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606Y1 -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606Y1
KR200329606Y1 KR20-2003-0020434U KR20030020434U KR200329606Y1 KR 200329606 Y1 KR200329606 Y1 KR 200329606Y1 KR 20030020434 U KR20030020434 U KR 20030020434U KR 200329606 Y1 KR200329606 Y1 KR 200329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evention net
fixed
present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기
정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우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우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우 코리아
Priority to KR20-2003-0020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6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bstract

본 고안은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안전 로프를 고정한 상태로 작업하여도 안전 로프의 고정에 의해 작업자가 작업하는 것을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고 안전하게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사다리의 형태를 가지는 본체의 기단부가 건물 구조체측에 고정되고, 건물 구조체에 고정된 와이어에 선단부가 현수되어 설치되며, 선단측에 구비된 고리에 낙하물 방지망 고정용 로프를 통과시켜 사용하는 사다리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본체의 대략 전 길이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선재가 양끝단이 고정된 채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는 선단부의 형태를 통상의 비계용 파이프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에 있어 프레임 고정식과 현수식 중 어느 쪽으로도 시공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SUPPORTER FOR SAFETY NET SYSTEM}
본 고안은 고층 건축물의 건설 공사 현장에서 낙하물이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체의 외측으로 설치하는 낙하물 방지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안전 로프를 고정한 상태로 작업하여도 안전 로프의 고정에 의해 작업자가 작업하는 것을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고 안전하게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가의 상승, 건설 용지의 부족과 더불어 건설 기술의 발전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건축물은 점차로 고층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고층 작업 중에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낙하한 각종 낙하물이 지상으로 추락함으로써 발생하는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층 건축물에는 일정 높이마다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는 방식은 크게 프레임 고정식과 현수식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중 상기 프레임 고정식은 건축물의 슬래브 외주변에 설치된 안전 난간이나 브라켓 등을 지지점으로 삼아 여기에 클램프를 사용하여 건물의 외부쪽으로 비스듬하게 세로 파이프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세로 파이프의 양 단부에 가로 파이프를 고정하여 프레임을 형성한 다음, 이 프레임에 안전망을 철선 등으로 결속하여 낙하물 방지망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상기 프레임 고정식은 안전망의 4변이 프레임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므로 낙하물을 받칠 수 있는 강도가 우수하며 망의 처짐이 작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현재 생산되는 비계용 파이프의 길이가 최대 6m로 제조되고 있어 프레임의 구성에 소요되는 파이프의 수가 많아지며 이에 따라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현수식은 일명 Flying Net식으로 불리는 방식으로서, 건축물 외측을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지지대를 설치하여 두고 이들 지지대의 사이에는 가로 방향으로 로프가 가로질러 설치되며 이 로프에 안전망이 결속되어 현수되는 방식이다. 상기 현수식의 경우 안전망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고정식에서와 같이 가로 파이프를 사용하는 대신 로우프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에 따라 세로 방향의 지지대를 프레임 고정식의 세로 파이프의 간격보다 훨씬 넓은 간격(통상 10m 내외)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설치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이 방식은 로우프에 의해 안전망을 지지하므로 상기 프레임 고정식에 비하여 강도가 다소 떨어지고 처짐의 정도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는 바, 공사 현장에서는 상기 방식들의 장,단점을 감안하여 필요에 따라 이들 2개의 방식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설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외부측에 별도의 가설 비계를 설치해야 하였는데, 이러한 가설 비계의 설치 및 해체에 추가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가설 비계의 설치를 생략하고자 사다리 형태의 지지대가 개발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1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p)는 전체적으로 사다리의 형상을 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고자 하는 작업자는 상기 사다리 형태의 몸체(10p)를 딛고 건물의 외부측으로 나아가 상기 지지대(1p)의 선단 부근에서 소정의 낙하물 방지망 설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방식에서와 같이 설치 작업을 위한 가설 비계의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면의 식별부호 22p는 상기 지지대(1p)를 건물 구조체에 현수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이며, 24p는 안전망의 고정을 위한 로프가 가로 질러 통과되는 고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의 사다리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의 경우 기존 지지대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낙하물 방지망 설치 작업을 위한 가설 비계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게 되는 신규의 기술 사상을 창출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사다리 형태를 가지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의 구성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9-56664호 및 제2000-63566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작업자가 안전망을 설치하기 위해 사다리를 딛고 건물 외측으로 나아가 작업하는 과정에서 추락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반드시 개인용 안전대를 착용하고 이의 후크(hook)를 안전 난간 등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하여야 한다. 이 때, 작업자가 낙하물 방지망 설치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안전대가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반경이 축소되어 원활한 작업 진행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는 바 이는 작업자가 안전대의 착용을 기피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추락 사고도 보고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사다리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1p)의 경우 선단부에 고리(24p)가 마련되어 있어 낙하물 방지망 고정용 로프가 지나갈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한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형식 중 현수식에 의하여 시공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고정식 설치 방식과 현수식 설치 방식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지대에 의하면 하나의 방식만을 사용할 수 있어 다른 방식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배제되므로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다리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가 안고 있는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사다리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에 있어 안전대의 후크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안전대의 고정에 의해 작업자가 낙하물 방지망 설치 작업을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한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목적에 부가하여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낙하물 설치망의 설치 방식 중에서 가로 파이프를 연결하여 프레임 고정식으로 설치하거나 로프를 연결하여 현수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현장 상황에 유동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사다리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가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를 예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사용하여 현수식으로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한 상태를 예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사용하여 프레임 고정식으로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10: 본체 12: 와이어 고정부
14: 고리 15: 선재
20: 연결 파이프 P: 가로 파이프
C: 클램프 N: 안전망
상기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다리의 형태를 가지는 본체의 기단부가 건물 구조체에 고정되고, 건물 구조체에 고정된 와이어에 선단부가 현수되어 설치되며, 선단측에 구비된 고리에 낙하물 방지망 고정용 로프를 통과시켜 사용하는 사다리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대략 전 길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긴 선재가 양끝단이 고정된 채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선단부에 통상의 비계용 파이프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연결 파이프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하는 구성을 제공하며, 이 역시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본 고안이 가지는 기술적 특징의 하나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사다리의 형태를 가지면서 선단부에 와이어 고정부(12)와 고리(14)가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가늘고 긴 선재(15)를 포함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다리의 형태를 가지는 본체(10)를 중심으로 하여 여기에 각 구성요소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딛고 나가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이와 같은 형태는 같은 무게에 대하여 전체 지지대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아울러 나타낸다. 상기 본체의 재질로는 통상 철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 경우 우수 등에 노출됨에 따라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청 페인트를 칠하여 사용하거나 아연도금 처리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본체(10)의 선단부에는 와이어 고정부(12)가 형성되며, 여기에 건물 구조체에 고정 설치된 와이어(W)가 연결됨으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1)가 건물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현수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상기 본체(10)의 기단부는 건물 구조체측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하여 건물 구조체에는 별도의 브라켓(B)을 미리 설치하여 두거나 또는 슬래브의 외주에 설치된 안전 난간대등을 활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본체(10)의 기단부가 통상의 단관 파이프와 같은 직경의 연결 파이프의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함으로써 일반적인 클램프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형태 이외에도 상기 몸체의 기단측 단부에 클램프를 일체로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본체(10)의 선단측에는 고리(14)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 고리(14)는 낙하물 방지망 고정용 로프를 통과시켜 설치함으로써 낙하물 방지망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고리(14)는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의 폭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선단측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며, 통상 링형 부재를 본체에 용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종래의 사다리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틀의 경우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본 고안이 목적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바, 이하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상기 선재(15)는 와이어, 스틸 로드와 같은 비교적 가늘고 긴 봉상의 자재로서, 상기 선재(15)는 본체(10)의 일측면에 양 끝단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선재(15)는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안전대의 후크(H)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양 끝단만이 본체(10)에 고정 설치되는 바, 이와 같은 고정 방식에 의하여 안전대의 후크(H)는 작업자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가 안전대를 상기 선재(15)에 고정하더라도 이에 의해 작업이 방해 받지 않게 되므로 종래의 지지대와 비교할 때 훨씬 원활하고 안전한 낙하물 방지망 설치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선재(15)의 재질로는 가는 철선을 여러겹 꼬아 만든 스틸 와이어 로프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통상의 섬유 로프 또는 스틸 로드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10)의 선단부에 연결 파이프(20)를 바람직하게 더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파이프(20)는 상기 본체(10)의 선단부에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이 되도록 설치되며, 그 직경은 통상의 비계용 단관 파이프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파이프 결속용 클램프(C)를 사용하여 가로 파이프(P)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종래의 사다리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가 현수식 한 가지만으로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음에 비하여 가로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레임 고정형으로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실용성 면에서 대단히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도4 및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를 사용하여 현수식 및 프레임 고정식으로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지대(1)를 현수식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10)의 선단에 마련된 고리(14)를 통하여 설치된 로프(R)에 안전망(N)을 결속 설치하면 되고, 프레임 고정식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선단에 마련된 연결 파이프(20)에 가로 파이프(P)를 클램프(C)를 통하여 결합한 후 여기에 안전망(N)을 결속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안전망(N)을 고정함에 있어서는 통상의 결속선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coil)형으로 제작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로프(R')를 마련하고 이를 안전망(N)의 눈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가로 파이프(P) 및 본 고안의 본체(10)에 감아 나가면 더욱 간편하게 고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다리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에 있어 안전대의 후크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안전대의 고정에 의해 작업자가 낙하물 방지망 설치 작업을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한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가 제공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낙하물 설치망의 설치 방식 중에서 가로 파이프를 연결하여 프레임 고정식으로 설치하거나 로프를 연결하여 현수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현장 상황에 유동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가 제공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Claims (3)

  1. 사다리의 형태를 가지는 본체의 기단부가 건물 구조체측에 고정되고, 건물 구조체에 고정된 와이어에 선단부가 현수되어 설치되며, 선단측에 구비된 고리에 낙하물 방지망 고정용 로프를 통과시켜 사용하는 사다리형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본체의 대략 전 길이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선재가 양끝단이 고정된 채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선단부에는 통상의 비계용 파이프와 동일한 직경의 연결 파이프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선재는 와이어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2003-0020434U 2003-06-27 2003-06-27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0329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434U KR200329606Y1 (ko) 2003-06-27 2003-06-27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434U KR200329606Y1 (ko) 2003-06-27 2003-06-27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606Y1 true KR200329606Y1 (ko) 2003-10-17

Family

ID=4941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434U KR200329606Y1 (ko) 2003-06-27 2003-06-27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60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338B1 (ko) * 2005-04-04 2006-01-10 김현석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0645108B1 (ko) 2004-10-11 2006-11-10 김미옥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20160003641U (ko) 2015-04-13 2016-10-21 배성진 건물의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190091163A (ko) 2018-01-26 2019-08-05 박종미 낙하물 방지망 지지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108B1 (ko) 2004-10-11 2006-11-10 김미옥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0540338B1 (ko) * 2005-04-04 2006-01-10 김현석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20160003641U (ko) 2015-04-13 2016-10-21 배성진 건물의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0482200Y1 (ko) 2015-04-13 2016-12-29 배성진 건물의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190091163A (ko) 2018-01-26 2019-08-05 박종미 낙하물 방지망 지지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3906B2 (ja) 落下阻止アセンブリ
US20150284968A1 (en) I-beam-attachable lifeline system
JP4102372B2 (ja) 鉄塔への防護ネットの取付け方法
KR20170001001U (ko)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망이 설치된 조립식 비계
JP2006225879A (ja) ワイヤロープ型落石防護柵
KR200329606Y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210048308A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JP2019052477A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KR101832365B1 (ko) 로프타입 펜스의 장력조절장치
KR200400993Y1 (ko) 건축현장용 난간 안전지지대
KR102100695B1 (ko) 추락방지 안전망 설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148450B1 (ko) 추락방지용 개인용 죔줄 체결끈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의 추락방지방법
US6035967A (en) Safety apparatus using parallel line catchers for elevated work site operations
KR102123359B1 (ko) 구명줄 장치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KR200201536Y1 (ko) 건설현장용 안전망구조
KR20080033208A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CA2855482C (en) Vertical support member for a suspended scaffold assembly, kit for mounting a suspended scaffold assembly, suspended scaffold assembly and method for mounting same
KR100726445B1 (ko) 추락방지용 안전대 걸이 구조
KR101134360B1 (ko)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KR100752031B1 (ko) 단층 설치식 가설구조용 추락방지대
KR102619124B1 (ko) 통신주 등주 작업 방법
KR200317483Y1 (ko) 낙하방지용 방호틀
JP6444725B2 (ja) 落下物防護装置用の吊り足場および斜面における吊り足場の設置方法
KR200356623Y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