (ja) セルフタッピングねじ
US7216472B1 (en) Guiding shaft structure for chain connector
KR200330464Y1 (ko) 앵커 조립체
US20070160418A1 (en) Quick assembly bolt jacket
JP2008223924A (ja) 通水管の継手
JP2010014257A (ja) シャフト抜け防止構造
JP7050935B2 (ja) ファスナ
KR100708539B1 (ko) 고정용 앵커
KR200250946Y1 (ko) 앵커볼트
KR100687448B1 (ko) 스트롱 앵커
KR20150103491A (ko) 슬리브의 길이를 크게 줄인 개량형 세트 앵커볼트
JP4339107B2 (ja) セグメントリング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金具
JP2017166687A (ja) 拡張アンカー装置
KR200181891Y1 (ko) 하수관 분기 연결관
KR20170096665A (ko) 앙카볼트
KR101252254B1 (ko) 앵커 볼트
KR200271367Y1 (ko) 앵커볼트
KR200195663Y1 (ko) 앵커 볼트
KR200271373Y1 (ko) 앵커볼트
KR200387963Y1 (ko) 앵커 볼트
KR200402342Y1 (ko) 와셔 고정용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719

Effective date: 20050728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