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594Y1 -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 - Google Patents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9594Y1 KR200329594Y1 KR20-2003-0019556U KR20030019556U KR200329594Y1 KR 200329594 Y1 KR200329594 Y1 KR 200329594Y1 KR 20030019556 U KR20030019556 U KR 20030019556U KR 200329594 Y1 KR200329594 Y1 KR 20032959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len
- pot
- onggi
- plant
- decorati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본체를 옹기로 형성하면서 그 운두를 낮게 하여 장식적인 미감을 제공하고, 받침부위는 목재로 제작하여 화분의 전체적인 미감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장식장 등에 얹어놓을 때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배수되는 물과 식물 사이를 이격시켜 뿌리 썩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점차 그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에 있어서, 화분을 화분본체와 화분받침으로 분리 구성하고, 화분본체는 옹기로 구성하되, 화분본체는 직경은 크면서도 상대적으로 운두가 낮게 형성하고, 화분받침은 화분본체의 직경보다는 작고 화분본체의 높이보다는 높게 형성하여 화분본체의 바닥중앙에 고정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전체적인 화분의 형상이 길쭉한 받침이 커다란 물체를 떠받치고 있는 형상이 되어 장식적인 미감이 향상될 수 있고 더욱이 화분본체의 재질이 옹기로 구성되므로 그 특유의 빛깔 및 질감을 통해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화분받침의 높이가 높아 배수되는 물과 식물 사이가 이격되어 뿌리 썩음은 방지할 수 있고, 화분받침이 목재로 구성되어 있어 화분이 얹혀지는 장식장 등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화분본체를 옹기로 형성하면서 그 운두를 낮게 하여 장식적인 미감을 제공하고, 받침부위는 목재로 제작하여 화분의 전체적인 미감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장식장 등에 얹어놓을 때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배수되는 물과 식물 사이를 이격시켜 뿌리 썩음을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식물은 흙에서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며, 이러한 식물을 관상용이나 간이 재배를 위해 흙을 담은 화분에 담아 키우기도 한다.
화분은 흙, 도자기, 유리,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하여 그 내부에 식물의 씨앗을 파종하거나 심게 되는데, 통상적인 화분은 많은 흙을 담아 뿌리가 깊게 내리도록 운두가 높게 형성하고 있으며, 화분의 바닥부위에는 물이 배출되도록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화분은 어떠한 용도이건 천편일률적으로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점차 직경이 좁아지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관상용으로 적용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식상한 느낌을 주게되며, 화분을 그대로 장식장 등에 올려놓게 되면 그 매끄러운 표면이 거친 흙 또는 화분의 표면과 마찰되어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분의 하면에는 물받침을 받쳐주기도 하나 배추되는 물이 물받침에 고여 식물의 뿌리를 썩게 하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화분본체는 직경은 크면서도 상대적으로 운두가 낮게 옹기로 구성하고, 그 하부에 화분본체의 직경보다는 작고 화분본체의 높이보다는 높은 화분받침을 고정하여 화분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면서 배출되는 물이 화분본체와는 이격되어 식물의 뿌리 부패를 방지하도록 한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화분받침을 목재로 구성하여 장식장 등에 올려놓았을 때 그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받침의 예시도로서,
(a)는 목재를 이용한 경우.
(b)는 철재를 이용한 경우.
(c)는 옹기를 이용한 경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분본체 11 : 배수공
12 : 손잡이 20 : 화분받침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점차 그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는 배수공(11)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을 화분본체(10)와 화분받침(20)으로 분리 구성하고, 화분본체(10)는 옹기로 구성하되, 화분본체(10)는 직경은 크면서도 상대적으로 운두가 낮게 형성하고, 화분받침(20)은 화분본체(10)의 직경보다는 작고 화분본체(10)의 높이보다는 높게 형성하여 화분본체(10)의 바닥중앙에 고정하여 장식적인 미감을 주면서 배출되는 물이 화분본체(10)와 이격되도록 하여 식물 뿌리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화분받침(20)은 도 3과 같이 화분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철재, 합성수지재, 옹기, 목재 등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 화분이 얹혀지는 장식장 등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목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화분받침(20)의 형상 6각형, 원형 등 화분본체(10)를 원활히 받쳐주면서도 장식적인 미감을 줄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든 적용 가능하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2는 손잡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은 다음과 같은작용을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화분본체(10)는 직경이 크고 상대적으로 운두가 낮으며, 이를 받쳐주는 화분받침(20)은 화분본체(10)보다는 작은 직경과 높은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전체적인 화분의 형상이 길쭉한 받침이 커다란 물체를 떠받치고 있는 형상이 되어 화분의 장식적인 미감이 우수해지며, 특히 화분본체(10)가 옹기로 되어 있어 그 특유의 빛깔과 질감을 통해 미감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화분본체에 물을 주어 물이 배수공(11)을 통해 배출될 때 화분받침(20)의 높이가 높아 물과 화분본체(10)의 사이가 이격되므로 식물 뿌리가 썩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화분본체(10)는 운두가 낮으므로 뿌리가 깊은 식물을 재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뿌리가 얕은 식물을 심거나, 분재를 하거나, 꽃꽂이 등으로 장식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장식장 등에 올려놓고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장식장 등의 표면은 통상 유리와 같이 매끄러운 재질로 구성되므로 그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장식장 등의 표면과 직접 접촉되는 화분받침(20)의 재질 역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화분받침(20)을 목재로 구성한 것으로, 목재는 그 표면이 매우 부드러워 유리와 같은 매끄러운 재질과 접촉되더라도 그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을 것이므로 화분을 장식장 등에 올려놓아도 장식장의 표면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화분을 내려놓고 다른 물품을 올려놓아도 깨끗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화분받침(20)으로 목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목재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철재로 프레임을 형성하여 화분받침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옹기를 목이 길게 형성하여 화분받침(20)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화분본체(10)를 원활히 받쳐줄 수 있는 재질이면 무엇이든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분본체를 옹기로 구성하되, 그 직경은 크고 상대적으로 운두가 낮게 형성하며, 화분본체의 하면에는 화분본체보다는 직경이 작고 높이가 높은 화분받침을 고정하여서 된 것이므로 그 형상이 마치 길쭉한 받침이 커다란 물체를 떠받치고 있는 형상이 되어 장식적인 미감이 매우 높아지며, 특히 옹기 특유의 빛깔 및 질감을 통해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화분받침의 높이가 높아 배수되는 물과 화분본체의 사이가 이격되어 식물뿌리가 썩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화분받침을 목재로 구성한 것이므로 장식장 등의 매끄러운 표면에 올려놓아도 그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점차 그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는 배수공(11)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에 있어서,상기 화분을 화분본체(10)와 화분받침(20)으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화분본체(10)는 옹기로 구성하되, 상기 화분본체(10)는 직경은 크면서도 상대적으로 운두가 낮게 형성하고, 상기 화분받침(20)은 상기 화분본체(10)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화분본체(10)의 높이보다는 높게 형성하여 상기 화분본체(10)의 바닥중앙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화분받침(20)은 목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9556U KR200329594Y1 (ko) | 2003-06-20 | 2003-06-20 |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9556U KR200329594Y1 (ko) | 2003-06-20 | 2003-06-20 |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9594Y1 true KR200329594Y1 (ko) | 2003-10-17 |
Family
ID=4941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9556U KR200329594Y1 (ko) | 2003-06-20 | 2003-06-20 |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9594Y1 (ko) |
-
2003
- 2003-06-20 KR KR20-2003-0019556U patent/KR20032959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3816Y1 (ko) | 기능성 화분 | |
JP2012223177A (ja) | 観葉植物の育成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部材と植木鉢 | |
CN101946647B (zh) | 适用于藤本植物的保湿式花盆 | |
KR200329594Y1 (ko) | 옹기를 이용한 장식용 화분 | |
KR200420667Y1 (ko) | 물받이 내장형 화분 | |
KR200303931Y1 (ko) | 건축물 실내 기둥 장식용 화분 | |
KR101914112B1 (ko) | 화분 | |
KR200259874Y1 (ko) | 장식용 화분 | |
KR200359219Y1 (ko) | 활엽수용 양묘 포트 | |
KR100591289B1 (ko) |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 |
KR200339556Y1 (ko) |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 |
KR200274673Y1 (ko) | 활엽수 육묘용 포트 | |
KR200313531Y1 (ko) | 풍란재배 화병 | |
KR200203411Y1 (ko) | 장식용 계란 화분 | |
KR200370206Y1 (ko) | 화초 재배장소가 구비된 테이블 | |
JP2000262151A (ja) | 植木鉢・プランター | |
KR200264606Y1 (ko) | 물 고임홈과 인조잔듸를 가지는 화분받침대. | |
KR200266511Y1 (ko) | 콩나물 재배기 | |
KR970004631Y1 (ko) | 난재배용 벽걸이 화분 | |
KR200220960Y1 (ko) | 자연석을 이용한 화분 | |
KR200288314Y1 (ko) | 수분을 겸하는 꽃병이 구비된 화분 | |
KR20170055350A (ko) | 장식용 화분 | |
KR200353462Y1 (ko) | 대나무로 만든 화분 | |
KR20210002723U (ko) | 화분 받치는 그릇 | |
KR20240041477A (ko) | 실내 장식 화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