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934B1 - 핸드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934B1
KR100854934B1 KR1020060057392A KR20060057392A KR100854934B1 KR 100854934 B1 KR100854934 B1 KR 100854934B1 KR 1020060057392 A KR1020060057392 A KR 1020060057392A KR 20060057392 A KR20060057392 A KR 20060057392A KR 100854934 B1 KR100854934 B1 KR 10085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ase
mobile phone
support leg
detach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102A (ko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102006005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934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착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공간 일측에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착탈공간 타측에 파지홈이 형성된 핸드폰용 후면케이스; 상기 후면케이스의 힌지부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힌지축이 돌출되고 상기 착탈공간에 착탈되는 받침다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도조절이 가능한 받침다리에 의해 테이블이나 구조물 등의 표면에 핸드폰을 적절한 각도로 안정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으며, 받침다리를 후면케이스의 착탈공간에 안착시키면 받침다리가 후면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되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받침다리의 일부가 신체가 다른 물품에 걸리지 않는다.
핸드폰, 후면케이스, 착탈공간, 파지홈, 힌지부, 받침다리, 힌지축, 스토퍼, 각도제한돌기

Description

핸드폰 지지장치{Mobile phone support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 핸드폰 지지장치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측단면도 중 힌지부위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5는 측단면도 중 받침다리의 하단 부분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받침다리가 회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드폰 10,30 : 후면케이스
14 : 착탈공간 16 : 파지홈
18,32 : 힌지부 20,40 : 받침다리
22,42 : 힌지축 24 : 스토퍼
44 : 각도제한돌기
본 발명은 핸드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핸드폰 지지용 받침다리가 후면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받침다리가 후면케이스에 대해 일정각도만 펼쳐지며, 받침다리를 단계적으로 펼칠 수 있는 핸드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능과 위성 TV방송 서비스가 개시되면서 핸드폰을 이용하여 야외에서나 이동 중에 고화질 및 고음질의 방송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핸드폰으로 시청하기 위해 보통 핸드폰을 손으로 들고 시청하였으나, 핸드폰을 손에든 채로 장시간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기가 매우 불편하였고, 핸드폰을 파지한 손이 떨리면서 화면이 움직이게 되었으며, 이러한 화면을 장시간 시청할 경우 눈의 피로를 가중된다.
따라서 테이블이나 기타 구조물이 갖춰져 있는 경우 테이블 위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시청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핸드폰을 테이블 위에 올려 놓았을 때 핸드폰의 화면을 시청자의 시각에 일치되게 하는 지지수단이 없으므로 시청에 적합하게 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주변의 각종 수품을 이용하여 지지대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실용적이지 못하였는데, 핸드폰을 일정각도로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소품이 필요하였으며, 이와 같이 지지된 핸드폰은 각도조절이 불편 하여 시청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화면의 각도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기가 불편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폰 지지용 받침다리가 후면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핸드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다리가 후면케이스에 대해 일정각도만 펼쳐지도록 한 핸드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다리를 단계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한 핸드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핸드폰 지지장치는, 일면에 착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공간 일측에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착탈공간 타측에 파지홈이 형성된 핸드폰용 후면케이스; 상기 후면케이스의 힌지부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힌지축이 돌출되고 상기 착탈공간에 착탈되는 받침다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핸드폰 지지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받침다리의 두께는, 상기 착탈공간의 깊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 핸드폰 지지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받침다리의 일면에 상기 후면케이스에 대한 상기 받침다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된다.
본 발명 핸드폰 지지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받침다리를 상기 후면케이스에 대해 일정각도씩 회동시키도록, 상기 후면케이스의 힌지부 내면에 지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다리의 힌지축 둘레에 복수의 각도제한돌기들이 형성된다.
상수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핸드폰 지지장치 제조방법은, 일면에 착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공간 일측에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착탈공간 타측에 파지홈이 형성된 핸드폰용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의 힌지부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힌지축이 돌출되고 상기 착탈공간에 착탈되는 받침다리로 이루어진 핸드폰 지지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면에 착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공간 일측에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착탈공간 타측에 파지홈이 형성된 핸드폰용 후면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제1성형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후면케이스의 힌지부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힌지축이 돌출되고 상기 착탈공간에 착탈되는 받침다리를 성형하기 위한 제2성형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성형틀에 용융재료를 주입하여 상기 후면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2성형틀에 용융재료를 주입하여 상기 받침다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후면케이스의 힌지부에 상기 받침다리의 힌지축을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각도조절이 가능한 받침다리에 의해 테이블이나 구조물 등의 표면에 핸드폰을 적절한 각도로 안정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으며, 받침다리를 후면케이스의 착탈공간에 안착시키면 받침다리가 후면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되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받침다리의 일부가 신체나 다른 물품에 걸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핸드폰 지지장치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로써, 이는 후면케이스(10)와 받침다리(20)로 이루어진다.
후면케이스(10)는, 내부에 핸드폰(1)이 착탈되고 배면(12) 중앙에는 착탈공간(14)이 형성된다. 이 착탈공간(14)의 상단 양측에는 힌지부(18)가 형성되며 착탈공간(14)의 하부에는 파지홈(16)이 형성된다. 여기서 파지홈(16)의 형태나 크기는 다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후술할 받침다리(20)의 하단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면 어느 형태이든 무방하다.
받침다리(20)는, 후면케이스(10)의 힌지부(18)에 결합되도록 상단 양측에 힌지축(22)이 돌출되어 있고, 이 힌지축(22)이 힌지부(18)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된다.
착탈공간(14) 및 이에 착탈되는 받침다리(20)의 형태는, 상술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받침다리(20)가 착탈공간(14) 내부에 착탈되는 형태이면 어느 형태이든지 무방하다.
여기서 받침다리(20)의 두께는, 착탈공간(14)의 깊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받침다리(20)를 후면케이스(10)의 착탈공간(14)에 안착시키면 받침다리(20)가 후면케이스(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된다.
그러므로 받침다리(20)가 후면케이스(10)의 착탈공간(14)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안착되며, 후면케이스(10)의 배면(12)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전체 외관이 미려하다.
또한 받침다리(20)가 착탈공간(14)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면케이스(10)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받침다리(20)의 일부가 신체나 다른 물품에 걸리지 않는다.
이러한 받침다리(20)에는, 그 일면에 후면케이스(10)에 대한 받침다리(2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24)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다리(20)의 하단을 파지한 후 힌지축(22) 및 힌지부(18)를 중심으로 이를 회동시키면 받침다리(20)의 스토퍼(24)가 후면케이스(10)의 착탈공간(14) 둘레의 대응 부위에 접촉되면서 받침다리(20)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즉, 일면에 착탈공간(14)이 형성되고 착탈공간(14) 일측에 힌지부(18)가 형성되며 착탈공간(14) 타측에 파지홈(16)이 형성된 핸드폰용 후면케이스(10)와, 후면케이스(10)의 힌지부(18)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힌지축(22)이 돌출되고 착탈공간(14)에 착탈되는 받침다리(20)로 이루어진 핸드폰 지지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면에 착탈공간(14)이 형성되고 착탈공간(14) 일측에 힌지부(18)가 형성되며 착탈공간(14) 타측에 파지홈(16)이 형성된 핸드폰용 후면케이스(10)를 성형하기 위한 제1성형틀을 준비하는 단계와; 후면케이스(10)의 힌지부(18)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힌지축(22)이 돌출되고 착탈공간(14)에 착탈되는 받침다리(20)를 성형하기 위한 제2성형틀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1성형틀에 용융재료를 주입하여 후면케이 스(10)를 성형하는 단계와; 제2성형틀에 용융재료를 주입하여 받침다리(20)를 준비하는 단계와; 후면케이스(10)의 힌지부(18)에 받침다리(20)의 힌지축(22)을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6을 들어서 본 발명 핸드폰 지지장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성형틀(미도시)을 준비한다. 이 제1성형틀은 후면케이스(10)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써, 후면케이스(10)의 일면에 착탈공간(14)이 형성되고 착탈공간(14) 일측에 힌지부(18)가 형성되며 착탈공간(14) 타측에 파지홈(16)이 형성되도록 준비한다.
다음, 받침다리(20)를 성형하기 위한 제2성형틀(미도시)을 준비한다.
이는, 후면케이스(10)의 힌지부(18)에 결합되도록 받침다리(20)의 일단에 힌지축(22)이 돌출되고 착탈공간(14)에 착탈되도록 준비한다.
이와 같이 제1성형틀과 제1성형틀이 준비되면 이에 용융재료를 주입하여서 후면케이스(10) 및 받침다리(20)를 성형한다. 이와 같이 성형된 후면케이스(10) 및 받침다리(20)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받침다리(20)가 후면케이스(10)의 착탈공간(14)에 안착되면 후면케이스(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므로 전체 외관이 미려하고, 받침다리(20)의 일측 모서리부가 신체나 다른 물품에 걸리지 않는다.
제1성형틀 및 제2성형틀에 의해 이러한 후면케이스(10)와 받침다리(20)가 성형되면 후면케이스(10)의 힌지부(18)에 받침다리(20)의 힌지축(22)을 결합하며, 이 와 같이 하여 핸드폰 지지장치의 제조가 완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 확대 단면도로써, 이는 받침다리(40)를 후면케이스(30)에 대해 일정각도씩 회동시키도록, 후면케이스(30)의 힌지부(32) 내면에 지지돌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다리(40)의 힌지축(42) 둘레에는 후면케이스(30)의 복수의 각도제한돌기(44)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받침다리(40)를 회동시키면 받침다리(40)의 힌지축(42) 및 후면케이스(30)의 힌지부(3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힌지축(42) 둘레의 각도제한돌기(44)들이 힌지부(32) 내주면의 지지돌부(34)를 한개씩 지나게 된다. 그러므로 받침다리(40)는 각도제한돌기(44)들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각도만큼씩 간헐적으로 회동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42) 둘레에 다수의 각도제한돌기(44)들이 형성되고 힌지부(32) 내주면에 하나의 지지돌부(34)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반대로 힌지축 둘레에 하나의 각도제한돌기가 형성되고 힌지부 내주면에 다수의 지지돌부들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후면케이스에 대해 받침다리를 한단계씩 회동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각도제한돌기 및 지지돌부의 특정 갯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받침다리에 의해 테이블이나 구조물 등의 표면에 핸드폰을 적절한 각도로 안정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으며, 받침다리를 후면케이스의 착탈공간에 안착시키면 받침다리가 후면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되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받침다리의 일부가 신체나 다른 물품에 걸리지 않는다.

Claims (5)

  1. 일면에 착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공간 일측에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착탈공간 타측에 파지홈이 형성된 핸드폰용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의 힌지부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힌지축이 돌출되고 상기 착탈공간에 착탈하되, 상기 그 두께가 착탈공간의 깊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이루어지며, 끝단 중심부에 파지홈이 형성된 직사각 판형의 받침다리와;
    상기 받침다리의 일면에 상기 후면케이스에 대한 상기 받침다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를 상기 후면케이스에 대해 일정각도씩 회동시키도록, 상기 후면케이스의 힌지부 내면에 지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다리의 힌지축 둘레에 복수의 각도제한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지지장치.
  5. 삭제
KR1020060057392A 2006-06-26 2006-06-26 핸드폰 지지장치 KR10085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392A KR100854934B1 (ko) 2006-06-26 2006-06-26 핸드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392A KR100854934B1 (ko) 2006-06-26 2006-06-26 핸드폰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02A KR20080000102A (ko) 2008-01-02
KR100854934B1 true KR100854934B1 (ko) 2008-08-29

Family

ID=3921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392A KR100854934B1 (ko) 2006-06-26 2006-06-26 핸드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9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72Y1 (ko) 2009-04-17 2011-04-29 주식회사 뉴빛 휴대용화상표시장치 케이스
KR200469634Y1 (ko) 2012-03-19 2013-10-28 김영준 탈착 가능 받침 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961A (ko) * 2008-08-05 2010-02-16 (주)엘티엠에이피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조립체
US8382059B2 (en) 2008-09-09 2013-02-26 Zero Chroma, LLC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8960634B2 (en) 2008-09-09 2015-02-24 Zero Chroma, LLC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KR101366219B1 (ko) * 2008-09-09 2014-02-21 제로 크로마, 엘엘씨 지지대를 가진 전자 장치의 홀더
KR200451725Y1 (ko) * 2008-10-06 2011-01-07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용 거치대
KR200469491Y1 (ko) * 2013-07-24 2013-10-17 곽찬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CN108270894A (zh) * 2017-06-03 2018-07-10 常州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粘贴式手机支撑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382Y1 (ko) 2001-08-18 2001-12-01 (주)무디스뱅크 핸즈프리 장치용 휴대폰
KR200330219Y1 (ko) * 2003-07-15 2003-10-17 정재봉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382Y1 (ko) 2001-08-18 2001-12-01 (주)무디스뱅크 핸즈프리 장치용 휴대폰
KR200330219Y1 (ko) * 2003-07-15 2003-10-17 정재봉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72Y1 (ko) 2009-04-17 2011-04-29 주식회사 뉴빛 휴대용화상표시장치 케이스
KR200469634Y1 (ko) 2012-03-19 2013-10-28 김영준 탈착 가능 받침 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02A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934B1 (ko) 핸드폰 지지장치
KR100770858B1 (ko) 휴대용 접이 거치대
KR100754586B1 (ko) 휴대용 접이 거치대
US9079545B2 (en) Gear shift mounted accessory holder
KR200458313Y1 (ko)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810443B1 (ko) 액세서리를 구비한 핸드폰용 보호케이스
US20150208810A1 (en) Foldable chair having portable telephone holder
JP3186271U (ja) 携帯電話スタンド
KR101187753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491500B1 (ko)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폰용 거치대
KR20120103831A (ko) 기능성 휴대폰 케이스
KR200493555Y1 (ko)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N201289896Y (zh) 一种用于具有电视功能通信终端的天线及其通信终端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KR20045443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탠드
KR200397436Y1 (ko) Dmb폰의 지지장치
KR20140005798U (ko) 휴대단말기용 홀더
KR100700567B1 (ko) 휴대 단말기
KR20120066402A (ko) 스마트패드용 거치대
CN108685428B (zh) 可一键拆卸杯盖盖片的杯盖及该杯盖盖片的拆卸方法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CN202121647U (zh) 立体视频手机观看支架
KR200470115Y1 (ko) 스마트폰 케이스
CN210405406U (zh) 一种手机支架
KR101482601B1 (ko) 다용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