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349Y1 -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349Y1
KR200329349Y1 KR20-2003-0011753U KR20030011753U KR200329349Y1 KR 200329349 Y1 KR200329349 Y1 KR 200329349Y1 KR 20030011753 U KR20030011753 U KR 20030011753U KR 200329349 Y1 KR200329349 Y1 KR 200329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building
insulating material
rock wool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훠보
조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훠보, 조재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훠보
Priority to KR20-2003-0011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3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7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by closing openings in walls or the like in the case of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에 관한 것으로,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보온재료의 표면에 방화재료와 같은 도포재료를 피복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온재료는 소정 크기의 원형단면 또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띠형, 그리고 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으며, 이 보온재료는 그 표면에 도포재료를 직접 피복하거나, 망형 보강재로 일차 감싼 후 도포재료를 피복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보온재료는 건축 현장에서 작업자가 일방향으로 압축하여 시공하기가 편리하도록 고안되었으며, 압축 전보다 25% 내지 30%(바람직하기로는 30%) 정도 압축되는 압축성을 갖는다. 이러한 본 고안은 건축물에서 개구부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규격이 비슷 하기 때문에 사전에 공장에서 규격에 맞게 기능성 보드를 제작하여 사용한다면, 현장에서는 별도의 작업 없이 마무리 공정만 진행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도 쉽고, 공기를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 방화제품에 의한 시공에 비해서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COMPETENT FILL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건축 현장에서 보온 및 단열재로 직접 사용되는 보온재료를 용도에 맞게 제품화(규격화)하기 위해서, 표면에 방화재료 혹은 방수재료, 미장재료 등(이하 '방화재료')과 같은 도포재료를 기능성 채움재 제조과정에서 도포하여 주므로서 한층 강화된 기능을 바탕으로 각종 건축 현장에서 적은 비용으로 누구든지 간편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에서 단열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암면(MINERAL WOOL), 유리면(GLASS WOOL), 세라크 울(CERAK WOOL) 등과 같은 보온재료(이하 '보온재료'라 함.)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경량제품으로 다루기가 쉬워서 모든 건축현장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자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보온재료 자체는 내열성, 경량성 등에 있어서는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흡수(흡습)성, 분진발생, 마모성, 비 신축성, 연성(파손 우려), 과다한 쓰레기 발생 등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뚜렷한 해결책이 없어서 현장에서는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많은 공사 관계자들은 이들 보온재료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용도에 맞게 기성 제품화 할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껴왔다.
건축법 제40조에 의하면 "대통령령이 정하는 건축물에는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주요 구조를 내화구조 혹은 방화구조로 구획하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으며, 동법 시행령 제2조에 의하면 "내화구조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가진 구조를 말하고, 방화구조란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하위 규정으로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기준(건설교통부 고시 제2000-93호)'에 의하면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은 일정시간 이상(1∼3시간) 화염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의 벽면이나 바닥면은 각 층을 관통하는 전선, 설비 덕트 및 각종 배관으로 인하여 무수히 많은 개구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구부를 해당 내화구조의 성능에 맞게 밀폐시켜 주는 공사를 층간방화공사 또는 층방(層防) 공사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층간방화공사에 적용되는 구조는 공인된 기관에서 일정한 내화성능 시험에 합격한 구조이어야 하며 이를 '인증제도'라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채움재는 이러한 층간방화공사에 적용되는 재료 및 시공방법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종래 내화구조의 바닥면 개구부 형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0)의 하면에 철판(예를 들어 1.2t)(20)이 타정못(21) 등으로 체결되고, 콘크리트 슬래브(10)의 개구부(11)에 보온재료(30)가 중간재료로 삽입되며 상부에 방화재료(40)가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내화구조의 다른 벽면 형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량 칸막이(50) 이음새 부분의 공간부(51)에 보온재료(30)가 백업재로 내측에 삽입되고 방화재료(40)가 외측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내화구조의 시험방법은, 도 1과 같이 일정크기의 콘크리트 슬래브(10)에 실제로 시공하고자 하는 개구부(11) 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설치하여 밀폐시킨다. 그리고 시험체가 완성되면 시험체의 한쪽면을 가열로(加熱爐)에 걸고 1,016℃ 까지 규정된(1∼3시간) 시간동안 가열하게 되는데, 이때 시험체의 이면(裏面) 온도가 최초 패널의 온도보다 181℃ 이하이어야 하며(가열시험), 또한 가열 후에 소정의 주수(注水) 시험에도 합격해야만 비로소 '내화구조 인증'을 받게된다.
또한 도 2는 방화구획 구간인 경량 칸막이(50)의 조인트(JOINT) 부분이나 문틀의 접합 부분을 방화재료(방화 실란트)를 이용하여 밀폐시킨 구조이다. 이렇게 건축공사에서 개구부 밀폐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실제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연기 및 화염이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기존의 공사방법은 도 1과 같이 콘크리트 스래브(10)의 하부에 철판(20)을 고정하고, 콘크리트 스래브(10)의 개구부(11)에 보온재료(30)를 삽입한 후, 방화재료(40)를 충전하는 과정이 요구되는 것이므로 시공이 까다롭고, 공사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실제 건축현장에서는 층간방화공사를 기피하는 현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화공사에서 보온재료(30)가 일부 채움(중간)재로 만 사용되는 이유는, 보온재료(30)는 내열성이 좋기 때문에 밀실하게 만 채워준다면 가열시험(내열성능)에는 문제가 없으나, 반면에 보온재료 자체는 물에 취약하기 때문에 주수시험에서는 대부분 탈락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보온재료(30)의 위·아래에 철판(20)이나 방화재료(40)를 별도로 시공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더욱이, 기존 보온재료(암면 등)는 나름대로의 장점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사유로 인하여 현재 방화공사를 비롯한 각종 건축공사에서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첫째, 암면은 재질 자체가 너무 약해서(물러서) 쉽게 부서지거나 귀퉁이가 떨어져나가기 때문에 개구부 방화공사와 같이 시공면이 노출된 장소에는 직접 사용하기가 어렵다. 다만 암면을 일부 중간재(백업재, BACK UP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때도 암면의 위와 아래를 막아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둘째, 암면을 방화재 및 건축자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건축현장에서 손으로 암면을 절단하거나 직접 밀실하게 채워 넣는 작업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작업은 암면 분진으로 작업자가 암면작업을 절대적으로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실제로 현장에서는 암면 작업자를 확보하기도 어렵고, 노임 단가도 훨씬 높은 실정이다. 또한 암면은 석면과 다르다고는 하지만 분진을 직접 호흡하게 되면 폐암 발생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작업중에 암면 분진이 피부를 뚫고 들어가서 피부 발적을 일으키므로 여름철에도 작업자가 긴 팔 소매를 입어야 한다거나, 또한 고무장갑을 끼고, 보안경은 물론 분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등 실로 많은 불편이 따른다.
셋째, 방화공사에 사용되는 암면은 일반적으로 두께(130mm 정도)가 두껍고 밀도(100K 이상)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래서 현장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암면을 절단하는게 결코 쉽지 않으며, 또한 절단한다고 해도 규격이 일정하지 않기때문에 밀실한 시공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넷째, 절단된 암면을 개구부에 채울 때는, 절단된 암면을 수직으로(결 방향) 세운 상태에서 약 30% 정도 압축하여 집어넣어야 만 암면이 밀실하게 채워지고, 밑으로 빠질 우려가 없으며, 내열성능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압축암면 시공은 불규칙한 개구부 벽면(11)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100K 암면을 압축하여 시공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참고로 압축 암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암면을 옆으로 뉘어놓은 상태에서 높은 하중을 가하여 2∼3회 반복하여 눌러주게 되면 암면에 쿠션이 생기게 되는데, 사실 100K 정도 암면이라면 작업자가 암면 위에 뛰어내려도 암면이 눌려지지 않을 만큼 단단하기 때문에 결국 현장에서는 압축 암면을 직접 만들어서 사용할 수가 없다.
다섯째, 암면을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암면의 분진이 거주자의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에 축적될 우려가 있으므로 암면을 실내에서 노출된 상태로는 사용할 수 없다. 그렇다고 암면 분진을 방지 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는 상태에서 암면을 노출된 부위에 직접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임시 방편책으로 암면의 노출부위를 철판으로 감싸주거나 혹은 은박(銀箔) 테이프를 붙여보지만 공사비도 비싸지고 역시 쉬운 작업은 아니다.
여섯째, 섬유상태의 압축 암면은 습기를 흡수하고, 물(수분)에 약하기 때문에 방수를 위한 별도의 표면 가공이 없는 상태에서는 암면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일곱째, 암면은 실온상태에서도 시간이 경과할수록 체적(부피)이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랫동안 개구부를 견고하게 밀폐시켜야 하는 밀폐재로 암면을 직접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
여덟째, 암면은 고온(800℃)에서 용해되어 열화(烈火)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밀실하게 채우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규정에 의한 내화구조는 최고 3시간 동안 1,000℃ 이상에서 견딜 수 있어야하는데 암면 자체는 내열성이 취약하므로 별도의 내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공이 필요하다.
아홉째, 공사현장에 반입되는 암면은, 암면 자체로는 완성품이지만 작업여건에 맞게 절단하고 필요한 가공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반제품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절단하고 가공해야 하는 과정에서 암면은 자재 LOSS(수작업에 의한 부정확한 절단시 폐기, 작업 기피현상에 따른 미숙련자 채용, 연질에 의한 귀퉁이 파손)가 많아 쓰레기(잔재물) 발생량이 많아진다. 그러나 암면 쓰레기는 현재 산업페기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비용도 비싸고 환경오염을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종 건축 시공현장에서는 위와 같은 제반 문제점으로 인하여 새로운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보완해 주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각종 건축 현장에서 보온 및 단열재로 사용되는 보온재료의 표면에 해당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방화재료와 같은 도포재료를 채움재의 공장 제조과정에서 도포하여 각종 건축 현장에서 향상된 성능의 제품을 간편용이하게 적은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내화구조의 서로 다른 시공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의 서로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의 서로 다른 시공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의 또 다른 시공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에 쿠션을 주기 위해서 압축하는 공정을 보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온재료 101 : 홈
200 : 도포재료 300 : 보강재
400 : 도포재료 500 : 콘크리드 구조물
501 : 개구부 600 : 경량칸막이
601 : 공간부 700 : 프레스 금형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보온재료의 표면에 방화재료와 같은 도포재료를 피복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온재료는 소정 크기의 원형단면 또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띠형, 그리고 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으며, 이 보온재료는 그 표면에 도포재료를 직접 피복하거나, 망형 보강재로 일차 감싼 후 도포재료를 피복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보온재료는 건축 현장에서 작업자가 일방향으로 압축하여 시공하기가 쉽도록 고안되었으며 압축 전보다 25% 내지 30%(바람직하기로는 30%) 정도 압축되는 압축성을 갖으며, 이에 따라 콘크리드 구조물의 불규칙한 개구부에 보다 간편용이하게 밀페시키고 견고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는 그 압축성에 따라 25% 내지 35%의 범위로 압축하여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의 보온재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경제성과 시공성을 갖춘 건축공사용 기능성 보드(BOARD) 및 원형 바(BAR)와 같은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를 제공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시공을 보다 간편용이하게 하여 공기를 단축시키며, 구태여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든지 공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의 구성을 도포재료를 일부 절결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먼저 도 3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는 건축물의 일정한 개구부 크기에 맞게 재단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판재형 보온재료(100)의 표면에 방화재료와 같은 도포재료(200)가 코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는 개구부를 통과하는 관통재를 제외한 형상에 맞게 재단된 판재형 보온재료(100)에 관통재 홈(101)이 형성되고, 이렇게 재단된 판재형 보온재료(100)의 표면에 방화재료와 같은 도포재료(200)가 코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는 소정 원형단면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띠형 보온재료(100)의 표면에 방화재료와 같은 도포재료(200)가 코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는 소정 사각단면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띠형 보온재료(100)의 표면에 방화재료와 같은 도포재료(200)가 코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는 소정 원형단면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띠형 보온재료(100)가 도 7과 같이 망형 보강재(300)로 감싸이고, 도 8과 같이 도포재료(200)가 표면에 코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는 소정의 사각단면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띠형 보온재료(100)에 용도에 맞는 보강재(300)가 혼합되어 형성되거나, 혹은 표면을 감싸주고 도포재료(200)가 표면에 코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도 9의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는 보온재료(100)에 용도에 맞는 보강재(300)를 소정량 혼합하여 매입한 형태로 형성하거나, 보온재료(100)의 표면에 보강재(300)를 피복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는 필요에 따라 도포재료(200)를 도포하지 않거나 보강재 없이 사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고안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보온재료(100)를 공장에서 건축물의 개구부 형태에 맞게 절단하거나 별도의 가공(쿠션을 주거나, 형태를 변형)을 한 다음, 요구성능(방화, 방수, 탄력성 등)을 발휘할 수 있는 해당 도포재료(200)를 보온재료(100)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에 도포(침투)해줌으로써, 이들 보온재료(100)가 새로운 용도의 기능성 보드 완성품으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도 13은 보온재에 쿠션을 주기 위한 공정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온재료(100)에 쿠션을 주기 위해서는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보온재료(100)를 프레스 압축기(700)의 다이(701) 위에 올려 놓고, 가압기(702)로 다수회 반복적으로 눌러 쿠션을 가하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위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 공장에서 제작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기능성 보드 제품)(P)을 현장에 반입하여 도 10과 같이 콘크리드 구조물(500)의 개구부(501)에 도 3의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P)를 약 30% 정도 압축하여 삽입한 다음, 도 11과 같이 콘크리드 구조물(500) 상면부와 기능성 채움재(P)의 접합부를 도포재료(400)로 마무리 공정(끝손질)만 해 주는 것으로 시공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P)를 약 30% 정도 압축하여 콘크리드 구조물(500)의 개구부(501)에 채우는 단계에서 본 고안에 의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압축기(700) 등을 이용하여 보온재료(100)가 쿠션을 갖도록 작업한 것이므로 현장에서 작업자가 매우 간편하게 직접 압축시켜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경량칸막이(600)의 조인트(JOINT) 부분이나 문틀의 접합 부분과 같은 공간부(601)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P)를 채워 넣는 것으로 시공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탄력성이 가미된 기능성 보드를 채움재로 사용한다면 적은 비용으로 쉽게 공사를 마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규격화된 기능성 보드의 사용이 가능한 이유는 건축물의 개구부는 거의 일정하기 때문이며, 기능성 보드 사용이 일반화되게 되면 제품의 표준화를 가능하게 하여 품질 시공은 물론 공사비와 공기를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보드의 사용은 다음과 같은 이점(利點)이 있다.
첫째, 기존 방화제품에 의한 시공에 비해서 공사비를 약 40% 이상 절약할 수있다. 이유는 방화공사에서 요구하는 가열시험(내열성능)은 암면만 밀실하게 채워 넣어도 문제될 게 없으나, 주수시험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철판과 가격이 비싼 방화재료를 별도로 사용해 왔다. 그래서 본 고안이 의도하는 바는 기존의 암면을 기능성 보드재로 이용하되, 암면의 부족한 가능을 보완해서 방화재료와 철판의 사용을 없애고 그만큼 작업공정을 줄여준다면 전체 공사비는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둘째, 건축물에서 개구부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규격이 동일하기 때문에 사전에 공장에서 규격에 맞게 기능성 보드를 제작하여 사용한다면, 현장에서 별도의 작업 없이 마무리 공정만 진행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도 쉽고, 공기를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층간방화공사는 전체 공사비의 50% 이상이 인건비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기능성 보드의 공급은 더욱 시급한 실정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보드를 사용하게 되면 위와 같이 기존 보온재료의 다른 문제점도 동시에 해결될 수 있다.
첫째, 암면 위에 방화(방수, 미장재 등) 및 탄력성 있는 도포재를 침투시키거나 도포(SPRAY)해 주면, 해당 기능이 첨가되어 암면의 내열온도가 높아지고, 탄력성이 증대되며, 또한 방수성능과 각종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보드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둘째, 기능성 보드는 공장 제작과정에서 해당 규격에 맞게 암면을 절단한 후에, 표면의 일정면에 도포재를 코팅하여 현장에 반입하므로 현장에서는 별도의 작업없이 마무리 공정만 진행하면 되므로 시공비와 공기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셋째, 기능성 보드는 공장제작 과정에서 사전에 실측한 건축물 개구부의 규격에 맞게 재단되기 때문에 부엌칼 작업에 의한 현장 절단에 비해서 제품의 규격화는 물론 도포면을 균일하게 하는 등 적극적인 품질관리가 가능하다.
넷째, 기능성 보드는 공장제작 과정에서 절단 후에 별도의 압축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규격에 변화를 주지 않고, 일정한 신축성(쿠션)을 갖게 되므로 현장작업이 편리해 진다.
다섯째, 암면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는 분진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므로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나, 기능성 보드는 표면에 도포가 이루진 상태에서 분진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므로 방화공사 뿐만 아니라 기타 실내건축공사에서 각종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다.
여섯째, 방화용 도포재료는 당연히 내수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암면의 흡수성을 막을 수가 있다. 또한 건축물에서 소음방지를 위해서 기계실 벽면에 직접 설치하는 흡음재의 경우에도 본 기능성 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설치 후에 보드재가 벽면을 이루고 있는 곳에서는 도포재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가 있어서 소비자의 선택 폭을 높일 수 있다.
일곱째, 암면은 고온에서 돌(石)을 용해한 다음 섬유상태로 뽑아서 압축하였기 때문에, 암면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수축되는 현상이 있다. 그러나 기능성 보드는 표면에 뿌려진 도포재가 공기와 습기를 차단하여 주므로 이러한 수축현상은 방지된다.
여덟째, 기능성 보드에 사용되는 방화 도포재는 종류에 따라서 높은 열을 받게되면 몇 배(倍까)지 팽창성을 발휘하게 되는데 이를 열 팽창성이라고 한다. 이렇게 기능성 보드의 팽창면은 열의 전달을 막아주고 암면의 열화현상을 어느 정도까지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암면을 최종적인 방화재료로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
아홉째, 공장에서 제작되는 기능성 보드는 사전에 실측된 규격에 맞추어서 공장제작이 이루어지고, 또한 도포재료에 의해서 표면이 강화되어 있기 때문에 현장 작업시에 문제가 되는 자재 파손 및 자재 손실(LOSS)이 없으므로 쓰레기(산업폐기물)의 발생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암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진 상태에서 암면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찾다보니, 환경 공해물질인 스치로플, 우레탄 폼, 염화 비닐계 단열재 등이 범람하고 있으며 그 심각성 또한 날로 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보드의 채택은 시급한 실정이다.

Claims (5)

  1.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보온재료(100)의 표면에 소정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도포재료(200)를 피복하여 소정 형태의 규격화된 제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료(100)는 소정 크기의 원형단면 또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띠형, 그리고 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보온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료(200)는 보온재료의 해당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료(100)는 일방향 압축성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료(100)를 보강재(300)로 감싸거나, 또는 도포재료(200)로 표면을 도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KR20-2003-0011753U 2003-04-16 2003-04-16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KR200329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53U KR200329349Y1 (ko) 2003-04-16 2003-04-16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53U KR200329349Y1 (ko) 2003-04-16 2003-04-16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078A Division KR20040090145A (ko) 2003-04-16 2003-04-16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349Y1 true KR200329349Y1 (ko) 2003-10-10

Family

ID=4933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753U KR200329349Y1 (ko) 2003-04-16 2003-04-16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3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665B1 (ko) * 2006-06-09 2007-01-04 주식회사 훠보 내화충전구조의 방화구획처리용 채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39052B1 (ko) * 2007-02-12 2008-06-19 정석찬 금고실용 내화·단열 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665B1 (ko) * 2006-06-09 2007-01-04 주식회사 훠보 내화충전구조의 방화구획처리용 채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39052B1 (ko) * 2007-02-12 2008-06-19 정석찬 금고실용 내화·단열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2435B2 (en) Joint-sealing element and sealing arrangement with such a joint-sealing element
US10774528B2 (en) Universal joint sealing tape for different profile dimensions and seal arrangement having such a joint sealing tape
US10407899B2 (en) Joint-sealing tape with predetermined geometry and sealing arrangement with such joint sealing tape
CA1091885A (en) Insulating wall structure for a building
KR101164060B1 (ko)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29349Y1 (ko)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KR20040090145A (ko) 건축용 기능성 채움재,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CA1190376A (en) Heat-insulating covering applied against walls of buildings and a method of application of said covering
JP437580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外断熱建物の外壁構造、及び外壁の構築方法
JPS6233378B2 (ko)
CN220644849U (zh) 一种隔热彩钢夹芯板
KR102650188B1 (ko) 불연 차단 합지판넬
JP3577061B2 (ja) 耐震耐火性を備えた断熱複合パネル
KR102583703B1 (ko) 불연복합패널의 오픈조인트시공조립체
CN215203768U (zh) 一种应用于轨道车辆车内的波纹地板
CN220318883U (zh) 一种建筑外墙防火结构
CN219863656U (zh) 一种可吸音防火格栅墙板
CN211144248U (zh) 一种钢木质防火门
KR100407870B1 (ko) 차음 성능과 기밀성능이 향상된 경량 벽체 구조
AU2018102059A4 (en) A building insulation material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H0215635Y2 (ko)
JP2595407B2 (ja) 外壁パネル間の接合部構造
KR200228546Y1 (ko) 차음 성능과 기밀성능이 향상된 경량 벽체 구조
KR200359583Y1 (ko)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JPH08105127A (ja) 断熱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