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219Y1 -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219Y1
KR200330219Y1 KR20-2003-0022831U KR20030022831U KR200330219Y1 KR 200330219 Y1 KR200330219 Y1 KR 200330219Y1 KR 20030022831 U KR20030022831 U KR 20030022831U KR 200330219 Y1 KR200330219 Y1 KR 200330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older
cradle
grooves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봉
Original Assignee
정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봉 filed Critical 정재봉
Priority to KR20-2003-0022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2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2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본체에 접철이 가능한 거치대를 설치하여 회동되거나 수납되도록 하여 핸드폰의 액정표시판를 어느 방향에서나 간편하고 편리하게 주시하여 시계확보를 이루게 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사용에 편리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폰거치대는 계단홈(20)(20a)에 상부가 결속되어 핸드폰본체(10)의 거치를 이루게 하고, 상기 계단홈(20)(20a)과 대응하여 각도변화를 이루면서 수납이 가능한 거치대(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핸드폰 거치대가 핸드폰에 회동이 자유롭고 각도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에서 핸드폰의 액정표시판의 시계나 메시지 도착여부를 거치상태로 용이하고 편리하게 확인 할 수 있으며, 거치상태에서의 자판 누름이 편리하도록 하고 휴대시에는 거치대를 핸드폰본체에 수납하여 장애 없이 편리하고 안정된 휴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Handsfree for Portable Tele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폰본체에 접철이 가능한 거치대를 설치하여 회동되거나 수납되도록 하여 핸드폰의 액정표시판를 어느 방향에서나 간편하고 편리하게 주시하여 시계확보를 이루게 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사용에 편리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휴대하면서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무선전화기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휴대폰의 사용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필요한 장소에서의 휴대폰을 양호하게 보관 및 거치 할 수 있는 거치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거치대로 잘 알려진 차량용거치대는 자동차의 데쉬보드에 양면테이프나 나사로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에 핸드폰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차량용거치대는 차량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무실이나 학생들의 책상에서는 핸드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무원이나 학생들은 휴대폰을 그냥 방치한 상태로 관리하게 되므로 핸드폰의 액정표시판의 시계나 문자메시지가 도착했는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핸드폰을 손으로 잡고 치켜든 후 확인해 보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본원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 20998호와 같은 휴대폰 거치대가 안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평판에 거치대를 장착하여 핸드폰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어느 방향에서든 휴대폰을 자유롭고 편리하게 조정하여 액정표시판의 시계나 문자메시지가 도착 여부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핸드폰을 거치대에 설치할 때에 능숙한 거치기능이 필요하게 되고, 거치대가 핸드폰과 별도로 보관되어야 하므로 보관과 관리상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사무용책상 또는 학습용 책상은 물론 어떠한 장소 등에서 핸드폰의 시야확보가 가능하도록 거치 할 수 있으면서 핸드폰에 간단한 구조로 설치를 이루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휴대폰의 사용에 장애 없이 안전한 보관을 이루어서 사용과 관리가 용이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거치대의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거치대가 각도조절을 이루는 상태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거치대가 수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드폰본체 20,20a : 계단홈
22 : 곡면부 24a,24b,24c : 각도유도홈
30 : 거치대 32 : 곡면부
34 : 각도조정돌기 36,36a : 결속돌기
38 : 수용돌기 40 : 수용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거치대는 휴대폰을 세워지게 거치 하는 거치장치에 있어서, 핸드폰본체의 후방 양단에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 계단홈과; 상기 계단홈에 상부가 결속되어 핸드폰본체의 거치를 이루게 하고, 상기 계단홈과 대응하여 각도변화를 이루면서 수납이 가능한 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계단홈은 상부에 곡면부를 형성하고 그 곡면부에 적어도 하나이상 소정간격이며 각도가 상이한 각도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거치대는 상부에 형성된 곡면부의 소정영역에 돌출된 각도조정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 내측면에는 한 쌍의 결속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내측면 하단에는 수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휴대폰 거치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거치대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거치대를 종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거치대의 조정 상태를 측면도로 나타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거치대가 각도조절을 이루는 상태를 요부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거치대가 수납된 상태를 요부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본체(10)에 형성된 계단홈(20)(20a)에 거치대(30)가 각도조절이 자유롭게 결속되어서 이루어지고 있다.
계단홈(20)(20a)은 핸드폰본체(10)의 후방 양단에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곡면부(22)를 형성하고 그 곡면부(22)에 적어도 하나이상 소정간격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어 서로가 상이한 각도상태로 배열된 각도유도홈(24a)(24b)(24c)이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는 상기 계단홈(20)(20a)에 상부가 결속되어 핸드폰본체(10)의 거치를 이루게 하고, 또한 상기 계단홈(20)(20a)과 대응하여 각도변화를 이루면서 도5와 같이 수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30)는 상부에 형성된 곡면부(32)의 소정영역에 돌출된 각도조정돌기(34)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 내측 면에는 한 쌍의 결속돌기(36)(36a)가 마련되어 있고, 내측면 하단에는 수용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돌기(36)(36a)는 관형태의 소정 영역 외면으로 링이 돌출된 형태를 이루고 있어서 상기 핸드폰본체(10)에 삽입되어 안정된 결속상태를 이루어 회동이 자유로우면서 이탈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휴대폰거치대는, 도 1에서와 같이 핸드폰본체(10)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계단형태의 계단홈(20)(20a)에 U자형태의 거치대(30)가 배치되고 거치대(30)의 상측 내면에 돌출되어 있는 결속돌기(36)(36a)가 관형태의 소정 영역 외면으로 링이 돌출된 형태를 이루고 있어서 상기 핸드폰본체(10)에 삽입되어 안정된 결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회동이 자유로우면서 이탈되지 않아 도 2의 원내에서와 같이 계단홈(20)(20a)의 상단에서 핸드폰본체(10)내로 회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므로 거치대(30)를 삼각형태로 거치를 이룸과 동시에 휴대폰본체(10)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거치를 이루게 된다.
이는 도 4에서와 같이 계단홈(20)(20a)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곡면부(22)와 거치대(30)의 곡면부(32)가 대응하고 있으며 곡면부(22)에 형성되어 있는 각도유도홈(24a)(24b)(24c)으로 곡면부(32)의 소정영역에 돌출 되어 있는 각도조정돌기(34)를 어느 한 곳에 삽입되도록 하면 그 위치에 맞는 각도 조정이 이루어지고 그 각도에 따라 휴대폰본체(10)는 소정의 기울기로 거치 되어 사용자의 시계확보 위치를 마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드폰들 잡지 않고도 도4와 같이 거치되어 있는 휴대폰을 향한 시야확보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핸드폰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홈(20)(20a)을 통하여 거치대(30)는 수납이 이루어져 거치로 부터 수납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상기 각도유도홈(24b)(24c)으로 부터 이탈된 각도조정돌기(34)가 선단의 각도유도홈(24a)과 결합되어 수직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거치대(30)는 계단홈(20)(20a) 내에 수납(도5상태)이 이루어지므로 휴대폰의 휴대가 용이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30)의 안전한 고정을 위하여 거치대(30)의 하부 내측면에는 수용돌기(38)를 형성하여 계단홈(20)(20a)의 내면에 마련되고 수용돌기(38)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수용홈(40)과 결합되므로 인위적인 강압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거치대(30)는 수납상태로 안정되게 고정되어 있게 되어서 휴대폰의 휴대에 아무런 장애나 불편을 느끼지 않고 편리하게 휴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핸드폰 거치대가 핸드폰에 회동이 자유롭고 각도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에서 핸드폰의 액정표시판의 시계나 메시지 도착여부를 거치상태로 용이하고 편리하게 확인 할 수 있으며, 거치상태에서의 자판 누름이 편리하도록 하고 휴대시에는 거치대를 핸드폰본체에 수납하여 장애 없이 편리하고 안정된 휴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폰을 세워지게 거치 하는 거치장치에 있어서,
    핸드폰본체(10)의 후방 양단에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 계단홈(20)(20a)과;
    상기 계단홈(20)(20a)에 상부가 결속되어 핸드폰본체(10)의 거치를 이루게 하고, 상기 계단홈(20)(20a)과 대응하여 각도변화를 이루면서 수납이 가능한 거치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홈(20)(20a)은 상부에 곡면부(22)를 형성하고 그 곡면부(22)에 적어도 하나이상 소정간격이며 각도가 상이한 각도유도홈(24a)(24b)(24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0)는 상부에 형성된 곡면부(32)의 소정영역에 돌출된 각도조정돌기(34)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 내측 면에는 한 쌍의 결속돌기(36)(36a)가 마련되어 있고, 내측면 하단에는 수용돌기(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KR20-2003-0022831U 2003-07-15 2003-07-15 휴대폰 거치대 KR200330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831U KR200330219Y1 (ko) 2003-07-15 2003-07-15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831U KR200330219Y1 (ko) 2003-07-15 2003-07-15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219Y1 true KR200330219Y1 (ko) 2003-10-17

Family

ID=4941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831U KR200330219Y1 (ko) 2003-07-15 2003-07-15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21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58B1 (ko) 2007-05-03 2008-02-13 주식회사 엠투시스 스텝 힌지
KR100854934B1 (ko) * 2006-06-26 2008-08-29 김동주 핸드폰 지지장치
KR101565335B1 (ko) 2014-02-27 2015-11-05 조영희 다기능 지지구조체
KR20180062840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2601591B1 (ko) 2023-08-30 2023-11-14 프레임바이 주식회사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934B1 (ko) * 2006-06-26 2008-08-29 김동주 핸드폰 지지장치
KR100802558B1 (ko) 2007-05-03 2008-02-13 주식회사 엠투시스 스텝 힌지
KR101565335B1 (ko) 2014-02-27 2015-11-05 조영희 다기능 지지구조체
KR20180062840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910441B1 (ko) * 2016-12-01 2018-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2601591B1 (ko) 2023-08-30 2023-11-14 프레임바이 주식회사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8779B1 (en) Telephone shoulder rest and stand
KR100631670B1 (ko) 휴대용 단말기
US770229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leaning
KR101066162B1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KR20020011371A (ko) 개인용 전자 장치의 지지 어셈블리 및 그의 이용 방법
KR200397129Y1 (ko)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0330219Y1 (ko) 휴대폰 거치대
KR200457661Y1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100517896B1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
KR20130006934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JP2006186699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20140146466A (ko) 시트형 휴대폰 거치대
KR200180587Y1 (ko) 휴대폰 거치대
AU2004202349A1 (en) A wri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sectioned keypad and antenna system
KR200180373Y1 (ko) 휴대폰 받침대
FI122442B (fi) Radiotekniikalla solukkoverkossa operoiva laite ja siihen kiinnitettävä handsfree-laite
JP2004056385A (ja) 携帯電話機
KR1010341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CN214177364U (zh) 一种手机支架
KR200327768Y1 (ko) 휴대폰 거치대
KR200235701Y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CN110049172A (zh) 保护壳
KR200340075Y1 (ko) 휴대폰 홀스터
CN215268364U (zh) 一种手机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