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956B1 -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956B1
KR102019956B1 KR1020180125844A KR20180125844A KR102019956B1 KR 102019956 B1 KR102019956 B1 KR 102019956B1 KR 1020180125844 A KR1020180125844 A KR 1020180125844A KR 20180125844 A KR20180125844 A KR 20180125844A KR 102019956 B1 KR102019956 B1 KR 102019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expansion
anchor rod
ancho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희
홍기훈
Original Assignee
홍석희
홍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희, 홍기훈 filed Critical 홍석희
Priority to KR102018012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광하협 내공의 원통형 단면에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상하 역대칭 및 요철 현상의 상부절개부와 하부절개부를 갖는 다수의 탄성스트립편으로 이루어진 벌브슬리브에 앵커로드가 삽입되면 상광하협의 벌브슬리브가 벌브형태로 확장되면서 동시에 복원력에 의해 앵커로드를 조여 주면서 일체로 구성되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즈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Bulb Anchor by synchronizing the expansion and tightnes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증설, 타부재와의 합성, 사면보강, 터널 암반보강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확장 및 조임이 동시에 발생하는(싱크로나이즈)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광하협 내공의 원통형 단면에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상하 역대칭 및 요철 현상의 상부절개부와 하부절개부를 갖는 다수의 탄성스트립편으로 이루어진 벌브슬리브에 앵커로드가 삽입되면 상광하협의 벌브슬리브가 벌브형태로 확장되면서 동시에 복원력에 의해 앵커로드를 조여 주면서 일체로 구성되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즈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는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구멍을 천공 한 다음, 이 천공된 공간에 앵커를 인입시키고, 망치 또는 함마 등으로 타격하여 앵커의 부피가 커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앵커 볼트를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제10-1671368호의 앵커 볼트는 슬리브(10)와 봉(20)으로 이루어지되, 슬리브(10)는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부(11); 및 고정부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일측으로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외측형슬릿(13)이 다수 개 형성된 확장부(12);로 이루어지고, 봉(20)은 슬리브(10)의 개구부를 통해 확장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 및 로드의 타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확장부(1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걸림부(21)를 구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한국등록특허 제10-1671368호의 앵커 볼트는 콘크리트의 천공된 공간에 앵커 볼트를 인입시키고, 끝단이 봉(20)을 감싸는 슬리브(10)를 외부에서 망치 또는 함마 등으로 타격하여, 슬리브(10)의 일부에 구비된 외측형슬릿(13)이 봉의 걸림부(21)의 외면을 따라 확장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1671368호의 앵커 볼트는 볼트의 외측을 감싸는 슬리브가 위치하고, 슬리브의 하부에는 슬리브의 하부를 확장시키는 확장부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우며, 볼트를 감싸는 슬리브도 볼트의 크기에 따라 전용으로 사용되는 슬리브를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용도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광하협 내공의 원통형 단면에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상하 역대칭 및 요철 현상의 상부절개부와 하부절개부를 갖는 다수의 탄성스트립편으로 이루어진 벌브슬리브에 앵커로드가 삽입되면 상광하협의 벌브슬리브가 벌브형태로 확장되면서 동시에 복원력에 의해 앵커로드를 조여 주면서 일체로 구성되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즈 벌브앵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단면증설이나 지반 및 암반보강을 위하여 천공된 홀 단부에 상기 벌브앵커를 통한 구근(벌브)을 형성하여 지압면적 증가에 의한 인발저항력을 뚜렷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즈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천공홀에 벌브앵커를 형성하고 남는 공간에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경우에도 상하 절개부가 유동 통로가 되어 그라우팅이 밀실하게 충전하여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마찰면의 길이를 증대시켜 마찰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즈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는, 벌브슬리브(100)와 벌브슬리브(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앵커로드(200)를 포함하되, 벌브슬리브(100)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앵커로드(200)가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내부에서 상광하협 형상으로 기울기를 갖으며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 앵커로드에 밀착되는 삽입부(120)와; 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절개부(130)와; 몸체(110)의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절개부(140)를 포함하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에 있어서, 벌브슬리브(100)의 삽입부(120)에는 하부 끝단에서 내면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까지 내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걸림홈(121)이 형성되고, 앵커로드(200)의 하단부에는 벌브슬리브(100)의 걸림홈(121)에 체결되는 걸림돌기(210)가 돌출 형성되며, 앵커로드(200)가 벌브슬리브(100)의 내부로 삽입되면 몸체(110)는 상부절개부와 하부절개부에 의해서 지그재그 ∪ 및 ∩ 형상의 탄성스트립편으로 분리되면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벌브슬리브(100)는 몸체(110)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단면증설 시공방법은 단면증설이 필요한 구 콘크리트 단면에 원통형의 천공홀(1)을 천공하는 단계와; 천공홀(1) 단부를 벌브앵커가 장착되도록 버블 테이퍼를 이용하여 상협하광의 확장공(2)을 형성하는 단계와; 천공홀(1)부터 확장공(2)의 깊이보다 길이가 큰 앵커로드(200)의 하단부를 상기 본 발명의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 앵커의 벌브 슬리브의 하단이 확장공(2) 단부와 맞닿도록 위치시킨 후에 앵커로드를 가압하여 벌브슬리브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와; 앵커로드(200)가 벌브슬리브(100)의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광하협의 기울기를 갖는 삽입부(120)를 따라 삽입되면 몸체(110)가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를 따라 ∪ 및 ∩ 형상으로 분리된 탄성스트립편이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확장공(2)에 밀착되는 단계와; 천공홀(1)과 확장공(2)의 남은 공간에 그라우팅을 주입하여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 사이로 그라우팅을 채우는 단계와; 콘크리트의 접촉면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면증설을 완성하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시공방법은 지반이나 암반보강이 필요한 단면에 원통형의 천공홀(1)을 천공하는 단계와; 천공홀(1) 단부를 벌브앵커가 장착되도록 버블 테이퍼를 이용하여 상협하광의 확장공(2)을 형성하는 단계와; 앵커로드(200)의 하단부를 본 발명의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 앵커의 벌브 슬리브의 하단이 확장공(2) 단부와 맞닿도록 위치시킨 후에 앵커로드를 가압하여 벌브슬리브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와; 앵커로드(200)가 벌브슬리브(100)의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광하협의 기울기를 갖는 삽입부(120)를 따라 삽입되면 몸체(110)가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를 따라 ∪ 및 ∩ 형상으로 분리된 탄성스트립편이어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확장공(2)에 밀착되는 단계와; 천공홀(1)과 확장공(2)의 남은 공간에 그라우팅을 주입하여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 사이로 그라우팅을 채우는 단계와; 지반이나 암반의 단면으로 돌출된 앵커로드(200)의 끝단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광하엽의 내공 원통형 단면과 상하 역대칭 및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절개부에 의해 다수의 탄성스트립편으로 이루어진 벌브슬리브에 앵커로드의 삽입되기 때문에 벌브슬리브가 외측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되면서도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과 조임이 동시에 연동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벌브앵커의 체결력을 상승에 의한 일체성 확보를 단순화시켜 작업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 역대칭으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절개부를 통해서 벌브슬리브가
또한 벌브앵커의 외경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내부 단면을 상광하엽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천공홀 단면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천공 보링량 감소에 의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공홀 단부를 구근 형태의 벌브앵커를 구성하게 하므로써 인발력에 대한 지압력 저항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성과 일체성 성능 향상과 더불어 앵커 소요 단면치수, 천공 및 정착길이 및 배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공사비를 보다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벌브슬리브를 다수의 상하절개부 구성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요철에 의한 그라우팅 접촉면적을 증가하므로서 부착력 및 마찰력 저항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성과 일체성 성능 향상과 더불어 앵커 소요 단면치수, 천공 및 정착길이 및 배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공사비를 보다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 및 하부절개부가 그라우팅 주입시 통로 역할에 수행하여 주입 유동성 향상시키며, 마찰면적과 쐐기효과 증대로 그라우팅 등을 주입시 마찰저항 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전성과 내구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공홀 단부 또는 인접구간에 천공홀을 확공부를 구성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기계적 고정장치인 벌브앵커가 장착하게 되면 지압 및 쇄기 효과에 의해 앵커로드가 활동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벌브앵커는 단면증설이나 타부재의 합성 결합용 이외에도 사면보강의 소일네일링이나 터널의 지반 록볼드 등의 다양한 용도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벌브슬리브를 확장하기 위하여 앵커로드 가압을 위한 고정장치를 천공홀 단부를 이용하게 되므로 확장을 위한 별도 장비없이 간단하게 타압이나 압력으로 이루어져 작업 효율성이 높고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한국등록특허 제10-1671368호의 앵커 볼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벌브슬리브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3c는 도 3a의 단면도.
도 3d는 도 3a의 측면도.
도 3e는 도 3d의 전개도.
도 4는 도 2의 벌브슬리브에 앵커로드가 삽입 결합되어 나타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단면증설 시공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상태의 예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단면증설 시공상태의 예시도.
도 7c는 도 7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상태의 예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벌브슬리브의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단면증설 시공상태의 예시도.
도 8c는 도 8a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상태의 예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벌브슬리브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단면증설 시공상태의 예시도.
도 9c는 도 9a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상태의 예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의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단면증설 시공상태의 예시도.
도 10c는 도 10a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상태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는 벌브슬리브(100)와 앵커로드(200)로 이루어진다. 벌브슬리브(100)는 내공이 상광하협이고 외공은 일정하거나 불룩한 원통형 단면으로 상하에는 역방향으로 상하절개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 및 ∩ 형상의 탄성스트립편을 분리된다. 그리고, 앵커로드(200)는 원통형상으로 벌브슬리브(1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앵커로드(200)는 볼트, 철근 및 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벌브슬리브(100)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앵커로드(200)가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내부에서 상광하협 형상으로 기울기를 갖으며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 앵커로드에 밀착되는 삽입부(120)와, 몸체(110)의 상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절개부(130)와, 몸체(110)의 하단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절개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벌브슬리브는 상부절개부와 하부절개부에 의해서 몸체가 지그재그 ∪ 및 ∩ 형상의 탄성스트립편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높은 탄성복합력에 의해 내부로 삽입된 앵커로드와 일체성을 보유토록 조임 성능이 갖도록 한다.
몸체(110)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소정크기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몸체(110)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증설, 타부재와의 합성, 사면보강, 터널 암반보강 등을 위해 천공되는 천공홀에 삽입되며, 앵커형 롯드 또는 확장수콘 등의 앵커로드가 상부를 통해서 몸체(110) 내부로 삽입된다.
삽입부(120)는 몸체 하부의 하단 내경(b)이 몸체의 상단 내경(a)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몸체(110)의 내부면에서 상광하협의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돌출된다. 이러한 삽입부(120)에 의해서 평상시에 몸체의 하단 내경(b)이 상단 내경(a)보다 좁게 위치하지만 앵커로드가 몸체(11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삽입부(120)를 가압하게 되어 몸체(110)를 외측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힘을 받게 된다.
상부절개부(130)는 몸체(110)의 전면 및 후면이 관통된 홈 형상으로 상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부절개부(130)는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절개홈이 몸체의 전 길이 중 일정구간까지만 형성되어 ∩ 형상의 탄성스트립편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몸체(11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앵커로드가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상부절개부(130)가 벌어지면서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높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앵커로드와 몸체가 일체성을 보유토록 조이게 된다.
하부절개부(140)는 몸체(110)의 전면 및 후면이 관통된 홈 형상으로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하부절개부(140)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절개홈이몸체의 전 길이 중 일정구간까지만 형성되어 ∪ 형상의 탄성스트립편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 앵커로드의 끝단이 상광하협의 삽입부(120)를 밀면서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절개부(130) 및 하부절개부(140)가 벌어지면서 몸체(110)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높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앵커로드와 몸체가 일체성을 보유토록 조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로드가 벌브슬리브(100)의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 상광하협의 테이퍼 형상을 갖는 삽입부(12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앵커로드(200)가 삽입됨에 따라 몸체가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를 따라 ∪ 및 ∩ 형상의 탄성스트립편으로 분리되면서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천공홀에 벌브앵커가 체결된 이후에 그라우팅이 주입되면 벌브슬리브(100)의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의 벌어진 절개홈이 통로역할을 수행하여 그라우팅이 내부로 주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단면증설 시공방법>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증설이 필요한 구 콘크리트 기설부재 단면에 천공홀(1)을 형성하고, 천공홀(1) 단부를 벌브앵커가 장착되도록 벌브 테이퍼 형상을 갖는 드릴기를 이용하여 상협하광의 확장공(2)을 형성한다.
그리고, 천공홀의 깊이보다 길이가 큰 앵커로드(200)의 하단부를 벌브슬리브 상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벌브슬리브의 하단이 천공홀(1) 단부와 맞닿도록 위치시킨 후에 앵커로드를 가압하여 벌브슬리브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삽입시킨다.
앵커로드(200)가 벌브슬리브(100)의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광하협의 기울기를 갖는 삽입부(120)를 따라 삽입되면 몸체(110)가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를 따라 ∪ 및 ∩ 형상으로 분리된 탄성스트립편이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확장공(2)에 밀착되게 되므로서 본 발명의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100)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천공홀에 그리우팅(3)을 주입하게 되면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가 유동통로 매개제로 하여 그라우팅 주입이 천공홀(1)과 확장공(2)의 남은 공간에 밀실하게 채우므로서 부착력과 마찰력 증대를 일으킨다.
그 후, 구 콘크리트의 접촉면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면증설을 완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앵커로드가 구 콘크리트층과 신 콘트리트층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신 콘크리트층을 견고하게 증설할 수 있게 된다.
<지반보강 시공방법>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이나 암반보강이 필요한 단면에 원통형의 천공홀(1)을 형성하고, 천공홀(1) 단부를 벌브앵커가 장착되도록 드릴기를 이용하여 상협하광의 확장공(2)을 형성한다.
그리고, 천공홀의 깊이보다 길이가 큰 앵커로드(200)의 하단부를 벌브슬리브 상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벌브슬리브의 하단이 확장공(2) 단부와 맞닿도록 위치시킨 후에 앵커로드를 가압하여 벌브슬리브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삽입시킨다.
앵커로드(200)가 벌브슬리브(100)의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광하협의 기울기를 갖는 삽입부(120)를 따라 삽입되면 몸체(110)가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를 따라 ∪ 및 ∩ 형상으로 분리된 탄성스트립편이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확장공(2)에 밀착되게 되므로서 본 발명의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100)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천공홀에 그리우팅(3)을 주입하게 되면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가 유동통로 매개제로 하여 그라우팅 주입이 천공홀(1)과 확장공(2)의 남은 공간에 밀실하게 채우므로서 부착력과 마찰력 증대를 일으킨다.
그 후, 지반이나 암반의 단면으로 돌출된 앵커로드(200)의 끝단에 너트를 채결하여 견고하게 지반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벌브슬리브(100)는 삽입부(120)의 내면에 걸림홈(121)이 더 형성되고, 앵커로드(200)의 하단부에는 벌브슬리브(100)의 걸림홈(121)에 체결되는 걸림돌기(210)가 돌출 형성되게 하여 큰 인발력 작용시 벌브슬리브(100)에 조입된 앵커로드(200)가 슬립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걸림홈(121)은 삽입부(120)의 하부 끝단에서 내면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까지 내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7b 및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증설 또는 지반보강 등을 위하여 형성된 천공홀(1)의 내부에 놓인 벌브슬리브(100)에 앵커로드(200)가 삽입되면, 앵커로드(200)가 삽입되면서 하단부에 돌출된 걸림돌기(210)가 슬리브(100)의 삽입부(120)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121)은 체결되어 앵커로드(200)가 벌브슬리브(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벌브슬리브는, 몸체(110)의 하부에서 삽입부(120)의 하단에 삽입되어 벌브슬리브의 하단부를 약간 벌려 놓는 마개부(150)를 더 포함한다. 마개부(150)는 몸체(110)의 하부에 밀착되는 밀착부(151)와 밀착부(15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삽입부(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돌기(1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삽입돌기(152)의 직경(c)은 몸체(110) 하부의 하단 내경(b)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여, 상광하협의 벌브슬리브(100)에 앵커로드(200)가 가압시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증설 또는 지반보강 등을 위하여 형성된 천공홀(1)의 내부에 놓이는 벌브슬리브(100)의 삽입부(120)의 하부에 마개부(150)의 삽입돌기(152)가 미리 삽입되기 때문에 슬리브(100)의 하단이 미리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앵커로드(200)를 손쉽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벌브슬리브는, 몸체(110)의 외면에 상하협중광의 테이퍼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6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돌출부의 외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그라우팅의 타설시에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안내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출부(160)는 벌브앵커의 확장된 단면을 보다 크게 하여 지압력을 상승을 통한 큰 인발력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증설 또는 지반보강 등을 위하여 형성된 천공홀(1)의 내부에 놓인 벌브슬리브(100)에 앵커로드(200)가 삽입되면, 앵커로드(200)가 삽입부(120)를 따라 삽입되면서 몸체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될 때에 돌출부(160)의 두께 만큼 더 벌어지기 때문에 삽입부(120)의 기울기를 적게 형성하여도 천공홀에 완전히 밀착시켜 지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는 벌브슬리브 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120)의 하단을 통해서 상단으로 삽입되어 몸체의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를 따라 ∪ 및 ∩ 형상으로 분리된 탄성스트립편이 확장되도록 하여 몸체(110)가 상협하광의 형태로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숫콘확장부(170)를 더 포함하고, 앵커로드(200)의 하단부는 벌브슬리브(100)의 상단 내측에 밀착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증설 또는 지반보강 등을 위하여 형성된 천공홀(1)에 벌브슬리브(100)의 상단부 내측에 앵커로드(20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고, 벌브슬리브(100)의 하단부에 숫콘확장부(170)를 위치시킨 후에 숫콘확장부(170)의 단부가 확장공(2) 단부가 맞닿도록 삽입한 다음, 앵커로드(200)를 가압하면 몸체(110)가 숫콘확장부(170)의 상협하광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를 따라 ∪ 및 ∩ 형상으로 분리된 탄성스트립편이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확장공(2)에 밀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으로부터 별도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벌브슬리브
110 : 몸체
120 : 삽입부
121 : 걸림홈
130 : 상부절개부
140 : 하부절개부
150 : 마개부
160 : 돌출부
170 : 숫콘확장부
200 : 앵커로드
210 : 걸리돌기

Claims (9)

  1. 벌브슬리브(100)와 벌브슬리브(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앵커로드(200)를 포함하되, 벌브슬리브(100)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앵커로드(200)가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내부에서 상광하협 형상으로 기울기를 갖으며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 앵커로드에 밀착되는 삽입부(120)와; 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절개부(130)와; 몸체(110)의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절개부(140)를 포함하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에 있어서,
    벌브슬리브(100)의 삽입부(120)에는 하부 끝단에서 내면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까지 내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걸림홈(121)이 형성되고, 앵커로드(200)의 하단부에는 벌브슬리브(100)의 걸림홈(121)에 체결되는 걸림돌기(210)가 돌출 형성되며,
    앵커로드(200)가 벌브슬리브(100)의 내부로 삽입되면 몸체(110)는 상부절개부와 하부절개부에 의해서 지그재그 ∪ 및 ∩ 형상의 탄성스트립편으로 분리되면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벌브슬리브(100)와 벌브슬리브(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앵커로드(200)를 포함하되, 벌브슬리브(100)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고 외측으로 상하협중광으로 돌출된 돌출부(160)가 형성되며 앵커로드(200)가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내부에서 상광하협 형상으로 기울기를 갖으며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 앵커로드에 밀착되는 삽입부(120)와; 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절개부(130)와; 몸체(110)의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절개부(140)를 포함하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에 있어서,
    벌브슬리브(100)의 삽입부(120)에는 하부 끝단에서 내면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까지 내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걸림홈(121)이 형성되고, 앵커로드(200)의 하단부에는 벌브슬리브(100)의 걸림홈(121)에 체결되는 걸림돌기(210)가 돌출 형성되며,
    앵커로드(200)가 벌브슬리브(100)의 내부로 삽입되면 몸체(110)는 상부절개부와 하부절개부에 의해서 지그재그 ∪ 및 ∩ 형상의 탄성스트립편으로 분리되면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7. 삭제
  8. 단면증설이 필요한 구 콘크리트 단면에 원통형의 천공홀(1)을 천공하는 단계와;
    천공홀(1) 단부를 벌브앵커가 장착되도록 벌브 테이퍼 형상을 갖는 드릴기를 이용하여 상협하광의 확장공(2)을 형성하는 단계와;
    천공홀(1)부터 확장공(2)의 깊이보다 길이가 큰 앵커로드(200)의 하단부를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의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 앵커의 벌브 슬리브의 하단이 확장공(2) 단부와 맞닿도록 위치시킨 후에 앵커로드를 가압하여 벌브슬리브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와;
    앵커로드(200)가 벌브슬리브(100)의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광하협의 기울기를 갖는 삽입부(120)를 따라 삽입되면 몸체(110)가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를 따라 ∪ 및 ∩ 형상으로 분리된 탄성스트립편이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확장공(2)에 밀착되는 단계와;
    천공홀(1)과 확장공(2)의 남은 공간에 그라우팅을 주입하여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 사이로 그라우팅을 채우는 단계와;
    콘크리트의 접촉면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면증설을 완성하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단면증설 시공방법.
  9. 지반이나 암반보강이 필요한 단면에 원통형의 천공홀(1)을 천공하는 단계와;
    천공홀(1) 단부를 벌브앵커가 장착되도록 벌브 테이퍼 형상을 갖는 드릴기를 이용하여 상협하광의 확장공(2)을 형성하는 단계와;
    앵커로드(200)의 하단부를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의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 앵커의 벌브 슬리브의 하단이 확장공(2) 단부와 맞닿도록 위치시킨 후에 앵커로드를 가압하여 벌브슬리브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와;
    앵커로드(200)가 벌브슬리브(100)의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상광하협의 기울기를 갖는 삽입부(120)를 따라 삽입되면 몸체(110)가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를 따라 ∪ 및 ∩ 형상으로 분리된 탄성스트립편이어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확장공(2)에 밀착되는 단계와;
    천공홀(1)과 확장공(2)의 남은 공간에 그라우팅을 주입하여 상부절개부(130)와 하부절개부(140) 사이로 그라우팅을 채우는 단계와;
    지반이나 암반의 단면으로 돌출된 앵커로드(200)의 끝단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
KR1020180125844A 2018-10-22 2018-10-22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844A KR102019956B1 (ko) 2018-10-22 2018-10-22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844A KR102019956B1 (ko) 2018-10-22 2018-10-22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956B1 true KR102019956B1 (ko) 2019-09-11

Family

ID=6794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844A KR102019956B1 (ko) 2018-10-22 2018-10-22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95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864A (zh) * 2019-01-21 2019-05-10 河南理工大学 一种矿用液压恒阻变形自动泄压锚杆及其工作方法
CN110984396A (zh) * 2019-12-24 2020-04-10 福州鼓楼纹英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后置锚结网片及其作业方法
KR20210032636A (ko) * 2019-09-17 2021-03-25 박장수 맨홀 사다리 발판
CN112761145A (zh) * 2020-12-23 2021-05-07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变形边坡的自适应锚固装置及其施工方法
CN114183180A (zh) * 2021-12-17 2022-03-15 辽宁有色勘察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深孔跨断层牛顿力npr锚索的下放工装和下放方法
CN114810171A (zh) * 2022-03-30 2022-07-29 西南交通大学 一种端头可膨胀式锚杆
CN114991136A (zh) * 2022-06-22 2022-09-02 江苏交水建智能装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实现不同深度注浆的智能触探管桩及其制作方法和使用方法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899A (en) * 1979-06-28 1981-01-24 Japan National Railway Method of work with rock bolt
JPS5721808U (ko) * 1980-07-14 1982-02-04
JPS6136714U (ja) * 1984-08-09 1986-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リツプ
KR200330464Y1 (ko) * 2003-08-01 2003-10-17 김재용 앵커 조립체
KR200387963Y1 (ko) * 2005-04-07 2005-06-28 김대근 앵커 볼트
KR200420139Y1 (ko) * 2006-04-11 2006-07-03 김인곤 앵커 리벳
JP2007284865A (ja) * 2006-04-12 2007-11-01 Sadao Shinohara アンカーボルト
KR100839228B1 (ko) * 2008-01-16 2008-06-19 김종성 앵커 볼트
KR20090074124A (ko) * 2009-06-01 2009-07-06 한창헌 쐐기력을 이용한 프리텐션 네일공법
KR20130005533U (ko) * 2012-03-12 2013-09-25 김경복 앙카
KR20140003938A (ko) * 2012-07-02 2014-01-10 한생수 앵커 볼트
KR101583347B1 (ko) * 2013-12-04 2016-01-07 엠피텍(주) 앵커볼트 구조체
WO2016092675A1 (ja) * 2014-12-11 2016-06-16 Fsテクニカル株式会社 後施工アンカー、後施工アンカーの施工方法および後施工アンカーシステム
KR20170003523U (ko) * 2016-04-05 2017-10-13 김세열 확장 가능한 체결부가 구비된 앵커볼트 유닛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899A (en) * 1979-06-28 1981-01-24 Japan National Railway Method of work with rock bolt
JPS5721808U (ko) * 1980-07-14 1982-02-04
JPS6136714U (ja) * 1984-08-09 1986-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リツプ
KR200330464Y1 (ko) * 2003-08-01 2003-10-17 김재용 앵커 조립체
KR200387963Y1 (ko) * 2005-04-07 2005-06-28 김대근 앵커 볼트
KR200420139Y1 (ko) * 2006-04-11 2006-07-03 김인곤 앵커 리벳
JP2007284865A (ja) * 2006-04-12 2007-11-01 Sadao Shinohara アンカーボルト
KR100839228B1 (ko) * 2008-01-16 2008-06-19 김종성 앵커 볼트
KR20090074124A (ko) * 2009-06-01 2009-07-06 한창헌 쐐기력을 이용한 프리텐션 네일공법
KR20130005533U (ko) * 2012-03-12 2013-09-25 김경복 앙카
KR20140003938A (ko) * 2012-07-02 2014-01-10 한생수 앵커 볼트
KR101583347B1 (ko) * 2013-12-04 2016-01-07 엠피텍(주) 앵커볼트 구조체
WO2016092675A1 (ja) * 2014-12-11 2016-06-16 Fsテクニカル株式会社 後施工アンカー、後施工アンカーの施工方法および後施工アンカーシステム
KR20170003523U (ko) * 2016-04-05 2017-10-13 김세열 확장 가능한 체결부가 구비된 앵커볼트 유닛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864A (zh) * 2019-01-21 2019-05-10 河南理工大学 一种矿用液压恒阻变形自动泄压锚杆及其工作方法
CN109736864B (zh) * 2019-01-21 2020-07-24 河南理工大学 一种矿用液压恒阻变形自动泄压锚杆及其工作方法
US11041385B2 (en) 2019-01-21 2021-06-22 Henan Polytechnic University Mining hydraulic constant-resistance deforming and automatic pressure relieving anchor rod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20210032636A (ko) * 2019-09-17 2021-03-25 박장수 맨홀 사다리 발판
KR102365044B1 (ko) * 2019-09-17 2022-02-17 박장수 맨홀 사다리 발판
CN110984396A (zh) * 2019-12-24 2020-04-10 福州鼓楼纹英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后置锚结网片及其作业方法
CN112761145A (zh) * 2020-12-23 2021-05-07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变形边坡的自适应锚固装置及其施工方法
CN114183180A (zh) * 2021-12-17 2022-03-15 辽宁有色勘察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深孔跨断层牛顿力npr锚索的下放工装和下放方法
CN114810171A (zh) * 2022-03-30 2022-07-29 西南交通大学 一种端头可膨胀式锚杆
CN114810171B (zh) * 2022-03-30 2023-03-10 西南交通大学 一种端头可膨胀式锚杆
CN114991136A (zh) * 2022-06-22 2022-09-02 江苏交水建智能装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实现不同深度注浆的智能触探管桩及其制作方法和使用方法
CN114991136B (zh) * 2022-06-22 2024-05-28 江苏交水建智能装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实现不同深度注浆的智能触探管桩及其制作方法和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956B1 (ko) 확장 및 조임 싱크로나이징 벌브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85677B1 (ko) 프리캐스트 경사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 시공방법
KR101494236B1 (ko) 소일네일-어스앵커 합성 지반 보강 구조체 및 소일네일-어스앵커 합성 지반 보강 공법
KR100948244B1 (ko) 스프링과 쐐기원리를 이용한 그라운드 공간 압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및 이에 연결된 인장재 제거방법
KR20060122346A (ko) 어스앵커공법 및 어스앵커구조체
US70806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rilling a hole and for securing an anchorage in a bore hole
KR100963682B1 (ko) 앵커 조립체, 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KR20100022767A (ko) 암반층 정착용 쐐기식 확장형 앵커
JP2007530825A (ja) プレテンションされたアンカーを作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101489387B1 (ko) 지반 보강과 부력 방지용 마이크로 파일 및 이 시공 방법
KR100773920B1 (ko) 정착부 확공 및 고강도 강봉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안정보강 공법
KR101241351B1 (ko) 정착력이 우수한 네일 및 그 네일을 이용한 네일링 시공 방법
KR20110008889A (ko) 외장재 고정용 앵커볼트 고정방법
KR20100029437A (ko)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KR100892322B1 (ko) 쐐기형 대나무 네일링 구조체
JP3876645B2 (ja) 地盤埋設支持体の支持力増加構造および同支持体の構築方法
JP2001164899A (ja) ロックボルト
KR101175741B1 (ko) 이중 그라우팅 주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0987463B1 (ko) 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100665594B1 (ko) 영구앵커의 와이어 인장장치
KR101865075B1 (ko) 마이크로 파일의 파형 그라우팅 구근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KR100903407B1 (ko)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KR100943524B1 (ko) 앵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벽식 옹벽 시공방법
KR101244992B1 (ko)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KR100721605B1 (ko) 쏘일네일의 전면 지압판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