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416Y1 - 영구앙카 - Google Patents

영구앙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416Y1
KR200329416Y1 KR20-2003-0020333U KR20030020333U KR200329416Y1 KR 200329416 Y1 KR200329416 Y1 KR 200329416Y1 KR 20030020333 U KR20030020333 U KR 20030020333U KR 200329416 Y1 KR200329416 Y1 KR 200329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trand
permanent anchor
anchor
perma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근
Original Assignee
김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근 filed Critical 김수근
Priority to KR20-2003-0020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4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4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리 강연선의 길이를 조절하지 않고 강연선을 볼트로 내하체에 가설현장에서 조정하여 부착할 수 있는 내하체를 포함하고 설치 고정 후 장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재인장이 가능 하도록 구성하여 헤드에 나사산을 상부쪽에 형성하고 유압잭의 인장용 너트와 나사로 결합하여 고정시킨 다음 나사로 결합된 헤드를 유압잭으로 잡아 당겨서, 종전의 설치 후에 강연선이 늘어지거나 토사의 유실이나 내부의 붕괴에 따라 받침판의 바닥의 토사가 유실 되어 공극이 생긴 것을 강연선을 인장하여서, 받침판과 헤드 사이에 끼움쇠 등을 집어 넣어 강연선의 인장에 따른 인장력의 저하나 지지력을 강화하고 영구앙카의 헐거워짐을 보강하는 영구앙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구앙카{Permanent Anchor}
본 고안은 사면이나 암벽의 사면에 앙카를 설치하여 지지력을 보강하는 영구앙카에 있어서 앙카의 설치후 장기간이 경과 됨에 따라 지반의 침하나 토사의 유실로 지지력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한 영구앙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구앙카는 암벽이나 야산지의 사면(13)에서 대지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거나 대형 암반을 고정시켜서 그에 가까운 대지나 도로 등을 보호하고 사면의 암벽을 영구히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영구앙카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암벽이나 사면에 천공(14)을 하고 이 천공(14)을 통하여 영구앙카의 내하체(1)에 강연선(3)을 부착고정하고 이를 삽입한 다음 이 삽입구멍을 세멘트 몰탈(15) 등으로 충진하여 양생시키고, 그 다음에 철제 받침판(23)과 헤드(4)를 통하여 강연선(3)을 뽑아낸 뒤에 받침판(23)위에 강연선(3)에 웨지(21)을 끼우고 강연선을 인장시키고 웨지(21)를 밀착고정하고 인장선(3)을 놓으면 웨지(21)는 강연선의 인장력으로 헤드(4)에 영구히 압착고정된다. 다음에 헤드(4)상에 남아 있는 강연선을 짧게 잘라내서 마무리를 하고 구리스를 주입하고 캡을 씌운다. 그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세멘트가 양생되고 더욱 굳어지면 그 인장력으로 사면을 보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장시간경과 후에 상기 받침판(23) 밑부분의 토사나 암벽이 유실되어 받침판(23)이 노출되거나 받침판(23)와 헤드(4)와의 사이에 공극이 커져서 강연선의 인장력이나 지지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미리 강연선의 길이를 조절하지 않고도 강연선을 내하체에 부착할 수 있는 내하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일단 설치 후에 시간이 오랫동안 경과된 후에도 재인장이 가능 하도록 구성되어, 강연선을 재 인장한 다음에 헤드와 받침대 사이에 인장된 길이 만큼 끼움쇠를 넣어 지지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영구앙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볼트(2)를 앙카의 내하체(1)에 형성된 볼트구멍(2')로 삽입하여 강연선(3)이 볼트(2)에 의해 고착시키므로 사전에 길이를 맞출 필요가 없이 고정되고 길게 늘어뜨려서 암반이나 지반을 통공하여, 여기에 거치하고 세멘트 몰탈을 부어 양생시켜서 지지하게 한다. 그 끝부분에는 고무링(5)이 달린 헤드(4)를 밖으로 고정하므로서 고정 부착하면 된다. 이렇게 부착되면 그 사용길이에 맞게 길게 늘어뜨려 드릴로 뚤린 천공(14)에 강연선(3)을 주입하고 최종 접착 지점까지 투입하여 고정시킨 그 천공(14)에 세멘트 몰탈(15)을 주입하여 양생시키고 강연선(3)을 최대한으로 당겨서 조여서 끼움쇠(22)을 고정조립시켜 남아 있는 강연선(3)을 짧게 절단하여 벽면이나 사면의 미관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고 강연선(3)이 늘어 뜨려져 아이들이 장난을 치다가 사고를 당할 우려를 없앤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앙카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앙카 설치후 시간이 경과하면 경과 할수록 강연선이 늘어나므로써 사면의 지지력이 줄어 들고 영구앙카의 받침대 주변에 토사가 흘러내리거나 유격이 늘어 나서 주변 토사의 붕괴의 위험이 있다. 강연선이 늘어남에 따라서 영구 앙카의 지지력이 약해져서 붕괴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렇다고 재설치를 할 수도 없는 등,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앙카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안전하고 영구적인 강한 인장력을 다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영구앙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내하체(1)의 내부에 여러 개의 강연선(3)을 여러 개의 볼트(2)로 조이므로서 내하체(1)에 강연선(3)이 강인하게 부착 고정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내하체(1)에서 강연선(3)의 부착이 길이 조정 등으로 어려워지는 단점을 해결하고 별도로 공장에서 용접해 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 시킨 것으로 볼트(2)로 내하체(1)에 해당 강연선(3)을 조이기만 하면 되므로 천공심의 길이에 따라 강연선(3)의 길이도 미리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현장에서 조정이 가능하므로 내하체(1)의 삽입도 용이하다.
본 고안에 따른 영구앙카는 이러한 시공순서로 시공한 후에 강연선(3)을 조여서 헤드(4)를 고정하고 캡(24)을 씌워 그리스를 주입하여 둔다. 그 후에 긴 시간이 경과하면 강연선이 늘어나거나 하면 강연선(3)을 다시 인장해서 받침판(23)과 헤드(4)사이에 끼움쇠(22)를 끼운다. 여기서 헤드(4)에 나사산(6)을 만들어 유압잭(9)에 나사산(6)과 너트(8)를 결합하여 강연선(3)을 재인장하고 끼움쇠(22)를 끼운 다음에 유압잭(9)을 풀면 헤드(4)가 받침판(23)에 밀착고정이 되어 인장력이 강화되는 영구 앙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영구앙카에 관한 것으로 록앙카의 앙카체는 완만한 원통형이고 소일 앙카는 구근형이며 그 크기는 토질에 따라 다르다. 강연선의 모양은 흙의 성질에 따라 달라 직선형이나 일련의 굴곡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인장력은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면 이를 통하여 주위 지반에 부착응력으로 전달된다. 또한 세멘트 몰탈은 긴장재의 부식 방지 역할을 한다.영구 앙카나 부식성이 강한 지반의 앙카에는 별도의 덕트를 추가 설치하여 긴장재의 부식을 완전히 보호하게 한다.
도1는 본 고안에 따른 영구 앙카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영구 앙카체의 헤드와 유압잭으로 결합하여 인장 시키기위한 유압잭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영구앙카의 헤드와 받침대사이에 끼우는 끼움쇠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내하체 2. 볼트
3. 강연선 4. 헤드
5. 고무링 6. 나사산
7. 잭받침 8. 재인장용너트
9. 유압잭 13. 사면
14. 천공 15. 세멘트 몰탈
21. 웨지 22. 끼움쇠
23. 받침판 24. 캡
본 고안은 영구앙카에서 내하체(1)의 강연선(3) 조립을 쉽게 현장에서 손쉽게 하므로서 내하체(1)와 강연선(3)을 천공(14)에 삽입하여 세멘트 몰탈(15)을 넣고 양생한 다음에 웨지(21)를 끼우고 강연선(3)을 인장한 다음에 웨지(21)를 강연선(3)에서 최대한 헤드(4)에 밀착시켜 놓으면 웨지(21)가 강연선(3)의 인장력으로 헤드(4)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웨지(21)에의해 강연선(3)이 장착되면 불필요한 남는 강연선(3)을 절단하여 그리스를 바르고 캡(24)을 씌우고 캡(24)에 그리스를 추가해서 주입하면 캡(24) 내부의 그리스는 고무링(5)에 의해 아래로 흐르지 않고 캡 내부에서 오랫동안 장입되어 헤드(4)나 강연선(3)이 녹스는 것을 막는다 본 고안에 따른 영구앙카는 종래의 한번 설치된 앙카를 영구히 놔둘 경우에는 강연선(3)이 늘어나서 인장력이 저하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헤드(4)에서 캡(24)을 풀고 헤드(4)의 나사산(6)에 유압잭(9)의 너트(8)와 결합시켜 유압잭(9)으로 헤드(4)를 인장시킨 다음에 그 고정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받침판(23)와 헤드(4)사이에 끼움쇠(22)를 끼운다
이로써 영구앙카의 인장력이 그동안 강연선이 늘어나서 발생되는 유격만큼 다시 조여지게 되어 앙카의 인장력이 강화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얼마간의 기간이 경과된 다음에는 유압잭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헤드의 나사부분에 재인장용의 너트를 회전 결합시킨 다음에 유압잭으로 이를 인장하여 공사후의 기간경과에 따라 표면의 토사 유실이라든지 내부 세멘트 몰탈의 유실로 인한 헐거워짐 이라든지 앙카구멍 내부의 침습이나 지반 강하 등으로 인한 유격의 발생으로 앙카의 지지력이 떨어지고 지반의 붕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지면에 고정된 거치 철판과 헤드와의 사이에 끼움쇠 등을 끼워 고정시키므로써 영구앙카의 지지내구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인장 강도를 향상시켜 보다 더 튼튼한 지반지지가 가능해지고 향후에도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한 문제점을 반복적인 실시를 통해서 해소해 나가는 것이다.
본 고안은 미리 강연선의 길이를 조절하지 않고도 강연선(3)을 내하체(1)에 부착할 수 있는 내하체(1)를 포함하고 일차 설치 후에 재인장이 가능 하도록 구성되어 강연선(3)을 재 인장한 다음에 헤드(4)와 받침판(23) 사이에 인장된 길이 만큼 끼움쇠(22)를 넣어 재인장 하도록 구성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영구앙카는 미리 길이를 조정함이 없이 강연선(3)을 부착 할 수 있는 내하체(1)와 장착고정 후에 재인장이 가능한 헤드로 구성되고 설치한 다음 시간 경과후 헤드(4)를 재인장하여 헤드(4)와 받침판(23) 사이에 인장된 길이 만큼 끼움쇠(22) 등을 끼워 넣어 지지력을 강화하도록 구성 된 영구앙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영구앙카는 여러 개의 볼트(2)를 볼트 구멍(2')를 통해 삽입 고정하여 강연선(7)을 고정시키도록 끼우고 압입하여 내하체(1)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헤드(4)의 일부에 나사산(6)을 형성하여 헤드(4)의 회전장착으로유압잭(9) 등을 이용하여 강연선(3)을 인장하도록 된 헤드(4)를 포함하여 구성 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영구앙카는 내하체(1)가 볼트(2) 등으로 강연선(3)을 고정하고 헤드(4)에 나사산(6)을 상부쪽에 형성하여 유압잭(9)으로 헤드(4)의 나사산(6)과 결합하여 이를 인장시켜 고정 설치 후에 수년이 경과하여 토사유실이나 옹벽손괴로 인하여 강연선(3)이나 받침판(23)의 헐거워짐으로 헤드(4)의 캡(24)을 열고 헤드상부의 나사(6)를 유압잭(9)의 너트(8)와 결합하여 인장하고 강연선(3)의 인장에 따른 강연선(3)이 늘어난 만큼을 땡겨서 그 사이에 끼움쇠(22)를 집어 넣어 강연선의 인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적용에 따라 일단 시공된 영구앙카도 종래와는 다르게 일정기간이 경과된 다음에도 공극이나 유격이 없으므로 인장력을 100% 가깝게 유지 할 수가 있고,또한 천공심도 조절이 가능하며 앙카체의 삽입도 용이해지고 헤드캡에 그리스를 충전하면 영구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미리 길이를 조정함이 없이 강연선을 부착 할 수 있는 내하체와 장착고정 후에 외부힘을 가해 재인장이 가능한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설치한 다음 시간 경과후 헤드를 재인장하여 헤드와 받침대 사이에 인장된 길이 만큼 끼움쇠 등을 끼워 넣어 지지력을 강화하도록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앙카.
  2. 제 1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볼트(2)를 볼트 구멍(2')를 통해 삽입 고정하여 강연선(7)을 끼우고 압입하여 고정시키는 내하체(1)를 포함하여 구성 된 영구앙카.
  3. 제 1항에 있어서,
    헤드(4)의 일부에 나사산(6)을 형성하여 헤드(4)를 회전장착하고 너트가 있는 유압잭 등을 이용하여 이를 맞물어 강연선을 인장하도록 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구앙카.
KR20-2003-0020333U 2003-06-26 2003-06-26 영구앙카 KR200329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333U KR200329416Y1 (ko) 2003-06-26 2003-06-26 영구앙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333U KR200329416Y1 (ko) 2003-06-26 2003-06-26 영구앙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142A Division KR100568041B1 (ko) 2003-06-26 2003-06-26 영구앙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416Y1 true KR200329416Y1 (ko) 2003-10-17

Family

ID=4941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333U KR200329416Y1 (ko) 2003-06-26 2003-06-26 영구앙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4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188B1 (ko) 원터치식 재인장 정착구
KR100898907B1 (ko) 어스 앵커용 정착구
KR101496923B1 (ko) 쐐기형 내하체가 보강된 확장형 강봉 앵커체
KR100568041B1 (ko) 영구앙카
US20050028468A1 (en) Concrete forming method using gripping ribs
JP3479516B2 (ja) 斜面安定工法および斜面安定装置
KR20130113563A (ko) 인장재 교체가 가능한 하중분산형 영구앵커체
KR101232642B1 (ko)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
KR20130092356A (ko) 앵커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127841A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다구형 내부정착체
KR200329416Y1 (ko) 영구앙카
KR100505329B1 (ko) 지반 보강용 텐션 네일공법
JP4804561B2 (ja) 法止部材を地盤斜面に地盤アンカーで定着する法枠定着工法
KR100950265B1 (ko) 하중 복원용 재인장 실린더 장치
JP7244724B2 (ja) ハイブリッド型永久アンカー
AU2011226971A1 (en) Method for reinforcement of concreted plates in the region of support elements
JP3026759B2 (ja) 斜面安定工法
KR100609150B1 (ko) 앵커
KR100413550B1 (ko) 제거형 앵커정착장치
KR100898012B1 (ko) 안전망 설치용 앵커
KR200282675Y1 (ko) 내하체 조립식 앵커
JP2655820B2 (ja) アースアンカー工法
KR20200030248A (ko) 그라운드 앵커
KR200337862Y1 (ko) 재긴장형 앵커의 헤드 구조
JP4059380B2 (ja) 自穿孔ロックボルトの施工方法及びアンカ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