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335B1 - 다기능 지지구조체 - Google Patents

다기능 지지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335B1
KR101565335B1 KR1020140023312A KR20140023312A KR101565335B1 KR 101565335 B1 KR101565335 B1 KR 101565335B1 KR 1020140023312 A KR1020140023312 A KR 1020140023312A KR 20140023312 A KR20140023312 A KR 20140023312A KR 101565335 B1 KR101565335 B1 KR 10156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al
portable device
friction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698A (ko
Inventor
조영희
Original Assignee
조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희 filed Critical 조영희
Priority to KR102014002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33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휴대장치의 양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마찰부를 포함한다. 또한, 양 끝부가 휴대장치의 양측에 배치되며, 휴대장치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마찰부와 지지부의 양 끝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1마찰부에 비해 경질인 제2마찰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의 양 끝부, 제1마찰부 및 제2마찰부에 관통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지지구조체{SUPPORTING STRUCTURE HAVING MULTIFUNCTION}
본 발명은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휴대장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찰력을 이용해 휴대장치의 지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태블릿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장치는 휴대가 간편하여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반면, 이동을 하지않고 책상이나 탁자와 같이 고정된 곳에서 휴대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파지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책상 또는 탁자에 얹어놓은 상태로 사용한다. 또한, 휴대장치는 책상이나 탁자와 접하는 벽에 지지시켜 사용하거나, 가방 등에 지지시켜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휴대장치를 불편한 자세로 사용해야 하므로, 휴대장치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피로가 가중된다.
아울러, 휴대장치를 책상 또는 탁자에 얹어놓은 상태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해 바닥에 떨어뜨려, 휴대장치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장치를 휴대하지 않고 고정된 곳에서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휴대장치 지지대를 사용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지지대는 휴대장치의 케이스와 같이 구현되어 휴대장치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지지대는 기 설정된 기종의 휴대장치만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기 설정된 각도로만 휴대장치를 지지하며 지지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5-0091631호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특정 기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종의 휴대장치에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휴대장치에 체결된 상태에서 무단(無段)으로 지지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는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마찰부를 포함한다. 또한, 끝부가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휴대장치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의 끝부와 제1마찰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마찰부에 비해 경질인 제2마찰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의 끝부, 제1마찰부 및 제2마찰부에 관통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는 휴대장치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제1마찰부를 향하는 제2마찰부의 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 시 돌기가 제1마찰부에 인입되며 마찰력이 발생되어 지지부의 회동이 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연질의 제1마찰부가 휴대장치의 양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결합부에 의해 제1마찰부, 지지부 및 경질의 제2마찰부가 서로 결합되어 휴대장치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므로, 특정 기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종의 휴대장치에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제1마찰부에 비해 경질인 제2마찰부의 표면에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며, 결합부의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구동으로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할 때 돌기가 제1마찰부에 인입되며 마찰력을 발생시켜 지지부의 회동을 저지하므로, 휴대장치에 체결된 상태에서 무단(無段)으로 지지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를 구비한 다기능 지지구조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는 휴대장치(10)의 적어도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마찰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끝부가 휴대장치(10)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휴대장치(10)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130)의 끝부와 제1마찰부(11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마찰부(110)에 비해 경질인 제2마찰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130)의 끝부, 제1마찰부(110) 및 제2마찰부(120)에 관통결합되는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의 제1마찰부(110)는 휴대장치(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마찰부(120)와 접할 수 있으며, 지지부(130)의 끝부가 휴대장치(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마찰부(120) 및 제1마찰부(110)와 관통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의 제1마찰부(110)는 휴대장치(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제1마찰부(110)에 제2마찰부(120)가 각각 접하고, 각각의 제2마찰부(120)와 각각의 제1마찰부(110) 및 휴대장치(10)의 양측에 지지부(130)의 끝부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제1마찰부(110)가 휴대장치(10)의 양측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제1마찰부(110)에 제2마찰부(120)가 각각 접하며, 지지부(130)의 끝부가 각각의 제1마찰부(110) 및 제2마찰부(120)에 관통결합하며 휴대장치(10)의 양측에 결합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의 지지부(130)는 제1마찰부(110)에 의해 휴대장치에 결합되어 회동된다. 또한, 제1마찰부(110)를 향하는 제2마찰부(120)의 측면에 복수의 돌기(121)가 구비되며,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대면접촉 시 돌기(121)가 제1마찰부(110)에 인입되며 마찰력이 발생되어 지지부(130)의 회동이 저지된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장치(10)는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스마트폰 등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는 태블릿PC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는 예를 들어 휴대장치(10) 중 노트북 컴퓨터에 결합시켜 노트북 컴퓨터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에 결합시켰던 다기능 지지구조체를 탈거시켜 태블릿PC에 결합시켜 태블릿PC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기능 지지구조체의 색상 및 크기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1마찰부(110)는 실리콘 소재와 같은 연질이며, 제2마찰부(120)는 제1마찰부(110) 보다 상대적으로 경질로 이루어진다. 제1마찰부(110)의 소재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1마찰부(110) 보다 연질인 소재이면 바람직하다. 제1마찰부(110)는 휴대장치(10)의 양측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나아가, 제1마찰부(110)는 습기가 있으면 접착력을 가지게 되는 소재로 이루어져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장치(10)의 양측에 탈착되게 결합가능하다. 아울러, 제1마찰부(110)는 벨크로(Velcro)에 의해 휴대장치(10)의 양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마찰부(110) 및 제2마찰부(120)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및 삼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마찰부(110) 및 제2마찰부(120)는 복수로 이루어져 휴대장치(10)의 양측 형상에 따라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장치(10)의 양측이 직사각형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마찰부(110) 및 제2마찰부(120)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장치(10)의 양측이 사각형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제1마찰부(110) 및 제2마찰부(12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마찰부(110) 및 제2마찰부(120)의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졌다고 하여 양측이 원형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휴대장치(10)에만 사용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부(1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2마찰부(120)는 제1마찰부(110)와 접하며, 지지부(130)의 회동을 저지한다. 제2마찰부(120)는 결합부(140)와 관통결합하고, 결합부(140)의 구동에 의해 제1마찰부(110)와 접하거나 접하지 않게 된다. 제2마찰부(120)는 지지부(130)의 끝부와 제1마찰부(1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제2마찰부(120)는 제1마찰부(110)를 향하는 측면에 복수의 돌기(121)를 형성한다. 돌기(121)들은 패턴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으며, 패턴이 없이 배치될 수 있다.
제2마찰부(121)의 돌기(121)는 제2마찰부(120)에 코팅되어 제2마찰부(12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접착물질을 이용해 제2마찰부(121)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마찰부(121)는 돌기(121)를 가지는 사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121)의 형상 및 크기 등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4, 도 6 및 도 7은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서로 접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찰부(120)는 지지부(130)의 끝부에 구비된다. 제2마찰부(120)는 지지부(130)의 끝부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마찰부(120)는 제1마찰부(110)를 향하는 지지부(130)의 끝부에 돌기(121)를 포함하는 물질이 코팅되어 구현될 수 있다. 지지부(130)의 끝부에 돌기(121)를 포함하는 물질이 코팅되어 제2마찰부(120)는 돌기(121)를 포함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층(미도시)의 두께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으며, 경질의 성질을 가질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30)는 휴대장치(10)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며 휴대장치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하거나 회동저지된다. 여기서, 지지면은 휴대장치(10)가 책상에 지지될 경우 책상의 바닥면이되며, 휴대장치(10)가 벽에 지지될 경우 벽면이 된다.
지지부(130)는 ‘]’ 또는 ‘」’자 형태로 이루어져 양 끝부가 휴대장치(10)의 양측에 배치되고, 양 끝부가 결합부(140)에 의해 제1마찰부(110), 제2마찰부(120)와 서로 결합된다. 지지부(13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140)의 구동에 의해 지지부(130)의 끝부가 소정의 범위만큼 이동되어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접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130)에서 지지면에 접하는 부분에 길이 조절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지지부(130)의 양 끝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는 지지부(130)에서 지지면에 접하는 부분을 구분시켜 일 부분이 타 부분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지지부(130)에서 지지면에 접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는 다양한 크기의 휴대장치(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장치(10)의 일측을 도면으로 도시하고, 휴대장치(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찰부(110)는 휴대장치(10)의 측부에 결합된다. 또한, 끝부가 제1마찰부(110)를 향하는 지지부(130)가 휴대장치(10)의 측부에 배치된다. 제2마찰부(120)는 지지부(130)의 양 끝부와 제1마찰부(110)의 사이에 배치된다. 결합부(140)는 지제1마찰부(110), 제2마찰부(120) 및 지지부(130)의 양 끝부에 관통되어 결합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휴대장치(10)의 양측을 향하는 결합부(140)의 끝부는 휴대장치(10)의 양측에 결합되어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 구동된다. 결합부(140)는 회전구동되어 휴대장치(10)의 양측에 인입 또는 인출된다. 결합부(140)가 휴대장치(10)의 양측에 인입될 때, 지지부(130)의 끝부는 제1마찰부(110) 쪽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제2마찰부(120)가 제1마찰부(110)와 접하게 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휴대장치(10)의 양측을 향하는 결합부(140)의 끝부는 휴대장치(10)의 양측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휴대장치(110)의 양측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휴대장치(110)의 양측에 형성된 홈은 휴대장치(110)의 제조과정에서 형성시키거나, 제조 후에 별도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홈은 너트(nut)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결합부(140)의 끝부와 볼트 및 너트 결합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결합부(14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구동 시, 결합부(140)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스크루(screw)를 따라 지지부(130)가 이동하여,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대면접촉되며 지지부(130)의 회동이 저지된다. 아울러, 도 3과 같이, 결합부(140)가 화살표 방향으로 지렛대구동 시, 지렛대 구동을 위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지지부(130)가 이동하여,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대면접촉되며 지지부(130)의 회동이 저지된다. 지렛대 구동 시 지지부(130)가 이동하는 방향은 결합부(140)의 길이방향이며, 휴대장치(10)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이다.
본 발명에서 결합부(140)의 지렛대 구동을 위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은 휴대장치(10)의 외측 또는 내측이다. 결합부(140)의 지렛대 구동 시 휴대장치(10)의 내측으로 힘을 가하면 지지대(130)는 휴대장치(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결합부(140)의 지렛대 구동 시 휴대장치(10)의 외측으로 힘을 가하면 지지대(130)는 휴대장치(10)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지지부(130)가 휴대장치(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제1마찰부(110)는 제2마찰부(120)와 접하고, 지지부(130)가 휴대장치(1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제1마찰부(110)는 제2마찰부(120)에서 떨어져 간격을 형성하게 된다.
결합부(140)의 지렛대구동 시, 결합부(140)의 끝부는 제1마찰부(110)를 관통하여 휴대장치(10)의 양측에 홈에 결합된다. 이때, 홈은 너트(nut)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결합부(140)의 끝부와 볼트 및 너트 결합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30)의 회동을 위해서는 지지부(130)의 회동 저지를 위해 결합부(140)가 회전구동된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결합부(140)를 회전구동시키면 된다. 아울러, 지지부(130)의 회동을 위해서는 지지부(130)의 회동 저지를 위해 결합부(140)의 지렛대구동 시 가해졌던 힘의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해 결합부(140)를 지렛대구동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결합부(14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구동시켜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접하도록 하여 지지부(130)의 회동을 저지시켰다면, 결합부(1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구동시켜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서로 떨어지도록 하여 지지부(13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결합부(140)를 지렛대구동으로 구동 시 힘을 제1마찰부(110) 방향으로 가해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접하도록 하여 지지부(130)의 회동을 저지시켰다면, 결합부(140)를 지렛대구동으로 구동 시 힘을 제1마찰부(110)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해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서로 떨어지도록 하여 지지부(13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찰부(110)를 향하는 결합부(140)의 끝부는 제1마찰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40)의 끝부가 제1마찰부(110)에 결합되기 위해, 제1마찰부(110)는 결합부재(141)를 구비한다. 휴대장치(10)의 양측을 향하는 결합부(140)의 끝부는 제1마찰부(110)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41)와 결합되어 제1마찰부(110)와 결합되고,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 구동된다.
제1마찰부(110)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41)는 너트(nut)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결합부재(141)는 제1마찰부(110)를 향하는 결합부(140)의 끝부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140)의 끝부는 결합부재(141)가 너트로 이루어진 경우, 회동구동 시 결합부(14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결합부재(141)에 인입 또는 인출되며,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서로 접하거나 떨어지도록 한다.
결합부(140)와 결합부재(141)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결합부(140)는 지렛대구동으로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서로 접하거나 떨어지도록 한다. 결합부(140)는 기본적으로 막대구조로 이루어지며, 단면 형상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를 구비한 다기능 지지구조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기능 지지구조체는 휴대장치(10)의 적어도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210)를 포함한다. 거치부(210)는 휴대장치(10)의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고, 휴대장치(10)의 양측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휴대장치(10)의 양측에 거치부(210)가 구비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거치부(210)는 집게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장치(10)의 양측에 탈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가 거치부(210)를 구비하므로, 제1마찰부(110)는 휴대장치(10)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된 거치부(210)에 부착되거나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거치부(210)가 구비된 다기능 지지구조체에서 지지부(130)의 끝부는 제1마찰부(110)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제2마찰부(120)는 제1마찰부(110)와 지지부(130)의 끝부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부(140)와 관통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10)를 향하는 결합부(140)의 끝부는 거치부(210)에 결합되어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 구동된다.
아울러, 제1마찰부(110)를 향하는 결합부(140)의 끝부는 제1마찰부(110)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41)와 결합되어 제1마찰부(110)와 결합되고,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 구동된다. 도 6과 같이, 결합부(140)가 거치부(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렛대 구동되면, 거치부(210)와 결합된 결합부(140)의 끝부는 결합부재(14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7과 같이 결합부(140)의 끝부가 결합부재(14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결합부(140)는 지렛대 구동으로 제1마찰부(110) 및 제2마찰부(120)가 서로 접촉되거나 떨어지게 하여 지지부(130)를 회동 또는 회동저지되도록 한다. 결합부(140)의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 구동에 의한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의 접촉, 접촉에 따른 지지부(130)의 회동저지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는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마찰부(110) 및 제2마찰부(120)는 단위 마찰부로 구성되며, 이때 단위 마찰부가 반복적으로 구비되어 결합부(140)에 의해 관통결합된다. 단위 마찰부가 반복적으로 구비될 경우, 일 단위 마찰부에서 돌기가 구비되지 않는 제2마찰부(120)의 측면은 타 단위 마찰부에서 제1마찰부(110)의 측면과 접하게 된다.
아울러, 일 단위 마찰부와 타 단위 마찰부가 반복적으로 구비될 경우, 결합부(140)와 결합되는 결합부재(141)는 일 단위 마찰부의 제1마찰부(110)에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단위 마찰부는 거치부(210)가 구비된 경우에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거치부(210)가 구비된 경우, 일 단위 마찰부의 제1마찰부(110)가 거치부(210)의 측면에 결합되며 제2마찰부(120)와 접하게 되며 단위 마찰부를 구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단위 마찰부의 개수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위 마찰부의 형상 및 크기 등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제1마찰부(110) 및 제2마찰부(120)를 단위 마찰부로 구성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하므로, 제1마찰부(110) 및 제2마찰부(120)가 서로 접할 때 발생되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지구조체는 연질의 제1마찰부(110)가 휴대장치(10)의 양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결합부(140)에 의해 제1마찰부(110), 지지부(130) 및 경질의 제2마찰부(120)가 서로 결합되어 휴대장치(10)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므로, 특정 기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종의 휴대장치에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마찰부(110)에 비해 경질인 제2마찰부(120)의 표면에 복수의 돌기(121)를 구비하며, 결합부(140)의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구동으로 제1마찰부(110)가 결합부(1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마찰부(110)와 제2마찰부(120)가 접촉할 때 돌기(121)가 제1마찰부(110)에 인입되며 마찰력을 발생시켜 지지부의 회동을 저지하므로, 휴대장치에 체결된 상태에서 무단(無段)으로 지지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 휴대장치 110: 제1마찰부
120: 제2마찰부 121: 돌기
130: 지지부 140: 결합부
141: 결합부재 150: 접착부재
210: 거치부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마찰부; 끝부가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휴대장치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의 끝부와 제1마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1마찰부에 비해 경질인 적어도 하나의 제2마찰부; 및 지지부의 끝부, 제1마찰부 및 제2마찰부에 관통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지지부는 휴대장치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제1마찰부를 향하는 제2마찰부의 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 시 돌기가 제1마찰부에 인입되며 마찰력이 발생되어 지지부의 회동이 저지되며,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을 향하는 결합부의 끝부는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 구동되며,
    결합부의 회전구동 시, 결합부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스크루(screw)를 따라 지지부가 이동하여,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되며 지지부의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
  4.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마찰부; 끝부가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휴대장치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의 끝부와 제1마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1마찰부에 비해 경질인 적어도 하나의 제2마찰부; 및 지지부의 끝부, 제1마찰부 및 제2마찰부에 관통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지지부는 휴대장치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제1마찰부를 향하는 제2마찰부의 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 시 돌기가 제1마찰부에 인입되며 마찰력이 발생되어 지지부의 회동이 저지되며,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을 향하는 결합부의 끝부는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 구동되며,
    결합부의 지렛대구동 시, 지렛대 구동을 위해 지지부가 휴대장치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되며 지지부의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
  5.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마찰부; 끝부가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휴대장치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의 끝부와 제1마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1마찰부에 비해 경질인 적어도 하나의 제2마찰부; 및 지지부의 끝부, 제1마찰부 및 제2마찰부에 관통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지지부는 휴대장치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제1마찰부를 향하는 제2마찰부의 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 시 돌기가 제1마찰부에 인입되며 마찰력이 발생되어 지지부의 회동이 저지되며,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을 향하는 결합부의 끝부는 제1마찰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와 결합되어 제1마찰부와 결합되고,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결합부의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 구동 시,
    지지부가 휴대장치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되며 지지부의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
  7.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과 접촉되지 않는 거치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마찰부; 끝부가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휴대장치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의 끝부와 제1마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1마찰부에 비해 경질인 적어도 하나의 제2마찰부; 및 지지부의 끝부, 제1마찰부 및 제2마찰부에 관통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지지부는 거치부에 의해 휴대장치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제1마찰부를 향하는 제2마찰부의 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 시 돌기가 제1마찰부에 인입되며 마찰력이 발생되어 지지부의 회동이 저지되며,
    제2마찰부는 돌기를 포함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지거나, 제1마찰부 및 제2마찰부는 단위 마찰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 마찰부가 반복적으로 구비되어 결합부에 의해 관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거치부를 향하는 결합부의 끝부는
    거치부에 결합되어 지렛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결합부의 지렛대 구동 시,
    지지부가 휴대장치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되며 지지부의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마찰부를 향하는 결합부의 끝부는
    제1마찰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와 결합되어 제1마찰부와 결합되고, 회전구동 또는 지렛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
  11.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마찰부; 끝부가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휴대장치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의 끝부와 제1마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1마찰부에 비해 경질인 적어도 하나의 제2마찰부; 및 지지부의 끝부, 제1마찰부 및 제2마찰부에 관통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지지부는 휴대장치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제1마찰부를 향하는 제2마찰부의 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 시 돌기가 제1마찰부에 인입되며 마찰력이 발생되어 지지부의 회동이 저지되며,
    제2마찰부는 돌기를 포함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
  12.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마찰부; 끝부가 휴대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휴대장치를 지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의 끝부와 제1마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1마찰부에 비해 경질인 적어도 하나의 제2마찰부; 및 지지부의 끝부, 제1마찰부 및 제2마찰부에 관통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지지부는 휴대장치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제1마찰부를 향하는 제2마찰부의 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제1마찰부와 제2마찰부가 접촉 시 돌기가 제1마찰부에 인입되며 마찰력이 발생되어 지지부의 회동이 저지되며,
    제1마찰부 및 제2마찰부는
    단위 마찰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 마찰부가 반복적으로 구비되어 결합부에 의해 관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
  13.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위 마찰부가 반복적으로 구비될 경우,
    일 단위 마찰부에서 돌기가 구비되지 않는 제2마찰부의 측면은 타 단위 마찰부에서 제1마찰부의 측면과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지구조체.
KR1020140023312A 2014-02-27 2014-02-27 다기능 지지구조체 KR101565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312A KR101565335B1 (ko) 2014-02-27 2014-02-27 다기능 지지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312A KR101565335B1 (ko) 2014-02-27 2014-02-27 다기능 지지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698A KR20150101698A (ko) 2015-09-04
KR101565335B1 true KR101565335B1 (ko) 2015-11-05

Family

ID=5424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312A KR101565335B1 (ko) 2014-02-27 2014-02-27 다기능 지지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3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565B2 (ja) 1990-09-10 2000-02-14 味の素株式会社 発酵法による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KR200330219Y1 (ko) 2003-07-15 2003-10-17 정재봉 휴대폰 거치대
JP2013529449A (ja) * 2010-06-07 2013-07-18 ターガス・グループ・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携帯電子機器用のケースアクセサリ並びにそれ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565B2 (ja) 1990-09-10 2000-02-14 味の素株式会社 発酵法による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KR200330219Y1 (ko) 2003-07-15 2003-10-17 정재봉 휴대폰 거치대
JP2013529449A (ja) * 2010-06-07 2013-07-18 ターガス・グループ・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携帯電子機器用のケースアクセサリ並びにそれ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698A (ko)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2655B2 (en) Hinge structure
US10716228B2 (en) Suppor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US9696754B2 (en) Hinge having multiple degrees of freedom
TWI597592B (zh) 擴充座及電子設備
US20120112022A1 (en) Wall mount hanger
JP6339660B2 (ja) 回転可能な部品取付けのためのヒンジ機構
TWI553256B (zh) 支撐裝置
TWI512428B (zh) 支撐裝置及使用該支撐裝置的電子裝置
US2012026285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assembly
TW201302031A (zh) 支撐裝置
US8602375B2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WO2016082372A1 (zh) 一种电路板定位装置
US20150349830A1 (en) Sliding stand assembly
TW201304663A (zh) 電子裝置之支撐裝置
KR101565335B1 (ko) 다기능 지지구조체
US9459655B2 (en) Laptop
TWM466463U (zh) 多止擋角度之鉸鏈
TWI578878B (zh) 電子裝置及其裝置固定結構
US9157263B2 (en) Supporting frame assembly having inclination adjustment mechanism
KR200464979Y1 (ko) 흡착용 거치대
JP2006245295A (ja) 小型電子機器用クリップ機構
WO2020181844A1 (zh) 指环支架
JP6060753B2 (ja) 電子装置
TW201241326A (en) Clamp apparatus
TWM492379U (zh) 可連動樞轉的鉸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