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675Y1 - 분재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분재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675Y1
KR200329675Y1 KR20-2003-0023030U KR20030023030U KR200329675Y1 KR 200329675 Y1 KR200329675 Y1 KR 200329675Y1 KR 20030023030 U KR20030023030 U KR 20030023030U KR 200329675 Y1 KR200329675 Y1 KR 200329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sai
bottom member
edge
synthetic resin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문규
Original Assignee
천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문규 filed Critical 천문규
Priority to KR20-2003-0023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분재용 받침대는 분재용 받침대에 있어서, 두 개의 금속박판(11a) 사이에 발포수지(11b)를 발포한 바닥부재(11); 상기 바닥부재(11)의 상측면 가장자리부에 세워져서 접착되는 발포합성수지 재질의 테두리부재(12); 합성수지와 고무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11)의 둘레면에 부착되는 마감재(13); 합성수지와 고무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11)의 둘레면 모서리와 상기 테두리부재(12)의 둘레면 모서리를 감싸는 장식띠(14)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재(11), 테두리부재(12), 마감재(13), 장식띠(14)를 방수도료로 전체적으로 방수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분재용 받침대는 가볍고 유연하여 충격에 강하고 내식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루기가 쉬워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분재의 수명을 용이하게 증대하게 되며, 바닥부재의 상부면 중앙부를 다수로 쉽게 구획하기 때문에 다양한 축경과 분경을 용이하게 연출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분재용 받침대{UNDERPINNING FOR FLOWERBED AND PLANT POT}
본 고안은 가정, 사무실 등에 배치되는 분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볍고 충격에 강하면서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함과 더불어 다수의 구획으로 분할함으로써 무게를 저감하여 작업성을 향상하고 다양한 축경과 분경을 용이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분재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분재로 축경과 분경을 연출함과 더불어 식목의 광합성 작용으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게 되며, 베란다 등에는 화단을 조정함과 더불어 꽃이나 식목을 각각 심은 다수의 화분을 실내의 곳곳에 배치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베란단 등에 화단을 조정하기 위해서, 외부에서 흙을 운반하여 베란다에 놓고 상기 흙의 둘레에 벽돌이나 장식블록 등을 배치한 뒤, 식목이나 꽃을 심게 되며, 상기 식목이나 꽃에 물과 영양액을 주어서 분재(盆栽)하게 되었으나, 꽃이나 식목을 심고 분재하기 위하여 다수의 화분이나 간이형 화단에 흙을 꽃이나 식목을 심을 수 있는 두께로 깔게 되기 때문에 식목 등을 분재하기 위한 화단을 가꿀 때에 많은 양의 흙이 소요되며, 흙으로 다양한 형상의 화단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의 화단을 쉽게 조성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아크릴, 강화플라스틱, 나무 재질의 받침대 위에 돌이나 수목을 심어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축경과 분경을 연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아크릴 재질로 제조된 다양한 형상의 받침대는 아크릴의 특성이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어 완성된 분재를 다루기가 어렵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받침대는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크기와 형상의 한계가 있으며, 다른 형상으로 연출하고자 할 경우에 금형을 변경해야 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연출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더우기 종래의 나무 받침대는 쉽게 부식하기 때문에 부식으로 인한 파손이 짧은 시간에 발생할 수 있으며, 견고하게 제조하면 무게가 무거워서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게를 저감하여 작업성을 향상하고, 다양한 축경과 분경을 용이하게 연출할 수 있는 분재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분재용 받침대에 있어서, 두 개의 금속박판 사이에 발포수지를 발포한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상측면 가장자리부에 세워져서 접착되는 발포합성수지 재질의 테두리부재; 합성수지와 고무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의 둘레면에 부착되는 마감재; 합성수지와 고무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의 둘레면 모서리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둘레면 모서리를 감싸는 장식띠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재, 테두리부재, 마감재, 장식띠를 방수도료로 전체적으로 방수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분재용 받침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가 적용되는 분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분재용 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분재용 받침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의 또다른 예가 적용되는 분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11 : 바닥부재
12 : 테두리부재 13 : 마감재
14 : 장식띠 15 : 구획부재
16 : 돌 17 : 모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가 적용되는 분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분재(1)는 하부면에 받침대(10)가 배치되고, 상기 받침대(10)의 상부면에 산, 식목, 호수 등을 조합하여 분경과 축경을 연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1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단에 바닥부재(11)가 배치되고, 상기 바다부재(11)의 상부면 가장자리부에 테두리부재(12)가 세워져서 부착되며, 상기 바닥부재(11)의 둘레면을 마감재(13)가 밀봉 부착되고, 상기 바닥부재(11)의 둘레면 모서리와 상기 테두리부재(12)의 둘레면 모서리를 장식띠(14)가 감싸게 되며, 상기 바닥부재(11), 테두리부재(12), 마감재(13), 장식띠(14)가 방수도료(미도시)로 전체적으로 방수 처리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재(11)는 두 개의 금속박판(11a) 사이에 발포수지(11b)를 발포한 구조이며, 상기 테두리부재(12)는 발포합성수지 재질이고, 상기 마감재(13)와 장식띠(14)는 합성수지와 고무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그러면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무게를 매우 가볍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수도로로 방수 처리하기 전에, 상기 바닥부재(11)와 테두리부재(12) 사이의 접촉 부위를 실리콘과 에폭시수지 중의 하나로 일차적으로 방수 처리하면서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발포수지(11b)는 전체적인 무게를 좌우하기 때문에 스티로폼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바닥부재(11)는 다양한 형상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절단된 금속박판(11a)의 날카로움과 바닥부재(11)의 측면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마감재(13)와 장식띠(14)가 부착되며, 특히 상기 마감재(13)는 바닥부재(11)의 금속박판(11a) 사이의 발포수지(11b)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 고안의 받침대(10)로 분재를 완성한 뒤의 무게를 줄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합성수지 재질의 구획부재(15)로 상기 바닥부재(11)의 중앙부를 분할하는 것을 포함하게 되는 바, 이는 호수와 강을 연출할 때에 물을 편리하게 분리하여 가두기 위한 것이다.
더우기 본 고안은 또다른 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10)의 외형을 더욱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부재(12)의 외측면에 돌(16)과 모래(17)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돌(16)을 테두리부재(12)에 쉽게 부착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접착제로 돌(16)을 부착한 뒤, 실리콘(18)으로 돌(16)과 돌(16) 사이를 이차적으로 부착하게 되며, 상기 모레(17)를 부착하기 위하여 접착제(17)를 혼합한 뒤에 테두리부재(12)에 도포하듯이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분재용 받침대(10)는 분재(1)를 설치할 장소로 옮겨서 돌, 용토, 수목, 물, 순환펌프, 호스 등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분경과 축경을 연출하도록 한다.
그러면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10)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다루기가 쉬워서 작업을 편리하게 하며,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이므로 완성된 분재의 수명을 용이하게 연장함과 더불어 외부의 충격이 받침대에 가해지더라도 받침대가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분재용 받침대는 가볍고 유연하여충격에 강하고 내식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루기가 쉬워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분재의 수명을 용이하게 증대하게 되며, 바닥부재의 상부면 중앙부를 다수로 쉽게 구획하기 때문에 다양한 축경과 분경을 용이하게 연출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분재용 받침대에 있어서,
    두 개의 금속박판(11a) 사이에 발포수지(11b)를 발포한 바닥부재(11); 상기 바닥부재(11)의 상측면 가장자리부에 세워져서 접착되는 발포합성수지 재질의 테두리부재(12); 합성수지와 고무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11)의 둘레면에 부착되는 마감재(13); 합성수지와 고무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11)의 둘레면 모서리와 상기 테두리부재(12)의 둘레면 모서리를 감싸는 장식띠(14)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재(11), 테두리부재(12), 마감재(13), 장식띠(14)를 방수도료로 전체적으로 방수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분재용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발포합성수지 재질의 구획부재(15)로 상기 바닥부재(11)의 중앙부를 분할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재용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12)의 외측면에 돌(16)과 모래(17)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재용 받침대.
KR20-2003-0023030U 2003-07-16 2003-07-16 분재용 받침대 KR200329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30U KR200329675Y1 (ko) 2003-07-16 2003-07-16 분재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30U KR200329675Y1 (ko) 2003-07-16 2003-07-16 분재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675Y1 true KR200329675Y1 (ko) 2003-10-10

Family

ID=4933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030U KR200329675Y1 (ko) 2003-07-16 2003-07-16 분재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6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102B2 (en) Decorative surround for plants
KR101216746B1 (ko) 수목 식재용 대형 화분 및 그 제조방법
WO2011118698A1 (ja) ハイドロカルチャー専用鉢
US9756792B2 (en) Floating garden structure
CN201674835U (zh) 花盆
KR200329675Y1 (ko) 분재용 받침대
US20040187418A1 (en) Decorative floating island
KR100411766B1 (ko) 분재용 받침대
KR200267239Y1 (ko) 분재용 받침대
CN211482119U (zh) 一种石雕双层花盆
CN201533515U (zh) 红掌切花种植槽
KR100852425B1 (ko) 화분용 식재구조
CN204191240U (zh) 一种带景观灯的花钵结构
KR100851822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건물 외벽용 화분
JPS6031473Y2 (ja) 植物の立体栽培体
KR200393137Y1 (ko) 자연석 형태의 장식모형
JP2002000098A (ja) 浮遊式の草花栽培容器体、およびその草花栽培容器体を用いた浮遊式の花壇
WO2012043720A1 (ja) 岩石状植栽具
KR200363412Y1 (ko) 화초 및 수족관을 구비한 실내조경물
JPH10325143A (ja) 緑化装置
KR20120033549A (ko) 꽃탑 조형물
CN209824538U (zh) 一种立体绿化植物培养模块
KR20110008070U (ko) 실내외 조경을 위한 조형물 제작
KR20140001506U (ko) 화분
JP2003339240A (ja) 岩石状植栽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